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유 논문 : 개혁 교회와 한국 교회의 기도신학에 관한 연구

        배정도 ( Jeong Do Ba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9 기독교철학 Vol.8 No.-

        오늘날 서구와 북미에서 기독교는 쇠잔하여 가면서 `기독교 이후 시대`(the post christian era)가 도래하였다. 기독교 이후 시대란 기독교가 더 이상 현대사회에서 정신적인 힘과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는 사회상을 말한다. 서구와 북미기독교의 쇠퇴는 기독교가 갖는 영성의 쇠퇴와 무관하지 않다. 후기 현대사회 속에서 서구 기독교는 더 이상 활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세속화되고 말았다. 이 가운데 기독교의 영성은 점점 고갈되면서 서구 교회의 정체성을 상실하기에 이르렀다. 서구의 기독교가 이처럼 쇠퇴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면 교회사에 있어서 한 시대에 부흥이 도래하거나 쇠퇴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그것은 기독교적 영성의 쇠퇴이고 그 가운데서도 기도의 쇠퇴를 들 수 있다. 한국교회는 짧은 선교 역사 가운데서 교회사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경이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제 한국교회가 세계교회 성장의 모델이 되어 연구의 대상이 된 지는 오래다. 이처럼 한국교회가 짧은 역사 가운데서 성장하게 된 원동력이 무엇인가? 신학적인 면이나 선교의 역사를 볼 때 서구 교회와는 비교조차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부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그 중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하나 그것은 바로 `기도`이다. 한국교회는 이러한 기도의 영성이 활성화되어 있는 것이다. 분명코 평양 대부흥을 기발로 하여 일어난 기도의 불길, 열정은 서구 교회가 따라올 수 없을 정도의 열심이 있었다. 교회사를 볼 때 기도가 중요시되고 활성화된 시대와 교회에는 분명 부흥이 있었고 그렇지 못한 시대와 교회에는 쇠락이 있었던 것을 보게 된다. 그리하여 논자는 이 `기도`에 대한 `신학`적 작업에 대한 비전을 가지게 되었다. Today is the post-Christian era as Christianit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as declined. `The post Christian era` represents the social phenomena that Christianity no longer exerts its spiritual power any more. The decline of Christianit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post modern society, the Western church does not show its vitality and becomes secular. In this context, the Christian spirituality has disappeared and led to the loss of the identity of the Western church. Why the Western Church has declined? What are the factors of revivals and declines in church history? Among many factors that contributed to revivals and declines, one is the weaken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more importantly the decline of prayer. Korean church has grown so much despite its short history. The Korean church has been a model of church growth and an object of research. What is the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Korean church in such a short time? The Korean church comes short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church in the West when it comes to the history of mission and theology. How did the Korean church grow against all these odds? Among many factor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s `prayer` itself. In the Korean church, the spirituality of prayer is still very much emphasized. Clearly, the flames of prayer and passion originated from the Pyungyang revival movement cannot be followed by the Western church. In church history, when prayer was emphasized, there was a revival. And when prayer was neglected, the church withered. Based on this observation, the author became interested in a systematic study on `prayer`.

      • KCI등재후보

        자유논문 : 한국교회에 영향을 미친 성장주의에 대한극복 방안 연구

        이명구 ( Myung Ku Le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9 기독교철학 Vol.9 No.-

        본 논문은 먼저, 한국교회에 성장주의가 태동하게 된 배경을 고찰해보고 있다. 다음은 경제성장과 맞물려 한국교회에 잠재 된 성장주의가 낳은 역기능적인 병폐들을 살펴보고, 그 성장주의에 대한 극복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끝으로 오늘날 한국교회가 올바른 성장을 위해 지향해야 할 한국교회의 모습이 무엇인지 나름대로 작은 소견을 제시하면서 본 논문을 맺고 있다. 교회란 무엇인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고,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이시다. 이 교회는 머리되시는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모여들었고, 지금 모여들고 있고, 장차 모여 들게 되는 택함을 받은 모든 사람들로 구성된다"고 정의한다. 이처럼 교회는 "그리스도와 그 지체들 사이에 생명의 유기성"을 가지므로 교회의 성장과 부흥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교회가 어떤 토대위에서 세워지고 어떻게 성장하느냐? 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예수님은 베드로의 명백한 신앙 고백위에 교회를 세우실 것을 말씀하셨는데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교회성장은 분명히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한국교회는 경제성장과 맞물려 급성장을 하였다. 하지만 한국교회의 화려한 성장과 부흥 이면(裏面)에는 기독교의 본질을 병폐시키는 `성장주의`가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0년대 이후 추진된, 경제성장 제일주의 정책은 배고프고 굶주렸던 국민들에게 물질적인 풍요로움과 삶에 여유로움을 주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경제성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비윤리적인 능률과 효율성을 강조하므로, 목적보다는 수단만을 앞세우는 `성장주의`가 태동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성장주의 의식구조는 한국교회 내에도 팽배하게 되었고, 교회는 성장을 위해서라면, 선별하지 않고 이것저것을 수용하고 적용하였다. 그래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그에 따르는 병폐와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과연, 한국교회의 성장 이면에 숨겨있는 병폐는 무엇인가? 그 병폐들을 보면, 첫째는 교회의 세속화이다. 둘째는 맘모니즘의 팽배이다. 셋째는 프로그램중심의 목회이다. 넷째는 개인주의에 빠진 개(個)교회지향적인 목회이다. 다섯째는 성령의 도구화이다. 여섯째는 사역중심의 목회이다. 반면에 한국교회의 역기능적인 성장주의 병폐를 극복하는 대안과 방법으로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는데, 그것은 첫째로 교회의 기독교 본질 회복이다. 둘째는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는 목회이다. 셋째는 시장상황원리의 올바른 접목이다. 넷째는 교회의 열린 공동체성 회복이다. 다섯째는 성령과의 인격적인 관계 회복이다. 여섯째는 하나님 중심의 사역이다. 이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목회사역을 할 때, 한국교회의 성장 이면에 숨겨있는 병폐를 치유하고 건강한 교회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오늘날 한국교회가 올바른 성장을 위해 지향해야 할 교회의 모습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 생명의 유기성을 가진다. 그래서 교회는 부흥 성장하여야 한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인위적인 교회성장은 오히려 기독교의 본질을 상실한 채 외형만 큰 공룡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다음과 같이 기독교의 본질에 충실한 교회가 되어야 한다. 첫째로, 한국교회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둘째로, 예수 그리스도가 으뜸이 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셋째로, 성령께서 주도하시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넷째로, 사회에 `참된 도덕성과 공동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정신적이고 영적인 교회이다. 마지막으로, 문화변혁적인 교회이다. 이와 같은 교회가 될 때, 한국교회는 세속적인 문화와 사상에 물들지 않고,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을 분별하며, 하나님의 뜻을 이 땅에 이루어 드리게 될 것이다. 또한 한국교회는 사회적 공신력을 회복하고 선교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This essay, first, tries to research the situational background of the growth-ism which has appeared in the Korean church. Next, in this essay, tries to find the bad influences of the growth-ism which has encroached on the Korean church, mixed with the economic growth. Then, it tries to present the ways to overcome the growth-ism. Finally, this essay tries to propose the alternatives to aspire the right growth of the Korean church` appearance. What is the church? According to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e church is the body of Jesus Christ, Jesus Christ is the head of the church. The church that consists of all people who selected, gathered around of Christ who became the head of the Church, now it is coming, will gather in the future", he has defined. Such the church has "the organic-life between the Christ and christians", so the church`s growth and revival are required necessarily. But the church should be built on top of any foundation and how does it grow? This ques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Jesus Christ spoked to built the church on Peter`s Faith Confession. but the ways and means to break into the right growth of the church can be a big problem definitely. The Korean church was the rapid growth, mixed with economic growth. However, we can see the other side of spectacular growth and revival of the Korean church. it is that the `growth-ism` to corrupt the essence of Christianity. Pursued since the `60s, the economic growth- first policy has given the material richness and relaxation of the life to the hungry people. But this economic growth, to emphasis the unethic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has quickened the `growth-ism` to focus only a means rather than the purpose. Thus, the awareness-structure of the growth-ism was prevailed even just within the Korean church, for the sake of church-growth, that stuff does not selectively applied and accepted. So, the Korean church have achieved remarkable growth, but have followed the considerable stigmas and side effects behind growth. Indeed, what is the hidden stigmas behind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According to the Korean church`s stigmas, the first is the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The second is a prevalence of the Mammon-ism. The third is a program-centered ministry. The fourth is a private-church ministry falling in individualism. The 5th is treated the Holy Spirit as a tool. The sixth is a labor-centered ministry. In contrast, this essay tries to propose the methods and alternatives of the six kinds to overcome the dysfunctional growth-ism of the Korean church. First, it is to recover the essence of the church. The second is the ministry with the Christ` heart. The third is the right graft about the principle of market conditions. Fourth, the church is to recover an open-community. The fifth is to restore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Holy Spirit. The sixth is to restore the God-centered ministry. Thus, When pastors have recognized the right pastoral ministry, the Korean church will are cured from the stigma to hide behind the growth-ism and will be transformed into a healthy church. So, this essay tries to appear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church to aspire for the correct growth, today. The church of Jesus Christ has a body of organic-life. So the church should be revived. However, as discussed above, the artificial church-growth rather will lost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and will make a shape of a big dinosaur. The Korean church, such as the faithful church to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should be. First, the Korean church should give the glory to God. Secondly, Jesus Christ must be the finest in the church. Thirdly, it should be that the church to be led by the Holy Spirit. Fourth, it must be the mental and spiritual church to establish the true morality and community in society. Finally, the Korean church should be the cultural revolution church. When such a church, the Korean church will not be corrupted by the secular cultures and thoughts, will be discerned God`s good and delightful and whole meaning, God`s will on earth will be accomplished wholly. In addition, the Korean church will be restored a social public-confidence and will be a big influence in mission.

      • KCI등재

        기독교세계관으로 씌여진 문복희의 한국현대시조 연구

        서성철 한국기독교철학회 2024 기독교철학 Vol.39 No.-

        시조는 한국문학의 핵심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문학적 흐름 속에서 문복희의 한국현대시조를 고찰하여 그 중심 내용이 무엇인지를 밝혀내었다. 문복희 시조의 현대적 문학성과 종교적 이념과 사회적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그의 작품 시조집 6권 475편을 분석한 결과 “기독교세계관에 바탕한 정형시조”인 동시에 “전통 운율을 계승한 정통시조”이다. 그의 작품에 들어있는 모든 주제와 소재와 내용들에는 성경말씀에 근거한 하나님 사상이 기본적으로 바탕에 깔려 있으며, 한국의 전통 운율을 현대적으로 정착시킨 3장 6구 45자 내외의 글자수로 정형화 되어 있다. 이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 두 가지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문복희 시조의 첫 번째 특징은 기독교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서로 다른 세 개의 세계관이 각각의 중요한 메시지인 동시에 서로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고 있다. 셋 중에서 제일 먼저가 믿음의 세계관이다. 문복희는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고 인간에게 복 내려 주고 또 보호하며 인도해 주심을 절대적으로 믿고 있다. 그는 믿음의 세계관에다 문학적 상상력과 기교를 융합시켜 현대한국시조를 창작해 내었다. 다음으로 그는 사랑의 세계관을 시조 작품 속에 많이 담아 내고 있다. 하나님이 세상을 사랑하신 것처럼 그의 작품에는 인간을 사랑하고 자연을 사랑하며 우리 삶과 일상 생활에 사랑하는 마음과 시선을 가득 담아 작품으로 만들어내었다. 마지막으로 그는 믿음의 세계관을 인간 삶의 목적과 목표로 삼아 시조 작품에 그려내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구원받아야 하며 궁극적으로 하나님나라천국에 들어가야 한다는 기독교세계관이 그의 작품에 다 들어있다. 두 번째로 문복희 시조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전통운율을 계승한 정통시조라는 점이다. 고시조에 나타난 구지가로부터 현대까지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우리의 전통 운율이 문복희 작품 속에 안착되어 있다. 현대시조에는 거의 정착되어 있는 3-4, 3-4/ 3-4, 3-4/ 3-5, 4-3/의 45자 내외의 글자수는 문복희 시조 전반에 적용되어 있으며, 문학적 은유와 비유의 기교를 사용한 한국현대시조로 창작되었다. 그리고 이것을 대학생과 일반인들에게 교육하며, 해외 대학교와 학생들에게도 알리고 보급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세 번째로 문복희 시조는 한국현대시조를 세계화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문복희는 대학교에서 수강하는 중국 일본 몽골 등의 유학생들에게 시조를 지도하고 특별관리하는 것은 물론 외국 대학에서 초청받아 한국시조를 강의하고 발표하고 작품집 발행하는 등 세계화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문복희의 한국현대시조를 집중 분석하고 연구하여 그 특징을 발견해 낸 결과 그의 모든 작품들은 기독교세계관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다양한 소재와 주제의 속에는 믿음의 신앙과 문학의 상상력과 우리나라 전통적 운율을 온전하게 융합시키고 있다. 그래서 문복희 시조는 한국 현대시조에 전통적 운율을 올바르게 장착하고 있어 “기독교 정신으로 씌여진한국현대 정통 시조”의 표본이라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문복희는 한국현대시조를 국내외에 적극 알리고 보급하며 세계화시켜 나가는 데 앞장서고 있다. Sijo occupies a key position in Korean literature.This paper examines Moon Bok-hee’s modern Korean poetry within this literary flow and reveals its central content.In order to analyze the modern literary value, religious ideology, and social activities of Moon Bok-hee’s sijo, we analyzed 475 poems in volume 6 of his sijo collec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he is “a typical sijo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nd at the same time an “orthodox sijo that inherits traditional meter.”All the themes, materials, and contents in his works are based on God’s thoughts based on the Bible, and are standardized in 3 chapters, 6 phrases, and a character count of about 45 characters, which is a modern adaptation of Korea’s traditional rhyme..If we look at this in more detail, it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wo characteristics.The first characteristic of Moon Bok-hee’s sijo is that it is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If you look closely at the contents, the three different worldviews each have important messages and are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The first of the three is the worldview of faith.Moon Bok-hee absolutely believes that God created heaven and earth and blesses, protects, and guides humans.He created modern Korean sijo by combining literary imagination and technique with a worldview of faith.Next, he embodies the world view of love in many of his sijo works.Just as God loves the world, his works are filled with love for humans, love for nature, and love for our lives and daily lives.Lastly, he depicts the worldview of faith as the purpose and goal of human life in his sijo works.The Christian worldview that one must believe in Jesus Christ to be saved and ultimately enter the kingdom of heaven is reflected in his works.Second, the characteristic of Moon Bok-hee’s sijo is that it is an authentic sijo that inherits Korea’s traditional rhyme.Our traditional rhyme,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from the Guji family in Gosijo to modern times, is established in Moon Bok-hee’s works.The character count of around 45 characters, such as 3-4, 3-4/ 3-4, 3-4/ 3-5, and 4-3/, which are almost established in modern sijo, is applied throughout Moon Bok-hee’s sijo, and is used as a literary metaphor and It was created as a modern Korean sijo using the technique of metaphor.And we are taking the lead in educating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about this and disseminating it to overseas universities and students.Thirdly, Moon Bok-hee’s sijo is being used to globalize modern Korean sijo.Moon Bok-hee is leading globalization activities by teaching and specially managing sijo to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hina, Japan, and Mongolia taking classes at universities, as well as lecturing and presenting Korean sijo at foreign universities and publishing collections of her works.As a result of intensive analysis and research on Moon Bok-hee’s modern Korean sijo and discovering its characteristics, all of his works are based on a Christian worldview, and in various materials and themes, faith in faith, literary imagination, and Korean traditional rhyme are fully integrated.I am ordering it.Therefore, Moon Bok-hee’s sijo can be said to be a model of “Korean modern orthodox sijo written in the spirit of Christianity” as it correctly incorporates the traditional rhyme of modern Korean sijo.In addition, Moon Bok-hee is taking the lead in actively promoting, disseminating, and globalizing Korean modern sijo at home and abroad.

      • KCI등재후보

        한국의 기독교철학자 100년(1): 일제강점기의 기독교철학자

        최태연(Choi Taeyon) 한국기독교철학회 2020 기독교철학 Vol.30 No.-

        이 논문은 지난 100년의 세월 동안 한국현대철학사에서 ‘기독교철학자’(Christian philosophers)들이 어떻게 철학을 해왔는지를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철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했거나 대학에서 철학 교수로서 활동한 이들 중에서 개신교(protestant) 신앙을 갖거나 개신교의 영향 아래 철학 활동을 한 모든 이들을 기독교철학자의 범주에 넣는다. 즉, 다음 세 유형의 철학자들 모두가 속한다. (1) 정통적인 기독교 신자로서 철저하게 신앙의 전제 위에서 철학 활동을 한 학자 (2) 정통적인 신앙을 가졌지만 철학적 회의와 비판을 동시에 추구한 학자 (3) 기독교 신앙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여 타 종교나 일반 철학과 접목을 시도한 학자다. 이 세 유형의 철학자들이 모두 기독교철학자로 불릴 수 있는 이유는 그들이 기독교 신앙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든지 그들의 인간적인 삶뿐만 아니라 철학적 사유의 원천 또는 출발점이 기독교이며 기독교적 테두리를 떠나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필자는 한국에서 기독교 철학의 역사를 1920년대로부터 2020년까지 세 시기로 나눈다. 1기는 <일제 강점기>(1925~1945), 2기는 <해방 후 산업화 시기>(1945~1979), 3기는 <민주화 시기>(1980~2020)이다. 이 시기 구분은 아무래도 임의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1기인 <일제 강점기>(1925~1945)의 기독교철학자 5인 - 채필근, 최현배, 정석해, 한치진, 김기석 –을 다루는데 그쳤다. 채필근은 신학자와 목회자였고 최현배는 한글학자였다. 정석해는 수학과 불어를 가르친 철학자였고 한치진은 철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정치학 저술을 한 철학교수였다. 마지막으로 김기석은 철학으로 시작하여 윤리운동에 매진한 교육학자였다. 그러나 그들에게 있던 공통점은 기독교라는 거대한 정신적 유산이자 신앙 세계였다. 그들은 서로 다른 신학적 입장과 관심사를 가졌지만 기독교를 떠날 수 없었다. 바로 이 점이 이 논문이 우선적으로 밝히려는 철학적 사실이다.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how Christian Philosophers have been doing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hilosophy over the past 100 years. In this paper, among those who have studied philosophy professionally in Korea or have worked as philosophy professors in universities, all who have Protestant beliefs or have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under the influence of Protestantism are put into the category of Christian philosophers. Thes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1) A scholar who is an orthodox Christian who has thoroughly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on the premise of faith; (2) a scholar who has orthodox beliefs but has pursued philosophical criticisms at the same time; (3) a scholar who has attempted to connect with other religions or general philosophies by interpreting Christian beliefs in his own way. The reason why all three types of philosophers can be called Christian philosophers is that no matter what attitude they take about Christian faith, they do not leave the Christian foundation. Next, I will divide the history of Christian philosophy in Korea into three periods from the 1920s to 2020. First, <Japapnese colonial era> (1925 to 1945) second, <Industrialization period after liberation,> (1945 to 1979), <Period after democratization> (1980s to 2020) for the 3rd.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period is somehow arbitrary. The first period is covered in this paper. Five philosophers - Chae Pil-geun, Jeong Seok-hae, Choi Hyeon-bae, Han Chi-jin, Kim Kiseok - belong here. Chae Pil-geun was a theologian and pastor, while Choi Hyun-bae was a Korean-language scholar. Jeong Seokhae was a philosopher who taught mathmatics and French, and Han Chijin was a philosopher who wrote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psychology, sociology and politics. Finally, Kim Ki-seok was an educator who started with philosophy and focused on ethical movements. What they had in common was the great spiritual legacy of Christianity and the world of faith. They had different theological positions and interests but could not leave Christianity. This is exactly the philosophical fact that this paper is trying to reveal first.

      • KCI등재후보

        『21세기 찬송가』의 "한국화" 연구

        김세완 한국기독교철학회 2014 기독교철학 Vol.18 No.-

        이 글은 『21세기 찬송가』에 나타난 ‘한국화’된 곡을 음악적으로 분석하여 ‘한국화’된 양상을 고찰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동안에 음악적 분석으로 연구된 한국교회음악에 대한 ‘한국화’ 양상은 주로 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인 요소의 반영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교회음악에 이루어진 ‘한국화’를 한국전통음악의 요소가 반영된 여부에만 초점 맞추지 않는다.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는 현시대에 진정한 ‘한국화’를 인식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현시대의 진정한 ‘한국화’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진단하는 것이 선행되며 현재적 진단 뒤에 도출되는 의미에 따라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를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된 양상을 살피기 위해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교회음악의 핵심인 찬송가이다. 연구대상으로 삼기에 적합한 찬송가는 현행찬송가인 『21세기 찬송가』이다. 『21세기 찬송가』에는 ‘한국화’된 곡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21세기 찬송가』의 ‘한국화’에 대한 연구는 먼저 ‘한국화’된 곡을 추려낸 다음에 작곡가별로 음악적으로 분석하여 ‘한국화’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작곡가별 분석이 끝난 뒤에는 ‘한국화’ 지수를 매겨 ‘한국화’된 양상을 가시화하였다. 도출된 ‘한국화’ 지수는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에 대한 현재적 상황을 진단하고 현재적 상황에 맞는 한국화를 모색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thesis analyzes the Koreanized Christian church hymns selected from 21th Century Hymnal. It sequentially suggests some practical methods and musical technic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uthentic Koreanized church music in its contex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ized church music were done only in the perspectives of the past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his study, however, develops beyond those traditional components because the true Koreanized music must authentically reflect the current Korean musicality. Thus, it is necessary to correctly define what it means to be a Koreanized church music. This definition will subsequently aid to draw some practical suggestions on how to enhance the Koreanization of church music in the days to com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conducted: Firstly, as samples, several hymn songs with the prominently Koreanized components were selected from 21th Century Hymnal, which is used in the most churches in South Korea today. As the second step, the mus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mposers and their musical patterns and distinctiveness. Thirdly, based on the how Koreanized those songs were, they were systematically categorized with the scale of indexing figures. This study provides the accurate diagnoses and evaluations of the current Koreanization of Christian church songs as well as practical recommendations on development of the future directions.

      • KCI등재후보

        기독교 세계관의 독특성 -개혁주의 관점에서-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7 기독교철학 Vol.3 No.1

        기독교 세계관은 기독교 신앙의 체계 위에 세워진 세계관이다. 기독교 신앙 체계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신앙의 근거 위에 세워진 체계를 말한다. 오늘날 기독교 세계관이라고 할 때 자연주의 세계관 내지 인본주의 세계관과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래서 역사적으로 나타나는 비기독교적 세계관과 결별하면서 기독교 세계관의 독특성을 바로 드러낸다는 것이 요청된다. 개혁주의 관점의 기독교 세계관은 종교개혁적 복음주의적 전통에 입각한 세계관이다. 이러한 세계관은 자연주의 세계관이나 인본주의 세계관과는 구분된다. 과학주의나 낭만주의 세계관도 자연주의 세계관에 기초한 것이다. 기독교 세계관은 자연주의-및 인본주의 세계관과 결별한다. 지연주의 세계관의 원천은 헬라적인 세계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독교 세계관은 후기 어거스틴이 그러했던 것처럼 플라톤적 세계관과 결별해야 하며, 루터나 칼빈이 그러했던 것처럼 아리스토텔레스적 세계관과도 결별해야 한다. 기독교 세계관은 유신론적 인격주의의 태도를 갖는다. 유신론적 인격주의는 인식활동에 있어서 비판적 실재론, 인식론적 겸허와 인식론적 소망과 해석학적 실재론의 입장, 그리고 인식론적 헌신의 태도를 갖는다. 개혁주의 인식론은 비판적 실재론, 즉 해석학적 실재론의 입장을 갖는다. Christian worldview is the worldview built on the system of Christian faith. This system points to the system built on the ground of faith in the trinitarian God. It is today not the rare case, in which the christian worldview is mixed with naturalistic or anthropocentric worldview, when we say of it. We need to point out the distinctiveness of christian worldview, giving farewell to the non-christian worldview which appeared historically. The christian worldview in the reformed perspective is the worldview based on the reformation-oriented evangelical tradition. This worldview is distinguished from naturalistic or anthropocentric one. Both the scientific and romantic worldview is built on the naturalistic worldview. The christian worldview give farewell to both naturalistic and anthropocentric worldview. The origin of naturalistic worldview goes back to the greek worldview. Christian worldview should, as the late Augustine did, give farewell to the Platonic worldview, as well as to the Aristotelian worldview, as Luther and Calvin did. Christian worldview possesses the attitude of theistic personalism. Theistic personalism has in terms of the cognitive activity critical realism, cognitive humility, cognitive hope and hermeneutic realism and cognitive commitment. Reformed doctrine of knowledge has a position of hermeneutic realism. Cognitive faith, hope and love become a dynamics of performing the hermeneutic realism.

      • KCI등재후보

        과학적 신학을 위한 비판적 실재론 -알리스터 맥그래스를 중심으로-

        임영동 ( Lim Young-do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8 기독교철학 Vol.25 No.-

        이 연구의 목적은 알리스터 맥그래스(Alister E. McGrath)의『과학적 신학』(Scientific Theology)에 나타난 비판적 실재론을 통해 새로운 기독교 계시인식 방법론을 모색해보는 데 있다. 맥그래스는 그의『과학적 신학』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는 3부작『자연』(Nature),『실재』(Reality),『이론』(Theory) 이라는 연구를 통해 기독교 신학의 본질적 특색을 살리는 동시에 적절하고 원칙적인 대화로 자연과학의 통찰력을 받아들이는 방식을 취하여 새로운 기독교 신학체계를 세워간다. 그리고 기독교 신학이 자연과학과의 대화가 철학적, 문화적으로 대치중인 데, 서로 대화를 통해 공명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어 기독교 신학의 생명줄을 제공하는 데에 필수적이고, 적절하고, 합법적이고, 생산해 내는 데 목적을 둔다. 즉 이 전제로 기독교 신학과 자연과학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려는 하나의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시도라 할 수 있다. 맥그래스는 이러한 노력을 통해 기독교 신학이 토대주의와 반 토대주의의 지적 편견으로부터 벗어나 그것의 진정한 목소리를 회복하고 되찾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고 자신의 포부(抱負)를 밝힌다. 본 연구에서는 실재론을 중심적으로 다루려한다. 왜냐하면 ‘자연’ 과 ‘이론’ 역시 ‘실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맥그래스의『과학적 신학』은 기독교 신학 바깥에서 다루는 실재론에 대한 개념과 역사와 논리가 함의되어 함축적으로 논술하기 때문에 일반 독자들이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정교하게 조율된 우주』라는 책에서 언급한‘삼위일체 자연신학’은 그가 사용한 과학, 생물학, 화학, 철학적 용어와 논리에 대한 기초적인 학습이 없이는 목회자와 신도들, 그리고 일반 독자들이 이해하기란 매우 어렵고 난해하다. 그러면서도 맥그래스는 기독교 전통신학의 중요성을 전제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실재론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과 역사를 이해하고 그의 『과학적 신학』을 따라간다면 맥그래스의『과학적 신학』은 기독교 자연과학에 관하여 기대 이상의 가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논고는 크게 두 주제로 열거한다. 첫째, ‘실재론의 역사와 정의’를 통해 ‘실재론’과 ‘비판적 실재론’에 대한 개념과 의미, 그리고 그 역사를 개괄해본다. 이는 맥그래스의 과학적 신학 방법론과 비판적 실재론의 기초가 될 것이다. 둘째, ‘맥그래스의 과학적 신학 방법론과 비판적 실재론’을 통해 맥그래스가 주장하는 철학과 기독교 자연과학의 만남을 드러내어 본다. 이러한 작업은 기독교 계시인식론을 특별계시만이 아니라 일반계시 속에서도 하나님을 들을 수 있는 데에로 나아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new methodology of Christian revelation cognition through critical realism in Alister E. McGrath's Scientific Theology. McGrath introduces a trilogy called Nature, Reality, and Theory, which can be called his "scientific theology" project, which is the most essential characteristic of Christian theology, And to approach Christian theology in a way that accepts the insights of natural sciences through principled dialogue. And one continuous and broad attempt to explore the interplay of Christian theology and natural science with the premise that dialogue with the natural sciences is essential, appropriate, legal, and productive enough to provide the lifelines needed for philosophically and culturally conflicting theologies. He says. Through these efforts, Christian theology reveals its aspirations that it will recover its true voice from its intellectual prejudice against the fundamentalism and anti-fundamentalism, he said. This study focuses on realism. Because ‘nature' and ‘theory’ are also developed around ‘reality' McGrath's ‘scientific theology’, however, is unfamiliar to general readers because it implies and implies the concept, history, and logic of realism dealt with outside Christian theology. In particular, the ‘trinitarian natural theology' mentioned in the book, ‘The Exquisitely Co-ordinated Universe,'can be understood by pastors, believers, and general readers without the basic learning of science, biology, chemistry, Is very difficult and difficult. However,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hristian traditional theology. Understanding the basic concept and history of realism and following his ‘scientific theology’, McGrath's ‘scientific theology’ can gain more value than expected in Christian natural science. This argument is broadly categorized into two themes. First, I will outline the concept and meaning of realism and critical realism through its history and definition of realism. This will be the basis for McGrath's scientific theological methodology and critical realism. Second, McGrath's philosophy and Christian natural science are exposed through McGrath's scientific theology methodology and critical realism theory. This work brings Christian revelation epistemology to the hearing of God not only in special revelation but also in general poetry.

      • KCI등재후보

        동서양의 진화론 수용과 기독교 -한국과 스페인을 중심으로-

        고운이 ( Koh Oon-e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8 기독교철학 Vol.25 No.-

        이 연구는 동서양 문화 속에서 과학이론이 어떻게 전래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과 스페인의 진화론 수용을 검토하였다. 진화론은 서양보다는 동양의 전통적 생명관과 닮아서, 양국의 수용 과정에서 동양종교와는 부딪치지 않았지만 서양 종교인 기독교와는 불협화음이 있었다. 진화론이 처음 전래되었을 때 스페인에서는 가톨릭 교회 및 학계의 반발이 있었고 이후 정치적 문제로도 검열을 수차례 겪는 등 부침이 있었다. 한국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한국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으로 인하여 사회진화론 개념을 위주로 진화론을 받아들였다. 오늘날에는 스페인 국민이 한국인보다 진화론 이해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양국의 종교 실태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스페인에서 진화론과 가톨릭의 대결구도는 이미 종식된 것에 반하여 한국의 개신교는 여전히 진화론과 대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societal and cultural incorporation of the theory of evolution by natural selection using comparative analyses of Spanish and South Korean societies. The theory of evolution is compatible with life view of the Eastern traditions, and hence with Eastern religions. However, there has been discord between the theory and a Western religion Christianity. When the concept of evolution by natural selection was first described, Spanish Catholicism and academia both opposed the theory which later became a subject of political censorship. Although South Korea was free of such conflicts, the understanding of the theory was limited to its social implications due to its sociopolitical situations. These days, Spanish people have significantly deeper understanding of evolution than Korean, and this may b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religions in each country. The conflict between evolution and Catholicism has ended, while the South Korean Protestantism still objects to Darwinism.

      • KCI등재후보

        21세기 기독교세계관 운동의 방향과 교육적 함의

        유경상 ( Kyeong Sang Yu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6 기독교철학 Vol.22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세계관 운동이 보다 더 성경에 충실하며 삶의 실천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오늘날 기독교 세계관 운동은 이성의 절대성을 표방하는 모더니즘의 사변화를 극복하는 동시에 절대적인 모든 것을 상대화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에 맞서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기독교세계관 운동은 그리스도인들이 성경의 계시를 절대적 진리의 기준으로 다시 회복시키고, 더 나아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성경적 기준으로 살아가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기독교 세계관 운동의 새로운 방향은 지성을 넘어 전인격의 문제로, 합리적 논쟁을 넘어 영적 싸움으로, 이론을 넘어 실천의 문제로, 명제적 체계를 넘어 이야기로, 개인적 차원을 넘어 공동체적 차원으로, 성인에서 다음세대로 확장되는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기독교세계관 운동의 새로운 방향이 지닌 교육적 함의는 지성뿐만 아니라 감성과 의지를 포함한 전인적 차원의 교육, 성령충만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 삶의 실천을 지향하는 교육, 이야기로 전달하는 교육, 공동체와 연계되는 교육, 다음세대의 눈높이와 필요에 부합하는 교육일 뿐만 아니라 그들을 교육하는 성인들을 먼저 준비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육적 함의를 반영하는 기독교세계관 교육은 그리스도인들이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말씀대로 생각하고 살아가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new direction of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for helping christian live a life in accord with biblical worldview. There are new six direction for christian worldview movement to resist worldview as secularism and relativism that christians are confronted with. First, the meaning of worldview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 concept but also as a heart. Second, competition of worldview should be recognized not only as a argument but also as spiritual warfare. Third, worldview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s a theory but also as a practice. Forth, worldview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s a proposition but also as a story. Fifth, worldview should be not only as a personal story but also a communal story. Sixth, worldview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not only adult but also next generation.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following six direction will help christian live in accord with God``s word in their everyday life.

      • KCI등재후보

        기획주제: 현대 기독교철학 : 조나단 에드워즈와 C. S. 루이스의 윤리 사상에 관한 한 탐구 -『참된 미덕의 본질』과 『순진한 기독교』를 중심으로-

        송동민 ( Dong Min So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3 기독교철학 Vol.16 No.-

        기독교 사상가로서 조나단 에드워즈와 C. S. 루이스는 둘 다 기독교적인 윤리에 깊은 관심을 보였을 뿐 아니라, 영국적 사상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런데 에드워즈는 청교도적 칼빈주의의 후예인 반면, C. S. 루이스는 성공회에 속한 평신도로서 좀 더 중세적인 인간관을 드러내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에드워즈의 논문 The Nature of True Virtue와 C. S. 루이스의 주저 Mere Christianity를 중심으로, 두 사상가의 기독교 윤리관에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논의해 보았다. 에드워즈의 논문 The Nature of True Virtue에서는 몇 가지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진다. ‘참된 미덕’, ‘2차적 아름다움’, ‘자기애’, ‘자연적 양심’, ‘자연적 본능’ 등이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참된 미덕’은 곧 존재 전반을 향한 자애( )에서 나타난다. ‘존재전반’은 곧 기독교의 하나님을 뜻하며, 기독교의 하나님을 향한 참된사랑은 1차적인 도덕적 아름다움이 된다. ‘2차적 아름다움’은 자연세계 전체에 존재하는 것으로, 다양한 사물들의 조화와 일치 속에서 나타난다. 단순한 의미에서 ‘자기애’( )는 ‘자신의 행복을 사랑하는 것’이다. 그런데 한 사람이 다른 존재를 존중하지 않고 자신만의 이익을 추구할 때, 그것은 부정적인 의미의 ‘자기애’가 된다. 또 ‘자연적양심’은 두 가지로 구성된다. (1) 자신이 대우받기를 원하는 대로 타인을 대우하는 성향, (2) 모든 미덕과 악에 대해 그에 합당한 몫을 주고자 하는 성향이다. ‘자연적 본능’은 특정 대상에 대해 자연 법칙에 따라 특정한 반응을 보이게끔 하는 성향이다. C. S. 루이스의 Mere Christianity에서 우선적으로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은 자연법의 실재이다. 루이스는 기독교의 하나님이 인간 본성 속에 항구적인 도덕법을 심어 놓으셨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하나님이 처음 창조하신 상태에서 타락했으며, 그 결과 지속적으로 그 도덕법을 깨뜨리며 산다. 오직 그리스도와의 바른 관계 속에 들어갈 때에만 우리는 하나님과 화목할 수 있으며, 도덕법을 지킬 수 있다. 그리고 루이스는 윤리를 세 부분으로 나눈다. 첫째는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적인 부분이다. 둘째는 개인적인 것으로서, 인격 내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일과 관련되어 있다. 셋째는 종교적인 것으로서, 인간 삶의 의미 전체와 관련되는 것이며 창조주와의 관계 속에서 드러난다. 그런데 루이스는 윤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우리가 정말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고 인정받기 위해서는 그리스도를 믿어야만 한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 에드워즈와 루이스는 기독교 윤리와 일반 윤리가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한 태도에서 본질적인 차이를 보인다는 데에 동의한다. 하지만 그들은 기독교 윤리에서 자연과 은혜의 관계에 대해 다른 생각을 지니고 있다. 에드워즈는 칼빈주의자로서 자연적 도덕성과 기독교적인참된 미덕을 날카롭게 구별한다. 이에 반해 루이스는 중세적인 자연법 사상을 따르면서 신자와 불신자 모두가 동일한 도덕적 능력을 지닌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에드워즈는 기독교 윤리의 하나님 중심적 성격을 강조하는 반면, 루이스는 좀더 인간에게 초점을 맞추는 성향을 보인다. 이를통해 루이스는 기독교를 믿지 않는 사람들이 기독교에 다가갈 수 있는 광범위한 공감대를 형성하지만, 기독교 윤리의 하나님 중심적 성격을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한편 에드워즈는 기독교 윤리의 본질을 잘 보여 주지만, 그의 사상은 불신자들이 이해하고 따르기가 다소 어려운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As Christian thinkers, Jonathan Edwards and C.S. Lewis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s that they both had deep interest in Christian ethics, and inherited the tradition of British thought. However, they shows a difference in the fact that while Edwards was an heir of puritan Calvinism, C.S. Lewis was a layman who belonged to the Anglican church and demonstrated a more medieval view of humanity.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ethical thoughts-focusing upon Edwards`s dissertation The Nature of True Virtue and C.S. Lewis`s book Mere Christianity. In The Nature of True Virtue, Edwards advances his argument by focusing upon several important concepts: ``true virtue,` ``secondary beauty,`` ``self-love,`` ``natural conscience,`` and ``natural instincts.`` According to Edwards, ``true virtue`` is demonstrated by a benevolence toward the being in general. This ``being in general`` means God of Christianity, and a true love towards God of Christianity becomes a primary moral beauty. ``Secondary beauty`` exists in the whole natural world, and demonstrates itself in the harmonies and agreements between various objects. In a simple sense, ``self-love`` means ``loving one``s own happiness.`` However, when a person does not respect others`` well-being and pursues his own interest only, it becomes a ``self-love`` in a negative sense. ``Natural conscience`` is consisted of two things: (1) a disposition which tends to deal with other persons just as a person oneself wants to be dealt with, and (2) a disposition which wants to give its proper due to every acts of virtue and evil. ``Natual instincts`` are the dispositions which make us show particular reactions toward particular objects according to the law of nature. In Mere Christianity, what becomes clear at first is the reality of natural law. Lewis insists that God of Christianity planted a permanent moral law within human nature. Human beings fell down from the original state of creation. As a result, they continuously break the law. Only when they enter into the right relationship with Christ, they can be reconciled with God and keep the moral law. Lewis divides ethics into three areas. First one is the social area, in which the ethics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Second one is the individual area, and here ethics is related to the matter how can we sustain the inner-personal balance. Third one is the religious area, in which ethics deals with the whole meaning of human lives and demonstrates its essenc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our Creator. While Lew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thics, he clearly asserts that in order to be justified before God, we should put our trust in Christ. Edwards and Lewis agree on the fact that Christian ethics and non-Christian ethics show an essential difference in their attitudes toward the relationship with God. However, they have different idea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grace in Christian ethics. As a firm Calvinist, Edwards sharply distinguishes between natural morality and a true virtue in Christianity. On the other hands, Lewis tends to follow the medieval thought of natural law and regards both believers and non-believers as having the same moral capacities. Also, while Edwards puts stress upon the God-centered character of Christian ethics, Lewis shows a more human-focused point of view. As a result, Lewis succeeds to gain a wide sympathy of unbelievers, but fails to demonstrate the God-centered essence of Christian ethics more clearly. Conversely, while Edwards communicates the nature of Christian ethics properly, his ideas are expressed in a way somewhat difficult for unbelievers to understand and acce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