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 No.2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하여 능동적․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중심의 교육과정을 실시하겠다는 것이다.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은 1995년 교육개혁이 진행되면서 현행교육과정에서 노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많은 관심과 논의에도 불구하고 열린 교육과 마찬가지로 그 의미가 분명하지 않은 채, 아직도 우리의 교육현장은 실험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검토,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한 자료의 축적이 시급한 상태이다. 이 연구는 먼저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둘째,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이 왜 필요한지를 검토한다. 셋째,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을 시행하기 위한 조건은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마지막을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점을 총론적 관점에서 탐색해 보고자 한다.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은 세계화․정보화 시대의 요청이기도 하며, 우리의 교육이 안고 있었던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목적과 내용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이론과 시행과정에 대한 절차 및 구성요소 등이 구체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the same goal as that of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which is to foster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enabling them to choose curricula and courses by themselves. Therefor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coping with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occurring since the adoption of educational reform in 1995. However, there is no clear definition of such a curriculum although it has already become a popular approach in the current educational context. When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s applied at the classroom level without any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such an approach, the school becomes an experimental lab, and the students become guinea pigs. Therefore, it is necessity to gather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and actively debate its appropriateness in the educational context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aterials it uses and to find a rational for accepting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 order to bring about educational reform in Korea. Next,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conditions necessary to apply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the limitation and potential range of this approach will be investigated in general.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is an alternative solution that our current era seeks. However, in order to make adequate use of this approach we need first to investigate how well this approach works in practical situations.

      • KCI등재

        온라인 동료튜터링 운영사례를 통한 대학교양으로서의 비교과 교육과정 탐색연구

        추성경,윤혜경,변소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Objectives As online lectures become more comm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ction plan that can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peer tutoring by linking online peer tutoring with a extra curriculum to revitalize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was subjected for 116 students in the courses of <Posthuman Understanding> and <Convergence thinking and practice>, which open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t D University, a four-year private university in Busan, the 16th session of online peer tutoring was conducted. Using non-face-to-face learning support system(Microsoft Teams), the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he recorded video, activity reports of tutors and tutees, and the output from the peer tutoring operation proces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by exploring the implementation plan of the extra curriculum through online peer tutoring operation case, It is confirmed as followed; first, providing guidelines for the extra curriculum, second, establishing a learning community for the extra curriculum, third, establishing an online feedback system for the extra curriculum, and lastly, establishing a mileage system for the extra curriculum. Conclusions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mprove and diversify the learning effect of liberal arts education by adopting a method of linking liberal arts and extra curriculum through an online peer tutoring course. 목적 온라인 강의가 일반화됨에 따라 대학 교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온라인 동료튜터링과 비교과 교육과정을 연계함으로써 동료튜터링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행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부산 소재 4년제 사립대학인 D대학교에서 2020학년도 2학기에 개설된 <포스트휴먼의이해>와 <융복합적사고와실천> 교과목 수강생 116명을 대상으로 16차시 온라인 동료튜터링을 진행하였다. 비대면 화상학습지원시스템(Microsoft Teams)을 활용한녹화된 영상물을 비롯하여 튜터와 튜티의 활동보고서와 동료튜터링 운영과정에서의 산출물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온라인 동료튜터링 운영사례를 통한 비교과 교육과정 실행방안 탐색으로 첫째,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 둘째,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공동체 구축 셋째, 비교과 교육과정 온라인 피드백 시스템 구축 넷째, 비교과 교육과정 마일리지 제도구축 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온라인 동료튜터링 과정을 통해 교양과목과 비교과 교육과정을 연계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교양교육의 학습효과 향상과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다문화 교육 관점에서 국어 교과서 텍스트 분석

        김혜영(Kim Hye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2

        우리나라는 현재 급격하게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다. 학교에서도 늘어나는 다 문화 가정 학생들과 주류 집단 학생들의 이해와 소통을 위해 다문화 교육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학교에서는 여러 교과 과정 내에서 다문화 교육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데 교과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교과서 텍스트가 다문화 교육에서 어 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다. 본고는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다문화 교육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텍스트 가 어떤 것인지 찾아보고 이들 텍스트의 목표, 내용, 학습 활동이 다문화 교육에 적합 한 체재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국어과에서 다문화 관련 교과서 텍스트는 언어 사용 기능 향상 측면에서뿐 아니라 인식 개선에도 일정한 역할을 할 필요가 있 다**. 본고는 국어과 다문화 교육의 방향 중 인식 개선 측면에서 다문화 관련 텍스트 를 고찰하였다. 다문화 교육 모델과 내용을 논의한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전술한 방향에서 다문화 교육 관련 텍스트 분석의 틀을 만들어 이를 기준으로 하여 텍스트를 분석해 보았다. 여섯 텍스트의 분석 결과 대부분의 텍스트는 언어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측면 모두 에서 주류 관점 다문화 교육 모델의 단계에 머무르고 있었다. 텍스트 분석 결과를 바 탕으로 하여 국어과에서도 다문화 사회를 사는 학생들의 인식을 개선하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고 학습 내용과 학습활동의 세심한 연계를 통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인식 과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는 교육 또한 이루어져야 하겠다.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erception with analysing Korean language textbook texts and adapting the analysis results to schoo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The multicultural texts were selected from the middle school first grade students textbooks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texts. The frame of analysis is from the multicultural curriculum models from the researchers of Korea and abroad. The discussions abou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ulticutural texts were also referred. Six texts were selected because those texts were proved out to include multicultural factors and the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os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most texts showed to stay at the mainstreamers viewpoint in terms of language education and interactions between society members. The students need to be educated to change their thoughts and attitudes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curriculum reform toward the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법률적으로 규정된 범 교과 학습 주제의 문제

        박창언(Park, Changun),민용성(Min, Yongseong),이기용(Lee, Kiyoung),박상욱(Park, Sang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법률과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범 교과 학습 주제가 국가 교육과정상에서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검토하는 데 있다. 논의를 위해 우선 범 교과학습 주제의 배경과 위상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범 교과 학습 주제가 어떠한 성격으 로 등장하였는지 명확치 않고 이에 따라 그 위상도 교과의 하위 영역으로 인식되는경향이 있었다. 다음으로 범 교과 학습 주제의 결정 경로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범 교과 학습주제의 결정 경로는 법률, 법률과 국가 교육과정, 국가 교육과정의 세분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현황에서는 법률에만 제시된 경우, 법률과 국가 교육과정 공통으로 제시된 경우, 그리고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만 제시된 경우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가 교육과정상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문제로 법령 체계상 개념 정립의 어려움, 상이한 경로의 진입으로 인한 통일성 부족, 정치적 결정으로 인한 자율성 침해를 다루었다. 논의 결과, 범 교과 학습 주제와 관련하여 제도적 정 비가 이루어지고 난 후 현재 산재해 있는 이들 내용의 검토를 통해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cross-curriculum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rough the critical analysis of legal context of cross-curriculum and to discuss the proper plan for the enhancement of cross-curriculum. For this end, first, background and status of cross-curriculum in national curriculum. The nature of cross-curriculum is uncertain and Its status was subordinated to subject area. Second, the decision process and present condition of cross-curriculum are discussed. The decision process of cross-curriculum was three: only legal, legal and national curriculum, and only national curriculum. It was the same with current state of affairs. Third, the problems of cross-curriculum in national curriculum is discussed. disputed questions are difficulty of concept establishment in legal system, lack of unity, differenc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violation of school autonom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law system maintenance and cross-curriculum reorganization in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교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연계성에 관한 분석

        조은영(Eun-Young Cho),박상우(Sang-Woo Park),조호제(Ho-Je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이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을 제시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교수⋅학습과 평가에 대한 방향을 전제하고 있고 총론이 학교교육활동에 있어서 헌법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때,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교수⋅학습’, ‘평가’ 등에 제시된 각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방향은 모든 교과 교육의 교수⋅학습과 평가의 방향과 밀접한 연계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초등학교 국어, 수학 교과 교육과정의 평가 기준에 제한하여 연계성을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을 가지고 먼저 총론에 제시된 평가 기준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국어, 수학 교과 평가 기준을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평가기준을 연계성의 준거에 의해 분석하여 그 실태를 살펴보았다. 결과 그 결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방향은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목표-교육내용-교수⋅학습-평가의 일관성, 평가결과 활용으로 수업 개선, 서술형 평가, 논술형 평가 등은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총론과 연계성을 강화하는 평가기준의 재구성을 통한 적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평가기준 제시에서 동일한 의미의 평가 방법을 다른 용어로 제시하는 경우가 있었다. 결론 따라서 교육과정 개발자간의 끊임없는 논의와 대화를 통해 해석상을 차이가 없도록 교육과정은 전체적인 통일성을 갖추어 종합적으로 완결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교과 교육과정 기준 가운데 학생의 학업성취기준은 교육의 성과를 관리하는 목표로 기능할 수 있고, 따라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은 보다 분명하고 명확하게 제시하여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inuity between the current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 and the subject-area curriculum.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standards put an emphasis o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and presupposes the direction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i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Considering that standards plays the same role like the constitution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closely connec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direction of each curriculum presented in ‘emphasis of curriculum composition’,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with all the subject-area curriculum’s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inuity betwee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evaluation criterion of the elementary school’s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subjects. So, the evaluation criterion presented in the standards was first analyzed, and then the evaluation criterion for Korean and mathematics subjects were reviewed. Lastly, based on these reviews, the evaluation criter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continuity and actual situation was examined.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evaluation method⋅precautions and the evaluation direction. In particular, educational goal-education content-teaching⋅learning-evaluation consistency, and the use of evaluation results showed insufficient connection with curriculum improvement, descriptive evaluation, and essay evalu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it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evaluation standards that strengthen the connection with the standard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lso, in the case of presenting the evaluation criterion, there were cases where the evaluation method with the same meaning was presented in different terms. Conclusions So, it is necessary to have overall unity and comprehensive completeness 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through constant discussion and conversation between curriculum developers. Among the curriculum standard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tandards can function as goals for managing educational outcomes. Therefore, the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in the curriculum should be presented more clearly so that it can play a role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은숙(Lee, Eun-Suk),김봉세(Kim, Bong-S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5, 6학년 지적장애학생 30명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15명의 지적장애학생은 연구자가 구안한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을 주 2회 씩 총 16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다른 지적장애학생 15명은 동일한 기간에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적용하고, 자기결정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과 사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며,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하여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독립적인 진로교육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옹호, 목표설정, 문제해결 영역에서 자기결정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진로교육활동 활용 수학 교과학습은 수학적 문제 상황에서 학생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o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earch problem to achieve the objective was set up as follows : what are the effects of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o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earcher selected the fifth and sixth graders of 30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who attend special classes of th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buk-do as subjects of the research. Among the students, first researcher chose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and applied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made by the researcher twice a week, over 16 sets in total, and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program to the other 15 students with intellectually disabilities during the same period. Also, the researcher calculated a pre and post average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test through self-determination test, and verified the difference of effects through analysis of ANCOVA.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by indicating th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conducted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conducted independent career education activity,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was effective in benefitting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erms of self-efficacy, goal sett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Since Mathematical Subject Learning Using Career Education Activity helps students in the mathematical problem situation to critically understand themselves and explore various careers deeply, it has prov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mproving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착하다’의 교육 연구

        XIA 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이 연구는 ‘착하다’의 다양한 의미와 용법을 재검토함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에서 효과적인 ‘착하다’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착하다’의 변별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 연구, 텍스트 분석, 설문 조사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연구의 이론 근거를 제공하고 텍스트 분석과 설문 조사를 통해 실제 언어 상황에서 ‘착하다’의 확장 의미 사용 양상을 검토하였다. 결과 모어 화자의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하여 모어 화자의 ‘착하다’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하기 위해 우선,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착하다’의 각 확장 의미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척도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중국인 학습자의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착하다’ 사용 양상을 파악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 (4단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의 기준을 바탕으로 모어 화자의 사용 빈도, 중국인 학습자의 사용 양상, 중국어 대응어 “善良”과의 차이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의미를 등급화하였다. 또한 ‘착하다’를 교수할 때 적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 교수 및 수용적 학습과 생산적 학습으로의 구분, 모국어 전이를 고려한 사용 제약의 명시, 말뭉치 자료의 활용, 유사 의미의 제시와 용례 비교 등 여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various semantics and usages of ‘착하다’ for suggest an effe studyctive educational direction of ‘착하다’ in Korean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Methods In this,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text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used to analyze the discriminatory meaning of ‘착하다’. By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actual use pattern was reviewed through text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By analyzing the corpus data of native speakers, look at the use of native speakers of ‘착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 education that accords with learners characteristic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learners attitude scale of extended meaning of ‘착하다’. Then, through the corpus analysis of Chinese learners, the use of ‘착하다’ were identified by Chinese learners. Conclusions Based on the criteria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Conent Development (Stage 4)> and <Applied Research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the frequency of use of native speakers, the use of Chinese learners, the difference from the Chinese counterpart ‘善良’. In addition, in the teaching of ‘착하다’, a variety of educational schemes are put forward, including the step-by-step teaching and the distinction between receptive learning and productive learning, explicit of restrictive usage considering L1 transfer, the use of corpus data, presenting similar meanings and comparison of usage etc.

      • KCI등재

        역량기반 전공교육을 위한 교과-비교과 연계 플립러닝 학습효과 분석

        김우태,장은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이 연구는 K대학 경찰행정학과 학생의 전공능력 강화를 위해 교과-비교과 연계 플립러닝의 학습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경찰행정학과 전공 교과목 ‘과학수사’ 수업에서 플립러닝을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하면서 교내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과학수사’ 전공 교과목에서 실제 범죄 사건에 대한 과학수사 동영상을 활용한 플립러닝을 13주차에 걸쳐 진행하였고,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K지방경찰청 과학수사관을 초청하여 교내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주관한 전공특강을 실시하였고, 학습공동체 또는 튜터링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였다. 참여 학생들의 전공능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범죄수사 시리즈물(과학수사 동영상)을 활용한 플립러닝에 대한 강의평가 및 특강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학습경험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플립러닝 및 교과 연계 비교과 수업을 적용한 ‘과학수사’에 대한 강의평가는 4.65로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을 적용하지않은 전년도 수업보다 향상되어 학습경험에 대한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플립러닝의 학습효과를 분석한 결과, 4개의 중심의미인 수업 태도, 소통 능력, 수업 성과, 개선 사항이 도출되었다. 끝으로 전공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경찰공무원 입직동기 부여 및 범죄수사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전공능력인 범죄수사 관련 전문지식 활용 능력, 자기주도적학습 능력, 융⋅복합 능력,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K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과학수사’ 학습효과 분석을 진행한 이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방법인 플립러닝을 비교과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제한된 수업 시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개별적인 심화학습이 가능하게 하여 전공 교과 수업의 경계를 허무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effects of flipped learning linked to subject-matter subjects to strengthen the major abilitie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at K University. Specifically, flipped learning was us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Forensic Investigation' class, a major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and was linked to a non-curricular program operated by the Teaching and Learning Development Center on campus. Methods To this end, flipped learning using scientific investigation videos of actual crime cases was conducted for 13 weeks in the forensic science major subjects, and as a subject-related extracurricular program, a forensic investigator from the K Local Police Agency was invited to give a special lecture on the major, and on-campus teaching and learning was conducted. It is designed to enable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or tutoring conducted by the development center. In order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major abilities of participating students, we conducted lecture evaluations and special lecture satisfaction surveys on flipped learning using criminal investigation series (forensic video),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bout learning experiences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It was carried out. Results The lecture satisfaction level for ‘Forensic Investigation’ using flipped learning and subject-related extra-curricular classes was 4.65, which was improved from the previous year’s class that did not apply the subject-connected extra-curricular program, showing that there was an educational effect on the learning experience.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effect of flipped learning, four central meanings were derived: class attitude, communication ability, class performance, and improvements.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ion level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non-curricular program linked to the major curriculum,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helpful in motivating police officers to join the police force and cultivating criminal investigation capabilities. Conclusion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learning effect of 'Forensic Investigation' in the Department of Police Administration at K University, which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bility to utilize professional knowledge related to criminal investig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nvergence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which are major abilities. It is valuable in that it contributed to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major subject classes by overcoming the constraints of limited class time and enabling individual in-depth learning by linking flipped learning, a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ith extracurricular programs.

      • KCI등재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

        이주영(Yi, Juyeong),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는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에서의 학습자 인식의 중요성을 철학적 관점과 발달심리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철학적 관점에서 아동 발달에 대한 인식은 현대 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그리 아동중심적이지 않았으며 시대에 따라 아동관이 달라져 왔다. 발달심리적 관점에서는 아동기 발달기제와 발달과업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교육적 의미에서의 발달의 개념을 살펴본 결과, 발달은 질서정연하게 일어나고 상당기간 동안 유지되는 변화들에만 적용되는 개념으로, 성장, 성숙, 학습의 세 과정이 상호작용할 때 이루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인간 발달의 원리인 성장 가능성, 개인차, 최적기, 연속성, 맥락성, 통합성을 학습자의 관점에서 고찰한 결과, 학습자중심교육에서의 발달이 갖는 교육적 의미는 학습자 개별 삶의 성장, 계속적 성장의 수단, 학습에 적절한 시기적 접근, 지속적인 자기주도적 학습력, 통합적 발달의 기초, 통합적 존재로서의 학습자이다. 이는 학습자의 삶과 앎에 중점을 둔 결과로, 발달이 갖는 생물학적 심리학적 의미를 뛰어넘어 학습자중심의 교육적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meaning that development implies i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this end||| first of all the learner s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 have been investigated by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If awareness of child development was viewed by philosophical perspective it was not very child - centered. But if awareness of child development was viewed by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childhood development mechanisms and of the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task was confirmed. Nex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 of development in terms of educational meaning development as a concept that applies only to changes that is maintained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takes place in an orderly manner and is formed when the three processes - growth maturity learning- interact. Depending on the results of exploring growth potential of human development individual differences optimum stage continuity contextuality developmental integrity that is principle of human development through learner Educational meaning that development implies i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learners is learner as a growth of learners individual life means of continuous growth the appropriate timing approach to learning continuou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undation of integrated development| integral being. This educational meaning that development implies provides educational direction beyond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meaning by focusing on learner s life and knowledge.

      • KCI등재

        국내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한희진(Han He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동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비교과 교육과정과 관련한 논문 503편 중에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152편의 논문이다.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152편의 논문을 분석기준 틀에 맞추어 정리하였다. 정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빈도분석, 백분율분석, 교차분석,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과 관련한 연구는 2019년(51편)에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되었다. 발행학회지별로 살펴보면, 교양교육연구가 26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가 16편이 발행되었다. 두 번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분석대상 논문 152편 중에서 양적연구가 80편, 질적연구가 60편 그리고 혼합연구가 12편이 수행되었다. 세 번째로 연구대상 논문주제를 탐색한 결과를 제시하면,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시스템(77편), 소양교육(61편), 학습역량교육(53편)과 같은 주제가 상대적으로 다른 주제에 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워드 클라우드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 비교과 교육과정, 학습공동체 등의 단어가 비교과 교육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과 관련한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Korean universities. Subject of study included 152 studies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study among 503 published studies between 2010 and 2019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152 studies selected for final analysi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analysis criteria. Based on organized data,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alysis, cross analysis, and word cloud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studies related to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universities were published the most in 2019 (51 studies). In terms of published journal, 26 wer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and 16 wer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Second, in terms of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by study method, 80 out of 152 studies were quantitative study, 60 were qualitative study, and 12 were mixed methods study. Third, in terms of the topic of the study, studies were conducted relatively more on extracurricular activity operation system (77 studies), refinement education (61 studies), and academic competency education (53 studies) compared to other topics. Lastly, in terms of word cloud analysis, words such as writing, extracurricular program,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learning community were related to extracurricular activity. Based on such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on follow-up studies regard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