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택민국학연구원 총서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유일본 및 희귀본의 문화재적 가치와 소설사적 의의

        엄태웅 ( Eom Tae-ung ) 택민국학연구원 2021 국학연구론총 Vol.- No.27

        택민국학연구원 총서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에는 유일본 14종과 희귀본 8종이 수록되어 있다. 유일본은 <윤선옥전>, <수륙문답>, <유생전>, <승호상송기>, <양추밀전>, <사명당행록>, <명비전>, <어득강전>, <정각록>, <장선생전>, <추서>, <제읍노정기>, <순금전>, <오일론심기> 등 14종이며, 희귀본은 <왕낭전>, <명배신전>, <서해무릉기>, <최호양문록>, <임시각전>, <다람전>, <장현전>, <마두영전> 등 8종이다. 여기서는 이들 작품을 간략히 소개하며 어떠한 이유에서 유일본 및 희귀본으로 분류되었는지 언급하였다. 그리고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외에도 『김광순 소장 필사본 한국고소설전집』에 여전히 유일본과 희귀본으로 분류될 수 있는 작품이 많이 있음을 주장하기 위해 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의 문화재적 가치와 소설사적 의의를 밝혔다. 개성적 이본이 많은 우리 고소설의 특징을 언급하며, 유일본과 희귀본은 물론이거니와 그 외의 작품(이본)들도 이본이 여러 종 있을 뿐 모두 같은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른 개성적 면모를 지니고 있음을 환기하였다. 그리고 보존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contains 14 unique and 8 rare editions. The former is < Yoon-seon-ok-jeon >, < Soo-ryook-moon-dap >, < Yoo-saeng-jeon >, < Seung-ho-sang-song-gi >, < Yang-choo-mil-jeon >, < Sa-myeong-dang-haeng-rok >, < Myeong-bi-jeon >, < Eo-deuk-gang-jeon >, < Jeong-gak-rok >, < Jang-seon-saeng-jeon >, < Choo-seo >, < Je-eup-no-jeong-gi >, < Soon-geom-jeon >, < O-il-lon-sim-gi >, the latter is < Wang-nang-jeon >, < Myeong-bae-shin-jeon >, < Seo-hae-moo-reung-gi >, < Choi-ho-yang-moon-rok >, < Im-si-gak-jeon >, < Da-ram-jeon >, < Jang-Hyeon-jeon >, < Ma-doo-yeong-jeon >. Here, we briefly introduce these works and mention why they were classified as unique or rare. In addition to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a case was presented to assert that there are still many works that can be classified as unique or rare in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s』. Through these works, the cultural value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vel were revealed.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our classic novels with many individual versions, and point out that there are several types of works(versions) which are considered unique or rare, and have different individual aspects. The necessity for the preservation of these types of works was once again confirmed.

      • KCI등재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 완간의 의의 및 후속 작업을 위한 제언

        박은정 ( Park Eun-jeong ) 택민국학연구원 2021 국학연구론총 Vol.- No.27

        <김광순 소장 필사본 고소설 100선> 역주본이 마침내 완간되었다. 고소설과 관련한 K-콘텐츠가 주목받고 있는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매우 고무적인 성과이다. 101편의 필사본 작품이 역주본으로 완성되어 일반 독자와 문화 종사자들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역주본은 단일 기관의 역주 결과물로 가장 방대한 분량이며, 유일본, 희귀본, 최초 역주본 등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그 가치와 의의가 더욱 크다. 다만, 100선 선정 기준이나 해당 역주본의 가치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부분, 제목·해제·현대어역·원문에서 간혹 드러나는 오류 등은 향후 수정·보완이 되었으면 한다. 역주본의 편집과 구성은 연구자용과 일반 독자용의 분책이 최근의 흐름이기는 하나, 이는 간행 취지와 제반 여건을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완간 이후 후속 작업으로 역주본 활용을 위한 추가 집필, 학제적 연구 및 문화 생산자와의 협업, 택민국학연구원 홈페이지 활성화, 고소설 문학관 건립 및 프로그램 개발, 정책적 지원 확대 촉구를 제안하였다.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해설의 예시로 1차년도 역주본 중 하나인 <송부인전>을 간단히 소개하였다. <송부인전>은 익숙한 여성 수난담 정도로 생각하기 쉽지만, 다소 도식적이고 통속적인 전개 속에 진지한 주제 의식을 담아내고 있어 오늘날의 독자들에게도 흥미롭게 읽힐 수 있는 작품이다. 어리고 나약하던 여성의 성장 서사이면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을 통해 비혈연 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희망의 서사이다. 원형 스토리의 재현 또는 가공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들을 빚어낸다면 새로운 K-콘텐츠로 재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 Kim Kwang Soon’s Collection of 100 Manuscripts of Korean Classic Novels > was finally completed and published. It is a very encouraging achievement in the current cultural atmosphere of the Korean inspired entertainment movement known as K-Content, that the Korean classic novel is drawing attention. A total of 101 hand-transcribed novels were completely translated and annotated, giving ordinary readers, as well as culture-related researchers, the ability to make good use of the novels included in this translated and annotated collection. This translation and annotation collection is the largest body of work conducted by a single institution, and it has great value and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many of the novels in the collection are either the only existing versions, rare versions, or the first annotated translations. However, the publication has some limitations. For example, it does not have enough explanations on the selection standards for the 100 works, nor does it explain the values of translation and annotation. Also, it has a few errors regarding titles, explanatory notes, translation in modern languages, and original texts. The collection should be supplemented and corrected in near future. Though recent trends show that books for ordinary readers and those for researchers are separated in the editing and structuring of the published translated and annotated version. The decision of whether, and how, to separate must consider the purpose of the publication and overall conditions. As for follow-up works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several suggestions are presented. They include additional writing to utilize the translated works, collaboration with interdisciplinary researchers, culture service and goods producers, active use of the Taekmin Academy of Korean Studies’ website, establishment of a literary house for classic novels,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urging for more policy supports. As an example of explanation for developing cultural content, Songbuinjeon, which is one of the first-year annotated translations, is briefly introduced. It is easy to think that Songbuinjeon is a familiar story of a woman’s suffering, but it contains a serious theme in more or less schematic and popular development, and thus it can be read with interest by today’s readers. It is a description of a young and weak woman’s growth, and at the same time a description of hope showing the possibility of a non-blood community through affectionate gazes toward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t can be reproduced as an example of good cultural content, if one can create new stories through reappearance or adaption of the original story.

      • KCI등재

        徐居正의 『太平閑話滑稽傳』에 나타난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시선과 의미

        한의숭 ( Han Eui-soong )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29

        본고는 『태평한화골계전』에 수록된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일화에 반영된 시선과 의미를 규명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는 조선 전기 훈구 문인을 대표하는 서거정의 傳聞 경험이 노년기 저작에서 소화로 표출된 방식을 통해 웃음에 내장된 다기한 의미 가운데 정치성의 측면을 포착한 것에 해당된다. 이 경우 남성과 여성의 관계에서 유발된 웃음은 단지 인물을 희화화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으며, 전통시대 남성과 여성 사이에 작동된 위계와 권력의 문제를 포착할 수 있다. 일단 남녀의 구도에 있어서 사납고 투기적이며 영악한 여성과 소심하고 나약하며 어리숙한 남성의 형상이 대비적으로 설정되며, 그 관계의 끝은 남성의 실기로 마무리된다. 사회적 위계 질서에 입각한 남성과 여성의 구도가 전복되고 있는 점에서 일견 금기를 건드려서 웃음을 유발하는 게 간취된다. 이러한 남녀 구도 설정은 다분히 일상 생활에 기반한 민중적 성향이 엿보인다. 생활 주변에서 볼법한 현실적이고 사실적인 일상을 적극적으로 끌어왔는데, 사회적 위계 질서가 명징하게 작동되어야 하는 상층 계급의 부부관계가 희화된 상황으로 그려지는 것은 위계에서 이탈하여 대중의 웃음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종의 자기 비하나 모순적 태도로 보일 만큼 주도권을 쥔 남성성의 표출이 드러나지 않는 게 특징적이다. 하지만 웃음의 요인인 남녀 구도에 있어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위에 있는 듯한 형상은 전통시대 여성에게 요구되는 전형적인 여성성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태평한화골계전』에 형상화된 여성은 정숙한 여성이 아닌 사납고 투기를 부리는 부정적 여성상에 견인되어 있다. 서사의 전개 과정에서 여성이 우위에 서서 물리력을 행사하고 이에 대해 남성이 쩔쩔 매는 형상은 전복적이기까지 하다. 이점은 『태평한화골계전』에 형상화된 남성과 여성이 일반적인 남성성과 여성성을 전시하는 것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남성성과 여성성이 희화화되면서 예상 가능한 전형성에 균열을 내는 것으로 재현되는 것이다. 물론 웃음을 유발하기 위한 설정으로 이해되긴 하나 성적 위계의 전복 또는 역설의 형상은 그 자체가 폭발성을 담지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웃음을 통해 수직적 계급에서 수평적 인간으로 공감을 유도할지라도 사나운 여성과 유약한 남성의 구도를 통해 여성에 대한 비판과 남성에 대한 연민을 자아내는 결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웃음의 의도는 수평을 지향하지 않는 정치성을 함의하고 있다. 이러한 이해가 심화, 확장되었을 때 『태평한화골계전』을 비롯한 조선 초기 소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접근이 시도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 변화를 시도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clarify the gaze and meaning reflected in anecdot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Taepyeonghanwhagolgyejeon』. This corresponds to the capture of the aspect of politics among the various meanings embedded in laughter through the way Seo Geo-jeong's professional experience representing literary figur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xpressed in his old-age work. In this case, the laughter induc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does not stop at merely parodying characters, but captures the problems of hierarchy and power that worked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traditional era. First, in the composition of men and women, the figures of fierce, speculative, clever women and timid, weak, and foolish men are set in contrast, and the end of the relationship ends with the practice of men. Given that the composition of men and women based on the social hierarchy is being overthrown, it is easy to provoke laughter by touching taboos at first glance. The setting of the composition of men and women shows a popular tendency based on daily life. It has actively attracted realistic and realistic daily lives that can be seen around life, and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in the upper class, which requires a clear social hierarchy, is portrayed as a caricature shows that it can be used as a laughing matter for the public. It is characterized by the lack of expression of masculinity that takes the initiative enough to appear as a kind of self-deprecating or contradictory attitude. However, the figure in which women seem to have superiority over men in the composition of men and women, which is a factor of laughter, is problematic in that it deviates from the typical femininity required for women in the traditional era. The woman embodied in the 『Taepyeonghanwhagolgyejeon』 is not a quiet woman, but is driven by a fierce and speculative negative woman.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the figure of women exercising physical force and men being embarrassed about it is even subversive. This shows that men and women embodied in the 『Taepyeonghanwhagolgyejeon』 are moving away from exhibiting general masculinity and femininity. As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caricatured, they are reproduced as cracks in predictable stereotypes. Of course, it is understood as a setting to induce laughter, but the shape of the subversion or paradox of sexual hierarchy itself supports explosiveness. Therefore, even if empathy is induced from a vertical class to a horizontal human through laughter, the intention of laughter implies politics that does not aim for horizontality in that it results in criticism of women and compassion for men through the composition of fierce women and weak men. When this understanding is deepened and expanded, a new perspective and approach to diges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cluding the 『Taepyeonghanwhagolgyejeon』 can be attempted. This paper was designed to try to change this perspecti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퇴계전서』에 나타난 독서병통의 증세와 요인

        신태수 ( Tae Soo Shin )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7

        退溪는 讀書病痛의 큰 줄기로 □苗助長, 思慮紛擾, 無覺不輟, 反涉私意骨倫呑棗를 든다. 큰 줄기 독서병통은 각기 유래와 연원을 달리 한다. 孔子, 二程子와 張子그리고 朱子의 논의에서 병통의 명칭을 인출하기 하기 때문에 유래와 연원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어느 병통이든 인격을 완성하는 데 걸림돌이므로, 그 증세가 만만치 않다. 독서병통의 증세는 모두 20개이다. 증세 간에 겹쳐지지 않으니, 문집에는 환자 20이 등장한 셈이다. 20명이 곧 증세의 개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큰 줄기 독서병통이 각이하다는 점을 상기할 때, 병통이 같아도 환경·기질이 다르면 증세도 달라진다는 추리가 가능하다. 독서병통은 전이 속도가 매우 빠르다. 어느 한 가지 병통을 앓으면 손쉽게 다른 병통으로 이어진다. 독서병통의 종합적 증세는 ‘마음의 기능 상실’이다. 이런 증세는 心의 내·외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靜은 지니되 動을 다스리지 못하거나 動을 다스리기는커녕 靜조차 지니지 못하는 경우가 전자이고, 形氣의 人欲이 天理와의 교통을 가로막는 경우가 후자이다. 心의 내적 요인에서 나타나는 主靜의 미진입 단계와 心의 외적 요인에서 나타나는 物物의 濁·駁이 하나로 합쳐질 때 가장 심각한 독서병통이 형성된다. 문집에서 최다로 오르내리는 알묘조장이 이에 해당된다. Toegye pointed out that Byeongtong in reading can be specified into Almyojojang, Saryeobunnyo, Mugakbulcheol, Banseopsaui, Gollyuntanjo. They have different origin and source. As the names of Byeongtong were drawn in the discussions of Gongja(孔子), Jungja(程子), Jangja(張子), and Juja(朱子), the origin and the source are supposed to be different. Whatever the Byeongtongs are, their symptoms are serious because they are obstacles to perfect the reader``s character. The symptoms of Byeongtong in reading are 20 in total. As there are not overlapping contents between the symptoms, figuratively speaking, 20 patients appeared in the book. However, the 20 patients themselves does not mean just the number of the symptoms. If we consider the difference of each Byeongtong, it is possible to say that, even though the Byeongtong is same, if the environment. disposition is different, the symptoms becomes different. Byeongtong in reading spreads so fast that one Byeongtong is led to other Byeongtongs. The overall symptom of Byeongtong in reading is ``loss of function of mind``, which is resulted from the internal. external elements of mind. The former refers to a case of seizing Jung, but of not seizing Dong, or to a case of not seizing Jung even, to say nothing of seizing Dong. The latter refers to a case that Inyok of Hyunggi blocks the communication with Chunri. The most serious Byeongtong in reading is formed when the step of nonentry of Jujung shown in the internal element of mind and the Tak.Bak of things and matters shown in the external element of mind are combined into one. Almyojojang, which mentioned most frequently in the book, corresponds to that.

      • KCI등재후보

        부사격 조사 교수 방안 연구 -"에", "에서", "로"를 중심으로-

        김석기 택민국학연구원 2011 국학연구론총 Vol.0 No.8

        한국어는 실질형태소에 형식형태소가 첨가되어 뜻을 나타내는 교착어에 속하기 때문에 문장 속에서 격조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격조사에는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관형격조사, 부사격조사, 호격조사가 있다. 격조사들 중 부사격조사는 다른 말과의 의미적 관계를 나타내는데 비해, 주격조사를 비롯한 다른 격조사들은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부사격조사 가운데 다양하게 사용되며 그 용법이 다소복잡한 것이 바로 ‘에’와 ‘에서’, 그리고 ‘로’일 것이다. ‘에``는 그 쓰임새가 다른 조사보다 매우 다양하며, ‘에서``와 혼동되는 의미로 사용될 때가 있다. 부사격조사 ‘에’, ‘에서’, ‘로’는 장소, 이동, 원인, 이유, 수단, 시간의 의미에서 공통된 의미를 갖는다. 첫째, 장소에 있어서 공간의 개념을 갖고 넓은 장소를 나타낼 때는 ‘에서’를 사용하고, 사물의 개념을 갖고 좁은 장소를 나타낼 때는 ‘에’를 사용하며, 사물에 가까이 가는 행위(다가감)의 경우에는 ‘에’를 사용하고, 사물에서 멀어지는 경우에는 ‘에서’를 사용한다. 둘째, 이동을 나타내는 ‘에’는 ‘도착하다, 이르다, 도달하다`` 등 목표점(귀착점)을 나타내는 서술어에, ‘로``는 ‘떠나다, 출발하다, 옮기다, 이사하다`` 등 방향을 나타내는 서술어에 사용되며, 경유나 통과의 의미를 갖는 동사를 서술어로 할 경우는 ‘로``가 쓰이며, ‘보내다, 흘러들다, 다가가다, 모이다, 가져가다`` 등의 ‘지향점``을 나타낼 때는 ‘로``만 쓰인다. 셋째,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낼 때, 경험이나 심리상태 표현 또는 피동문 형태에는 ‘에’를 사용하며, 과정이나 사건 표현 또는 능동적 도구 사용에는 ‘로’를 사용하며, 주체의 상태 변화와 그 상태의 지속을 나타낼 때는 ‘로’를 사용하며, 원인에 문장의 중점이 있을 때는 ‘에’를 사용한다. 넷째, 수단을 나타낼 때, ‘에’는 대상성을 중시하고, ‘로’는 과정성을 중시하며, ‘에’는 결합된 명사구에 중점이 있고, ‘로’는 서술어의 동작의 의미에 중점이 놓인다. 다섯째, 특정한 시간을 나타낼 때는 ‘에’를 사용하며, 행동이 계속 이루어지는 시간을 나타낼 때는 ‘로’를 사용하며, 특정한 때에 행동이 주기적으로 일어날 때는 ‘로’를 사용하며, 주기적인 행동이 없이 서술어에 중점을 둘 때는 ‘에’와 ‘로’를 사용한다. 韓國語屬於粘著語,在實質形態素上添加形式形態素來表達意思,因此格助詞在句子中的作用□重要。格助詞有主格助詞,賓格助詞,屬格助詞,副詞格助詞和呼格助詞。格助詞中副詞格助詞與其□詞語結合表達意味關系,與此相比,以主格助詞爲代表的別的格助詞與其□詞語結合表達語法關系。副詞格助詞中用法多樣□且多少有些復雜的可能就是‘에’,‘에서’和‘로’。比起其□助詞,‘에’的用法非常多樣,□且在表達意思上有時會與‘에서’混淆使用。副詞格助詞‘에’, ‘에서’, ‘로’都有場所,移動,原因,理由,手段,時間的意思。第壹,對於場所而言,具有空間的槪念□表達寬廣的場所時用‘에서’,具有事物的慨念□表達狹窄的場所時用‘에’,表達□近事物的行爲時用‘에’,遠離事物的時候用‘에서’。第二,表達移動的‘에’與‘도착하다,이르다,도달하다’等表達目標點(著落點)的謂語連用,‘로’與‘떠나다,출발하다,옮기다,이사하다’等表達方向的謂語連用,也用在表達經由或通過的動詞做謂語時的句子中,在和‘보내다,흘러들다,다가가다,모이다,가져가다’等表達‘落脚點’的動詞連用時只能用‘로’。第三,在表達原因或理由時,表現經歷或心理狀態時,或在被動句中用‘에’,在表達過程或事件表現或能動地使用工具時用‘로’,在表達主體的狀態變化和狀態的持續時用‘로’,把重點放在原因的句子中的時候用‘에’。第四,在表達手段的時候,‘에’重視對象性,‘로’重視過程性,‘에’把重點放在結合的名詞句中,‘로’把重點放在謂語的動作意味上。第五,表達特定時間的時候用‘에’,表達行動持續的時間的時候用‘로’,表達在特定的時間行動呈現周期性時用‘로’,沒有周期性的行動而把重點放在謂語上的時候‘에’和‘로’都可以使用。

      • KCI등재

        근대기 종람소 연구

        정경운 택민국학연구원 2018 국학연구론총 Vol.0 No.2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overall situation of ‘Jongramso,’or study societies, which was one of the innovation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that has lead to modern times in Korea. To this end, a total of 99 related articles were collected through a review of newspapers and magazines of that time. The period is classified into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this data.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and places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ense of place in regards to Jongramso are explored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ose times. In Korea, Jongramso was established in the late 1800s, and spread nationwide with the conclusion of the ‘Eulsa Treaty’.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Jongramso was mainly established by private individuals or public officials,# rather than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It was mainly held in private houses due to the lack of resources. However, the situation changed marked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1919 Samil Independence Movement, the governing method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ransformed into “cultural rule,” and various associations, which were impossible before, began to take place. The movements were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various organizations such as ‘youth association’ were formed. These were the conditions which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Jongrams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ring this period, a large number of organizations appeared as the institutors of Jongramso, and the meeting places started moving into public spaces such as ‘youth center,’ ‘public hall,’ and ‘office.’ The meaning of the sense of place in Jongramso on the modern times can be viewed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intellectuals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recognized Jongramso as the initial form of ‘a place of modern education.’ Second, Jongramso sh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youth discourse’ during this period.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called for ‘youth’ as a means of planning for ‘nation building’,# necessary for the transformation into a modern state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alled for ‘national reformation’ in order to restore the national sovereignty. During this period, ‘youth’ appeared as the catalyst to lead national movements. The establishment of Jongramso during this period developed alongside the cultural movements of youths. Third, Jongramso was a meeting place of young patriots for restoring national sovereignty and for national liberation. 이 논문은 한국 근대기의 계몽적 장치 중 하나였던 ‘종람소’의 전반적 상황을 검토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당시 신문 및 잡지 자료에서 추출한 총 99건의 종람소 현황을 중심으로, 근대계몽기와 일제강점기를 구분하여 설립주체와 설치장소의 성격 변화, 그리고 종람소가 갖는 장소성의 시대적 의미를 당대의 맥락과 함께 읽어내고자 했다. 근대계몽기에는 종람소의 설립주체가 기관과 단체보다는 민간 개인들이나 공직 관리들 중심이었다는 점,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주로 개인의 가옥에 설치되었다는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 확연하게 변화한다. 특히 1919년 이후, ‘청년회’를 비롯한 각종 단체들이 종람소 설립주체로 대거 등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설치장소도 공적 공간화 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두 시기에 걸친 종람소의 장소적 의미는, ‘근대교육의 장’, ‘청년담론’과의 상관성, 청년지사들의 회합장 등의 측면에서 접근했다.

      • KCI등재후보

        옛 효행서사의 공리성과 "유쾌한 속임수" 기법

        신태수 ( Tae Soo Shin ) 택민국학연구원 2016 국학연구론총 Vol.0 No.17

        효행 주체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서사작품을 효행서사라 부를 수 있다. 어느 효행서사이건 간에 한 가지의 등재 원칙을 고수하며 仁실천의 차원에서 효행 주체를 바라본다. 효행 주체 가운데서 하층인은 절대효 이념에 입각하여 자기대로의 목소리를 표출한다. 하층인이 절대효 이념을 표출한다면 절대효이외의 욕망과 그에 따른 談論도 나타날 법하나,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작자가 절대효 이념 이외의 욕망을 소거해 버린 탓이다. 그 대신 작자는 독자도 알만한 속임수를 능청스럽게 구사한다. 독자의 입장에서는 속임수를 거부할듯하나, 의외로 흔쾌하게 수용하곤 한다. 속임수를 흔쾌하게 수용하는 독자의 행위를 ‘윤리적 차원의 유쾌한 속임수’라 할 때, ‘윤리적 차원의 유쾌한 속임수’는 新儒學시대의 倫理的 債務意識에서 기인한다. ‘윤리적 차원의 유쾌한 속임수’는 시대를 초월한다. 윤리적 채무의식이 작용하는 곳에서는 언제든지 나타난다는 점이 그 근거이다. Narratives of filial acts refer to narrative works whose protagonists are the subjects of filial acts. All narratives of filial acts share a single principle of registration and look at the subjects of filial acts at the level of practice of In[仁]. Among the subjects of filial acts, the ones from the lower class express the ideology of absolute filial duty without reserve. If they express the ideology of absolute filial duty, there will be desires other than absolute filial duty and resulting discourses, but the reality tells a different story. It is because the writers eliminate personal desires based on utilitarianism. Since the subjects of filial acts are supposed to place greater importance on social happiness than personal happiness, there is the operation of distorted utilitarianism. Instead, the writers play tricks known to the readers in a sly manner. It is expected that the readers would reject those tricks, but they unexpectedly accept them in a pleasant fashion. If the act of readers accepting the tricks pleasantly is called a "pleasant trick at the ethical level," it derives from the ethical sense of debt in the neo-Confucian era. Such a "pleasant trick at the ethical level" transcends the times since one can be found in any people with an ethical sense of debt.

      • KCI등재후보

        『청구영언』(진본) 소재 김천택 시조의 내용 분류와 그 특징

        이상원 ( Sang Won Lee ) 택민국학연구원 2016 국학연구론총 Vol.0 No.17

        이 글은 김천택 시조 연구의 1단계 작업으로서 『청구영언』(진본)에 수록된 김천택 시조 30수를 대상으로 내용 분류를 시도해 본 것이다. 내용 분류는 『청구영언』(진본) 무명씨에서 김천택 스스로가 명명한 주제어들을 차용하는 방식을 취했다. 그 결과 ‘강호’ 3, ‘전가’ 3, ‘은둔’ 1, ‘지지’ 1,‘명건’ 2, ‘방랑’ 3, ‘유락’ 3, ‘한적’ 2, ‘민세’ 1, ‘선고’ 1, ‘태평’ 1, ‘공자’ 1,‘맹자’ 1, ‘두보’ 1, ‘악비’ 1, ‘문천상’ 1, ‘진시황’ 1, ‘장자’ 1, ‘하지장’ 1, ‘백이 숙제’ 1 등 20개 주제어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크게 보아 자연적 삶과 관계된 주제어들과 도시적 삶과 관계된 주제어들이 비교적 균형을 이루는 가운데 역사적 인물을 다룬 작품이 9수로 매우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청구영언』 무명씨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어임에도 불구하고 김천택의 작품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주제어들도 일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군’, ‘견적’, ‘보효’ 등 임금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는 주제어들이 나타나지 않는 것과 자연적 삶과 관계된 주제어들 중 ‘산림’, ‘야취’, ‘수분’ 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 외에도 윤리적 문제와 관련된 주제어나 늙음과 관련된 주제어 등이 나타나지 않는 것도 주목해볼 만하다. This study made an attempt to categorize the contents of 30 Korean odes in 『Cheongguyeongeon』 compiled by Kim Cheontaek, as the first work for a study on Kim Cheontaek’s Sijo. Kim Cheontaek selected keywords from anonymous authors`` Sijos in 『Cheongguyeongeon』, so the study borrowed the selected keywords for the contents categorization. The categorization included 20 various keywords as follows: ``Gangho`` 2, ``Jeoga`` 3, ``Eundun`` 1, ``Jiji`` 1, ``Myeonggeon`` 2, ``Banglang`` 3, ``Yurak`` 3, ``Hanjeok`` 2, ``Minse`` 1, ``Seongo`` 1, ``Taepyeong`` 1, ``Confucius`` 1, ``Mencius`` 1, ``Tu Fu`` 1, ``Yue Fei`` 1, ``Wen Tianxiang`` 1, ``Qin Shihuang`` 1, ``Chuang-tzu`` 1, ``He Zhizhang`` 1, and ``Bo-yi Shu-qi`` 1. Largely, the above keywords kept a balance between natural life and urban life, and the categorization was characterized by 9 Korean odes handling historical character. Meanwhile, although several keywords were regarded as important things from anonymous authors`` Sijos in 『Cheongguyeongeon』, the keywords were not found from Kim Cheontaek``s work. For example. there were ``Yeongun``, ``Gyeonjeok``, ``Bohyo``, etc. for the relation to king, and ``Sanlim``, ``Yachwi``, ``Subun``, etc. for natural life. In addition to that, the keywords for ethical issue and agedness were not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