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문화예술공간에 관한 연구 -금호아트홀 연세를 중심으로-

        윤세정 ( Sejeong Yun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 배경 및 목적)현대사회는 소비자들의 서비스에 대한 경험 니즈의 다양화 및 서비스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서비스 경제사회로 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문화예술 경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만족스러운 문화예술 소비의 욕구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예술공간에서의 적절한 서비스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디자인의 주요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의 개념 및 경향에 대한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 분석을 통해 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요소별 특성에 대해 분석한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공간 중 최근 건립된 금호아트홀 연세로 분석 범위를 한정하고 금호아트홀 연세를 문화예술공간의 기준에 따라 공간구성을 세분화한다. 이러한 금호아트홀 연세의 세부적인 공간을 터치포인트 방법론 중심으로 코드화하여 공간에서의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에 대해 사례 분석하였다. 각 세부 공간의 터치포인트에 적용된 공간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문화예술공간에서의 서비스디자인 구성요소에 따른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연구하였다. 이러한 이론 고찰 및 사례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첫째,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 사용자의 문화예술 경험 및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공간은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이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고 있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문화예술공간에서의 가장 높은 분포 결과를 보인 곳은 서비스디자인의 특성 중 편리성, 상호성, 정보성에 부합한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경험 니즈를 반영하여 계획한 공간이었다. 셋째, 문화예술공간에 적용된 서비스디자인 특성 중 다소 낮은 분포 결과를 보인 서비스디자인 특성은 자발성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서비스 사용자의 적극적 공간 경험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공간디자인의 전략의 필요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결론)이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은 문화예술공간에서 서비스 사용자의 문화예술 경험에 대한 만족을 충족시키며, 서비스 제공자에게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수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예술공간에서 공간을 형성하는 서비스디자인의 구성요소를 반영하여 특성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공간계획 하는 것이 필요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서비스디자인의 특성들이 서비스 경제사회에서 문화예술공간을 포함한 공간디자인의 고품격 전략과 최적화된 공간디자인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한 사전 계획으로서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기능의 공간에서의 서비스 사용자 경험을 위한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Modern society is transforming into an economic service society, triggered by the increase in interest in service, as well as diversification in the consumers`` experiences and needs. Demands are also increasing for cultural art experiences. Thus, appropriate service design is essential in cultural art spaces to satisfy consumers`` demand. This research analyzes how service design elements are applied in cultural art spaces to identify its primary role. (Method) This research will study the principles and trends in service design, and service design elements`` application in spaces will be extracted through an element analysis. The scope is narrowed based on such criteria to the Kumho Art Hall Yonsei among various cultural art spaces, and its spacing is also specified.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service design elements in the space by coding the Touchpoint method in the Kumho Art Hall Yonsei, and examined each case in the property. This method analyzed service design characteristics, which were then applied to a touch point in each detailed space. It then studied how thes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cultural art space depending on the service design``s components. These theories were considered and reflected in the cas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were ultimately derived regarding the roles and values of the service design as applied to cultural art spaces. (Results)First, the space provided a fluent cultural art experience, and service to the users was harmonious between the space and the service design property. Second, the space with the highest distribution result among other cultural art spaces was the one that reflected the users`` experiences and needs: convenience, interaction, and information. Third, the service design property with least distribution result needed self-complimentary strategies to satisfy service users`` needs in their active space experience. (Conclusions)The researchers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that service design is an essential element to improve corporate image as this satisfies the users`` needs for cultural art experiences. Additionally, it could be predicted that it is necessary to plan cultural art spaces to evenly distribute the characteristics by reflecting the service design components that form the space.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ice design property is a necessary prerequisite to adapting optimized space design programs and high-quality space design policies in an economic service society. Finally, research must be sustained regarding service designs for the user``s experiences in various spaces.

      • KCI등재

        공간 컨텍스트 기반 암스테르담 호스피탈리티 산업 재생디자인에 관한 연구

        장선아,장영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의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무분별한 건축물 증가 이후 노후 된 건축물과 유휴공간이 많아짐에 따라, 세계적으로 재생 공간 디자인의 필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17세기 세계적인 무역과 금융의 중심지였던 암스테르담은 산업혁명기 이후 서구 주요 도시들처럼 산업화의 전환이 실패하면서 도심 내에 빈 건물과 버려진 토지가 증가하게 되었지만 1970년부터 도심 내 공공임대주택 건설정책과 역사ㆍ문화자원 보존정책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현대적 요소와 전통적 요소가 잘 어우러질 수 있도록 진행하였고, 이는 오래된 역사성을 품은 오늘날의 도심 분위기를 유지하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소적 특징으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지속적으로 선호하는 도시가 되면서 호스피탈리피 산업 또한 관광활성화와 함께 중요한 도시기능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역사적으로 오래된 건축물의 리 디자인(Re Design)에 성공한 대표적인 암스테르담 호텔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유휴 공간을 공간 컨텍스트 관점으로 호스피탈리티 산업으로 재생하는데 요구되는 공간 계획적 지향성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유휴공간을 활용한 암스테르담 호텔 디자인 중에서 공간 특성들이 역사적 컨텍스트(contexts)들을 내포한 문화적 특성들과 강하게 연계되어 있는 곳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선정된 건축물들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역사적 요소들의 활용과 보존 방법, 형태적 특성으로 역사성, 보존성, 예술성과 의미적 특성으로 장소성, 다양성, 지속성 등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선정 건축물과 주변 환경들과의 관계를 고려한 도시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재검토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결과) 사례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암스테르담의 호스피탈리티 산업의 재생디자인은 역사적 장소성을 기반으로 문화적 다양성들을 중심으로 재해석되었기에 그곳을 방문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경험 중심의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디자인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속가능한 경제성을 가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고찰을 통해서 역사가 오래된 도시들에서 증가하는 노후화된 건축물과 유휴공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관광객과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중심의 호텔로 리 디자인을 제안하고, 방법에 있어 공간 컨텍스트를 바탕으로 도출한 디자인의 계획 특성들의 공간구성 예시를 활용하여 장소의 기억과 체험 중심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플랫홈이 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호스피탈리티 산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향후 본 논문의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호스피탈리티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number of dilapidated facility spaces and idle spaces increased due to the rapid changes in modern society, the need for design that gives new cultural value to those spaces has risen. hence, space regenerative design became active world wide. In terms of space context, this study seeks to derive the spatial planning elements necessary to recycle idle space into the hospitality industry through case analysis of Amsterdam’s hotels, which are successful examples of re designing the accommodation facilities using historical spaces. Amsterdam is a city with a good regenerative design. Amsterdam was a global trading hub in 17th century, but failed industrial transformation, resulting in an increase of empty buildings and spaces. However, since 1970, Amsterdam conducted both construction policy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the preservation policy of historical spaces in order to secure both modern and traditional elements. This has served as a driving force to maintain the atmosphere of today's Amsterdam and also gave a certain contribution to its hospitality industry. (Method) Among the Amsterdam hotel designs using idle space, places wher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strongly linked to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are embodied in historical contex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historical elements of the selected buildings are analyzed. Second, the method of utilizing and preserving historical elements is analyzed. Each design is evaluated with two properties, formal properties(historicality, preservation, artistry) and semantic properties(placeness, diversity and persistence). In conclusion, the impact of regenerative design on urban regenerating is reviewe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its surroundings. (Results) According to the case analysis, Amsterdam's regenerative design was carried out by reinterpreting cultural diversity based on historicality of the space. Such regenerative design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local hospitality industry. The embrace of diversity based on the historicality of the space provided a design that would give experience-oriented satisfaction to visitors, thus ensuring sustainable economic feasibility by attracting tourists. (Conclusions)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blems of aged buildings and idle spaces should be solved through community-centered re-design. It also emphasizes that the re-design should be able to fully utilize the context of the space to create a platform for a new lifestyle in which historical memories of the place can lead to the visitor's experience.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hospitality industry, and is a preliminary study of design aspects for vitalization of hospitality industry.

      • KCI등재

        베이징 고궁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의 요소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사적 각도를 중심으로-

        조계해,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Background and Purpose) The museum is a rallying point for human civilization, where historical relics are housed and where human culture is studied. In particular, it is a place with scientific,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s and even educational meanings. Against this backdrop, the museum should not only be a space for displaying historical relics, but also for cultural exchange among viewers.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The Palace Museum is one of the most visited museums in the world, so there are a lot of public service spaces in the museum. The Palace Museum has a rich history and culture, so in order to promote the culture of the Palace Museum and experience the life of the Palace Museum, the public service space has a very close connection with the narrative concep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strategy of museum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Methodology) Firs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necessity and spatial types of public service space in the museum,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nd second, the elements of narrative concept and narrative space design are theoretically examined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design. And third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 the analysis model is proposed. In particular, this study carries out field survey and theoretical research with the Chinese Palace Museum as its scope,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pace design by targeting four public service spaces set up by the Palace Museum. And present strategies for narrative space design.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our selected cases show that the general public service space almost has the attributes of commercial space, among the three components, the museum cultural symbol (culture) has the highest degree of fit, and the distribution of public service attributes (publicity) and spatial function (functionality) is slightly different. In the design of narrative space, the emphasis on space plot (scene) is the highest. The space theme (logicality) and language symbols (complexity) also appear as important features. (Conclusion)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from the two aspects of the museum's public service space and narrative space design, and obtains six characteristics: culture, publicity, functionality, scene, logicality and complexity.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four public service Spaces of the Palace Museum in Beijing shows that the six elements can be used as the evaluation criteria and basic features of the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of the museum. In the future,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considered to be helpful in the study of the narrative public service space design in the museum and related fields, which can be applied as meaningful materials. (연구배경 및 목적) 박물관은 인류문명의 집결지로 역사적 유물을 소장하고 인류문화를 연구하는 장소이다. 특히 과학적 가치, 역사적 가치, 예술적 가치 등을 두루 갖추고 교육적 의미마저 내재하고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박물관은 역사적 유물을 전시하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관람자들과 문화 교류를 위한 공간이 되어야 한다. 베이징 고궁은 세계 문화유산으로 세계에서 가장 관광객이 많은 박물관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박물관 내에 많은 공공 서비스 공간이 있다. 고궁박물관은 역사와 문화가 풍부하기 때문에 고궁문화를 알리고 고궁생활을 체험하기 위한 공공 서비스 공간은 서사적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향후,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디자인의 발전방향과 전략을 위해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의 필요성과 공간유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구성요소와 특성을 도출하고, 둘째, 서사적 개념 및 서사적 공간 디자인의 요소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서사적 디자인의 특성을 추출한다. 그리고 셋째, 이상의 고찰을 통해 분석 모형을 제안한다. 특히 본 연구는 중국 고궁박물관을 범위로 하여 실사와 이론연구를 실시하고, 고궁박물관이 설치한 공공 서비스 공간 4곳을 대상으로 하여 서사적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서사적 공간 디자인의 전략을 제시한다. (결과) 선정된 4사례를 분석해 보면 일반 공공 서비스 공간은 거의 다 상업 공간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3가지 구성 요소인 박물관 문화 기호(문화성)는 가장 적합도가 높고 공공 서비스 속성(공공성)과 공간 기능(기능성)의 분포에는 차이가 좀 있다. 그리고 서사적 공간디자인에서는 공간플롯(장면성)의 중시도가 가장 높고, 공간주제(논리성)과 언어기호(복잡성)도 중요한 특성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문는 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과 서사적 공간 디자인 두 가지 측면에서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 디자인의 특징을 연구하여 박물관 공공 서비스 공간의 문화성, 공공성, 기능성과 서사적 공간 디자인의 장면성, 논리성, 복잡성 총 6가지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베이징 고궁박물관 내 4개 공공 서비스 공간을 분석 사례로 분석한 결과 6요소는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의 평가 기준과 기본적인 특성을 갖는 요소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 본 논문의 연구 성과가 박물관 서사적 공공 서비스 공간과 관련 분야의 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어 유의미한 자료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남가림,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As consumers’ interest in the living market has increased, Living Fairs have emerged that cater to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space in their lives' style. Companies participating in Living Fairs display their images through the space in an act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n addition, Living Fairs’participants introduce the current interior design and lifestyle trends to the visitors. Living Fair has a lot of input to boost the market through communication space between consumers and living brands. Starting with "Seoul Living Design Fair," which was first held in 1994, several Living Fairs are now held in various exhibition spaces such as KINTEX, COEX, and SETEC. Living Fairs are held every year in showrooms in various regions to revitalize the living market,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he number of visitors who come to the fair may be increased. The fair space is a representative “show design” space, a single site with thousands of booths in which exhibitions are held by many companies. In this study,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is created for Living Fairs, as well as the functions of the fair. The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study has began. (Method) Since we would like to study the Living Fair and the exhibition design system applied to the space, we will start wit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iving Fair space and conduct a case study on the type of fair stand to which the exhibition design is applied. In this study, after conducting a data survey on the function and role, operation briefing, and guidelines of fair space, the domestic Living Fair cases are distinguished by personality and go through a process of materializ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drawn earlier, it is found that Living Fairs provide a suitable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system for effective communication spaces. (Results) This study analyzes the marketing process and operation guidelines before, during, and after Living Fairs. Cases are selected, divided into the components of operation, marketing, and design, and analyzed, a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The evaluation index classifies elements that occur throughout the course of a fair.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necessity of forming an evaluation index for exhibition design in Living Fairs. (Conclusions) This study establishes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which suited to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Living Fairs. These guidelines can be used for the Living Fairs which will be held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리빙 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생활 속의 공간에 관심을 가지고 리빙 페어에 참관객으로 방문하기 시작하였다. 리빙 페어에 참여한 기업들은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기업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당해의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를 소개하고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 공간에 참여한 ‘리빙 브랜드’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 리빙 시장의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1994년 처음 개최된 ‘서울 리빙 디자인페어’를 시작으로 킨텍스, 코엑스, 세텍 등의 다양한 박람회 공간에서 여러 리빙 페어가 개최되고 있다. 리빙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 매년 다양한 지역의 전시장에서 리빙 페어가 열리고 있지만, 페어 공간 내에 참가 업체의 참가율과 참관객들의 방문율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페어 공간은 많은 기업들이 전시를 개최하여 하나의 현장에서 수천 개의 부스가 들어서므로 가장 대표적인 ‘전시 디자인’의 공간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리빙 페어에 있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 따라 리빙 페어의 기능/역할 등 배경, 취지에 적합한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해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리빙 페어와 그 공간에 적용된 전시 디자인 체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므로 리빙 페어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작으로 전시 디자인이 적용된 페어 스탠드 유형에 관해 사례 조사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페어 공간의 기능 및 역할, 운영 브리핑, 가이드라인에 대한 자료 조사를 한 후, 국내의 리빙 페어 사례들을 성격 별로 구분하고 유형화 과정을 거친다. 앞서 도출했던 이론적 고찰들을 토대로 리빙 페어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되는 적합한 전시 디자인 전시 디자인 평가 체계를 도출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빙 페어 전·중·후 과정 중에 페어 마케팅 프로세스 및 운영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분석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앞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례를 선정하여 운영, 마케팅, 디자인의 구성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를 구축하였다. 평가 지표는 페어의 모든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요소들을 분류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의 평가 지표를 형성하는 것에 필요성을 증명한다. (결론) 이는 리빙 페어의 배경과 취지에 맞는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추후에 개최될 리빙 페어들에 재참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문화적 공간재생을 위한 국가 디자인 정책사업 사례연구

        황동호 ( Hwang Dong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재생의 방법 중 공공의 공간을 시민참여와 소통을 통해 ‘문화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은 많은 연구와 검증을 통해 공간재생의 기본 방안이 되었다. 문화적 공간재생을 위한 정책과 법제가 생겨나고 있고 공간디자인의 관점에서 이러한 정책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정책을 구체화시키는 주요 실행수단은 여러 수단이 있으나 가장 구체적으로 실행 할 수 있는 수단은 정책의 실행내용이 명문화되고 구체화된 법제가 있다. 이러한 법제를 바탕으로 관련 정책사업이 실행되고 있고 정책사업과 관련하여 행정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문화적 공간재생디자인정책 실행수단 분석을 위해 공간재생디자인 관점에서 본 국내의 법제와 정책사업, 행정시스템을 분석하여 공간재생디자인 관련정책 실행수단의 개선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 문화적으로 공간을 재생하기 위해 도출된 32개의 법제를 7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이에 공간계약 관련 법제를 더해 총 8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이를 Lowi의 정책의 유형에 대입하여 현황을 분석한다. 정책의 유형에 따라 국가가 정책을 강제하는 방법과 강제의 기능성을 분류하였다. 정책의 유형과 강제의 유형을 분석의 틀로 사용하여 앞에서 추출한 8개 카테고리 32개의 법제에 대입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각 문화적 공간재생디자인에 관련한 법제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결과) 제조업을 위한 디자인지원에 비중을 크게 두고 있고 전통문화 보존 중심의 법제가 많다. 공간계획에서 문화적 시각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는 법제 중 본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법제는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이다. 이 법제는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과 공공디자인위원회. 공공디자인용역, 전담부서의 설치 및 인력 배치 등을 규정하고 있다. 시행령과 시행규칙은 공공디자인용역의 참여기준과 공공디자인전문회사의 신고 요전, 전담기관의 지정 요건 등 법률에서 위임한 내용을 구체화해 담았다. (결론) 지금까지 정책사업의 현황은 하드웨어적 공간조성 시범사업에만 집중해 온 것을 알 수 있다. 공간조성 시범사업은 재정을 지원하고 즉각적으로 물리적 결과가 수치화되어 나오는 성과를 낼 수는 있지만 결국 이용자의 의식이 변하지 않는다면 단기적인 일회성 성과에 머문다. 유휴공간에 대한 문화적 활용에 대한 정보서비스와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전문가 육성과 활용에 초점을 맞춰 정책을 개발하고 지원한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다 문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유휴공간을 디자인하는 정책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method of 'culturally regenerating' the public spaces by means of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citizens has taken root as a basic method for spatial regeneration through many studies and verification among the methods of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area of improvement in the 'implementation means' of policies associated with spatial regeneration design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legislations and policy projects from the standpoint of spatial regeneration design in order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means' of domestic cultural spatial regeneration design policy. (Method) The 32 legislations, derived for cultural regeneration of the space, we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Based on that, the legislations associated with spatial contracts were added, leading to the classification into 8 categories which were then substituted into Lowi's policy types for analysis of current status. The methods, by which the State coerced the enforcement of policies, and the functionality of such coercion were classified by the type of policy. Using the policy types and coercion types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h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substitution into the 32 legislations of 8 categories which were extracted before. Through that, it could be understood how the legislations related to each cultural spatial regeneration design were working. (Result) The design support takes on significant importance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many legislations put primary focus on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t is important to bring cultural perspective to spatial planning. Among the interacting legislations, the most notable legislation in this study is the 'Public Design Promotion Act'. This legislation sets forth the Master Plan for Public Design Promotion, Public Design Commission, public design services, formation of dedicated departments, deployment of manpower, etc. The Enforcement Ordinance and the Enforcement Rules specify the details stipulated by the Act, such as the standards for participation in public design services, the requirements for reporting by companies specializing in public design, and the requirements for designation of dedicated organization. (Conclusion) Current status of policy project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thus far, show that those projects focused only on the pilot projects for hardware spatial creation. Although the pilot projects for spatial creation can bring the performance that provides financial support and immediately quantifies the physical results, the pilot projects will bring only short-term one-time performance if the awareness of users remains unchanged. Those policies will become conducive to designing even more cultural and sustainable idle spac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f the policies are developed and supported with a focus on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experts while forming the information service and interpersonal networks necessary for cultural utilization of idle space.

      • KCI등재

        자동차 실내공간 시트디자인의 소비자 감성 특성에 관한 연구

        송승희,최종석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자동차 실내공간은 동적이며, 정적인 공간으로 오늘날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 환경으로의 변화는 실내공간의 더 많은 기능을 요구하고 있고 이용자에게 매우 중요한 감성을 전달하는 다중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의 자료에 의하면 자동차 실내공간에서 시트에 대한 소비자의 중요성이 매우 높으므로 자동차 시트디자인은 사용자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맞게 변화되고, 만족을 전달하는 인터렉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측면에서 시트디자인은 변화 및 발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국내 자동차 시트디자인에 대한 세부적인 소비자의 심리적 감성 연구를 판매장에서 면담과 설문 및 통계연구를 통하여 경향에 대한 감성적 특성을 분석하고 종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트랜드에 대한 특성 분석을 위하여 2010년부터 국내자동차 시장에서 판매가 가장 많은 차종과 시트 종류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의 소비자 자동차 트랜드를 조사, 분석하여 최근에 양산 및 판매되는 자동차 4사의 24종 시트를 선별하여 설문 및 통계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 및 분석 내용은 시트디자인에 있어 접근성에, 가시성, 용이성, 인지성, 안전성, 심리성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설문하고 분석하였으며, 설문자료를 기반으로 통계 연구를 실시하여 각 항목 및 내용별로 유의성을 도출하여 내용을 분석, 종합하였다. (결과) 시트디자인의 접근성에 있어서는 자동차 실내의 다른 요소가 물리적 부담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 시 어깨 부위 및 옆 라인의 경사에 대한 디자인적 고려가 필요하며, 가시성에 있어서는 시트의 조작 여부가 정보적 시각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디자인 시 고려할 사항이며, 기능적 시각 반응은 형태와 컬러가 시각 반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인지성에 있어서는 컬러에 대한 시각 반응은 시트의 조작과 결부되며 패턴 및 엠보와 같은 재질이 조작 및 작동에 촉각적으로 인지 반응이 높고 안전성에 있어서는 편안함이 높을수록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시각적인 요소가 조작 시 관계성이 높으며, 감성적인 편안함이 높고 촉감 측면의 재질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향후 시트디자인에 있어서 6항목의 내용이 개발 및 디자인에 체크리스트화 되어 고려사항이 되어야 하겠으며, 자율주행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감성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향에 의한 후각 및 소리에 의한 청각에 영향을 주는 시트가 개발 및 디자인되고 있어 향후 오감을 통한 인지성의 극대화가 경제성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측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interior space of an automobile is dynamic and static, and changes to the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based on multimedia today require more interior space functionality, transforming into a multi-space that delivers important emotion to users. In this respect,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Korea Automobile Industry Association, since sheets are given high importance by consumers in the interior space of automobiles, seat design should be altered and developed through interaction design that changes with the various communication environments of users and delivers satisfa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ynthesiz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rends through detailed interviews, surveys, and statistical studies of the psychological sensitivity of consumers to domestic automobile seat design. (Method) In this study, for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consumer trend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most-sold models and sheet types in the domestic automobile market since 2010, and a survey and statistical research were conducted by selecting 24 types of seats recently mass-produced and sold by four automobile companies. The survey and analysis contents were analyzed in detail in terms of accessibility, visibility, ease of use, cognition, safety, and psychology of sheet design. Statistical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data, significance was derived for each item and content,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and synthesized. (Result) With respect to the accessibility of sheet design, other elements of automobile interiors affect physical burden, and design consideration of the shoulder slope and side line is needed when used. In terms of visibility, whether or not the seat is operated affects informational visual function, so it is considered in design. Shape and color are shown to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visual response. Furthermore, in terms of cognition, visual response to color is associated with seat operation, and the pattern and embossment of material is tactilely responsive to operation. In terms of safety, the higher the awareness of safety and the relationship of visual elements when the material is operated, the higher the emotional comfort and effect of the tactile aspect of the material, affecting satisfaction. (Conclusion) In the future, six items of sheet design should be checked and listed in development and design, and in the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sheets that affect hearing owing to smell and sound by considering emotional aspects of the user are being developed and designed, and it is expected that maximization of cognition through the five senses will have a great impact on economic efficiency in the future.

      • KCI등재

        장소특정적 미술을 통한 상징공간디자인 개발 -울산광역시 동구 슬도 소공원 -

        김철중 ( Cheol Joong Kim ),이주형 ( Joo Hyoung Y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장소성은 사람들과 공간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경험된 기억들이 축적되어 만들어진 역사적 산물이다. 지역고유의 장소성은 다양한 일상적 경험 속에서 형성되며, 장소의 이미지는 그 지역의 총체적인 현실의 반영이다. 장소 특정적 미술 (Site-Specific Art)은 장소의 맥락적 관계를 바탕으로 공간을 상징적인 의미로 작품화하고 지역의 아이덴티를 형성하는데 대표적인 요소로서 작용한다. 이에 본 디자인 개발에서는 울산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슬도 소공원``을 의미 있는 장소로 재생하기 위한 요구를 반영하고자 디자인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슬도 소공원의 상징적 공간은 역사·문화적인 큰 맥락에서 장소 특정적 미술을 매개로 전개된 공간디자인으로써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생성함과 동시에 랜드마크적 성격, 그리고 주변 경관과 조화로운 상징 문화 공원으로 공간을 재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디자인 개발의 대상지는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에 위치한 슬도 소공원의 초입부로써 장소의 특성을 고려한 장소 특정적 미술을 중심으로 상징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디자인 진행 방법은 먼저 장소 특정적 미술과 장소의 상관성을 문헌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둘째, 대상지인 슬도 소공원의 입지적 현황과 자연환경 그리고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지역의 상징적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셋째,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된 상징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공간의 개념을 설정하고 장소 특정적 미술로서 상징오브제를 중심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결과) 본 디자인 개발은 슬도 소공원을 개선하기 위한 장소 특정적 미술을 중심으로 장소의 의미를 재생하는 것이다. 현황분석을 통해 살펴본 슬도 소공원은 해안가의 공간적 특성과 선사시대 때부터 기록되어진 고래와 구멍 뚫린 바위섬에 관련된 역사적 이야기가 전해 내려져 오는 장소였다. 이에 슬도 소공원의 상징적 이미지로 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의 이미지와 구멍 뚫린 바위섬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징적 오브제를 디자인하고 공간을 구성하였다. 이로써 역사적 사실과 지역정서를 바탕으로 공간의 의미를 담고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함과 동시에 랜드마크적 성격을 가지게 하였다. 장소의 정체성은 지리적 위치나 외관상의 특성 뿐 아니라 사람과 공간의 다양한 활동적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디자인은 역사적·문화적인 큰 맥락에서 장소 특정적 미술인 상징적 오브제를 매개로 한 공간디자인이지만, 이는 장소성을 나타내는 한 가지 요소에 불과하며, 온전한 장소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향후 이곳에서 여러 가지 문화적 활동 프로그램이 복합적으로 연구되어 일상의 생활공간으로서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Placeness is a historical product which accumulates empirical memory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space. Unique placeness of the region is formed based on a variety of daily experiences and the image of place reflects the overall reality of region. Site-specific art symbolizes space based on contextual relati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to form regional identity. To regenerate Seuldo Island Park, located in eastern part of Ulsan, as a meaningful place, this study reflects demand and made design. In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symbolic space of Seuldo Island Park is a spatial design through the medium of site-specific art and it forms regional identity and brings landmark aspect and regenerates the space for symbolic cultural park that harmonizes with surroundings. (Method)The target of design development was the entry of Seuldo Island Park located in Bangeo-dong, Dong-Gu, Ulssan and this study designs symbolic place based on site-specific ar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lace. The Method of design was, first, reviewing correlation between site-specific art and the place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drawing symbolic image of region based on location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fact of Seuldo Island Park. Third, setting the concept of space based on symbolic image after current condition analysis and designing symbol object as site-specific art.(Results)This design development is to regenerate the meaning of place based on site-specific art to enhance Seuldo Island Park. In light of status analysis, Seuldo Island Park has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oreline and historical story that goes back to the prehistoric age referring to whale and rocky island with holes. This study designs symbolic object and space based on symbolic image of Seuldo Island Park such as whale carved in stone and rocky island with holes. This study allows regional identity as well as landmark aspects based on historic fact and regional sentiment. The identity of place is formed not only by geographical location or external characteristics but also diverse activities. In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design presented by this study is a spatial design through the medium of symbolic object of site-specific art, however it is only one factor that represents placeness. Thus, diverse cultural programs should be researched and established as living space of daily life to fully realize placeness.

      • KCI등재

        이용자 만족도 분석을 위한 공공디자인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임종훈 ( Jong Hoon L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공공디자인 관련 연구의 동향에서는 사용자의 요구 및 심리적 환경에 대한 관심과 함께 공공공간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지자체별로 정책적인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는 현실적 한계로 인해 질적 성장보다는 주로 물리적 환경 측면의 양적 성장에 집중하여 연구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사용자 중심의 사후평가 체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함께 심리적 측면까지도 고려한 공공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만족도 분석을 위한 공공디자인 평가항목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한선행연구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공공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3장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된 공공디자인 평가방법 및 평가항목에 관한 대표적인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공공디자인 평가를 위한 항목 및 요소를 도출한다. 4장에서는 실증분석을 위한 장으로 공공공간 이용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공공디자인 요소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평가항목을 검증한다. 5장에서는 앞에서 진행한 연구들을 토대로 종합적인 연구결과와 의의를 정리한다. (결과) 공공디자인 평가항목은 총 9항목에 대하여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 분석에 앞서 신뢰도 분석을 하였으며, 사용된 측정 도구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평가항목의 신뢰도가 0.6 이상이 나왔으므로 신뢰성이 있는 조사임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일반이용자의 경우에는 경관성에 대한 항목이 0.819로 가장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둘째, 평가항목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항목은 공공성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지역정체성, 쾌적성, 경관성, 사용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지속가능성의 경우 9개 항목 중 가장 낮은 순위의 만족도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상 공간이 지역에서의 공공성을 포함한 대표적 상징적 공간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결론)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공간에서는 자연적인 요소를 포함한 사용자적 측면의공간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자연요소가 심리적 측면에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의미한다. 둘째, 공공공간 계획 시 쾌적성을 기반으로 한 공간에 대한 계획이 필요하다. 만족도 분석 결과 사용자들은 쾌적성을 통해 공공공간에서 심리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셋째, 도시환경에서는 커뮤니티가 활성화될 수 있는 공공공간이 매우 중요하다. 지역사회에 다양한 커뮤니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 제공을 통해 사용자에게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이 부여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화된 공공디자인 평가에 대한 후속연구가 제시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 trends indicate that there are studies being conducted on the evaluation of public space along with interest in the user needs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s; however, the realistic restrictions of these studies, being conducted from a policy perspective by regional autonomous governments, indicate that these studies are focused on the quantitative growth from the standpoi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rather than on the qualitative growth. This leads to the demand for public design that also considers the psychological aspects, along with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user-focused ex-post evaluation. Based on such perceptions, this study aims to propose public design evaluation items that analyze user satisfaction. (Method)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s well as on empirical analysis through surveys. In Chapter 2, previous literature on public design will be examined, and theoretical contemplation will be carried out. In Chapter 3, main items and factors for public design evaluation will be deduced through leading previous literature on the public design evaluation methods and items. Chapter 4 conducts satisfaction surveys targeting users of public space, and focuses on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evaluation items will be verified based on the analysis of public design elements which the users demand. In Chapter 5, the study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are organized based on the studies conducted in the prior chapters. (Results) Satisfaction levels were analyzed on a total of 9 items for public design evaluation item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ed prior to analyzing satisfaction, and the reliability assessment for the measurement tools utilized indicated that the reliability of all evaluation items was over 0.6, statistically verifying that this research is reliable. Specifically, for general users, scenery-related items showed the highest reliability at 0.819. Second, the item with highest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publicness. It was followed by regional identity, pleasantness, scenery, and usability. On the other hand, sustainability exhibited the lowest satisfaction among the 9 item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target space being a leading symbolic space that includes publicness in this region.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public spaces, user-focused spatial construction that includes natural elements is very important. This indicates that natural elements influence psychological aspects. Second, spatial planning that focuses on pleasantness is required in public space planning. Analyzing satisfaction has shown proof that use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in public spaces through pleasantness. Third, in an urban environment, public space that allows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is very important. By providing spaces wherein a variety of communities can be formed in the regional community, it could be found that users were bestowed with identities as members of the society.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tudy, we expect that follow-on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public design evaluations that actively reflect user needs.

      • KCI등재

        사용자 참여 방식의 초등학교 실내공간 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신선영 ( Shin¸ Sun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학교 실내공간의 색채는 교육적 생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학교 실내공간 색채디자인 적용 방식은 건축적 설계의 편의성과 시공의 경제적 이윤을 위한 일편적 방식이 적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세대인 어린이들이 생활하는 서울 창동초등학교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교육활동을 위한 환경색채에 대한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색채디자인 연구에 있어 사용자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워크샾을 통하여 실질적 사용자 참여에 대한 색채 결과를 디자인에 적용하여 향후 색채연구의 기초자료로 역할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 과정의 내용을 정리하면 1단계로 답사를 통하여 학교의 현재 공간의 색채 환경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의 디자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2단계로 학교 실내공간 사용자를 대상으로 교육 색채에 대한 강의 및 디자인 참여 워크샵을 실시하여 세부적인 참여의견을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3단계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한 색채디자인 컨셉과 방향을 도출하여 공간별 내용을 정리하였다. 4단계로 참여 내용과 색채 디자인 이론 및 분석을 기반으로 여러 유형을 디자인하여 관계자 협의를 통한 의견 조율을 통하여 최종안을 선정하였다. 5단계로 색채디자인 최종안에 대한 색채 코드 및 샘플을 기초로 도장 공사를 실시하고 만족도 및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교실에 적용된 색채는 주조색으로 S 0520-R90B는 벽체와 기둥에 적용하였으며, 또한 보조색으로 S 0520-R90B는 게시판 영역에 적용되었고, S 0530-R90B는 창문 선반 하부에 적용되어 공간 구분의 기능을 적용하였다. 복도에 적용된 색채는 층별 구분을 위하여 두 가지 형식으로 적용되었는데 주조색은 S 0520-R90B와 S 0530-R90B, 0520-B30G, S 1030-B30G, S 1050-B30G, S 0560-Y, S 0520-G50Y, S 0540-G50Y, S 1060-G50Y이 적용되었다. 또한 계단실에는 각 층별로 1층에는 Y 계열인 S 0520-Y와 S 0540-Y, S 0560-Y를 그래픽 형식의 강조색으로 적용하였으며, 2층에는 BG 계열의 S 0520-B30G, S 1030-B30G, S 1050-B30G를 적용하였고, 3층에는 GY 계열의 S 0520-G50Y, S 0540-G50Y, S 1060-G50Y를 적용하였다. 또한 4층에는 YR 계열의 S 0520-Y40R, S 0550-Y40R, S 0570-Y40R을 적용하여 전체적인 계단실 색채가 층별로 다른 인지 효과를 창출하게 하였다. (결론)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실내공간의 색채디자인에 있어 참여 워크샵 과정은 매우 의미가 있으며, 긍정적인 결과에 도달한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사용 시 심리적으로 중요한 역할과 긍정적 결과에 도달하므로 향후 지속적인 참여를 통한 교육공간 색채디자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Background and Purpose) Although the color of the school interior space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educational life, the existing color design application method of the school interior space has been applied to the convenience of architectural design and the one-sided method for economic profit of construction.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conducted a design study on environmental colors for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interior space of Changdong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ere children, who are very important generations in education, live.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a database for future color research by applying the color results of actual user participation to design through wor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In the first step, the study set up a design plan such a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color environment of the current space of the school through exploration. In the second stage, lectures on educational colors and workshops for design participation were conducted for the users of the indoor space of the school, and detailed opinions were drawn and arranged. In the third stage, the color design concept and direction based on the user’s requirements were derived and the contents by space were arranged. In the fourth stage, the final draft was selected through coordination of opinions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participants by designing various types based on the participation contents, color design theory and analysis. (Result) The color applied to the classroom was the casting color, and S0520-R90B was applied to the wall and column. Moreover, S0520-R90B was applied to the bulletin board area as the auxiliary color, and S0530-R90B wa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window shelf. The color applied to the corridor was applied in two types for the classification of each floor. The cast colors were S 0520-R90B and S0530-R90B, In addition, the first floor of each staircase was applied with Y series S0520-Y, S 0540-Y, S0560-Y as graphical emphasis colors. On the second floor, BG series S0520-B30G, S1030-B30G, were applied. On the third floor, GY series S0520-G50Y, S0540-G was applied. 50Y, S1060-G50Y were applied. In addition, the fourth floor was applied with YR series of S0520-Y40R, S0550-Y40R,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different cognitive effects by floor. (Conclusion) Through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draw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workshop in color design of interi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is very meaningful and that it reaches positive results. As it reaches psychologically important role and positive result when using i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color design of educational space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협업플랫폼 개발 연구

        이소이 ( Lee Solee ),이돈일 ( Lee Donil ),이은영 ( Lee Eun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상업공간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디자인적 요소가 요구되고 이와 관련된 전문 회사들의 협력을 토대로 디자인 프로젝트가진행된다. 그러나 공간디자인은 프로세스와 프레임 워크적인 연구는 부족하고 전문적인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는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을 위한 실행 차원에서의 디자인 개발 도구로 상업공간 디자인의 활성화를 위한 특성 요인 구축과 프로세스 활용으로 한정한다. 실무자들은 상업공간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와 상업공간 디자인 경영전략 구축에 통합적으로관리, 소통하며 공유할 수 있도록 활성화 되어 져야 한다. 연구의 목적은 시대적 요구를 받아들여 최근 상업적 공간들의대표적인 디자인경영 전략을 ‘협업 플랫폼’으로 새로운 활로를 모색한다. (연구방법) 상업공간 디자인의 전략적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의 개념은 가치 있는 수단이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과정으로 소비자와 기업, 디자이너 외 다양한 통합적 소통 프로세스 과정을 설정하고 상업공간의 디자인 전략 과정에 있어 개념, 요소, 절차가 무엇인지 명확한 요인을 도출하여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분석의 틀을 개발하여 실행 체계 검증을 위해 분포도와 빈도를 분석한다.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 기준으로 분석하여 객관적인 가치를 도출하며, 상업공간 디자인이 진행될 때 사용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한다. (결과) 상업공간 디자인에서 협업플랫폼은 디자인 전략이 진행될 때 적절하고 합리적으로 진행이 이루어지게 되며 각 진행단계에 따라 공간디자인 세부요소의 우선순위와 중요도에 따라 상황, 시간, 장소에 맞게 플랫폼 세부요소를 선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해관계자 중심의 시각에서 프로세스진행 순서와 디자인 요소에 대해 파악하여 협업적 플랫폼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주체자 관계 간에 따라 마케팅 플랫폼 구성요소에서 어떤 것들을 강조하여 진행해야 하는 지, 혹은 중복되는 작업에 대한 기준 부재를 해결, 적합한 인력구성에 대해 역량을 파악 할 수 있다. (결론)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은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정립되지 못하였고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되며 학제적 접근이 요구되는 디자인 컨설팅 연구이다. 협업플랫폼 프레임 개발로 다양한 상업공간디자인 전략 구축에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업공간 디자인 전략의 이론적 기초를 정립하고, 효과와 가치를 증명함으로 상업공간 디자인의 본질적 가치뿐만 아니라, 기업의 미래 사회에서 추구 될 새로운 공간디자인 가치를 구체화 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상업공간의 디자인 협업플랫폼 전략은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 개척과 무형의 자산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하고, 방법론을 구축하여 필수적 요소들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commercial space design (CSD) development process, it is difficult to find specific operational cases that can be managed by design, design, and marketing departments. Losses and conflicts occur frequently due to such work and work vacancy. In addition, process and framework research is insufficient, as is specialized research. This study is a design development tool at the execution level for a CSD strategy and is limited to the establishment of characteristics and process utilization for the activation of CSD. Practitioners can integrate, manage, communicate, and share the CSD development process and strategy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new way to pursue the needs of the times and of recent commercial spaces with a design management strategy as a “collaboration platform.” It was significant to create a space business model that fits the paradigm shift in the platform to establish a CSD strategy process, and derive the elements necessary for a simple CSD for a collaboration platform to present practical application guidelines. (Method) As a process to create new value, various integrated communication processes other than consumers, companies, and designers are set, and clear factors of concepts, elements, and procedures in the design strategy process of commercial spaces are deduced to study application plans. We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and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frequency to verify the execution system. We further analyze the CSD strategy standards to derive objective values and present a roadmap that can be used when CSD progresses. (Results) The study’s purpose is to create a spatial business model for the paradigm change through the platform to establish the CSD strategy process and derive the factors necessary for CSD through the collaboration platform. (Conclusions) The expected effects of the framework based on the collaboration platform for the CSD strategy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 Establishment process of detailed design elements through integrated thinking and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② Shortening the time of overall design development and reducing costs by making decisions through decision-making. ③ Time shar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real-time feedback by sharing collaboration platform tools among stakeholders. ④ Establishment of a corporate identity and identity of space, progressive distribution, and selection of detailed elements of space design. ⑤ Improving the brand and company’s image according to the matching target images of actual spaces to be installed in the future as well as spaces to be designed as per consumer needs (in other words, detailed development of an open type collaboration platform that can support user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