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레게의 전개 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황은지(Hwang, Eun Ji) 한국대중음악학회 2014 대중음악 Vol.- No.13

        본 논문은 제3세계 음악으로는 이례적으로 한때 전 세계 대중음악 시장을 장악했던 ‘레게(Reggae)’의 음악적 스타일이 한국 대중음악 시장에 영입되는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명맥을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아울러 자메이카 레게에서 나타나는 여러 특징들을 중심으로 한국 레게 고유의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자메이카에서 1968~1969년에 발생한 대중음악인 레게는 자메이카 흑인들의 삶과 문화에 스며들어 있는 ‘라스타파리아니즘(Rastafarianism)’의 이상을 음악의 주제와 가사를 통해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밥 말리(Bob Marley)의 영향으로 후에 많은 레게 뮤지션들이 미국음악 시장에 진출하게 되었고, 1970~1980년대에 이르러 제3세계 음악 중 유일하게 영국과 미국 대중음악 시장에서의 대중화에 성공한 장르로 인정받게 된다. 그러나 레게가 세계화되면서 자메이카인들의 이상보다는 상업성에 의한 변질이 문제화되었고, 이러한 양상은 한국 음악계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1980년대 한국 대중음악 시장에 레게가 등장하기 시작하여 1990년대에 이르러 그 인기가 정상에 달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김건모’의 <핑계>가 성공적으로 대중에게 어필되면서 하나의 유행처럼 ‘레게리듬’을 차용한 수많은 히트곡이 쏟아져 나왔으며, 자메이카의 라스타파리아니즘의 상징인 ‘드레드록(Dread rock)’ 헤어스타일과 녹색, 노란색, 빨간색, 검은색으로 물들인 의상과 함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내기에 이른다. 2000년대 이후 레게의 전통성을 강조한 뮤지션들이 대거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레게를 알리는 데 앞장섰고, 그들의 음악에 담겨 있는 독창성이 우리나라보다 국외에서 더욱 인정받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리얼 버라이어티 쇼와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 등을 통해 소개된 레게가 음악 차트에서 상위권에 링크되는 등 이변을 낳았고, 디지털 음원 시장의 대중화에 힘입어 해당 음원 수익이 상당수를 차지하는 등 ‘레게의 대중화’는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은 레게가 한국 대중음악 시장에 등장하면서 본질적 의미보다 독특한 리듬만을 차용하는 상업성에 중점을 둔 유행스타일에서 시작되어, ‘청국장레게’라 일컫는 우리만의 독창적인 스타일로 자리매김하기까지의 내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아울러 2000년대 이후 한국 대중음악계의 주요 특징들속에 노출된 레게가 보인 대중성과 이룩한 성과들에 대해 알아보고, 같은 범주 안에서 레게의 계보를 정리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자메이카 레게의 정의와 범위를 구체화하여 비교대상을 선정하고, ‘한국 레게’의 주축으로 정의한 ‘스컬’과 ‘김 반장’의 레게와 다양한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 레게’의 주요 특성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주류 또는 소수 장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계속되어, 급변하는 대중음악 시장에서 필요한 다양성 부재의 문제점에 본 연구가 작게나마 자양분이 될 수 있길 바란다. This paper aims to observe the existence of the musical style of ‘Reggae’, which has once dominated the world’s popular music markets as an extraordinary genre of the third world’s music, as examining its history from the time of being introduced in Korea’s popular music market to the present time.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will help further understand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Reggae with a focus on the several features that appear in Jamaican Reggae. Reggae, that is, the popular music which has risen between 1968 and 1969 in Jamaica, had an important role to deliver the mechanism of ‘Rastafarianism’, which has been spread throughout the life and culture of Jamaicans, through the subjects and lyrics of the music genre. Under the influence of Bob Marley, a number of following reggae musicians advanced to the American music market, and in the 1970s and 1980s, Reggae, as the only one genre of the third world’s music, was recognized as the successful music genre that was popularized in both the British and the American popular music market. However, for the globalization of Reggae, its deterioration by commercialization disregarding the spirit of Jamaicans came to be problematized, and such aspec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Korea’s music world. After Reggae began to emerge in the Korea’s popular music market Reggae’,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help additional understanding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Reggae’.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expectation for various studies about underground music or minority music genres, which may be conducted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wish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lack of the variety of music genres, which is needed in popular music market that is rapidly changing.

      • KCI등재후보

        변화하는 대중음악 교육 환경에 있어 한국 재즈학의 위치와 의미론에 관한 성찰

        김 책 한국대중음악학회 2018 대중음악 Vol.- No.22

        본고에서는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 환경의 교과서, 교과과정, 범교과에 있어 점진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대중음악에 관한 총체적 연구가 개진되기에 앞서, 재즈학(Jazz Studies)이란 용어의 개념적, 맥락적 쟁점들을 선결문제로서 성찰해보고, 이를 교육과 문화 전달이라는 일반론적 테제들과 연관지어 다루어야 할 지점이라는 것을 우리 음악 사회에 설득하고자 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는 재즈학과 관련된 이론적 개념과 쟁점들을, 2장 한국 재즈의 역사와 기원, 3장 위치와 정체성, 4장 즉흥연주 관습이라는 사회문화적 쟁점을 각론으로 구성하여 음악교육학적 연구질문들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 환경에 있어 재즈학, 광의에 있어 대중음악을, 기존의 소위 서양 고전 낭만음악 위주의 커리큘럼에서 비교적 등한시되던 즉흥연주, 디아스포라, 문화접변, 그리고 대중음악, 아프리칸아메 리칸음악 등 다양한 타자의 음악문화라는 함의를 포용할 수 있는 적실성 있는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nd reflect the conceptual, contextual issues of Korean Jazz studies as a prerequisite questions before holistic researches on popular music in general which is facing a radical rapid and super competitive challenges recently. Reaching the moment to persuade korean society to build general theory structures surrounding these issues, the contents are dealing with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issues on the 2nd chapter: The epoch and history of Korean Jazz, The 3rd chapter: Location and Identity of Korean Jazz, The 4th chapter: Improvisation customs in contemporary korean music society. And this article also is recommending to revaluate the characteristic agents of Jazz and popular music(diaspora, acculturation, improvisation, music as a multicultural expression) -which used to be defined as counter form of authentic western fine art music- as a promising cultural resources for future generation’s music education in general.

      • KCI등재

        1970년대 포크 음악과 한국의 기독교 대중음악의 형성

        양동복 한국대중음악학회 2020 대중음악 Vol.- No.26

        이 연구는 1970년대 한국 포크 음악인들이 발표한 기독교적인 내용의 대중음악에 주목하고 이들의 노래와 활동이 한국의 기독교대중음악 산업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1970년대 한국의 포크 음악인들은 기독교가 제공한 사회문화공간 속에서 활동했던 잠재적 기독교 대중음악의 생산자들이었다. 이들은 미국의 포크 음악을 수용하면서 앨범에 기독교적인 노래를 선보였으며 교회에도 대중적 스타일의 기독교음악을 인식시켰다. 1970년대 후반 청년문화에 제동이 걸리면서 교회 안에서 활동하게 된 포크 음악인들은 기독교 대중음악을 확산시키는데 기여했다. 당시 포크스타일은 교회의 취향과 음악적 여건에 적합했으며 포크 음악인들도 교회에 저항 없이 수용될 수 있는 노래를 불렀다. 기독교 인구가 급격히 성장하자 교회는 부흥시기에 그래왔던 것처럼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을 수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기존의 대중음악 산업은 다수의 유명 포크 음악인이 참여한 기독교 하위문화 시장의 가능성을 보고 기독교 대중음악의 장르화에 참여하였다. 1970년대 한국의 포크 음악은 대중음악사뿐만 아니라 기독교 대중음악의 형성과정의 초기 역사에서도 의미 있는 위치를 지닌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 일 발라드 음악에 나타나는 음악적 차이에 관한 고찰: 일본문화개방 이후 2000년대 전반기를 중심으로

        이주원(Lee, Ju Won)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8

        한국의 대중음악에서 발라드 음악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각종 대중음악 순위에서의 점유도가 매우 높은 장르이다. 이러한 양상은 1980년대 이문세, 이영훈으로 대표되어지는 ‘팝발라드’의 유행을 시작으로 더욱 두드러져 오늘날에 이르렀다. 현재까지 한국의 발라드 음악은 영미권 팝음악을 비롯한 여러 다양한 음악장르의 영향을 받아 왔고, 같은 발라드 장르 안에서도 세부적인 장르구분이 있겠지만 한국발라드만이 지니는 전형성 또한 존재하며 세부 음악장르로 인식되기보다는 음악스타일로 구분되는 경향이 있다. 발라드로 통칭되는 음악장르는 세계 어디에도 존재하지만 유독 한국과 문화적 교류가 빈번했던 일본의 발라드 음악과 한국의 발라드 음악은 많은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일본의 발라드 역시 영미권 팝음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1970년대 후반부터 서서히 음악적 특징이 정립되었으며 한국의 발라드와 마찬가지로 고유의 전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중음악에서의 점유율 측면에서는 한국 발라드 음악의 그것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한국 발라드 음악과는 연관성이 깊은데 대표적으로 1990년대에 한국에서 일본음악에 대한 많은 표절시비들이 있었으며, 1998년 한․일 문화개방 이후 2000년대 전반기를 중심으로 일본음악에 대한 대규모의 번안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음악에 대한 번안이 가장 활발히 있었던 시기인 2000년대 전반기의 한국과 일본의 발라드 음악을 음악적으로 비교해봄으로써 양국의 음악이 어떠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정리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양국의 문화교류 양상 및 그 영향의 단면을 가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1998년 일본문화개방 이후 일본음반에 대한 개방이 이루어진 2000년부터로 영향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시기의 한국과 일본의 발라드를 선율, 화성분석을 통해 그 양상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각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음원순위 사이트라고 볼 수 있는 멜론과 오리콘에서 상위 50위안의 곡들 중 발라드 장르에 해당하는 곡들로 선정하였다. 기간은 2000년부터 5년간의 기간으로 이 기간은 한국에서 일본 음악의 번안이 활발히 일어난 시기와도 겹친다. 해당 연구기간이 ‘일본문화 개방기’라는 측면에서 선정되었기 때문에 리메이크와 번안곡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양국의 발라드음악이 선율, 화성 전개양상에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조의 사용빈도에서 양국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비율상 한국의 발라드 음악은 25.7%가 단조 음악이었으며, 일본은 10.8%로 한국에 비해 절반 이하로 낮다. 두 번째, 선율전개에 있어 선율이 못갖춘마디에 시작하는 경우에도 양상차이가 있었다. 한국의 경우 35.6%의 비중으로 못갖춘마디로 선율을 시작하고 있었으며, 일본의 경우 64.8%의 비중으로 못갖춘마디로 선율을 전개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다. 특히 본 연구자는 양국 발라드 음악에서 드러나는 선율 전개방식의 차이에 주목했다. 선율은 가사와 밀접한 연관성을 맺고 있다. 주요 선율에 오는 단어는 그만큼 청자에게 높은 전달력을 갖는다. 반대로 부가 선율에 위치한 단어의 전달력은 떨어진다. 이러한 원리라면 가사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하는 단어는 주요 선율, 혹은 상대적으로 전달력이 높은 화성리듬상의 강박에 위치할 확률이 높다. 한국어와 일본어가 문법상 어순이 같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한․일 발라드 음악의 선율 전개양상 역시 비슷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이는 문법체계가 다른 영미권 음악의 영향일 수도 있고 다양한 요소의 영향이 작용한 결과일 것이다. 이 시기 양국 발라드 음악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양국의 발라드 음악인들이 지니고 있던 지향점의 차이가 반영된 결과라고도 볼 수 있다. 아직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양국 음악이 제대로 비교 연구되지 않아 연구에 한계는 있었지만 차후 이전 시기 음악의 비교가 이루어진다면 한국과 일본의 발라드 음악 양상이 더욱 선명하게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Ballad songs currently hold a large margin in modern Korean music. It is an especially highly-raking genre in the various modern music charts. Such trends started in the 1980s with the popularization of “pop ballads,” as represented by artists such as Lee Moon-se and Lee Young-hoon. Until now, Korean ballad songs have been influenced by a variety of music genres including popular music from Western nations and—although specific subcategories exist even within the same ballad genres, Korean ballad songs certainly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Ballads as a musical genre exist in all parts of the world, but the ballads produced in Korea and Japan share many similarities due to the frequent cultural exchanges m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Japanese ballads, in turn, were greatly influenced by Western popular music, leading to their gradual establishment of a unique identity—just as with Korean ballads—from the latter half of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capturing the popular music market, however, Japanese ballads are still unable to surpass those produced in Korea. With the close ti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ballads, there were many allegations of plagiarism in the 1990s regarding Korean songs taking ideas from Japanese songs. Following Korea’s acceptance of Japanese cultural arts in 1998 and focused on the early 2000s, there were many adaptations of Japanese music being produced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musical aspects of Korean and Japanese ballad songs in the early 2000s, which was the era in which Japanese music was most frequently adapted in Korea. By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usic in both countrie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estimate both nations’ leaps in cultural exchange, as well as their aftereffects. The method for the study involved analyzing the melodies and harmonies of Korean and Japanese ballads starting from the 2000s (following Korea’s acceptance of Japanese cultural arts in 1998) and a comparison made between the samples. The subjects for the study include the top 50 songs in both nations’ largest popularity-based ranking sites—Melon and Oricon—and filtered them by songs which categorize under the label of ballads. A period of five years is covered from the year 2000, which overlaps with the most active number of adaptations made of Japanese songs in Korea. Because the period of study was selected in the context of “Korea’s acceptance of Japanese cultural arts,” remakes and adaptations we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both nations’ ballad songs in the progression of melodies and harmonie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jor contrasts in the frequency of use when it came to the use of minor keys. 25.7% of Korean songs were set in the minor key, compared to 10.8% of Japanese songs—lower than half in ratio. Second, in the case of the progression of melody, there were differences in melodies starting on incomplete bars. 35.6% of Korean songs started melodies on incomplete bars, whereas 64.8% of Japanese songs did likewise, demonstrating a markedly high ratio.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melodies in both nations’ ballad songs and their contrasting progressions. Melodies have a strong relationship with lyrics and therefore the words attached to key melodies have further effectiveness in delivery for the listener. On the other hand, words located in minor melodies demonstrate less effectiveness in delivery. Based on this theor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key words of a song will be located on the core melodies or on the stronger points of the harmonies and rhythm, which contain relatively higher effectiveness in delivery. With an understanding that Korean and Japanese have the same structure in grammar, Korean and Japanese ballad songs should likewise have

      • KCI등재

        한국 인디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의 형성에 관한 연구

        권현우(Kwon, Hyun Woo)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7

        본 논문은 1990년대 생성된 인디 씬을 중심으로 한국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형성에 영향을 준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렉트로닉 댄스음악의개념과 함께 서구의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의 형성과정을 살펴봤으며, 한국 형성기 인디 일렉트로닉 음악의 뮤지션, 레이블 관계자와의 반구조화 면접법을 실시해 인디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 형성요인을 도출하였다. 먼저 주류 음악계에 도입된 일렉트로닉 댄스음악을 살펴보기 위해 1990년대 초 한국 대중음악에서 하우스, 테크노를 비롯한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 요소의도입과, 대중음악과 일렉트로닉 댄스음악을 결합하려는 시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한국 댄스 클럽의 형성과 일렉트로닉 댄스음악의 전파, PC통신 동호회 ‘21세기 그루브’ 활동으로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의 문화적 전파 및 네트워크형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클럽문화와 PC통신 동호회는 한국 인디 일렉트로닉댄스 음악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요인으로 2000년대 이후 대중가요와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의 결합과 한국적 토착화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펌프기록과 DMS TRAX와 같은 테크노 전문 레이블의 활동과 음반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이들이 한국의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며 테크노 문화를 일반 대중들에게 확산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진 장르이지만 일렉트로닉 댄스 음악에 대한 연구는한국의 현재 진행형인 대중음악과 앞으로 다가올 대중음악의 새로운 연구 방향을제시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electronic dance music in Korea, focusing on the indie scenes created in the 1990s. To examine electronic dance music introduced into the mainstream music industry,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dance music elements including house and techno in Korean popular music in the early 1990s, and attempts to combine popular music and electronic dance music were examined. Next, I investigated the formation of Korean dance clubs, the spread of electronic dance music, and the cultural dissemination and network formation of electronic dance music throuth the ‘21 Centrury Groove’, a PC communication club. Club culture and PC communication clubs played a decisice role in the formation of Korean indie electronic dance music, and since the 2000s, they have played a large role in the combination of popular songs and electronic dance music and indigenization of Korea. In addition, I examined the activities and albums of techno-specialized labels such as ‘Pumpgirok’ and ‘DMS TRAX’, and confirmed that they were in charge of producing and distributing electronic dance music in Korea and spreading the techno culture to the general public. Although it is a genre with a relatively short history, the study of electronic dance music will suggest a new research derection for popular music, which is currently in progress in Korea, and popular music to come.

      • KCI등재

        “So cool, so hot” 1990년대로의 전환기 한국대중음악에 대한 매체문화사적 고찰

        송화숙(Song, Hawsuk) 한국대중음악학회 2010 대중음악 Vol.- No.5

        축음기에서 라디오, 워크맨, 테이프, 텔레비전, 컴퓨터, 인터넷, MP3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매체의 도입은 대중음악의 발전과 급속한 전파력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대중음악의 생산과 전유는 매체기술을 통한 ‘복제가능성/재생산가능성’을 전제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지점은 이러한 기술적 발전의 음악적 수용이 단지 새로운 음악생산/재생산 방식의 도입이라는 차원에 머무르지 않았다는 점이다. 여타의 음악장르와 달리, 대중음악은 이들 새로운 생산방식을 적극적으로 내재화했으며, 이를 항상 음악적으로 ‘매체/감각’화했다. 달리 표현하면, 대중음악은 미디어적 영향력을 근간으로 새로운 음악적 재료 및 음악하기 방식을 만들어냈으며, 새롭고 광범위한 차원의 대중음악적 문화형성체를 끊임없이 구성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이를 전유하는 새로운 감각방식을 형성해냈다. 이러한 대중음악의 매체적 특성(Mediality)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한국대중음악, 특히 1980년대에서 1990년대로의 전환기에 주목해 두 시기 간의 변화과정을 매체문화사적으로 고찰한다. From gramophone, radio, walkman, tape, television, computer, internet to MP3 the introduction of new media have played in the development and rapid dissemination of popular music a decisive roll. The possibility of reproduction based on the media technology is prerequisite for the production and appropriation of popular music. The most interesting site is that this musical adoption of technical development is not merely remained in the dimensions of introducing ‘a new (re) production system of popular music’, but popular music has internalized and medialized those new production systems. In other words, popular music has made a new musical material and musicing method, it constructed constantly a new cultural formation of pop-musicality, and above all it formed a new way of music perception. Based on that medial character of popular music, this paper focuses on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1980s to 1990s on the perspective of pop-musical mediality.

      • KCI등재후보

        탈구화된 대중-민속음악 교육현장에 관한 비교문화적 재고찰: 감비아, 스웨덴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김 책(Kim, Chaek) 한국대중음악학회 2019 대중음악 Vol.- No.23

        본고는 탈구화하는 음악 교육 환경에 있어 대중음악과 세계음악 교육과 관련된 이론적 쟁점들을 재고찰해 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 탈구화라는 것은 세계화라는 사회변화의 맥락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로서, 우리가 음악 교육을 통해 성취해야 할 역량으로 제시되는 ‘도덕적 세계시민으로서의 경험’이라는 것과 맞닿아 있다. 이렇듯 타자의 음악문화를 연구한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비교의 방법론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지만, 비교방법론을 다루는 다양한 학문들이 제국주의, 식민주의와 같은 역사특수적 이원론(지배자와 하위주체) 구조 속에서 다소 굴절되었다는 상황 인식이 본 연구의 동기가 되었 다. 각론에서는 이러한 지배/저항의 고답적 이분법을 떠나, 학교의 교실이라는 유형학적 공통점을 배경으로 한국과 서아프리카 그리고 북서유럽의 사례 들을 비교문화적으로 제시하고 그를 바탕으로 기존의 제국주의식 교육구조와는 다른 대안적, 중립적 의미에서 세계적 경험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 다. 연구 과정에서 세계음악, 민속음악, 대중음악 교육의 준거점에 대해 묻는 인식론적 연구 질문으로 우회하게 되었다. 제시된 한국과 감비아, 세네갈, 스웨덴의 각 사례들은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적 양식의 유지와 근대화, 현대화라는 탈구적 맥락 앞에서 파편화된 존재로 여겨지는 하위주체인 개별행위자 (human agency)가 어떻게 자신들의 바운더리를 형성하며 대중음악이라는(비 종교적, 비정치적) 일상적 맥락에서 어떠한 선택과 회피전략을 통해 정체성의 정치학을 구성해 가는가를 교육학적인 시각에서 일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nd reflect the conceptual and contextual changes on the issues of music education in the challenging context of Korean Education through ethnographic field works. Basic research plan was started out by doing field interviews with a comparative perspectives and summarizing distinctive characterizing agents of these cultures or social systems. But in the beginning of this research, the term ‘comparative musicology’, already was representing terrible reputations according to the prior history such as emperialism or colonialism. because most of comparative research methodologies were born between western researcher and isolated indigenous ethnic groups those who are representing authentic culture. With these perpective,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cultures and musics it self should be re-defined. In this article I decided to remain neutral on these complicated ethical topics. and try to let the field it self could speak the alternative solutions. I determined the interview topic as school setting in order to have a grid as a common standard to compare notions or systems up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out the procedure of ethnographical field work, I realized that rethinking on the issues of the taxanomy or category of music education such as folk music, popular music, world music is being required. As a distinctive contrast from Korean school education, Gambia field case has been representing: non school music learning system which is having beautiful plural acculturation with world musics, folk musics, polular musics while the counter case, swedish field case was mentioned as case of learning all kind of music cultures(world musics, folk musics, polular musics) through public school system.

      • KCI등재

        퓨전음악에 있어서 대중음악의 미학적 자리매김: 한국적 대중음악을 찾아서

        손민정(Son Min-jung) 한국대중음악학회 2009 대중음악 Vol.- No.3

        21세기 한국 음악의 미학을 논하려 할 때, 기존의 한국 음악 관련 연구에서 비중 있게 다루었던 ‘한’이나 ‘흥’으로는 충분히 설명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국악과 대중음악, 클래식음악이 한데 어우러져 만들어진 퓨전음악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새로운 시각의 미학적 접근이 요구되었다. 그럼에도 음악 학계의 관점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 글은 변화하고 있는 현재 한국 음악의 미학을 퓨전음악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특히 퓨전음악에서 대중 음악이 자리하고 있는 미학적 정체성을 조명한다. 이 글은 일종의 사례연구(case study)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2008년 1학기 수원대학교 음악대학 미학 수업에서 제출되었던 프로젝트의 사례들을 분석했다. 프로젝트의 대주제는 ‘현대 한국 음악의 미학’이었으며, 접근방식은 창작자를 포함해 수용자의 의견과 감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음악인류학적 방법을 취했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음악대학 커리큘럼에서 비롯된 학생들의 시각적 한계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제도권 음악교육에서 형성된 작가 중심의 음악관은 유럽 예술음악에 한정되는 특수견해임에도 다른 음악 분야의 연구에도 깊이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대중음악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점하는 집단적 음악경험을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뿐 아니라 절대적인 음악미를 추구하는 시각은 음악대학의 음악미학 커리큘럼에서 ‘현재’라는 역사성과 ‘한국’이라는 지역성을 고려해야 하는 ‘종족 미학’을 간과한다. 다시 말해서, 퓨전음악의 미학적 담론에서 한국 대중음악은 결코 중심이 되지 못하고 주변적 존재에 머무르고 있으며, 중심은 여전히 국악의 전통미학에 있다는 것이다. ‘전통’에 대한 경직된 사고는 실제 음악이 변화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미학적 담론을 과거에 머무르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이 글은 좀 더 유연한 개념의 전통을 소개하며, 현재 속에서 새로운 의미가 덧입혀지는 ‘만들어져 가는’ 전통에 초점을 두려 한다. 결론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퓨전음악에 있어 대중음악의 미학적 정체성을 살펴보면서 부분적으로나마 한국적인 대중음악에 대한 미학적 담론체계를 만들어보고자 한다. Previous studies of Korean Music that focused on ‘Han’ or ‘Heung’ cannot fully explain the Aesthetics of the 21st-Century Korean Music. As the demand for fusion music ― the newly formed music synthesizing Korean traditional music, popular music, and European art music ―gro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approach to contemporary Korean music. However, the viewpoint of the academic research on con-temporary Korean music has hardly changed. This paper deals with the aesthetic identity of Korean popular music expressed in the form of fu-sion music. This work is a case study, and concentrates on college students’ project papers submitted for the course ‘Music Aesthetics’ in the 2008 spring semester at Suwon University. The main thesis of the project was ‘Aesthetics of Contemporary Korean Music’, and the fundamental approach taken for this project was based upon Ethnomusicology, which seriously interrogates collective experiences of various groups of people involved in the music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is paper also brings attention to the Euro-centric viewpoint of music major students in Korea. The majority of Korean music schools have focused on the composer-centered viewpoints rather than the collective musical experience of the listener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popular music culture. In addition, the transcendent beauty of music admired in the music curriculum at college level tends to disregard ethno-aesthetics of Korean music that includes ‘time[present]’ aspect and ‘space[Korea]’ specificity of contemporary Korean music. For this reason, Korean popular mu-sic is regarded as a peripheral musical element, while traditional Korean music is the central one in contemporary Korean fusion music. This paper suggests an alternative concept of ‘tradition’, which can illustrate the dynamic transformation process of contemporary Korean music. Tradition is relentlessly changing, reflecting on present values that present people pursue. In conclusion, this paper tries to explain Korean popular music aesthetics through examining the aesthetic identity of popular music in contemporary fusion music.

      • KCI등재

        1960년대 한-일 대중음악에 나타나는 비틀즈의 영향을 통한, 대중음악의 수용의미 분석 - 1960년대 양국 밴드 음악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주원(Juwon Lee) 한국대중음악학회 2024 대중음악 Vol.33 No.-

        1964년 2월 7일 미국 뉴욕에 도착한 비틀즈의 모습이 중계된 이래로 비틀즈는 미국뿐만이 아니라 세계 대중음악 시장을 흔들어 놓았다. 당시 미국의 대중문 화에 강한 영향을 받고 있었던 동아시아의 한국과 일본 또한 비틀즈를 비롯한 영국스타일 밴드음악의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은 1960년대에 한국과 일본이 동시에 경험한 이러한 문화적 현상을 토대로 당대 양국 음악의 비교를 통해 한ž일양국의 영미권 문화 전파 양상을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비틀즈의 음악에 영향을 받은 1960년대 양국의 초창기 밴드들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밴드들의 음악을 선율, 화성의 분석을 통해 양국 밴드음악의 음악양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양국의 밴드음악은 음악양상에 있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다. 공통점은 양국의 밴드음악이 비틀즈의 밴드 편성과 편곡 방식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차이점도 존재하였 다. 한국 밴드들의 경우 번안곡을 제외하고 보면 비틀즈의 음악적 영향을 찾아보 기는 쉽지 않다. 반면 일본의 경우 비틀즈의 선율, 화성적 특징을 최대한 반영하여 가능한 비틀즈와 흡사한 음악을 구사하고 있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의 1960년대 밴드음악은 새로운 영미권 음악을 현지화하여 타협적으로 수용했다고 볼 수 있고, 일본의 밴드음악 역시 현지화시도가 있었으나 비틀즈로 대변되는 영미권 음악의 추세를 그대로 모사하고자 했던 시도도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70년대와 80 년대의 한국과 일본의 대중음악은 제각기 다른 길을 걸어왔다. 이러한 차이는 록, 록큰롤, R&B 등 영미권 대중음악장르의 분화기로 여겨지는 50,60,70년대의 영미권 음악을 양국이 각자 다르게 수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화수용의 차이가 후대 음악에 영향을 주는 현상은 케이팝의 탄생과정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현대의 케이팝의 형성, 제이팝과의 양상 차이 등에 대한 연구를 차후 연구과제로 삼겠다. Since the Beatles’ arrival in New York on February 7 th , 1964 was broadcast, they have shaken up not only the United States but also the world’s popular music market. Korea and Japan, which were strongly influenced by American pop culture at the time, were also influenced by British-style band music including the Beatles. Based on this cultural phenomenon that Korea and Japan experienced simultaneously in the 1960s,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cultural spread in the Anglo-American region between the two nations via a comparison of the music of the two countries at the time. This study compared Korean and Japanese 60s popular music in terms of melodies and harmonies that were influenced by British-style band music represented by the Beatles. As a result, the band music of both countries exhibit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usical aspects. A common factor is that the band music of both countries follows the Beatles’ band formation and arrangement method; however,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In the case of Korean bands, excluding their adapted songs, the musical influence of the Beatles is not easy to find. Korean band Add4’s songs were made using pentatonic scales, which give the feeling of Korean folk music. The band Keyboys wrote songs in the trot genre. In the case of Japan, other examples can be found. The band The Spiders and The Dynamites used music as similar to the Beatles as possible, thereby reflecting the Beatles’ melodic and harmonic characteristics as much as possible. Jackey Yoshikawa and the Blue Comets showed enka tendencies. Based on our results, Korea’s 1960s band music localized new English-American music and accepted it in a compromise manner. Japanese band music also attempted to localize, but attempted to copy the trend of English-American music represented by the Beatles. It was confirmed that attempts had also been made. Based on these differences in cultural accept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patterns of cultural transmission at the time in the Anglo-American worl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ublic’s level of exposure to Anglo-American culture was different in the two countries. 2. The music production companies of the two countries had different approaches to the newly forming English-American music. Thereafter, Korean and Japanese popular music in the 70s and 80s took different paths. This difference can be viewed as the result of the two countries’ different acceptance of Anglo-American music from the 50s, 60s, and 70s, which are considered a time of differentiation in Anglo-American popular music genres such as rock, rock‘n’roll, and R&B. The occurrence of the phenomenon of cultural acceptance influencing later generations of music is believed to be repeating with the birth of K-pop. Accordingly, the formation of modern K-pop and its differences from J-pop can be considered as future research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