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과 한국의 대학원「교육행정전공」프로그램 비교 연구

        김병찬(Kim Byeong-Chan),박소영(Park So-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한국에서 교육행정 교육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대표적인 교육행정 교육 과정인 대학원 교육행정전공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의 교육행정 교육의 발전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미국의 대학원 교육행정전공 교육과정과의 비교연구방법을 택하여 한국의 대학원 교육행정전공 교육과정의 특징을 밝혀 보았다. 미국과 한국의 교육행정전공 학과 혹은 프로그램 10개를 선정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한국의 대학원 교육행전공은 미국에 비해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세부 전공이 미분화되어 있으며, 학위유형이 단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내용이 현장과 괴리되어 있고 획일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and characterize the curriculum of thedepartment or progra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t the graduate school in Korea. The top ranked graduate schoo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Korea and the U.S. each for comparis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Korean system set the broad and superficial goals.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ogram at the Korean graduate school system was not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students' needs. It was not found that the types of the degree were specialized at the Korean system.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was mainly focused on the theoretical aspects and hardly linked with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actice. In additio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program in Korea had very limited flexibility in offering and managing classes.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

        신현석(Shin Hyun-Seok),주영효(Joo Young Hyeo),정수현(Jeong Soo-h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고찰 후 출판 연도,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도 명시 유무, 연구 영역, 연구 유형, 자료 수집 방법, 연구 참여자 수 및 표집 방법, 신뢰도 검증 방법, 자료수집 기간 등 아홉 가지 분석 준거를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교육행정학 분야 연구가 게재되고 있는 학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이 제공하고 있는 영향력 지수 1.00 이상을 기준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 대상 학회지를 한국교육행정학회의 『교육행정학연구』, 한국교육 학회의 『교육학연구』,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의 『한국교원교육 연구』 등 네 종류로 선정하였다. 이들 학회지에서 1980년 이후 발행된 질적 연구는 318편이 며, 이 가운데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식별한 분석 대상 논문은 190편이 다. 최종 분석 대상으로 분류된 논문은 분석 준거를 적용하여 1차/2차 분석 후 분석 결과에 대한 연구진 간 상호 검토를 거쳐 분석 결과를 최종적으로 양적 데이터베이스화(database)한 후 양적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대별 및 연구 유형별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주 요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① 사례 연구, 기타 질적 연구, 문화기술지 연구 순으로 연구 접근 빈도가 높고, ② 자료수집 방법에서는 면담, 참여관찰+면담+문서자료 및 면담+문서자료, 문서 자료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③ 연구 참여자 표집 방법으로는 특수 표집 방법, 편의 표 집 방법, 전형적 표집 방법 순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료수집 기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질적 연구가 분석 대상 논문의 34.2%를 차지하였고, 연구 참여자 표집 방법과 신뢰도 검증 방법에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비율은 각각 분석 대상 논 문의 15.3%, 31.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시사점 및 발전 과제를 도출 및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both current qualitative research scholars and prospective resear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followed four steps. First, the researchers scrutinized previous qualitative studies and Korean research articles which analyzed qualitative research trends. As a result, this study constructed nine analysis criteria. Second, we selected four academic journals such a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 and『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After reviewing 318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se four journals, the researchers lastly chose a total of 190 qualitative studies. Third, we conducted a primary and secondary analysis for the selected papers and the researchers performed peer review about the result. Fourth, the present study analyzed quantitative data using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1) that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r collecting data was interview (31.1%), 17.9% were participant observation+interview+documentation and interview+documentation, 2) that a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less than three months for 28.4% and 34.2% did not present specific information for the period, 3) that 31.5% of qualitative studies did not present a method to examine qualitative data, and that 4) 15.3% did not show concrete information to choose research participants.

      • KCI등재

        학부 과정에서의 교육행정학 교육에 대한 분석 및 발전 과제

        반상진(Ban Sang-Ji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이 연구는 교육행정학이 지향하는 가치, 인재상, 그리고 학문적 지형을 논의하였고, 현재 교육학과 학부수준에서 교육행정학 강의 현황 분석과 교육과정 등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향후 교육행정학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학과에 개설된 교 과 영역 중 교육행정학은 교육심리 다음으로 가장 비중이 높았고, 다음으로 교육행정 영역이 었다. 전체 49개 교육학과 중 24개교(전체의 48.9%)가 교육행정을 전공필수로 하고 있고, 교 육행정학 관련 교과목 중 교육행정, 학교·학급경영, 교육정책론 순으로 많이 개설하고 있었지 만, 사립대는 기업교육론과 교육경제학을 상대적으로 많이 개설한 반면에 국·공립대학은 장학 론을 상대적으로 많이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수준에서 교육행정학 교육의 중 요성은 인정받고 있지만, 이론 중심적이고, 내용이 경직적이며, 기능적·보수적인 경향이 강하 고, 공감대 형성 미흡 등의 교육행정학 교육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는 교육행정학 교 육을 내실화하기 위한 과제로서 ‘교육행정학에서 지향하는 독자적 인재상 정립과 핵심 역량 개발’, ‘교육행정학 교육목적의 명료화’, ‘미래지향의 비판적 교육내용으로 학문적 경계 확장’, ‘집단문제해결 중심의 교육방법 개발’, ‘교육행정학 교육대상 확대’ 등의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향후 교육행정학 교육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미래지향적인 교육과 정 개발과 더불어 다양한 교재 개발을 위한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urse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curriculum of it, and to discuss on revitalize the education of it in the level of undergraduate programs. This study found that the course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in the level of undergraduate were opened 11.5% in all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he 48.9%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have adopted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requirement. Meanwhile, the goals and contends in the course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cu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alities of it, but the education of it could be criticized as strict and functional-conservative contends. Finally, several implications for revitalization of educ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re discussed concerning the ident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extension of learning contends and textbook development, and the emphasis of a paradigm shift in teaching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undergraduate level.

      • KCI등재후보

        교육행정직 인적자원관리 정책방향과 과제

        임연기 한국교육행정학회 2003 敎育行政學硏究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행정직의 충원과 교육훈련 시스템을 중심으로 인적자원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향과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교육행정직의 바람직한 인적자원관리 정책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근거와 계기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행정직의 5급, 7급, 9급 단계에서의 공개채용, 개방형 임용의 현황과 문제점, 교육훈련기관교육을 중심으로 직급별 기본교육과 전문교육 실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현행 교육행정직 충원 및 능력 개발 시스템은 특히, 교육행정직의 특수성과 관련하여 첫 째, 교육행정직의 충원에 있어서 양성과정이 소홀하고, 둘째, 교원직과 교육행정직을 이원적 구조로 고착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향후 교육활동을 전문적으로 지원·조장할 수 있는 교육행정직의 확보와 능력개발을 담보하기 위해 교육행정직 인적자원관리 정책이 ‘적합성의 증진’ 과 ‘통합성의 추구’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정책과제로서 교사자격증소지자 채용목표할당제, 학부생과 대학원생 인턴제, 교육행정사자격제도, 교육훈련마일리지제 등의 도입, 직장에서의 행정 업무단위 교육훈련 경비 확보 및 지원, 교원직과 일반직 공통교육훈련프로그램개발·운영 등을 제안하였다.<br/> <br/> The curr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policie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personnel were reviewed to address some important issues that need to be changed and to provide a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i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olicies. Included in this review were the three level - 5th, 7th, 9th - competitive test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positions and the current open system for employmen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gener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each level implemented in educational training centers.<br/>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problems of the current recruitment, gener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programs. First, the current training system does not provide trainees with various programs for their vocational capacity development. Second and more importantly, the current recruitment and training systems play key roles in maintaining and even solidifying the separation of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taffs.<b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future human resources management policy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staff should consider 'the increase of relevance' and 'the integration of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taffing structures' because they can assure both the employment of highly qualified candidates and their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Several specific tasks for the policy recommend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a recruitment quota system for the persons who have teaching certificate, an internship program for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a certificate system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personnel, a 'mileage system' for educational training, allocation of total amount for various training programs on the workplace, and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in which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taffs can be trained together.<br/> <br/>

      • KCI등재

        미국과의 비교 연구를 통한 우리나라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특성 고찰

        김병찬(Byeong-Chan 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04 敎育行政學硏究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직과목 「교육행정」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미국과 한국의 교직과목 및 「교육행정」과목들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미국의 교직과목에서는 다양한 지식 및 관점, 접근 양태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의 교직과목은, 국가주도형 교직과목 운영, 과목및 내용에 있어서의 획일성, 교육학 이론 중심의 학문지향적 성향 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br/> 「교육행정」관련 교직과목 운영에 있어서는 미국이 다양한 교육행정 하위 영역 과목들을 운영하고 있음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단일 과목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났으며, 또한 미국에서는 「교육행정」 과목의 강의 대상이 분명하게 구분됨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강의 대상이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는다는점, 그리고 미국에서는 「교육행정」강의 내용이 학교행정 중심이지만 우리나라는 국가의 전체 교육행정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인 차이가 나타났다.<br/> 미국과 한국의 교직과목 및 「교육행정」과목의 비교 연구를 통해 드러난 우리나라 「교육행정」교직과목의 특징으로는, 국가수준 교육행정 중심, 이론중심,백화점식 내용 구성, 강의 대상에 대한 초점이 분명하지 않은 강의 내용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eaching profession and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that purpose, I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eaching profession and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American and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b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 found that the subjects of teaching profession in America were 1) composed of a variety of knowledge, 2) affe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3) influenced by various approaches, and that the subjects of teaching profession in Korea were 1) not complex, 2) scientific-oriented.<br/> Secondly, I found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America was 1) practice-oriented, 2) divided into sub sections, 3) centered on the school level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was 1) theory-oriented, 2) comprehensive, 3) centered on the state level educational administration.<br/> Finally, I suggested that we need to restructure the contents of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divide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to sections.

      • KCI등재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과 참여 실태 분석: 교육행정·교원교육·교육재경·교육정치학회를 중심으로

        박상완(Park, Sang-wan),김민조(Kim, Min Jo),박소영(Park, So-Young),장우천(Jang, Woo-Ch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 및 학회 활동 참여에 대한 학회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학회의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행정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한국교육정치학회의 학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분석은 빈도분석과 평균값 등 기술통계를 주로 활용하되, 학회원의 배경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집단 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회원의 활동 참여는 회비 납부, 학술대회 단순참여, 논문투고, 학술대회 주제발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회의 역할에 대해 학회원들은 교육실제 개선보다 연구자의 학술활동 촉진 및 지원, 해당 분야 학문 발전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학회참여 실태 및 인식에서 학회원의 배경변인(박사학위취득 연도, 직업, 재학 시 학회 참여 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공동체로서 학회의 역할 구현, 학회 역할 인식 및 참여에 대한 집단별 차이, 학회 실천지향성 제고의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academic societies as academic communities and the perceptions of about participation in academic activities, and explor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academic societ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embers of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ociet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and the Korean Society of the Politics of Education.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average values, which focused on summarizing and describing the meaning and role of the society, were mainly used, but difference analysis between groups was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embers’ participation activities were more frequent in the order of payment of membership fees, simple participation in academic conferences, thesis contribution, and presentation for academic conference. Second, regarding the role of the society, the members considered supporting researchers" academic activities and academic development in the field more important than improving the educational reality.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and perceptions on the socie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 KCI등재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운영 현황 분석 연구

        김병찬(Byeong-chanK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 해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큰 20개 교육대학원의 선정하여 해당 대학들의 교육행정전공 운영 현황을 체제분석모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입 측면에서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은 학생 입학 자원이 다양하지 못하 며, 교수 자원이 영세하고, 입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둘째, 과정 측 면에서는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들이 교육목표가 불명확하고, 교육과정이 이론중 심적이며, 석사학위 과정에 충실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출 측면에서는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들이 지식과 안목을 길러주는 데에는 기여하고 있으나, 실무능력 향 상에는 기여하지 못하며, 배출되는 학위논문 수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류 측면에서는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에서 배출되는 학위논문의 질 평가 기제가 없으며, 환류기제가 거의 작동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환경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환경이 더 많으며, 대체로 거시적인 환경의 영향을 받고, 특히 제도적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의 발전을 위해서는 학교 및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행정 수요 발굴, 교육행정 교육체제 간의 연계, 국가 차원의 교원현직교육 방 향 정립, 실행연구중심의 교육행정전공 운영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n the condition of operation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that purpose, I analysed system on 20 institutions of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In the regard of input, there are not diverse students, there is lacking in the number of teachers, and the students are decreased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 In the regard of process, educational objectives are uncertain, curruculm is theoretical directivity, the master's course is weak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3) In the regard of output, the knowledge and insight of students are developed, but the executive ability are not developed, the number of dissertation is decreased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4) In the regard of feedback, there are not the quality control system, the feedback system is not operated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5) In the regard of environment, negative environments are more than positive environments, there are influenced by macro environments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on majo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 suggest that we need to find the site demand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 need to make the connection system among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we need national direction establishment fo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finally we have to focus on the action research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예비교사들은 교직과목「교육행정」수업을 통해 무엇을 배우는가?

        김병찬(Kim Byeong-Ch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5 敎育行政學硏究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교육행정 교육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교직과목「교육행정」수업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예비교사들은 어떤 맥락에서「교육행정」수업을 듣고 있는가?, 둘째, 예비교사들은「교육행정」과목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 셋째,「교육행정」수업을 통해 예비교사들에게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등 세 가지였다.<br/> 교육행정 수업에 대한 본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육행정에 대한 무관심과 무지, 진로에 대한 고민, 자신의 경험과의 연계 등의 맥락에서 교육행정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은 또한 교육행정에 대해 교육현실을 다루는 과목, 소화할 분량이 너무 많은 과목, 거리감이 느껴지는 과목 등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행정 수업 과정에서의 변화 측면에서는, 예비교사들은 교육행정 수업을 통해 교육행정에 눈을 떠가며, 자신의 교육관을 형성하고,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탐색해 가는 등의 모습을 특징적으로 보여 주었다.<br/> 본 연구를 통해, 교직과목 교육행정 수업은 예비교사들에게 교육에 대한 거시적 관점을 형성하게 하고, 예비교사들의 자아 성찰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education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that purpose, 20 university students were interviewed deeply, who are participating in a less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br/> I had thre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1) In what context do pre-service teachers learn a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 What are the pre-service teachers' images on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 What are the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cour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b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ings. Pre-service teachers have few known about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y are not interested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y have studied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anxiety on their future. They also have connected their experiences with the less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br/>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images on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follows. 1) They think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the subject of treating educational reality”. 2) They think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composed of “much more contents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3) They think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far from them”.<br/> There are three changes in the cour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1) Pre-service teachers have realized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cour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 They have built their perspective on education in the cour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 They have also searched their identity as teacher.<br/> Concludingly, from this study, I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formed their macro-perspective on education and have expored their self-identity as teacher in the cour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의 정체성: 이론 탐색의 의의와 지향성

        신현석(Shin Hyun-Se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한국 교육행정학의 이론 탐색이 갖 는 의의와 지향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 교육행정학의 실제, 연 구, 이론의 문제와 과제를 진단하고, 그것들이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의 구성 개념들에 어떻게 투영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육행정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현장성, 자족 성, 정합성의 필요조건과 토착화, 차별화의 충분조건을 모두 갖춘 통합적인 개념으로 정의된 다. 한국의 교육행정학이 이러한 조건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우리의 토양에서 발 현된 현상을 개념화하여 연구를 통해 이론화하려는 이론적 탐색 노력은 한국적 교육행정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출발 지점으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 학의 이론 탐색은 ① 중범위 이론의 지향, ② 학문 탐구의 현장성 강화와 실천, ③ 학문 공동 체의 연구풍토 개선과 건전한 학풍 조성을 지향해야함을 밝혔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significance and orientation of theoretical efforts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o attain the purpose this study diagnoses problems and task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and analyzes how they are reflected in conceptual elements of disciplinary identity that are composed of necessary conditions (practicality, self-containment, and coherence) and sufficient conditions (indigenization and differenti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does not meet the conditions, theoretical efforts to theorize phenomena observed in our reality through research must be significantly a starting point in order to establish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theoretical efforts for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oriented to ① middle-range theory, ② emphasis on the discipline’s practicality and implementation, and ③ the improvement of research climate in scholar community and the creation of sound academic traditions.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임연기(Youn-Kee 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4

        이 연구는 60여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 교육행정학의 연구 성과를 집약적으로 분석하고, 연 구 과제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행정학의 연구성과를 규범적, 과학적, 처방적 접 근으로 구분하여 연구 결과와 영향, 국가와 사회의 연구 수요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성찰하 였다. 교육행정학의 핵심적 성과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행정학이 종합 학문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고려하여 독자적 탐구 영역의 확보를 통한 학문적 정체성 확립 에 매진하여 왔다. 둘째, 실증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의 과학화 토대를 마련하였 다. 셋째, 근대화와 민주화, 그리고 세계화 시기를 거치면서 교육행정학 연구의 시대적 과제 에 대응하여 왔다. 교육행정학의 연구 과제로서 교육행정학 연구 관점의 다양화, 교육행정학의 한국화, 교육행 정학의 시대적 과제에 대한 능동적 대처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achievements of Kore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with 60 years of history in depth and seeking its development strategies. It classifies the field’s accomplishments using normative, scientific and prescriptive approaches, and contemplates the achievements in terms of research outcomes and their effects, and measures in response to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udies. This paper recognizes the following three major achievement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First, the field has strived to establish its academic identity, considering its interdisciplinary feature, by securing its own area to research and practice. Second, it has laid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itself into a scientific discipline through an empirical approach. Third, the study has coped with the challenges of certain eras, while Korea has transformed into modernized, democratized, and globalized country. The development strategie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ich this study suggests are as follows: Diversifying its research perspectives; koreanizing the study; devoting constant efforts to cope with the educational problem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