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간호대학 임상실습 교육자의 역할 경험

        임사라,홍수민,김상희,김수경,김예린 한국간호교육학회 2019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lived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u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1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by in-depth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of Downe-Wamboldt (1992). Results: Four themes and twelve subthemes were extracted. 1) Recognizing and conducting the roles of clinical nursing instructor: ‘Helping and providing support for successful clinical practicum’, ‘Coordinating clinical activities in daily practice’, ‘Providing mentoring as an elder in life’; 2) Participating in improving integrative nursing competency: ‘Helping to improve cognitive competency’, ‘Helping to improve functional competency’, ‘Contributing to form desirable professionalism’, ‘Helping to deliberate the nature of nursing’; 3)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role of clinical nursing instructor: ‘Facing with difficulty from institutional limits’, ‘Recognizing difficulty from lack of pers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4) Experiencing value of clinical nursing instructor and accomplishing personal growth: ‘Making efforts to widen pers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Developing one’s own educational competency’, ‘Making a chance to reflect oneself’. Conclusion: Despit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clinical nursing instructors, little is known of th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to improve the quality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본 연구는 일 간호대학 임상실습 교육자의 역할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실습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임상실습 교육자의 역할을 인식하고 수행함’, ‘간호대학생의 통합적 간호역량 향상에 참여함’, ‘임상실습 교육자로서 역할 수행의 어려움을 경험함’, ‘임상실습 교육자의 가치를 경험하고 개인적인 성장을 이룸’의 4가지 주제와 12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일 간호대학 임상실습 교육자의 역할 경험을 탐색한 최초의 연구로 현재 널리 활용되고 있는 임상실습강사나 수간호사, 프리셉터의 학생 지도 경험과는 질적으로 구별되는 특성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임상실습 교육자는 직무 특성으로 인한 교육의 수월성이 높고, 실습 시간 동안 온전히 학생 교육에 몰입이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습 교육자의 교육적인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향후 간호 교육기관에서는 실습 지도자를 대상으로 실습에 대한 체계적인 오리엔테이션과 표준화된 교육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미래 전문직 간호사로서 간호의 중심 철학을 실천하는 질적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 전략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실무 현장에서는 학생들이 의미 있는 실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학생 친화적인 실습환경을 조성하고, 현장 지도자의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도적인 지지와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 간호대학 내 일부 임상실습 교육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향후 대상자를 확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저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이영희,안혜영 한국간호교육학회 2019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5 No.3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education on emergency management using a low-fidelity simulator as related to clinical skill performance, self-confidence, knowledge, learning satisfa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ew nurses. Methods: A pre-post test experimental design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applied. Fifty-five new nurses were recruited, 28 nurs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nurses for the control group. A simulation education for emergency management comprising knowledge lecture, team learning, skill education, team simulation, and debriefing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rom Feb. 14 to 27, 2015. Data were analyzed with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and t-test using SPS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t=5.81, p<.001), clinical skill performance (t=10.08, p<.001), self-confidence (t=-6.24,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2.42, p=.019), and learning satisfaction (t=4.21, p<.001) for emergency manage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o had traditional lecture educatio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 simulation education using a low-fidelity simulator is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for new nurses to deepen their clinical skill performance, self-confidence, knowledge, learning satisfac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learning emergency management. 본 연구는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를 적용하여 응급상황관리에 대한 지식,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전통적 강의식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지식,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 만족도가 향상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신규 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지식과 임상수행능력, 수행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및 학습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학습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실제 임상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는 응급상황 사례를 중심으로 한 응급상황관리 시뮬레이션 교육이 신규 간호사에게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다양한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임상현장에서 신규 간호사가 병원 입사 후 받는 신규 오리엔테이션 교육과정에 구조화된 교육 중재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 신규 교육과정에 활용함으로써 신규 간호사의 응급상황관리 지식, 임상수행능력과 수행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고 환자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국내에서 응급상황 시뮬레이션 교육에 저충실도(low-fidelity)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으므로 본 연구의 타당성 확인을 위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시뮬레이션 교육의 횟수와 기간을 늘린 교육 중재 후 신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향후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교육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와 시뮬레이션 교육 후 신규 간호사가 병원에 입사하여 실제 임상실무능력에 어떻게 반영되고 적용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간호학 임상실습교육 실태 조사

        송지호,김미원 한국간호교육학회 2013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current state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t hospitals. Methods: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to 236 hospitals which have over 300 beds. Out of these, 116 hospitals respond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ean, frequency, t-test, and ANOVA test. Results: These hospitals have teaching agreements with 4.2 nursing colleges and clinical education lasts 8 months. Clinical education status regarding hospital characteristics, between a university hospital, non-university hospitals, among advanced general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special hospital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in colleges per hospital and nurses’ degree. 37.9% of cases have no internal regulation for nursing education, and in 68.1% of cases, students' practice was limited to simple nursing care. The current primary guide for student's practice was head nurse (61.25%), and the course professor took charge of mainly the conference. The difficulties as an educational hospital are increases in work load, difficulties in teaching,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simultaneous practical training, complaints from patients, lack in training manpower, and stress.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big hospitals are heavily burdened by nursing education an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for educational hospitals to ensure higher quality education. 현재 실습을 담당하고 있는 병원의 경우 간호학 실습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대학병원보다 대학병원에,종합병원이나 병원보다 상급종합병원에 여러 학교의 실습이집중되어 있어 이들 병원의 경우 간호학실습교육에 의한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대학병원보다 대학병원에,종합병원이나 병원보다 상급종합병원에 여러 학교의 실습이집중되어 있어 이들 병원의 경우 간호학실습교육에 의한 부담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별 실습교육정책 및 자원에 있어 실습관련 내부정책이 없는 경우가 상당하였고, 협약은 매우 짧은 기간 동안 단발적으로 체결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단기적이고 불안정한실습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볼 때 병원실습에서각 학교의 교육목표를 반영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생각된다. 간호학생들의 실습범위에 있어서, 직접간호 수행을 충분히 경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지도 인력에 있어현재 학생실습을 주로 지도하는 인력은 수간호사였으나,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학생실습지도자로는 수간호사보다 현장간호사가 더 높았다. 또한 교수의 실습지도는 집담회 진행이 가장많았고, 직접실습지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을 볼 때 효과적인 실습지도를 위해 지도내용과 이에 적합한 인력은 누가 되어야할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한국 간호대학생의 학습경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홍수민,김상희 한국간호교육학회 202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6 No.2

        Purpos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ursing education will change in a different way than b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on learning experiences for nursing student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nursing education geared to the needs of the future. Methods: An integrative review method was used. Based on Whittemore & Knafl’s approach, five steps were applied. Results: Eleven papers met the selection criteria and had above average ratings in quality appraisals. Thre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learning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were derived: (1) overcoming difficultie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concentrating on problem-solving, (2) improving self-efficacy through experiencing achievement in the learning process, (3) establishing nursing professionalism, (4)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and self-reflected learning, and (5) developing teamwork. Conclusion: This review found that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were conducted for practical experience and learner-oriented learning. Nursing students overcame difficulties to achieve their learning outcomes, and developed their professionalism.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comprehensively explore research including other countries, and the experiences of instructors. 임상 간호 현장은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으며, 간호 대상자들의 요구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간호대학에서는 간호대학생에게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여 임상추론을 할 수 있는 지식, 기술 및 태도를 갖출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통합적 문헌고찰을 실시한 결구 본 연구에서, 실제적 경험과 학습자 중심 학습을 목적으로 다양한 학습경험이 이루어졌다. 학습경험은 시뮬레이션, PBL, TBL, 플립러닝 등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반한 교육이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은 학습경험을 통해 성장하였고, 이와 관련하여 세 가지 특성이 도출되었다. 첫째, 학습과정 중 어려움이 있더라도 극복하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중하였다. 둘째, 학습과정 중의 성취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경험하였다. 셋째, 간호의 메타패러다임 중 하나인 인간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바람직한 전문직관을 형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 간호대학생의 학습경험만을 파악하였으므로, 국외 간호대학생의 학습경험까지 포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다양한 교육매체를 활용한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활용되고 있으므로 더 많은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학습경험을 탐구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교육방법론을 적용한 교수자들의 경험도 탐구함으로써, 수업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도덕적 민감성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영숙,이준영 한국간호교육학회 202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6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moral sensitivity affect th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had completed at least a one year (2 semesters) clinical nursing practicum through K University in D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188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third grade (n=104) and fourth grade (n=84). The questionnaires were adopted with clinical practice stress, Korean version of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K-MSQ), and the clinical competency. Results: Clinical compet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oriented care (r=.27, p<.001) and the professional responsibility (r=.32, p<.001) of the moral sensitivity (r=.27, p<.001). The attitude of medical personnel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stres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linical competency (r=.15, p=.038). The attitude of medical personnel (ß=.09, p=.194)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stress, patient-oriented care (ß=.16, p=.041)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y (ß=.23, p=.003) of the moral sensitivity explained 12% of the variance in clinical competency (F=9.17, p<.001). Therefo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y were two sub-factors of moral sensitivity. Conclusion: Mor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a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본 연구는 188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 도덕적 민감성, 임상수행능력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도덕적 민감성(환자중심 간호와 전문적 책임)을 입력한 결과 임상실습스트레스(의료진의 태도)만 투입했을 때 보다 설명력이 10.7% 증가하였고, 임상실습스트레스(의료진의 태도)와 도덕적 민감성(환자중심 간호와 전문적 책임)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총 설명력은 12%이었으며 환자중심 간호와 전문적 책임의 도덕적 민감성이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이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의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도덕적 민감성을 배양해야 하고, 이를 위해 간호대학 교육과정에서는 윤리교육을 통해 도덕적 의미를 높이고, 도덕적 판단을 훈련할 수 있도록 윤리적 사례를 통한 사고를 자극하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앞으로 전문직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에게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환경 마련 방안과 도덕적 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덕적 민감성 도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이 되었고, 한국버전의 도덕적 민감성 도구는 원 도구의 하위영역(갈등, 도덕적의미, 선행)과 유사하지만 2개(환자중심간호와 전문적 책임) 영역은 차이가 있었으므로 한국간호사들의 문화적 차이를 반영한 도덕적 민감성 도구개발 및 원도구의 타당성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덧붙여 학생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도덕적 민감성 도구 개발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도덕적 민감성,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겠다.

      • KCI우수등재

        임상실습 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지식, 임상실습 불안,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은정,김은정 한국간호교육학회 2019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5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nursing knowledge, anxie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before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Methods: Third-year university students who had not yet entered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Nineteen students formed the experimental group and participated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for 7 sessions. The 19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provided with clinical practice orientation in the form of traditional lectures. Outcome measures assessed nursing knowledge, clinical practice anxie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simulation-based education and after six weeks of clinical practice. Results: Nursing knowledge and clinical anxie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mong the subcategories, the ability to apply the nursing process and the ability to educate and cooperate were shown to maintain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ntrol group by the end of the six weeks of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The simulation prior to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practice could be useful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Nursing educators should consider building programs to reduce anxiety and improve performance ability through simulations. 본 연구는 첫 임상실습에 나가기 전 제공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지식, 불안,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매주 4시간씩 7차수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임상실습 전 제공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간호지식과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하지만, 실험군의 임상수행 능력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 하위영역 중에서 특히, 간호과정 적용 능력과 교육 및 협력관계에 대한 능력은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후 6주간의 임상실습이 종료된 후까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그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을 제언한다. 첫째, 실습임상실습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신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보다 정련하여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뮬레이션 기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에 추가로 실습 불안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실질적으로 불안을 줄일 수 있는 전략을 병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장기적인 효과와 효율성에 관한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의 7차수 교육으로 수행능력이 향상되어 6주 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다른 결과 변수들은 효과가 없었다. 시뮬레이션 교육이 교수자 인력, 시간, 학생 수 제한 등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바, 교육의 효과가 나타나고 유지되기 위한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임상실습을 앞둔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의 효과가 지속되기 위한 합리적인 교육 기간 및 내용 등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표본수의 확대와 함께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를 사용하여 반복 연구를 할 것을 제언한다.

      • KCI우수등재

        간호대학생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박진경 한국간호교육학회 2019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There were 36 nursing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in I-city, Korea. A Chi-square, t-test, and ANOVA with the SPSS/Win 21.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score for multicultural awarenes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over the control group (t=0.85, p=.026). Scores for cognitive area (t=0.89; p=.037), ritual area (t=-0.10, p=.915), and action area (t=1.18, p=.031) increased, but the conscious area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score for multi-cultural efficacy for North Korean refugees (t=0.36, p=.030). Scores for cognitive area (t=0.63; p=.029), working area (t=0.05, p=.955), and emotional area (t=0.79 and p=030) increased, but the working area 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to promote multicultural efficacy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ppli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enhancing multicultural awareness and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관련 문화적 역량을 증진하기 위하여 PTT 모델을(Papadopoulous et al., 1998) 이론적 기틀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적용 후, 간호대학생들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의 변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향상에 일부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PTT 모델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교육에서는 일반적인 다문화 교육 외의 북한의 문화와 정치, 환경, 언어 등과 관련 문화 특이적 교육이 효과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결과에서 적용한 PTT 모델을 활용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문화적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다른 다문화 대상자를 위한 문화적 효능감 증진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를 토대로, 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간호대학생들은 향후 임상에서 북한이탈주민을 간호할 때 이들의 문화적 다양성을 인식하고, 이들에게 문화적으로 합당한 간호를 제공해야 된다는 인식을 갖게 되며, 이들에게 맞는 문화 간호기술을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을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PTT 모델에서 제시하는 4요소 외에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봉사활동과 같은 문화적 만남을 추가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직접적인 문화적 만남이 어려울 시에는 대중매체 등의 적절한 활용을 추천하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관련 다문화 교육 시 토의, 사례관리, 문제중심학습, 성찰 일지 등의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하여 이들에 대한 보다 긍정적인 문화적 인식과 태도 함양을 이끌어야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