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일사상에 있어서의 윤리론

        Walsh, Thomas G. 선문대학교 통일사상연구원 1996 통일사상 연구논총 Vol.1 No.-

        본 논문은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일반적인 소개를 위한 시도이다. 필자가 본 논문을 통해 언급할 통일사상의 내용은 1988년 통일사상개요라는 미 출판본이다. 본내용은 통일사상과 통일사상요강으로 불리는 통일사상의 초고에 근거하고 있다. 여기서는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것과 서양사상의 일반적인 윤리이론과의 관계를 언급한다. 덧붙여 필자는 통일윤리론의 현대상황에 대한 탁월한 공헌을 확인한다. 한편 통일사상은 인간의 창조성과 자유를 회생시키지 않고 규범적인 질서의 요구를 주장하며, 윤리적 상대주의에 강력한 도전을 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통일사상은 그 자체를 가정의 규범에 중심을 두고 근대와 현대 윤리학자들이 간과한 점인 가정에 대한 사회적, 그리고 심리적 중요성에 우리의 주의를 이끌고 있다. 다음의 제2장은 서양윤리론의 일반적인 개관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부분은 이미 윤리론에 상당히 친숙한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읽어야할 필요는 없을 것이며, 그러한 사람들은 통일사상과 다른 서양 철학 윤리의 주요 입장과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한 후에 다룰 제3장의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해설로 넘어가고 싶을 것이다. 마지막 장은 주로 통일사상이 윤리론에 공헌한 점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통일사상은 포스트모던(후기 현대)와 포스트 막시스트(후기 마르크스) 시대를 거쳐 그 이후에도 인류를 인도해 줄 수 있는 윤리적 관점을 제공한다. New functions of AZEOPERT [Kim and Simmrock, 1997] were investigate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ternary azeotropes and their azeotropic compositions in an organic mixture. This study describes its new problem-solving strategy. The knowledge base of AZEOPERT for ternary azeotropes is hierarchically structured with the several levels of domain-specific knowledge on ternary azeotropy. First, an azeotropic data bank including ternary azeotropic experimental data was implemented in AZEOPERT as the lowest level. It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ernary azeotropic experimental data for the consulted organic mixture are already available. Moreover, compiled heuristic knowledge as the second level and class-oriented model-based knowledge as the highest level were implemented in the knowledge base. The problem-solving strategy through the integration of model-based reasoning into compiled reasoning gives a very efficient, general way for the prediction of ternary azeotrope formation in a wide varitey of organic mixtures, and especially, in unknown mixture systems.

      • To End the Zero-Sum Game

        Kim, Yong-Suk 선문대학교 통일사상연구원 1997 통일사상 연구논총 Vol.2 No.-

        본 논문은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일반적인 소개를 위한 시도이다. 필자가 본 논문을 통해 언급할 통일사상의 내용은 1988년 통일사상개요라는 미 출판본이다. 본내용은 통일사상과 통일사상요강으로 불리는 통일사상의 초고에 근거하고 있다. 여기서는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것과 서양사상의 일반적인 윤리이론과의 관계를 언급한다. 덧붙여 필자는 통일윤리론의 현대상황에 대한 탁월한 공헌을 확인한다. 한편 통일사상은 인간의 창조성과 자유를 회생시키지 않고 규범적인 질서의 요구를 주장하며, 윤리적 상대주의에 강력한 도전을 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통일사상은 그 자체를 가정의 규범에 중심을 두고 근대와 현대 윤리학자들이 간과한 점인 가정에 대한 사회적, 그리고 심리적 중요성에 우리의 주의를 이끌고 있다. 다음의 제2장은 서양윤리론의 일반적인 개관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부분은 이미 윤리론에 상당히 친숙한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읽어야할 필요는 없을 것이며, 그러한 사람들은 통일사상과 다른 서양 철학 윤리의 주요 입장과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한 후에 다룰 제3장의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해설로 넘어가고 싶을 것이다. 마지막 장은 주로 통일사상이 윤리론에 공헌한 점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통일사상은 포스트모던(후기 현대)와 포스트 막시스트(후기 마르크스) 시대를 거쳐 그 이후에도 인류를 인도해 줄 수 있는 윤리적 관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o the fallen human nature there is the providential shift: a continental civilization, to a peninsula civilization, to a island civilization, back to a continental culture, and the direction is to be reversed. The absolute truth to the problem seemingly has not revealed to us until the time of the Second Advent. We have to find out the answer leading to the co-living, the co-prosperity and the co-righteousness. This is the only way to end “Zero-Sum Game and will establish on Earth an Eden Heaven above and will prosper altogether and live happily with God.

      • KCI등재

        한반도 통일대비 기업의 통일역량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구성요인의 중요도 도출 연구

        이다정 통일연구원 2017 統一 政策 硏究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unification capability and to derive the constituent factors of companies against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pecialists in North Korea, and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and the overall importance was derived through the 1: 1 interview with AHP questionnaire results. The conceptual definition through expert interviews was derived as follows. The corporate unification capability is based on sound financial ability compared with the unification era, and it is capacity to catch up and grow opportunities in crisis management capacity through strategic leadership and unification era. In addition, it was derived in the order of CEO unification vision, crisis management, strategic leadership, North Korea information, production cooperati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pportunity seizure, financial soundness, In the order of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ability, and cultural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strategic alternative for strengthening sustainable corporate competitiveness of the new management paradigm of unification and can be utilized as an integrated guide for the utilization of labor force of South and North Korean companies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era.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통일대비 기업의 통일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중심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1:1면담을 통해 AHP 설문결과를 통해 종합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전문가 면담을 통한 기업의 통일역량에 대한 개념적 정의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기업의 통일역량이란 건전한 재정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전략적 리더십을 통한 위기관리역량과 통일시대에 기회를 포착하고 성장하는 역량이다. 또한 기업의 통일역량 구성요인 우선순위로 기업 차원에서는 CEO의 통일비전, 위기관리, 전략적 리더십, 북한정보, 생산협력,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회포착, 재무건전성, 기업투자의 순으로 도출되었으며 종업원 차원에서는 소통능력, 학습능력, 문화역량의 순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은 통일이라는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의 지속가능한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략적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통일시대를 대비한 남북한 기업의 인력활용의 통합적인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정부의 통일교육 : 역사, 현황, 방향

        김진환 ( Kim¸ Jin-hwa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이 글은 정부가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어떠한 통일교육 방향을 제시해왔는지 성찰하고, 앞으로는 어떠한 방향을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제안해야 하는지 논의한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1970년대 초반 이래 한반도 안팎 정세 변화에 따른 정부 통일교육 목표변화를 확인했다. 다음으로, 2018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개 이후 정부 통일교육 목표 변화와 주요 성과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성찰과 진단을 토대로 앞으로 정부, 학교, 시민사회단체 등이 민주적·사회적 합의를 통해 함께 나아가야 할 통일교육 방향을 제안했다. 앞으로 정부가 지향하고,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제안해야 할 교육은 평화담론을 통일 이유로서 무엇보다 강조하고, 평화와 통일의 관계를 성찰하게 하는 ‘평화·통일교육’이다. ‘평화·통일교육’은 통일교육 목표에 평화교육이 강조하는 요소, 곧 ‘다름’의 인정, 다양성 존중, 비폭력적 의사소통 및 평화적 갈등 해결 능력 함양 등을 단순히 추가하는 교육이 아니다. 평화·통일교육은 한국사회 구성원이 통일을 한반도 평화 진전을 위해 필요한 과제로 바라보게 해 주고, 한반도 평화가 결코 통일로 완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한국사회 구성원이 통일에 그치지 않고 평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도록 하는 교육이다. This article reflects on the direc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the government has offered to unification education workers and discusses what direction to suggest going forward. To this en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s unification education goal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ituation inside an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early 1970s. Next, we looked at changes in the government’s unification education goals and major achievements after the resum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in 2018. Finally, based on these reflections and diagnosis, we propose a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that the government, school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unification education that should pursue together through democratic and social consensus. The education that the government is aiming for and that should be suggested to unification education actors is known a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of which emphasizes peace as the reason for unification above all else and allows u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and unifi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oes not education that simply add elements(recognition of difference, respect for diversity, non-violent communication, and fostering of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skills etc.) emphasized by peace education to the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goal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helps members of Korean society view unification as a necessary task for the advance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kes them aware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not be completed simply through unification. Through thi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enables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to work tirelessly for peace, not just for unification.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정치의식과 능력주의가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수빈 ( Subin Lee ),안지빈 ( Jibin Ahn ),이세환 ( Saehwan Lee ),오세일 ( Seil Oh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3 통일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한반도의 복잡한 지정학적 배경 위에서 통일에 관한 대학생들의 의식을 경험적으로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대학생들은 시장 중심의 능력주의와 개인주의의 심화, 그리고 정치적 양극화로 인하여 정치에 무관심하거나 남북 관계와 통일에 관하여 무감각 혹은 부정적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미래 세대의 주역인 대학생들의 통일인식은 앞으로의 대북·통일 정책 수립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대학생의 정치의식 및 능력주의와 통일에 관한 탐색적 연구는 시의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22년 서울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307명의 설문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다양한 정치의식[정치 성향, 정치 효능(내적/외적), 국가 효능(한반도/대한민국)]과 능력주의를 측정하는 문항을 활용하여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지지도’에 대한 기초통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경험분석 결과, 대학생들은 보수적 정치 성향과 능력주의적 신념이 강할수록 통일의 필요성에 반대하며, 통일 지지도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한반도 국가 효능에 대한 의식이 높을수록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 지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대한 민국 국가 효능이 높을수록 통일 지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치 성향, 능력주의와 통일의 필요성, 통일 지지도 사이에 유의한 성별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한민국에 배태된 대학생의 민족 인식을 한반도 전체로 확장하고 남북한 협력의 긍정적 영향을 강조하는 통일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unification in the geopolitically complex Korean Peninsula.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university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apathetic or hold negative perceptions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intensification of market-driven meritocracy, exclusive individualism, and political polarization. As such, exploratory research on university student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perceptions of unification is both timely and crucial, as their attitudes will significantly impact the establishment of future inter-Korean relations and unification policies. In this study, we collected 307 survey responses from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in 2022, utilizing surveys that we designed. We conducted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wo conceptually distinct perceptions of unification: the need for unification and the support for unification, using items measuring meritocratic belief and various political consciousness elements such as political orientation, political efficacy (internal/external), and national efficacy (South Korea/Korean Peninsul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ronger the 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and meritocratic beliefs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re they opposed the need for unification and the lower their support for unification, whereas higher Korean Peninsula national efficacy tends to positively increase both perceptions of unification. The study also found significant gender interaction effects for political orientation and meritocratic belief on the perceptions of unifi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for unification education that promotes ethnic aware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emphasizes the positive effects of inter-Korean cooperation.

      • KCI등재

        1970년대 초 『漢陽』·『コリア評論』의 한반도 정세 인식과 통일론

        신재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3 통일과 평화 Vol.15 No.2

        이 글은 잡지 한양(漢陽)과 코리아평론(コリア評論)을 통해 1970년대 초, 데탕트 정세와 남북한 통일문제를 재일조선인 사회가 어떻게 바라보았고, 그들의 통일 논의의 특징은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첫째, 한양은 단계론적 통일론을 경계하면서 사상과 주의를 초월한민족의 지상과제이자 당위로서의 통일을 주장했다. 그것은 단순한 이상주의가 아닌 현실인식이 투철한 통일론이었고, 재일조선인들의 통일에 대한 열망이 담긴 통일론이기도 했다. 둘째, 코리아평론은 1950년대 이래 일관되게 중립화통일론을 견지했다. 그러나 데탕트 국면에 담긴 강대국들의 현상 유지 바람과 그로 인해 역설적으로 한반도 분할이 장기화할 수있다는 사실을 간파했다. 그에 대한 해법으로 민족의 주체적 자주성을 강조하면서 코리아평론의 중립화통일론은 통일의 방식을 넘어 자세와 의지의 차원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한양과 코리아평론은 공통적으로 통일 논의의 자유와 확대를 강조했다. 이 점은 한국 정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선으로 이어졌다. 또한 이들의 통일론은 1970년대 일본에서 한국민주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한일 연대가 활성화되는 길목에 있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Koreans in Japan perceived the Korean Peninsula’s political situation and discussion of unification in the early 1970s by examining the magazines HanYang(漢陽) and Korea-Pyongron(コリア評 論). First, HanYang advocated for unification as a national imperative and aspiration that transcends ideological and political divisions. This vision was not a mere idealism, but an argument based on a thorough awareness of reality. It also reflected the fervent desire for unification among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Second, Korea-Pyongron had consistently adhered to the argument of neutralization and unification. However, it recognized the prevailing desire of major powers to maintain the status quo during the détente, which paradoxically could lead to a prolonge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solution, it emphasized the independence of the nation, expanding its neutralization-based unification argument beyond the methods of unification and into the realms of attitude and determination. Finally, both HanYang and Korea-Pyongron shared a common emphasis on freedom and broadening scope of unification discourse, which was intertwined with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political reality in Korea. Moreover, their discussion of unification was on the path to heightened interest in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in Japan in the 1970s and to the movement of Korea-Japan solidarity.

      • KCI등재

        분단 70년 통일 분야 연구: 동향과 과제

        전현준 통일연구원 2015 統一 政策 硏究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unification studies for 70 years following the independence from Japan by using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s is required for effective research,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by multiple means and from multiple sources such as related books/book chapters, journal articles and academic theses (3,000 papers in total).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exploring the nature of the study and it is analyzed based on the related study areas of ‘unification policy’; and ‘social and cultural research’; as well as ‘economic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unification policy accounted for 39 percent of the study with 1,235 papers. It was followed by social and cultural research with 841 papers (26.6percent). The majority of the papers were published in 2000, the year which held the first inter-Korean summit; 773 papers were published in Kim Dae-Jung regime. Among 3,000 papers, 1,753 of them were published in journals. As a result, while the unification policy and unification plan papers take up the mainstream of the study, a sufficiently increased number of social and cultural studies have been published when it was compared with economy-related on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tudies of the unification issues are being diversified in addition to politics as this paper demonstrated. However, the trend also shows that unification related studies have been decreased there after Kim Dae-Jung regime. Also, the interest in unification has been declined among scholar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All the best future research will be to increase interests and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dialogue of the unification. 본 연구는 해방 이후 70년 동안 한국에서 이루어진 통일 분야 연구가 어떤 추세(trend)를 보이고 있는가를 연구물의 계량 분석을 통해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단행본, 등재(예정)지, 학위논문 등 3,000여 편이다. 분석 결과, 통일정책 분야가 1,235편(39%)으로 가장 많았고 사회문화 분야가 841편(26.6%)으로 그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다. 제1차 남북 정상회담이 있었던 2000년에 185편이 출간되었다. 통일문제 관련 논문은 1,753편이 실린 등재(후보)지가 1위를 차지하였다. 정부별로는 김대중 정부 시기에 773편이 발간되어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전반적인 특징으로는 통일정책이나 통일방안 연구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사회문화 분야 연구가 경제 분야보다 많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정치학 이외의 학문 분야에서도 통일문제 연구가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그러나 김대중 정부 이후 전반적으로 통일 관련 연구가 점차 줄어가는 추세가 나타났다. 이는 국민들뿐만 아니라 학자들의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는 증거이다. 따라서 향후과제는 연구자들이 어떻게 좀 더 현실적인 연구를 하여 통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제고시키느냐 하는 문제이다.

      • KCI등재

        평화통일교육의 방향과 내용 고찰

        한만길 통일연구원 2019 統一 政策 硏究 Vol.28 No.1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change in contents of the government, based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 In 2018, the Ministry of Unification published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irection and Viewpoint,’ which first used the term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government documents. It is a meaningful change in that it has redefined the direction of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s a way for the two Koreas to pursue peaceful coexistence and realize peaceful unification. The current guidelines for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said to be in line with the direction, but they lack much in terms of contents. Similar to the previous 2016 guidelines, negative perceptions of North Korea are mainly made up and only briefly presented about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Therefore, it proposed to redefine the system of educational contents, focusing on the three main areas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North Korea,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unification process. It should include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society, a comparative analysis of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looking at the experiences and lessons of various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inter-Korean relations to revive its achievements. It proposes to revise the Unification Education Support Act and The unification education guidelines. The direction and guidelines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set up in a way that leads to national consensus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on by collecting public opinion. Now, it is time to try to rebuild unificatio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eace and human rights, anti-war and disarmament, conflict resolution, and peaceful education as a universal value, away from the ideological education and policy promotion that unification and security education have. 지난 2018년 통일부는 ‘평화·통일교육 : 방향과 관점’을 발간하면서, 공식적으로 평화통일교육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통일교육모형을 평화통일교육, 그리고 통일안보교육으로 구분하고, 정부의 통일교육지침서를 근거로 통일교육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평화통일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평화통일교육은 평화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을 우리와 더불어 살아갈 동반자로 인식하고 남북한의 평화적 관계를 증진하면서 평화통일을 이루는 데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이다. 현행 지침서에서 종전과 달리 평화와 평화의식을 핵심 가치로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인다. 평화통일교육의 목표로서 ‘평화의식’과 함께 ‘건전한 안보의식’, ‘균형있는 북한관’을 병렬적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평화의 가치를 구현하는 방향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특히 평화의 관점에서 안보의식과 북한관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 평화통일교육의 방향에 부합하려면 평화통일교육의 내용 또한 평화의 관점에서 재구성해야 한다. 현행 지침서는 ‘북한인식’에서 부정적 서술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남북 교류협력, 평화통일의 과정에 관한 내용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 남북한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고 북한의 특성과 장점을 그대로 존중할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며, 남북관계에서 다양한 교류협력의 경험과 교훈을 소중히 여길 수 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평화로운 통일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평화의 관점에서 교육내용을 대폭 보강해야 한다. 이제 평화통일교육은 분단체제로 인하여 파생한 구조화된 비평화 요인에 대하여 비판하고 성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통일안보교육이 갖고 있는 체제이념교육의 한계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래서 평화와 평화공존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통일교육지원법, 통일교육지침서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보편적 가치로서 평화와 인권, 반전과 군축, 갈등해결 등 평화교육의 의제를 통일교육의 원칙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의 북한과 통일에 관한 인식 조사

        임채완 통일연구원 2003 統一 政策 硏究 Vol.12 No.2

        러시아 연해주는 남북화해.협력시대 에 남북한이 공동합작으로 경제적 진출이 가능한 지역이며, 중국의 연변조선 족자치주와 마찬가지로 북한출신 고려 인, 중국 조선족, 재일.재미한인 및 한국인이 접촉 가능한 지역이다. 연해주 는 확실히 여러 나라에 흩어진 한민족 이 함께 만날 수 있는 좋은 장소이며, 남북한의 대치관계를 완화시킬 수 있고 통일의 지름길을 열어줄 장소 중의 하 나인 것이다. 현재 연해주 고려인 수는 약 3만명 정도이며, 그들은 주로 우수 리스크, 빠르티잔스크, 불라디보스톡, 나호츠카에 집중적으로 많이 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의 통일과 관 련하여 러시아의 연해주 고려인들이 갖 고 있는 북한.통일관을 조사.분석하 는데 있다. 이 연구는 연해주 고려인의 북한 통일관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헌분석을 토대로 인터뷰에 의한 경험적 조사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첫째, 연해주 고려인들의 북한관은 다 음과 같다. 그들의 북한에 대한 관심도 는 비교적 낮은 편이다. 고려인들은 북한의 인권 상황을 매우 부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북한인민의 김정일체제 지지도를 낮게 평가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북한의 개방이 소극적 수준에 머무를 것이다’라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북한체제가 대체로 그럭저럭 유지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연해주 고려인들은 남한이 북한 에 비하여 ‘자유’, ‘평등’, ‘민주’, ‘인권’, ‘경제’, ‘문화.예술’ 분야에서 우위에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북한의 비교 우위 분야가 ‘군사력’이라고 평가하였다. 그들 은 남북한 이질화 정도가 ‘언어’, ‘여가 생활’, ‘가족생활’, ‘풍습’, ‘직장생활’의 순으 로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들이 생각하는 남북한 관계 개선 최우선 분야는 ‘정치적 신뢰구축’ 이며, 그들은 ‘민간과 정부의 공동 추진 방식’으로 남북한 교류.협력 추진을 가장 선호하였다. 셋째, 연해주 고려인들의 남북한 통일 의 당위성은 비교적 높은 편이며, 그들 이 생각하는 통일의 근거는 ‘민족의 재결합’이다. 그들은 남북한 통일 시기에 대하여 대체로 20년 이내에 남북한이 통일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그들이 인식하는 바람직한 통일 방안은 ‘교류.협력에 의한 합의 통일’이며, 남북한 통일의 최대 걸림돌이 ‘북한 정부의 태도와 정책’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끝으로 고려인들은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의 전 영역이 ‘개선될 것이다’라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정부는 남북한 교류협력 강화를 위한 통일 환경 기반 조성과 시베리아의 개발참여를 효과적으로 추진 시키기 위하여 연해주 고려인들과 경 제.문화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조정아 통일연구원 2007 統一 政策 硏究 Vol.16 No.2

        The Isues and Tasks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Jeong-Ah ChoThis study reviews changing discussions and theoretical points at isue concerning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approaches related to uni-fication since the 2000s. In accordance with analysis of major researches on theory and direc-tions of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conducted after the year 2000, this study draws focal points of discussions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provides analysis on con-flicting points against the aforementioned focal points, and presents theoretical tasks and fu-ture directions in unification education thereafter. As a result, this study draws the following three issues as major theoretical focal points in current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directions of education on understanding North Korea;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citizenship education and peace education; nationalism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As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in the 1990s was developed through advocating ‘unification’ instead of standing for ‘anti-communism,’ this is a period necessary for epoch-making in education for national integration. Instead of simply cramming learners with a variety of knowledge regarding 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intermediate a process of ‘self-reflection’ related to unification among learners.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는 통일에 관한 사회문화적 접근에 기반한 통일교육 담론의 변화와 이론적 쟁점을 고찰하였다. 통일교육 이론 및 방향성과 관련된 2000년 이후의 주요 연구물의 내용을 분석하여 통일교육 담론의 핵심 쟁점을 추출하여, 이들 주요 쟁점에 대한 논점의 대립 지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교육이 해결해야 할 이론적 과제와 방향성을 논의하였다.연구 결과 북한이해교육의 방향과 교육의 도구화 문제, 통일교육과 민주시민교육평화교육간의 관계, 통일에서의 민족주의 문제 등 세 가지 문제를 현재 통일교육의 주요한 이론적 쟁점으로 도출하였다.1990년대의 통일교육이 ‘반공’이 아닌 ‘통일’을 표방하면서 질적인 발전을 이루었듯이, 지금은 통일교육에 또 다른 획을 긋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반공을 통일로 대체한 상태에서 통일과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학습자에게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이 주체적 학습자들의 통일과 관련된 과정을 매개하고 그것에 도움을 주는 계기로 작용할 때 진정으로 성숙한 통일 주체의 양성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 글에서 시론적으로 다룬 북한이해 문제, 평화교육 문제, 민족주의 문제 등 통일교육과 관련된 쟁점에 대한 논의와 실천을 통해 통일교육의 내용적 구체성을 확보해나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