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사에 관한 연구 현황 분석

        정모희 한국국악교육학회 2020 국악교육 Vol.49 No.49

        본 연구는 고대로부터 이어져 왔을 국악교육사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에 앞서 그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를 영역별로 분류하여 검토한 것이다. 먼저 교육학 영역 안에서 국악교육사를 살펴보고자, 한국교육사, 음악교육학, 국악교육학 안에서의 국악교육사와 관련된 내용을 검토하고 음악사 영역인 한국음악사 안에서의 국악교육사를 살펴보았다. 이후 음악교육의 기능을 담당했을 국가음악기관 관련 연구와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논저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교육사에서는 음악교육에 관한 언급 자체가 소략하여 국악교육사에 대한 세세한 기술은 기대하기 어렵고, 음악교육학과 국악교육학에서도 국악교육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단행본은 찾기 어려웠으며, 국악교육을 위한 한국음악사라는 간단 서술 정도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다. 한국음악사의 여러 논저들은 국악교육사에 관한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내용을 기술하고 있지는 않아 아쉬움이 있지만, 국악교육사 연구를 위한 훌륭한 지침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연구논저들 중 국가음악기관에 관해 음악사적으로 연구한 글들은 다수 보이지만 국악교육의 관점에서 연구한 논저들은 많지 않다. 그중,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연구를 간추려보면 6편이 대표적인데, 전인 교육적 관점에서의 연구, 국가음악기관의 교육관련 연구, 현대 교육적 관점에서의 전통음악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 등 세 가지 관점의 논저들로 정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이제까지 한국음악 분야에 있어 전통음악 전승의 역사를 음악교육의 역사로 보는 시각이 미미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한국음악사와는 별개로 교육학적 시각에서 국악교육사가 하나의 학문영역으로 정립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학적 관점에서 각 시대별로 전승된 음악적 형태들을 찾고 그에 따른 교육 이념과 사상, 교육 목적과 내용, 방법 등을 정리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음악사를 통해 각 시대별 음악의 수용자, 향유계층을 밝히고 그 음악의 전승 형태에 대한 연구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reviews literatur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confirm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must have been passed through ancient times. First, I looked a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in Korean education literatures. Then I reviewed Music history literatures and literatur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Finally, explored literatures on Korean music history related to Korean education history. As a result, in Korean education literatures, music education is rarely mentioned, so detailed mention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not expected. Also, in a lot of music history Music history literatures and Korean music history books, books that systematically summarized Korean music education history were difficult to find. It was only briefly mentioned as ‘Korean Music Histo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Research literatures on Korean Music Histo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does not directly include content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but they will provide great guidelines for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istory. Among the research, many of them studied national music institute from the perspective of music history,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re are 6 research articles from the perspective of pedagogy, and they can be put into three categorie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All-round education, research of national music institute abou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Korean music scholar, and research about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etho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educ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how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passed down the generation was not typically considered a part of history of music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at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as a separate academic field from history of Korean music. To achieve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Korean music, we must find the forms of music that were performed in each generation, and must organize educational philosophy, thought, purpose, and methodology accordingly. We must also identify the class which played and enjoyed music in each generation through exploring Korean Music History and systemize research on how each music has been passed down.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윤이(Yuni Han) 한국국악교육학회 2013 국악교육 Vol.35 No.35

        인성교육은 국악교육의 당위성을 논할 때 반드시 거론되는 내용이다. 국악교육에서 인성교육은 오랫동안 다루어져 왔으나 전반적인 현황과 그에 따른 과제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물을 중심으로 국악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봄으로써 국악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먼저 인성과 인성교육의 개념 고찰을 통해 국악교육을 위한 인성과 인성교육의 개념을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모든 교과의 교육과정에 인성교육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통해 인성 교육은 모든 교과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악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현황은 크게 학술연구와 현장 연구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현황과 과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국악을 통한 인성교육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국악을 통해 인성교육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과 필요성을 철학적?역사적 근거를 들어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제시하고 학문적으로 따져 밝혀야 한다. 둘째, 국악교육에서 인성교육 요소나 내용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국악의 특성을 반영한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정선하고 국악의 인성교육 요소를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국악의 특성을 살린 창의적인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므로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학교 현장에서 국악을 활용한 인성교육 현장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국악을 활용한 인성교육 현장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더불어 실천과 실행을 기본 방향과 원칙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음악치료 분야에서 국악을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이 분야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이상의 인성교육 현황과 과제 중 국악교육의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체계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보고 기존의 인성교육 연구와 교과별 교육과정을 참고하여 국악교육의 인성교육 요소를 선정하고 체계화하였다. 그 결과 국악교육을 통해 지도할 수 있는 인성교육 요소가 매우 많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국악 교육이 학교 인성교육의 주축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humanity education is done in Korean music education and what approaches should be sought. For thi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humanity and of humanity education in the Korean music education. Therefore, it was needed to reestablish he concept of the nature of humanity and of humanity education in the Korean music education and deemed desirable to manage humanity education preferably in interdisciplinary ways, although included in respective curricula. How humanity education is done in Korean music education was examined by dividing into academic and field studies and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y humanity education through Korean music is required are not reasonably justified. Therefore, the needs and cause of such education should be clarified by presenting philosophical, historic or scientific rationale. Second, humanity education is recently on the spot light in Korean music education, which has yet to be established in terms of educational elements or contents. It is needed to select and systemize the elements of humanity education in Korean music education. Third, most of the programs of humanity education follow existing educational methods, so there are little of creative ones in which the features of Korean music are considered. It is needed to study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Fourth, there are lots of field studies on schools which have great interests in humanity education but less of those made by applying Korean music. It is needed to encourage teachers to have Korean music classes, instead of lecturers from outside. Fifth, humanity education during Korean music classes is in practice at pre-schoo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s. In particular, Korean music is increasingly applied to the field of music therapy, so required are more interests and applicable studies. Sixth, no matter how the needs of humanity education are emphasized and good programs are developed, they are meaningless if not available in the fields. So the humanity education in Korean music education should be applicable practically. In view of the status and tasks above, imminent is to systemize the elements and contents of humanity education in Korean music education. This study selects the elements of humanity education for the classes of Korean music, which is possibly deemed to play a pivotal role in general humanity education at schools.

      • KCI등재후보

        한국 전통음악교육의 현황과 전망

        이상규(Lee Sang kyu) 한국국악교육학회 2009 국악교육 Vol.28 No.-

        얼마 전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처용무, 제주칠머리당 영등굿이 UNESCO가 지정한 세계 무형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이미 지정된 종묘제례·종묘제례악, 판소리, 강릉단오제까지 더해 이제 한국은 세계무형문화유산 8건을 보유한 나라가 되었다. 더구나 2012년 전주에 아시아태평양무형문화센터의 건립이 확정되는 등, 전통음악과 관련된 우리의 소중한 자산이 전 세계로부터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유산들은 수없이 많은 역경 속에서도 힘들게 전승과정을 겪은 것들이라 더욱 소중하다. 그런 점에서 전통음악의 교육이 더욱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게 되었다. 현재의 국악교육은 그동안 많은 외형적 발전과 내실있는 성장을 동시에 이루어왔지만, 그 문제점도 많이 노출되고 있고 있을 뿐 아니라 시대적 상황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에 따라 이 글에서는 한국의 전반적인 국악교육 현황을 전문국악교육과 일반국악교육으로 대별하여 개관하고, 그를 바탕으로 향후 바람직한 국악교육의 방향으로 첫째, 시급한 영재교육 둘째, 국악교육전문가 양성과정의 개설 셋째, 국악교육과정의 체계화 넷째, 예술강사 지원사업과의 연계를 제시하였다. 이 글이 한국전통음악교육의 현황을 이해하고, 향후 국악교육의 발전을 위해 하나의 주춧돌이 되었기를 바란다. At recently, Korean’s properties and values which is related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recognizing by over the world. For example, Korean’s five intangible cultural assets were authorized as member of 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Moreover, Intangible Heritage Centre for Asia-Pacific was decided to build in Jeonju in 2012. These Asset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se were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difficulties for a long time. As a kind of this point,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music is issued by many people as a important subject of conversation. Currently,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externally and substantially developed. However, at the same time, many problems of the developments were exposed and there was something had to do actively. Accordingly, it was exposed about changing situations of every epoch. To sum up, it was suggested that Korea has to change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order to solve its problem. To dispose, firstly, it has to divide into two big group such as general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particular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econdly, people have to train the specific education for brilliant children. Thirdly, the government has to support people who can be a professional Koran traditional music educator as much as they could and finally, the government has to support people who work in a part of art work. I hope that people can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have some effects for developing of the national traditional music of Korean in the future from this article.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 연구현황 분석-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이형환,박소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status on the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nd The Master’s Thes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ritten by years, academic abilities, and contents from 1970 through the first half-year of 2011.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Until 2011, 196 papers from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65 papers from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233 papers from The Master’s thes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ere published. Since the beginning of 2000s, this research quantitatively focused on the Korean music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By contents, these studies mainly featured concerns about teaching methods, status of activation, and analysis of Korean music textbooks. In the 1970s to 1980s especially, the initial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ere usually conducted rega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attitudes and educational interest. From the 1990s to 2000s, the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rapidly grew quantitatively as did the variety of the research contents. In other words, the investigation of these studies expanded the approaches connected with various fields and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develop and improve Korean music education reflecting social interests. Also, new studies emerged comparing music curricula and music textbooks, or in order words, the analyses of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education. It is inspiritingly that since 2010 the studies have incorporated more social issues, more Korean musical approaches for multicultural family as well as after school class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appreciating class materials. Furthermore, this paper expects that the following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need to more effectively develop the approaches to appreciating Korean music. 1970년대부터 2011년 전반기까지 이루어진 국악교육 관련 연구를 한국국악교육학회,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연대별, 교육편제별, 주제별 연구 현황점검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국악교육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국악교육학회는 2011년 현재까지 196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는 65편, 석사학위 논문 233편의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연대별로는 2000년대에 연구 성과의 양적인 측면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교육편제별로는 초등학교 관련 연구가 가장 많고 주제별로는 지도방안 연구, 교육실태 및 활성화, 음악교과서 분석 연구가 활발히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1970~80년대는 국악교육 연구 초창기로 국악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교육적 관심이 변화하려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 이 시기 연구경향의 특징이라 하겠다. 1990년대와 2000년대는 국악교육 연구가 급격한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 경향이 출현하는 시기이다. 즉 다양한 분야와 형태를 접목시킨 국악교육 지도방안 연구와 경향을 보이고 있고, 국악교육 실태 및 활성화,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려는 연구 흐름들이 출현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비교와 음악교과서 비교 분석, 국악교육 내용 분석 등 다양한 연구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하겠다. 2010년 이후 연구는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국악교육, 특기적성 교육, 감상워크북 개발과 같은 새로운 연구들도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다만 국악교육 연구 분야 중 효과적인 국악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국악감상 영역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점이 향후 국악교육 연구의 새로운 연구 영역 분야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전통음악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청소년의 집중력․창의성 증진을 중심으로-

        손윤영,우덕상,김민,남현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8 국악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5~6학년 생활화 영역에 ‘음악과 건강’ 내용요소가 도입된 것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정규 음악 수업에서 자연스럽게 집단 국악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전통음악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적용하여 국악수업을 통한 국악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 중 생활화 영역 중 ‘음악과 건강’ 내용요소와 국악교육 영역의 2015 개정 초등 5~6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내용을 분석 후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Ⅱ’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예시도 분석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초등 5~6학년 대상으로 전통음악 요소와 국악치료 기법을 융합하여 집중력․창의성 증진을 치료목적으로 집단치료활동중심의 학습목표와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적용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국악치료가 초등 5~6학년 음악수업 시간에 자연스럽게 도입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국악치료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집중력 증진 영역의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은 선호하는 국악 듣기, 민요 메기고 받으며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에 최선을 다해 노래하기, 자기순서가 될 때까지 기다리다 교사의 지시에 따라 자기 순번에 노래하기, 장단과 간단한 가락 따라 하기, 합주, 합창, 율동에 자기 순서를 기다렸다가 국악 활동에 참여하기, 장단에 맞추어 신체표현하기, 가락선을 그리고 표현하기, 1인 1국악기 배우기 등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둘째, 창의성 증진 영역의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은 가락 바꾸기, 오음음계 활동, 인간조각 기법, 노랫말 바꾸기, 말붙임새 붙이기, 즉흥연주, 국악적 대화, 가락 창작, 즉흥 노래 부르기 등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을 수업에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였으나 집중력․창의성 증진에는 놀라울 만한 긍정적 치유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주로 음악교과 시간 외나 창의적 체험시간을 활용해 행해졌던 국악치료교육을 정규 음악시간을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발판을 구축했으며, 다문화가정, 탈북가정, 특수아, 중증 장애 등의 학생으로 행해졌던 소수의 치료대상을 일반학생으로 전체 확산 시켜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초기 단계에서 발견 될 수 있는 집중력 저하로 인한 수업 부적응이나 부족한 창의성 등을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 담임교사나 음악 전담교사가 음악시간을 통해 5~6학년 학생들의 유전적 DNA와 사회적 DNA를 함께 공유하는 전통음악 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를 해야 하는 당위성과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악교육과 국악치료를 융합한 국악치료교육이 이제 학교 교육현장에서 음악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생활화해야 할 새로운 과제로 제시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커다란 의미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겠다.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and to closely observe the introduction of the ‘music and health’ element in the domain of ‘musical application in daily life’ to music education for 5th and 6th grades. Based on this, it also aimed to develop and apply ‘a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through Korean music therapy,’ with the use of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that could naturally combine Korean music therapy in regular music classes in conformity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thu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usic therapy through Korean music classes. To this, the study examined ‘music and health’ in the domain of ‘musical application in daily life’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and the revised content of music curriculum for 5th and 6th grades in Korean music education and analyze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examples for each achievement criterion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posal development research II.' Combining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and Korean music therapy skills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as a therapeutic purpose targeting 5th and 6th grades, the study verified its positive effect through developing and applying a learning objective and a teaching-learning plan that centered on group therapy activities. Afterwards, It proposed a practical teaching-learning plan that enabled Korean music therapy to be seamlessly introduced to the 5th and 6th music classes and sought new direction of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in Korean music classes as follows. For the area of ​​concentration improvement, the plan include the following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to one’s favorite Korean music, singing while responding to one’s given role in a call and respond form of folk songs, waiting for one’s turn and then following teacher's instructions to sing in order, playing along rhythmic patterns and simple melodies, participating at Korean music activities such as ensemble, choir, dance in one’s turn, making physical expression to rhythmic patterns, expressing melodic contour, and learning an musical instrument. For the area of creativity enhancement, the plan included the following activities such as music composition, activities using a pentatonic scale, sculpture techniques for human figures, modifying lyrics, exploring rhythmic variations of lyrics, improvised performance, musical dialogue, melodic composition, and improvised singing. As a result of verifying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through Korean music therapy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music education, but there was a remarkably positive healing effect on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improvement. Thi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platform to perform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in regular music classes, which used to take place out of music classes or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time in previous studies. Also, the target recipients of therapy were restricted to a small number of groups, such a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refugee children,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severely disabled students, but can be extended to all general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e justification and necessity of Korean music therapy in which homeroom teachers and music teachers should share the genetic DNA and social DNA of 5th and 6th grade students during music classes, while not neglecting class maladjustment or lack of creativity due to the deterioration of concentration that can be found at an early stage. Therefore,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that Korean music therapy, convergence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can be presented as a new task to be made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music curriculum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 KCI등재후보

        중등학교 국악교육 현황 및 전망

        정길선(Jung Gil-Sun) 한국국악교육학회 2009 국악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현장 음악교사들을 통하여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양성제도 및 현재 학교 음악교육에서 국악교육의 현 실태와 문제점에 관해 음악교사들의 설문을 통한 인식을 조사? 분석 하기 위하여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503개교에 재직 중인 음악교사 9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482부의 설문 응답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음악교사의 전문성에서 음악교사로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연주능력(기악, 성악, 국악)으로 음악교사는 실질적인 실기능력 배양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② 중등 음악교사 양성제도에 대하여는 각 대학에서 음악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이 연주자와 교육자를 엄격히 구별하는 제도가 정착되기를 원했으며, 국악보다는 서양음악에 치중한 교과목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국악교육과 신설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③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사선발 및 임용고사는 지식위주의 학습형태가 만연하여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학원화의 경향으로 우수한 교원양성을 저해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임용고사 시 필요한 실기시험은 대학에서의 실기 교육과정과 실제 선발을 위한 시험내용의 연계성이 부족함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으나 꼭 필요한 실기 시험 과목은 피아노와 시창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설문에 응답한 교사의 대부분이 서양음악을 전공한 교사의 영향이 아닌가 싶었다. ④ 연수제도에 대하여는 대부분의 음악 교사들이 자율적인 연수로 연수기회를 대폭 확대해 주기를 바라고 있으며, 가장 받고 싶은 연수로는 국악기 연수를 희망하고 있어 국악연수가 학교현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아주 높게 인식하고 있음은 물론 국악연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⑤ 음악 수업 시 국악교육의 실태는 음악교사들이 국악내용 지도를 할 때의 자신감은 보통이나 직접적인 국악연수를 통한 국악교육의 전문성 및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으면 하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이론 보다는 실기위주의 능력이 배양될 수 있는 양성정책을 추진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국악교육의 장애요인으로는 교사의 지도 능력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의 실기능력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음을 드러냈다. 국악강사풀제 강사 활용은 일부 학교에서는 적극 활용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아직도 활용을 하지 않은 학교가 더 많아 적극적인 홍보의 필요성과 좋은 강사들의 네트워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중등 국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음악교사 양성 교육기관에서는 중등학교 음악교사를 위한 현장교육과 대학과의 연계성이 필요하며, 음악교육 및 국악교육 전담 교수의 확보, 학교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국악교육과 관련된 교수법적 전문성이 필요하다. 둘째, 음악교사 임용고사는 교직 전문성의 조건이 갖춘 우수교사를 선발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 보완되어야 하며, 국악실기의 비중을 확대하여 국악을 전공한 음악교사 비율이 점차적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연수제도에 대하여는 현직 음악교사들에게 지속적인 국악 연수 재교육의 기회를 제공 해 주거나 정기적으로 교육과정에 맞게 국악실기 및 지도능력을 키워 나갈 수 있는 국악연수가 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넷째, 서양음악 전공 음악교사가 95% 정도인 학교 현장의 국악교육 정상화는 극히 어려우리라 보고 현재 상태에서는 문광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강사풀제를 적극 활용하거나 음악 교사 자신의 개인연수를 통한 국악교육의 내실화 및 국악교육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새로운 문화예술현장이 창출되는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음악교사들이 보다 전문적으로 국악교육을 하므로해서 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세계음악의 이해를 위한 다문화 음악교육의 접근도 가능하리라 본다. 따라서 현장 음악교사 들에게 다양화되는 음악문화에 적응하면서 국악교육 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마련하여 행?제정적인 지원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 proposal that is helpful to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bout the specialty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fter research. Question papers were given to 955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working at 503 schools in Gyunggi province and 482 papers were recalled and the result is given like this ① In the specialty of a music teacher, it wa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of music teachers was performing ability (instrumental music, vocal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music teachers had to try to improve their actual skills. ② In the training system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they wanted to be got fixed the system that was distinguished the differences between performers and instructors through the curriculum operated by each college. The subject given weight to Western classical music was recognized more importantly than Korean one. On the other hand, positive responses about the necessity of the organiz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course were shown to them. ③ It was understood that the selecting system and the examination for teacher’s appointment operated at this moment prevented good teachers from training. That’s why knowledge-centered learning form was spread widely. This kind of learning form was shown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examination for teacher’s appointment because of the tendency of academicism (Hakwonhwa).Inpracticalskilltestforteacher’s appointmen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problem was lacking of connection musical skill curriculum in college with the content of the test for selecting teachers actually. However, playing the piano and singing as reading the music were chosen as a necessary subject for practical skill by most music teachers. Most teachers who responded the question majored in Western music. This result was affected by those teachers. ④ In the training system, most music teachers wanted to increase the opportunity of self-regulating training. Playing the Korean musical instrument was chosen as the supremely-desired training course. Therefore, it was shown that music teachers not on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train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but also recognized the fact that they had an effect on the class by being trained Korean classical music. ⑤ In this survey, music teachers had an ordinary confidence when they taught the contents of Korean classical music to the students. Many teachers wanted to get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 specialty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nd their confidence through the direct training of Korean classical music. The response above was shown that practical skill-centered training policy rather than the theory must be plann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lan of koren classical music education activity is given below. Firstly, in teachers’ training institute, the connection between the education on the spot for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 college is demanded. In addition, guarantee the professor who is wholly responsible for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nd the specialty of teaching method related to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class are needed. Secondly, the musical examination for teacher’s appointment must be improved and be supplemented toward the choosing good teachers who are well qualified as a specialist in teaching. Besides, Korean classical music-majored music teachers gradually have to be increased by placing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practical skills of Korean classical music. Thirdly, in the training system, the opportunity of continued re-education about Korean classical music has to be offered to the music teachers on the spot. Or well-organized and continued investment for Korean classical music training that is suited to improve practical skills and teaching abilities is regularly needed. Fourthly, under western music-majo

      • KCI등재

        국립국악원 개발 ‘교실국악기’ 활용방안 -모티브 악기인 아박, 향발, 운라를 중심으로-

        이선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2

        Korean musical instruments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re valuable not only for learning tones, material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but also for training auditory sensation. However, the instruments used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re limited to some percussion instruments.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r educational purposes are needed for the instrumental activities running in limited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necessity of developing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the request from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Musical Instrument Research Institute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decided on a wooden, non-pitched percussion ‘abak,’ a metal, non-pitched percussion ‘hyangbal,’ and a metal, pitched percussion ‘ulla’ as a motif of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developed the three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r educational purposes. This study aimed to present utilization plans for educational instruments focusing on the thre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develop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classroom-hyangbal,’ ‘classroom-abak,’ and ‘classroom -ulla.’ It also aimed to present various educational approaches applicable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not limited to instrument playing, so that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could be well utilized. To this end, it presented the utilization plans consisting of exploration, ensembles, and Korean musical dramas of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suggested the following approaches. First of all, the exploration of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comprised video-viewing and art activities.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ensemble utilized numbered and pictorial notation to facilitate children’s performance. Lastly, the drama of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helped increase children’s musical interest by enriching their musical expressions, such as expressing their movements and singing songs. It is believed that such utilizations are meaningful in presenting activity methods based on the primary purpose of discovering the availability and meanings of ‘the classroom-Korean musical instru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helps suggest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ew Korean musical instruments for educational purposes, the development of specific programs availabl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utilization plans. 유아국악교육에서 국악기 활동은 우리악기의 음색, 재료와 특징 등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감각 훈련에도 매우 소중한 활동이다. 그러나 유아국악교육에 사용되는 악기는 몇몇 타악기에 그치고 있다.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국악기 활동에 유용한 교육용 국악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교육용 국악기 개발의 필요성과 교육계의 요청을 바탕으로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에서는 국악기 중 목재 무율타악기 ‘아박’, 금속 무율타악기 ‘향발’, 금속 유율타악기 ‘운라’를 ‘교실국악기’ 모티브로 결정하고 교육용 국악기 3종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국립국악원에서 개발한 ‘교실국악기 아박’, ‘교실국악기 향발’, ‘교실국악기 운라’ 등 교육용 국악기 3종을 중심으로 교육용 국악기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교실국악기’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악기연주에만 한정하지 않고 유아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교육적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활용방안은 ‘교실국악기’ 탐색, ‘교실국악기’ 합주, ‘교실국악기’ 국악극으로 구성하고 그에 따른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교실국악기’ 탐색은 동영상시청과 미술활동으로 구성하였고, ‘교실국악기’ 합주에서는 숫자보와 그림악보를 활용하여 유아들의 연주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실국악기’ 국악극을 통해 악기연주 뿐만 아니라 동작을 표현하고, 노래를 부르는 등 음악적 표현을 풍부하게 하여 음악적 흥미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활용방안은 ‘교실국악기’의 활용 가능성과 그 의미 발견이라는 일차적 목적에 따라 활동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의미를 두고자 하였다. 이상의 내용은 새로운 교육용 국악기 개발 및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방안 모색 등을 위한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국악 창작교육의 과제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3 국악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reative domain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examine the patterns of change, and provide perspectives on the challenges to be addressed in implementing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reative domain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is study summarizes the challenges for creative education in Korean music as follows. First, with the addition of the creative domain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which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creative education, the task was set as ‘emphasiz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oals for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In this context, two objectives were proposed: ‘cultivating musical thinking through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and ‘enhancing the capacity as composers capable of expressing the improvisational nature of Korean music.’ Second, as Korean music elements were not explicitly sta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ead, comprehensive criteria related to musical elements were provided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e task was set as ‘materializing Korean music creative activities related to musical elements.’ Third, in light of the explicit inclusion of achievement standards pertaining to notation and the emphasis on notation education in the creative area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systematizing notation education for Korean music creation’ was set as a task.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presenting the challenges and perspectives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In order to ensure that the value of Korean music as a source of creative inspiration continues to be utilized in the changing currents of time and that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fulfills its role in reaching the goals of music education, related discussions should be more advanced. 본 연구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을 분석하여 변화 양상을 검토하고, 국악 창작교육을 구현함에 있어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와 이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 분석에 근거하여 설정한 국악 창작교육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창작 영역을 신설하여 창작교육의 의미를 강조함에 따라 ‘국악 창작교육의 목표 설정을 통한 교육적 의미 강조’를 과제로 설정하고, 이에 대해 ‘국악 창작교육을 통한 음악적 사고력 함양’, ‘국악의 즉흥성을 표출할 수 있는 창작자로서의 역량 제고’의 두 가지 목표를 제안하였다. 둘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 관련 요소를 성취기준에 명시하지 않고 음악 요소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음악 요소와 관련된 국악 창작 활동의 구체화’를 과제로 제시하였다. 셋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에서 기보법에 관한 성취기준을 명시하고 기보법 교육을 강조함에 따라 ‘국악 창작을 위한 기보 교육의 체계화’를 과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앞서 국악 창작교육의 과제와 그에 대한 관점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도 국악이 창작의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지속되고 음악교육의 목표에 도달하는 데 국악 창작교육이 그 역할을 다 해나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악교육연구’ 게재 논문의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연구 동향 파악

        김경태,이수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국악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해 국악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9월 이후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악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00편의 초록을 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주제어의 빈도수, 연결망 및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총 2872개의 주제어가 추출되 었다. 이에 대한 결과는 첫째, 주제어 빈도는 ‘음악’이 가장 높고, ‘국악’, ‘음악교과서’, ‘교육’, ‘내용’, ‘교육과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제어 간 연결빈도는 ‘음악과’와 ‘교육과정’ 이 가장 높고, ‘개정’과 ‘음악과’, ‘지도’와 ‘내용’, ‘교수학습’과 ‘방법’, ‘중학교’와 ‘음악교과 서’, ‘국악’과 ‘교육’, ‘음악교과’와 ‘수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제어의 연결중심성은 ‘국 악’, ‘음악교과서’, ‘내용’, ‘음악’순으로 나타났고, 매개중심성은 ‘음악’, ‘국악’, ‘음악교과서’, ‘교육’, ‘내용’, ‘교육과정’, ‘활동’, ‘활용’, ‘교수학습’, ‘음악과’, ‘문화’, ‘지도’, ‘제시’, ‘이해’, ‘개정’, ‘학생’, ‘방법’, ‘집단’, ‘필요’, ‘분석’, ‘영역’, ‘요소’, ‘연구’, ‘민요’, ‘방안’, ‘연계’, ‘표 현’, ‘특징’, ‘제재곡’, ‘감상’, ‘적용’이 동일하게 높았으며, 위세중심성은 ‘국악’, ‘음악교과서’, ‘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재 국악교육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음악교과서의 지도 내용, 교수학습방법이 주요한 주제로 연구되고 있으며 향후 교육현장에서의 국악교육의 실천적 수행과 다양한 장르의 국악 제재곡, 역량 강화를 위한 국악의 통합적 활용, 국악창작활동 영역에서의 연구 수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악교육연구’의 주제어 분석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동향의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연 구가 필요한 분야에 대해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국악교육연구 주제어의 범위를 세부화하여 전문화되고 심도 있는 연구주제 도출 및 국악교육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Korean music educa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 For this, 100 abstracts published between September 2015 and December 2020 were analyzed for keyword frequency, co-occurrence frequency, and centralit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2872 keywords were extra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at ‘music,’ ‘Korean music,’ ‘music textbook,’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al curriculum’ were the main keywords. Secondly, the analysis of co-occurrence frequency among keywords showed that ‘the subject of music’ & ‘curriculum,’ ‘revision’ & ‘the subject of music,’ ‘instruction’ &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 ‘method,’ ‘middle school’ & ‘music textbook,’ ‘Korean music’ & ‘education,’ and ‘the subject of music’ & ‘include’ were highly relevant keywords. Thirdly, the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music textbooks,’ ‘contents,’ and ‘curriculum’ were a core subject domain while ‘application,’ ‘appreciation,’ ‘music pieces for class use,’ ‘characteristics,’ ‘expression,’ and ‘linkage’ played a role in linking keywords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 as a domain with expandability to be studied in the future. In particular, ‘appreciation,’ ‘competency,’ and ‘integration’ were keywords with the academic value that could increase the importance of resear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research on the keyword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fields for further research.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Korean music education that can support learners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and research that can promote the qualitative growth and utilization of Korean music linking with related studies will be conducted.

      • KCI등재후보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육과정(커리큘럼)의 변천

        이소영(Lee, So-You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8 No.38

        근대적인 전문 국악교육은 20세기에 들어서 그 틀이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20세기 전반기에 비제도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국악교육은 후반기에 들어 학교교육 내의 제도권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서울대학교 국악과의 창설은 이러한 전문 국악교육의 분수령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울대학교 국악과 창설이 후반기 제도권 교육의 시작점이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서울대학교 국악과의 교육과정이 다른 대학 국악과의 교육과정에 모범적으로 확립되면서 전문 국악교육이 더욱 공고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서울대 국악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는 것은 대학에서의 전문 국악교육의 변천을 살피는 데에 있어 기본이 되는 작업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68년도부터 2006년도까지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된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국악과의 전공 관련 교과를 실기교과목과 이론교과목으로 구분하고, 이들 교육과정의 변화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하였다. 첫째, 국악과의 졸업 최저 이수학점은 점차 축소되는 변화를 보였는데 이는 음악인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변화하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 선택의 기회를 마련해 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실기교과의 경우 양악 관련의 교과가 점차 축소되고 국악 관련 교과는 보다 구체화되고 세분하게 운영하도록 체계화 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수업내용 면에서 볼 때, 정악, 산조, 창작악의 순으로 학습하던 전통은 현재까지도 이어졌고, 과목별로 사회적 현상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증설하거나, 편제에 변화를 주는 방향으로 능동적으로 운용하여 시대에 맞는 음악인을 양성하고자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교과과정의 변화가 훌륭한 전문국악인의 양성하고자 하는 꾸준한 노력의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과과정이 우리나라 국악교육 전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해서 서울대학교 국악과는 차세대 국악인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과 운영방법에 대해서 끊임없이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Gugak was educated in modern scholar system from the late 20th century and the foundation of the Department of Korean Music at Seoul National University(hereinafter, referred to as “SNU”) can be judged to mark a watershed in such a professional Gugak education. It is not only because the foundation of Dept. of Korean Music at SNU was a starting point of the institutional educ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but also because Gugak education became more consolidated with the curriculum for the Dept. of Korean Music at SNU becoming established as an example to the curriculum of the Dept. of Korean Music at other universities. Therefore it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development of Gugak education system to look into history of curriculum for the Dept. of Korean Music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investigated curriculum list published by the SNU Press from 1968 until 2006 and confirmed the matter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hange aiming at gradually reducing the lowest Gugak credits for graduation,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the school authorities arrangement of an opportunity for Gugak majors to select diverse educational options with the needs of the times for musicians changing. Second, in the case of performance classes, this paper could confirm the aspects, in which the number of classes related to Western music was gradually reduced while the classes for Gugak were systematized to make it possible to be managed more concretely and minutely. Third, basically performance classes have been assigned to students in the order of Jeongak-Sanjo-Creative Gugak, which is still valid for current Gugak education system and program of Gugak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found that some of classes were added or its class hours were modified responding to changing times. This paper showed that history of curriculum for the Dept. of Korean Music at SNU was the process of steady efforts to train a splendid professional Gugak musician. Furthermore, it implies that Dept. of Korean Music at SNU should endlessly inquire into the effective way of providing next generation Gugak musicians with useful education. It shall be also reminded that curriculum for Dept. of Korean Music at SNU makes influence on other Gugak education system directly or indire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