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지방자치단체 브랜드슬로건의 공공디자인정책 적용 분석

        최형숙,이용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6 교육정책연구 Vol.3 No.-

        본 연구는 교육방향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하고 교육행정기관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각 시도 교육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 중인 브랜드슬로건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공공디자인정책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문헌자료 조사, 교육지방자치단체 브랜드슬로건 현황과 실태 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조사는 교육지방자치단체 브랜드슬로건의 공공디자인정책 활용 사례와 요소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 지금까지 교육지방자치단체 브랜드슬로건의 응용시스템이 정보매체, 상징매체디자인 중심으로 개발되어 있으나 앞으로 공공디자인의 공공건축 및 실내환경, 공공도시교육환경에 적극 적용될 필요가 있다. 또한, 브랜드슬로건 활용 매체를 통한 홍보물을 대중이 접할 수 있는 기관이나 공간을 통해 적극적 활용한다면 공공부문에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을 인식시키는 기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brand slogans in local governments and to see how they can be applied to public design policies in order to enhance the image of education direction and to enhance the brand value of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brand awareness, brand slogan management system, educational local government `s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brand slogan, education local government` s recognition level, And the need for brand slogan to influence the correlation. Until now, the application system of education local government brand slogan has been developed centering on information media and symbol media design, but it needs to be actively applied to public architecture, indoor environment and public city education environment of public design in the future.

      • 평생학습관의 평생교육과 사회통합 관계 분석

        한상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5 교육정책연구 Vol.2 No.-

        본 연구는 평생학습관의 평생교육이 사회통합을 촉진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6가지의 사회통합지표를 구성하고 인천지역 3개 평생학습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평생학습관의 평생교육의 경험이 있는 이들이 없는 이들에 비해 사회통합 인식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참여기간이 길수록 인식수준도 더 높았다. 또한 평생교육 참여 전과 비교할 때 참여 후에 사회통합 인식수준이 보다 적극적으로 변했다고 응답하였으며 참여기간이 길수록 인식수준이 더 적극적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 태도와 수업 분위기 역시 사회통합의 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whether lifelong education provided by Lifelong Learning Center actually promotes social cohesion. In order to figure this out, I established 6 indicators to determine social cohesion level and conducted a survey over those users in 3 different Lifelong Learning Centers in Incheon, Korea.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s that people who experienced lifelong education provided by Lifelong Learning Center had remarkably higher level of social cohesion than other group with no experience, and people who participated longer have higher social cohesion level. Also, the experienced group responded that their social cohesion level changed more dramatically after the eduction than before, and that the longer they participated, the more change they could find in their social cohesion level. Also, it shows that their attitude and atmosphere in the class affect the change of social cohesion.

      • 소외계층의 평생학습기관 선호도와 평생교육 성과

        오준헌,우명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5 교육정책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전라남도 공공도서관과 평생교육관의 평생교육에 참여한 소외계층의 평생학습기관 기관선호도와 평생교육 성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소외계층의 평생학습기관의 기관, 강사, 강좌 선호도에서 소외계층별로 선호도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저학력자의 선호도는 모든 면에서 낮게 나타나 평생학습기관이 저학력자의 평생교육을 재설계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둘째, 평생학습기관의 교육성과는 삶의 질과 사회참여 면에서 전체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보다 높게 나타나 소외계층의 평생교육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소외계층별로는 노인과 이주여성의 학습성과가 높게 나타난데 비해 저학력자의 성과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평생학습기관의 기관, 강사, 강좌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평생학습기관의 기관과 강좌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삶의 질에, 그리고 강사와 강좌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사회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학습기관의 기관, 강사, 강좌의 제요인이 소외계층의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해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eferences for institution, instructors, and courses and the achievement of disadvantaged groups. The study surveyed the elderly, the disabled adults, the adults with low education, and migrant women who particpated in lifelong education at 17 public libraries and 2 lifelong learning centers in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 di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found as follows: first, the motiv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less educated adults was mainly to get certificates of education and for the migrant women to gain job certificat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sadvantaged groups in preferences for institutions, instructors, and courses. In particular, the preferences of the adults with low education were lowest, which might need to redesign lifelong education for the less aducated adults. Third, the achievement of disadvantaged groups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s was higher than the previous study which investigated the whole adults. The achievement of the elderly and migrant women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The less-educated adults gained the lowest achievement. Fourth, the preferences for institutions and courses had impacts on the achievement of disadvantaged groups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e preferences for institution and instructors on the achievement of disadvantaged groups in terms of social activities.

      • 핀란드 대학의 성인 평생교육의 특성 분석

        장수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6 교육정책연구 Vol.3 No.-

        본 연구는 핀란드 대학의 성인을 위한 평생교육을 학위 여부를 중심으로 그 주요 특징을 파악하고 여러 도전에 직면한 한국 대학의 평생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핀란드 대학의 평생교육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개별 대학들은 대학 수준에서 진행되는 여러 가지 평생교육을 통합하고 운영하는 계속 교육센터가 있으며 이를 통해 대학의 평생교육을 조정하고 지원한다. 둘째, 상당수 성인학생들이 정규의 입학과정을 거처 정규학위과정에서 일하면서 학업을 하고 있어 정규과정 틀 안에 성인 평생교육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 셋째, 전문가 계속교육, 고용자 훈련계약 프로그램, 열린대학 등 비학위 프로그램은 대학의 하나의 핵심적인 기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넷째, 비학위 핵심 프로그램의 하나인 열린 대학 강좌와 강의들은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이 프로그램에 질 관리는 개별 단과대학 학부(학과)가 강사 선임이나 강의 개설을 할 권리를 집행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의 평생교육원과 달리 계속교육센터는 이를 지원하는 역할만 수행한다. 이 강좌들의 내용은 개별 학문분야의 연구와 교육에 기초한다. 다섯째, 비학위 프로그램에서 학위 프로그램으로 이전하는 ‘열린대학을 통한 대학 입학 경로’는 불가능하지 않으나 매우 제한되어 있다. 하지만, 열린대학의 강좌를 수강한 성인들이 정식 입학과정을 거쳐 대학에 입학할 수 있고 이 경우 열린대학에서 획득한 학점은 학위 과정에 적합할 경우 인정된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평생교육은 다른 성인교육기관들과 협력 체제를 통하여 유연하게 제공된다. 저자는 이 같은 핀란드 대학들의 학위 프로그램의 품 유지와 대학 교육의 개방성 노력의 조화가 평생학습대학을 고민하는 우리 대학들의 평생교육의 새로운 발전단계에서 의미 있는 교훈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ULE) for adults in Finland and identifies its characteristics in degree perspective and draws its implications to Korea ULE facing some challenges. Based on the analysis, Finnish ULE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each university has a continuing education center that consolidates, steers and supports various kinds of lifelong educations Second, adult students are participating at degree programs while they are working after entering through the regular admission process. This implies that degree programs themselves plays an important role for adult education. Third, non-degree programs such as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employment contract training, open university etc. is an essential part of university mission. Fourth, open university courses and lectures that anyone above 18 can take are being provided by individual faculty(college) for quality assurance based on each academic field. Fifth, direct transition from non-degree program to degree one so called ‘open university route’ is not impossible but very rare and difficult. However, adults who takes open university courses can be admitted through regular process and their credits are counted. Finnish universities’ efforts to harmonize the maintaining the high quality of degree programs and their openness of higher education to all gives us lessons at the new stage of ULE.

      • 민주시민교육의 쟁점과 지향

        최종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5 교육정책연구 Vol.2 No.-

        이 논문은 민주시민교육의 시민성의 내용, 다문화 사회와 글로벌 사회에서 민주시민교육의 쟁점을 분석하고 그 가운데에서 민주시민교육이 지향하는 바를 탐색하였다. 민주시민교육의 시민성은 핵심가치와 핵심역량으로 구성되며 그 둘은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핵심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하위 요소로 핵심역량을 파악해야 한다. 그 둘의 우위를 다투는 것은 핵심역량을 통해 핵심가치를 제대로 교육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기 때문이다. 다문화 교육은 문화적 다원주의를 용인하는 한에서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관용과 배려의 윤리를 강조하여야 할 것이다. 글로벌 시민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은 글로벌 보편성의 기반 위에서 지역적 특수성을 성찰할 수 있는 관점을 길러야 한다. 이러한 논의는 집단주의적 사고가 아닌 인간의 존엄과 인권이라는 보편 가치에 근거한 민주시민으로 각성된 성숙한 시민을 기르는 데 시민교육의 방향을 두고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nature of citizenship, the controversial issue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and global society, and explores the direction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nature of citizenship is consisted of key values and key capacities which are not exclusive in each other. The latter can be understood as sub constituent realizing the former.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respect the idea of cultural diversity as far as multiculturalism is recogniz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provide the view introspecting regional particularity based on global universality. The dire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focuses on fostering enlightened and mature democratic citizen whose values are founded on not collectivism but universal ideas of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 핀란드 학교의 학생지원과 개인별 학습·교육계획

        장수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5 교육정책연구 Vol.2 No.-

        본 논문은 핀란드 교육의 성공요인의 하나로 간주되는 특수교육을 학생지원과 학습ㆍ교육 계획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핀란드 학교에서 학생의 학습과 학업에 대한 지원은 일반학생들을 지원하는 일반지원과 학습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집중지원, 이를 보다 강화하여 각별한 어려움에 직면한 학생들을 지원하는 특별지원으로 나누어져 있다. 핀란드 학교는 학습장애를 성장발달 과정상의 자연스러운 상태로 수용하고 교사 등 전문가들의 전문적 판단에 기초하여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학생복지그룹을 형성하여 여러 관련자들이 협력적으로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이 이를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원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일반지원에서는 학생들의 개별적 학습계획이 고려되어 권장되며 집중지원에는 개인별 학습계획이 특별지원의 경우에는 개인별 교육계획이 필수사항이다. 집중지원과 특별지원의 경우 개인별 교육진술서가 요구되고, 개인별 학습ㆍ교육계획은 매우 종합적이며 지원의 내용을 상술해야 한다. 조기 개입과 교사 중심의 전문적인 판단, 협력적이고 종합적인 지원, 그리고 개별적 접근은 우리의 학생지원 시스템에도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reviews Finnish special education as one cause of Finnish educational success, focusing on student support and learningㆍeducational plan. In Finnish schools, supports for students’ leaning and studies are classified as the ‘general support’ for all the general students, and ‘intensified support’ and more intensive ‘special support’ for students experiencing learning difficulties. The Finnish school accept learning difficulties as normal phenomena and discover them as early as possible through professional judgement by experts including teachers. By forming student welfare group, the school support students to overcome their learning difficulties. In this process, individual learning and educational plans are utilized such as individual learning plan is recommended for the general support and required for the intensified support, and individual educational plan is required for the special support. For the intensified and special supports, educational statements are required and learning and educational plan should include very comprehensive and very specific procedures and means for supporting the individual students. The early intervention, professional judgement by expert including teachers, cooperative team play and comprehensive approaches in the Finnish system can be effective in our system.

      • 세계 교육 발전의 인권법적 기초 : 학습권과 행복추구권

        정기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4 교육정책연구 Vol.1 No.-

        세계화가 진전되면서 범세계적인 교육발전과 그를 위한 개발협력 논의 역시 심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기본권의 불충족에 대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제사회가 합의해온 기존의 교육기본권의 성격과 한계에 대한 의문을 야기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사회문화적 기본권으로 분류된 기존의 교육기본권 논의의 성격과 한계를 밝히고 그에 대한 대안을 시민적 권리로서의 학습권에서 찾는다. 그 자연권적 근거를 <사물의 본성>에서 찾기 위해 교육과 학습의 관계를 포함한 교육의 일반이론이 필요하다. 학습은 교육의 존재 근거이며 시민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인간의 시민적 권리일 수밖에 없다. 미국독립선언, 프랑스인권선언, 일본 헌법과 우리나라 헌법에 규정된 행복추구권은 시민적 권리로서 학습권에 그 자연권성을 부여하는 논리적 토대를 이루고 있다. 한국 교육의 발전은 인간의 기본권으로서 학습을 최우선시 하는 한국인의 법감정과 권리의식을 토대로 발전하여 왔다. 그러한 한국인의 법감정과 권리의식의 핵심에 행복추구권이 있다. 필자는 2015년 인천에서 열리는 세계교육포럼이 행복추구권에 기초한 시민적 권리로서의 학습권 논의를 본격화하는 계기가 되고 국제적 시민적 기본권으로서의 학습권을 기초로 세계교육이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Learning became the ratio essendi of 21century education and therefore RtL based development of education. So called participatory human development which current international community has emphasized depends on the exercise of right to learn. Recent international onsensus were again built on the right to development(RtD). RtD inevitably includes right to personal development, ie. learning which is commonsense in education. Learning in 21th century is of "civil and political rights" unfortunately the <Covenant B> does not recognize it yet. The old notion of the right to education defined in the <Covenant A> cannot afford the global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learning for all. RtL stands on the RtD and eventually the fundamental human right to pursue happiness.

      • 21C 세계교육질서와 2015 인천 세계교육포럼의 의의 분석

        정기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6 교육정책연구 Vol.3 No.-

        2015 인천세계교육포럼의 의의는 “세계시민교육”과 “교육을 통한 변혁”이 전 세계 교육발전의 화두로 등장한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은 5. 31 교육개혁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선도적으로 제창한 이래, 단순히 과거 교육을 통한 산업화 근대화의 성공이라는 개발도상의 변혁 모델을 넘어 2015년 세계교육포럼을 통해 세계시민교육 담론을 국제적 합의에 글로벌 이슈로 끌어올리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1997년 교육기본법제정을 통해 헌법상 기본권으로서의 학습권을 법률로 보장하는데 앞장서 왔으며 이러한 논의를 세계교육논의의 장에서도 이슈로 제기하여 왔다. 세계시민교육이나 학습권 기반의 발전은 향후 세계교육질서의 향방을 결정짓는 핵심요인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sult of 2015 World Education Forum at Inchoen Korea and to find a prospect of world education order from now on till 2030. This paper, in addition to some library researches, mainly stands on the participatory observation in the preparatory discussions for the World Education Forum from February 2014 to May 2015. Further, it adopted a kind of scenario approach to make of future prospect. 2015 Inchoen World Education Forum marks a turning point in world education order by raising the issu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and Transformative Education for the Education 2030. Korea the host country set up the transformative education model successfully to be the place of international dialogues for future world education, in that Korea already in 1995 declared GCED as an educational reform objective and legislated the constitutional right to learn(RtL). Korea has the experiences of transformative development through education which developed in to the early recognition of GCED and RtL, which would lead the formation of world education order from now 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as an analytical record of the 2015 World Education Forum. In addition it will encourage further studies on the nature of Korean development experience.

      • 한국 교육에서 수월성의 의미와 실현 조건 탐색

        김인희,이혜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6 교육정책연구 Vol.3 No.-

        Excellence is an essential value to be pursued in education, personally and institutionally. This study looked into the meaning of excellence espoused and applied in Korean education. Variety of interpretations of excellence were found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Among them, two clearly contrasted categories of meaning appeared: Excellence A and Excellence B. The former includes unitary, relative, vertical, selective, objective, and scientific concepts of excellence, while the latter includes plural, absolute, horizontal, universal, subjective, ideological ones. It was found that, in Korea, in the realm of government, politics, journalism and the public, Excellence A tends to be popular, while Excellence B was espoused mainly by scholars and some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According to the concept people follow, quite different approaches and policy decisions must be taken. This study, supporting the concept Excellence B, examined the reasons why it is difficult to realize Excellence B in Korean education. They were thought to be the confusion of the concepts, ideological and politicalized arguments, lack of effective approach and education system for Excellence B.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ome tasks for realizing Excellence B. They are 1) overcoming the conflicts from the competing concepts and perspectives, 2) redefining the criteria of social selection, and 3)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system by way of diversifying the type of school horizontally, rebuilding the paradigm for school education respecting the justice and equity, innovating the support system for school education following the new paradigm, and developing the capacity for education welfare at the level of school, region, and the nation. 수월성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인 동시에 사회적으로도 의미를 형성하고 있다. 수월성에 대하여 어떤 개념과 관점을 견지하는가에 따라 그에 대한 교육적 접근과 정책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 교육에서 수월성이라는 용어가 지니는 다양한 의미를 탐색하여 수월성 A와 수월성 B로 구분하였는데, 전자는 일원적, 수직적, 선별적, 객관적, 과학적 관점에 기초하는 반면, 후자는 다원적, 수평적, 보편적, 주관적, 관념적 관점에 기초하는 차이를 보였다. 우리 교육에 있어서 정치, 언론, 일반 대중들은 주로 수월성 A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으며 학계와 교육계 및 정부 일부에서는 수월성 B의 개념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월성의 개념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쟁점을 검토하고, 수월성 B가 우리 교육에서 보다 중시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수월성 B가 실제 교육에서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분석결과를 토대로 수월성 B를 실현하기 위해 추진되어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 스마트교육 운영을 위한 학교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이재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연구소 2014 교육정책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초등학교 스마트교육 정책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고 있는 스마트 교육 공간 환경에 있어 그 이용 특성을 분석하여 학생 소통과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교육 환경을 조성 할 수 있도록 각 실의 환경적 특성을 제시함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 교수 학습을 위한 수업 특성과 일반학급 및 특별교실 공간 환경의 이용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교실 외 생활공간의 역할과 옥외 공간의 위치 등에 대해 학생 상호간 소통 중심의 공간 환경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to create the environment for SMART education in which students are available to communicate and to achieve self-motivated learning by analyzing use-character of SMART Education Environment of Space. As a result, class-attributes for SMART education and use-attributes of space for general and special classroom were suggested. This paper proposes characteristics of Space Environment for student's communication concerning the role of outside space i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