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의 상위저널을 중심으로 본 한국 경영정보학연구의 다양성에 관한 비교연구

        신호균,심완준,노경수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경영정보학의 학문영역은 1968년 정보기술이 경영정보시스템으로 확장 발전되면서 타 학문영역과 비교하여 정확한 분류체계를 가지기 위한 학문적 다양성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 동안 이 분야의 연구들은 경영정보학 연구의 주제 및 개념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패러다임의 변화를 알 수 있으 며, 참고학문영역의 수, 연구방법의 범위 등을 통해 경영정보학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Benbasat and Weber, 1996; Robey, 1996). 물론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가 국내 발간 학술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는 있지 만, 최근 들어 경영정보학을 중심으로 한 내용분석 연구 등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정보학’ 분야의 상위저널인 APJIS, ISR, 정보시스템 연구의 2009년 부터 2013년까지의 5개년간의 학술논문들을 바탕으로 연구주제의 분석 및 키워드 분석을 통해 저널 별 연구패러다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경영정보학 분야의 패러다임 연구를 통해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경영정보시스템의 변화를 접목함으로써 중요 키워드의 변화를 바탕으로 MIS 연구의 확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연구저널을 통합한 키워드의 변화를 통해 경영정보학 연구의 연구동향 및 향후 경영정보학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관광산업에서 시장지향성과 혁신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창석,구철모,정남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다양한 정보 기술이 등장하였고 산업 전반적인 부분에서 정보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경영학과 마케팅을 필두로 이러한 정보시스템의 사용과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 되고 있 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관광산업 분야에서는 전체 사업체의 25%만 정보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정보시스템의 사용이 미비한 실정이 며, 이와 관련된 연구도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관광산업 분야에서도 정보시스템의 사용과 성과와의 관계를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를 검증할 필요가 있 다. 본 연구는 관광산업관련 업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관광산업에서 정보기술의 사용이 개인의 업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장지향성 이론과 혁신성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관광산업에 적합하게 변수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 고, 연구모형을 설계 하여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관광산업에서 정보기술의 사용 요인과 그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으며, 관광산업에서 정보기술 사용의 중요성에 대하여 시사하였다. 또한 정보기술의 사용이 곧 관광산업 종사자들의 업무 성과를 높여준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제시 함으로 관광분야산업에서 정보시스템을 사용 하여 경영적인 측면과 운영적인 부분에서 개인의 업무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은 물론, 경영학과 마케팅분야에서 연구되어진 이론을 관광분야에 적용시켜 활용한 것에 이론적인 함의를 둘 수 있 다.

      • 보안정책 요인이 안전한 지식경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종원,김현규 한국경영정보학회 2011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

        급속한 정보화의 진전으로 인한 형식지의 증가 및 활용, 암묵지 활용의 증가는 온-오프라인상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식의 창출, 공유, 활용에 있어서 지식의 누출, 유출, 파괴, 변조, 왜곡 등의 위협들로부터 지식의 가용성, 기밀성,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한 지식경영"의 필요성을 대두시키고 있다. 안전한 지식경영이란 "올바른 지식을 생산, 획득하고(무결성/인증성), 적합한 사용자가 사용하며(기밀성/소유성), 이러한 지식이 조직이나 개인의 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가용성/유용성) 것"으로 정의한다. 기존의 지식경영에 관한 연구를 보면, 지식의 발굴, 창출, 공유, 활용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고 있으나 안전한 지식경영에 대해서는 찾아보기 어렵고 지식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적 차원의 고려에 머무르고 있으며, 보안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운영적, 기술적 측면의 연구, 보안 중심적이며 개별 보안 분야 중심의 연구에 치중되고 있어, 지식경영의 상의 안전대책의 강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경영의 성공을 위해 안전한 지식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며, 안전한 지식경영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식경영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 자생체계모형(VSM)의 관점에서 본 정보시스템 경영

        유재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9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11

        The abstract should be clear, descriptive and no longer 최근에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혁신(digital revolution)으로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s)의 역할은 기업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기업은 새로운 가치 창출에 있어서 정보시스템을 어떻게 설계하고 활용하는 가에 따라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과 활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 이론의 관점에서 에스페조(Raul Espejo)가 제시한 ‘자생체계모형(Viable System Model)’ 의 관점에서 본 조직 내 정보시스템의 체계적인 경영 방법을 제시한다. 예를 들면, 조직의 성과는 조직내 의사결정과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의 해석과 연관된 ‘정보적 영역(informational domain)’과 전략적 의사결정과 연관된 ‘운영적 영역(operational domain)’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해석학적 관점의 정보시스템 경영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Hospitality 산업에서 정보시스템의 사용과 업무성과에 관한 연구

        구철모,이창석,정남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다양한 정보 기술이 등장하였고 산업 전반적인 부분에서 정보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경영학과 마케팅을 필두로 이러한 정보시스템의 사용과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 되고 있 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관광산업 분야에서는 전체 사업체의 25%만 정보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정보시스템의 사용이 미비한 실정이 며, 이와 관련된 연구도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관광산업 분야에서도 정보시스템의 사용과 성과와의 관계를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를 검증할 필요가 있 다. 본 연구는 관광산업관련 업무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관광산업에서 정보기술의 사용이 개인의 업무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TTF(Task-Technology-Fit)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자원기반이 론, 혁신성, 시장지향성의 세부적인 이론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설계 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을 하였 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관광산업에서 정보기술의 사용 요인과 그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으며, 관광산업에서 정보기술 사용의 중요성에 대하여 시사하였다. 또한 정보기술의 사용이 곧 관광산업 종사자들의 업무 성과를 높여준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제시 함으로 관광분야산업에서 정보시스템을 사용 하여 경영적인 측면과 운영적인 부분에서 개인의 업무 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은 물론, 경영학과 마케팅분야에서 연구되어진 이론을 관광분야에 적용시켜 활용한 것에 이론적인 함의를 둘 수 있다.

      • 네트워크 구조와 조직학습문화, 지식경영참여가 개인창의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 SI제안팀과 R&D팀의 비교연구

        이건창,서영욱,채성욱 한국경영정보학회 2010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

        다양한 팀제를 운영하는 기업들은 단기간내 형성되어서 성과를 내야하는 Task Force Team(이하 TFT로 명명함) 형태의 임시조직과 장기간 동안 존속하는 부서형태의 상설조직을 고려하여 조직 네트워크 구조, 조직학습문화, 지식경영 프로세스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개인창의성 및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계의 연구 수준은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제시한다. 첫째 : 기업의 임시조직과 상설조직에 따라 조직학습문화와 지식경영참여를 어떻게 조정해야 개인창의성과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는지 실증분석 한다. 둘째 : 기업의 임시조직과 상설조직에 따라 네트워크 구조를 어떻게 설계해야 개인창의성과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는지 실증분석 한다. 최근 시스템통합(System Integration; 이하 SI로 명명함)업체간 경쟁심화로 SI 제안서 작성하는 팀 구성원들은 창의성 있는 제안서를 요구 받는다. 또한, 전통적으로 일반기업의 연구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이하 R&D로 명명함)팀은 창의성 있는 직무 수행팀으로 알려져 있다. R&D팀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기술적 지식을 창출 및 공유함으로써 제품이나 기술의 과학적 개선과 향상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개인 창의성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형 SI업체의 제안팀원과 일반기업의 R&D팀원으로 제한하였다. 전문 리서치 회사를 통해 설문을 하였으며, SI제안팀 7개 74명, R&D팀 6개 63명, 총 13개팀 137명의 설문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설정한 이론적 연구모형과 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PLS(Partial Least Square) 소프트웨어 중의 하나인 SmartPLS 2.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직학습문화, 지식경영참여 정도 모두 개인창의성 발휘에 영향을 주지만, 단기간에 과업을 수행하는 임시조직인 SI제안팀은 조직학습문화가 개인창의성을 높이는데 더 큰역할을 하며, 장기간 동안 존속하는 상설조직인 R&D팀은 지식경영참여 정도가 개인창의성을 높이는데 더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 구조는 SI제안팀의 경우 연결밀도 중심성이 개인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며, 구조적 공백은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R&D팀의 경우 구조적 공백이 개인창의성에 영향을 미치고 연결밀도 중심성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인창의성 및 조직성과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네트워크 구조설계에서 임시조직과 상설조직간의 구조설계 전략을 달리 가져가야 한다. 조직의 네트워크 구조 설계 시 단기간내 높은 창의성으로 성과를 내야하는 TFT성격의 임시조직은 느슨한 네트워크 구조보다는 팀 구성원간의 네트워크 밀도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이를 통해, 팀 구성원들 중 연결밀도 중심성이 높은 구성원이 개인 창의성을 발휘하면서, 정보와 지식의 공유 및 전파에 적극성을 갖고 해당 과업을 주도적으로 수행하게 함으로써 팀 또는 조직 전체적으로 성과를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한편, R&D팀과 같이 장기간 부서형태로 존속하는 상설조직은 네트워크 구조 설계에서 높은 네트워크 밀도보다는 느슨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면서 구조적 공백의 장점을 살려야 할 것이다. 즉, 상설조직의 네트워크 구조는 구조적 공백이 높아짐에 따라 네트워크 내의 강한 중재자의 장점이 확보되어서 중복된 관계를 최소화하며 네트워크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개인 창의성이 조직성과로 시너지 효과를 이루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조직학습문화, 지식경영 차원에서 개인 창의성을 높이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조직은 개인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발의되고, 팀 구성원 간에 활발한 토의가 일어나며 팀 구성원들이 서로 학습 정보에 대한 신뢰가 생기도록 조직학습문화 형성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또한, 조직의 구성원들은 지식경영 프로세스에 참여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기 위해 브레인스토밍과 토론을 활용하고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하여 팀 구성원간의 지식을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축적된 지식을 활용해야 한다. 또한, 지식경영 참여 정도를 더욱 높여서 개인 창의성이 팀과 조직의 성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조직학습문화, 지식경영참여 정도 모두 개인창의성 발휘에 중요하지만, 임시조직과 상설조직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문화 및 지식경영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임시조직은 조직학습문화가 개인창의성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기간내 창의성을 높이도록 조직학습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구성원간에 빠른 시일내에 서로 신뢰를 쌓고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학습 할 수 있도록 학습환경 조성,합리적인 보상정책 제시, 리더들의 솔선수범 및 리더십 발휘가 필요 할 것이다. 또한, 상설조직은 지식경영참여 정도가 개인창의성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지식의 생성, 축적, 공유, 활용, 학습으로 구성된 지식경영 순환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팀 구성원들의 지식경영 프로세스 참여가 활발하도록 해야 개인 창의성이 높아지면서 상설 조직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각 기업에서는 임시조직과 상설조직에 적합한 조직학습문화, 지식경영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정도를 통제 및 조정해야 개인 창의성 및 조직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개인의 자아존중감이 개인정보의 중요도 인식과 개인정보보호 실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송신정,유진호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개인정보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에 반해 상대적으로 개인정보보호 실천활동은 적극적으로 이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개인의 자아존중감이 개인정보의 중요도 인식과 개인정보보호 실천활동 사이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을 상정하여 이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 KCI등재
      • 빅데이터 사회에서 정보 영향력에 관한 탐구적 연구 - 통계 정보와 사례 정보 중심으로 -

        최준현,서동백 한국경영정보학회 2019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는 빅데이터 사회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유형을 ‘통계정보’와 ‘사례정보’ 형태로 구분 짓고,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정보가 대중들에게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 탐색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통계정보’ 는 과거 의사결정 과정에서 절대적으로 우위를 점하는 도구였다. 하지만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나타난 ‘사례정보’ 는 우리 사회에서 큰 파급효과를 낳고 있다. 따라서 ‘ 통계정보가 사례정보보다 신뢰성이 높지만, 사람들은 개인적으로 경험하는 다양한 일화적 사례정보에 훨씬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라는 관찰에 근거하여 탐색적으로 통계정보와 사례정보에 대해 사람들의 인식을 알아보려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분석했다. 이후 연구를 통해 얻은 의의와 한계를 본 논문에서 밝히려 한다.

      •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별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관한 연구 :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을 중심으로

        김동연,박규홍,박용진,주재현,안재현 한국경영정보학회 2016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1

        사물인터넷은 모든 사물이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으며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활용 가능한 정보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 개인정보가 사물인터넷 서비스 가치를 위한 필수요소로 부각하고 있다. 즉, 개인정보의 제공여부에 따라 사물인터넷 서비스 이용 범위에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인정보 가치의 변화가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의 관점에서 사물인터넷 서비스 별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야(헬스케어, 스마트 교통, 스마트 홈)에서 인지된 프라이버시 이익만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하며, 인지된 프라이버시 위험은 유의미하지 않거나 서비스 제공자의 신뢰라는 요인을 통한 간접영향만이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 교통 서비스는 인지된 프라이버시 이익이 헬스케어, 스마트 홈 서비스보다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 사물인터넷 서비스 별 차이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위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별 전략 도출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