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동아시아 유학적 전통에서 권학의 문제 -전통의 계승과 변용

        김경호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儒學硏究 Vol.24 No.-

        학문과 학문함[爲學], 그리고 학문을 구함과 학문을 권함[勸學]이라는 주제는 단순히 학문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에 한정되지 않고, 동시대의 현실을 살아가는 ``삶`` 전반에 대한 고민과 분리되지 않는다. 당대를 살아가는 ``배우고 가르치는 이들``에게 자신의 삶의 터전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현실의 부조리함을 혁신하고자 하는 학문적 지향과 직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학문은 경험하지 못한 과거의 역사적 전통을 지반으로 하여 현재를 해석하고 오래된 미래를 향한 창조적 변용을 필요로 한다. ``학문``과 ``학문을 권함``이라는 주제는 또한 학문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그 궁극적 목적, 실제적인 교육의 내용과 방법·제도까지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필자는 그러한 지점을 ``계몽(문명)``과 ``가치``의 문제로 파악한다. 결국 학문을 권함은 삶의 질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이로운 학문``[利學]의 필요성에 대한 제고이면서 동시에 ``인간적 도리를 실천하기 위한 학문``[道學]의 추구를 제안해야 한다. 이는 곧 ``문명``과 ``가치``의 문제를 포함한 ``인간``을 조명하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계몽``과 ``가치``에 대한 학문적 고민과 사회적 개혁 의식을 담보한 ``권학``의 경향을 송명유학(주희)과 조선유학(기대승), 그리고 근대의 흐름에서 조망하고자 한다. "學問"、"爲學"、"勸學"這三個主題倂不限定于學問本身的單純討論,而是與那個時代的要求互動的。영外,타們也不停滯于學者個人問題,而是與生活在同時代現實中的生活全部相連結的。 "爲學"與"勸學"應該將學問的內容和方法、學問的最終目的、适用于實際中的敎育內容和方法制度問題也一倂考慮進來。本人將"學問本體"和"勸學"理解爲"啓蒙(文明)"和"价値 (道德)"之問題。"勸學"是對爲提升生活條件和品格水平的"利學"必要性的一種提高,同時也提倡對實踐道理的學問卽 "道學"的追求。因此, 本文主要的目的就是釐淸關於"啓蒙(文明)"和"價値(道德)"之學問的探討和社會改革意識的學術傾向問題。以下卽分別從宋明儒學的朱熹之爲學及勸學問題, 朝鮮儒學的奇大升之爲學及勸學問題, 在18世紀以後東亞的爲學及勸學問題三個部分進行討論。

      • KCI등재

        연구논문 : 유학(儒學)의 인성론(人性論): 사회심리학적(社會心理學的) 고찰(考察)

        이동인 ( Dong In Yi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儒學硏究 Vol.25 No.-

        人性論은 儒學의 영원한 주제이다. 先秦儒學에서 유교 인성론의 실체가 확립된 이래 많은 유학자들이 그에 대한 논설을 발전시켜 왔으며, 그것은 朝鮮 性理學의 핵심주제를 구성하기도 하였다. 인성론은 또한 현대 사회심리학의 중요한 이론적 자원이기도하다. 이 논문은 유학의 인성론과 현대 사회심리학의 인성론을 연결짓고, 전자를 후자의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을 중심으로 해서 선진유학의 인성론을 검토하고, 그것을 현대 사회심리학의 공격이론과 돕는 행위(이타적 행위) 이론과 결부시킴으로써 유학의 인성론의 사회심리학적 含意를 살펴보았다. 인간의 행위를 지배하는 상황의 힘이 막강함으로. 인성의 본질을 구명하려는 시도가 어떤 면에서는 그 의미가 褪色했다고 할 수도 있다. 인간의 행동이 그렇게 많이 상황에 의해 좌우(결정)되는 것이라면 인간성의 본질을 究明하는 일의 중요성이 감소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심리학적 시각에서 성선설과 성악설을 중점적으로 검토하면, 사회심리학의 자료들은 性惡보다 性善을 더 지지하는 듯하다. 이는 우리의 상식적 견해와 다를 수도 있다. 어쩌면 언어학자가 말하는 ``선천적 보편문법``이 기존 언어의 문법 틀에 묶여서 잘 발현되지 못하는 것처럼, 인간 본유의 품성이 탐욕과 경쟁을 앞세우는 이 세상 풍조 앞에서 가려지고 굴절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Theories of human nature have always gathered scholarly interest in Confucianism. It is also very important theoretical resources of modern social psychology. In this research I reconsidered the Confucian theories of human nature in the light of modern psychology. I compared the Confucian theory of human nature with psychological theories of aggression and altruism. As recent psychological theories emphasize the great influence of situation in forming human behavior, discussion on human nature may have lost some of its significance. For all these facts, psychological research seems to support the theory of innate goodness of human nature rather than that of innate badness. We might say that as the innate ``universal grammar`` is hardly remain intact under the influence of he existing language, so the innate human nature is hardly developed intact in this world of greed and competition.

      • KCI등재

        근현대 충청유림의 유학정신과 위상 - 권중면, 권태훈을 중심으로 -

        이영자 ( Lee Youngja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8 No.-

        본고에서는 근현대 충청유림의 유학정신과 위상을 취음 권중면(翠陰 權重冕, 1856-1936)과 그의 아들 봉우 권태훈(鳳宇 權泰勳, 1900-1994) 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권중면, 권태훈은 전통적인 성리학자로서의 유학자라기보다는 한학자, 단학가, 한의학자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저술과 활동에는 유학정신에 바탕한 유교 지식인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권중면은 정미칠조약으로 대한제국의 모든 국가권력이 강탈당하자 고종과의 군신간의 의리를 지키고자 벼슬을 버리고 칩거를 시작하였다. 말년에는 계룡산 자락 상신리에 은거하면서 `용산구곡`을 만들어 인재 양성을 통한 구국의 염원을 담기도 하였다. 또한 권태훈도 영남지역의 거유(巨儒) 곽종석을 진정한 스승으로 삼고, 유학의 성인관(聖人觀), 성경(誠敬) 중심의 수양론, 16자(字) 심법(心法) 등을 강조하며 그의 민족사상의 핵심을 유학정신에서 찾고 있다. 물론 이러한 유학적 편린들을 바탕으로 이들이 전형적인 유학자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들은 항일의식을 바탕으로 `수구거지(去之守舊)`나 `거의소청(擧義掃淸)`을 실천한 전형적 항일유림이다. 이들은 굴곡의 근현대 시기를 거치는 동안 한 순간도 군신의 의리, 국가와 민족에 대한 사랑을 버리지 않고 꿋꿋이 자신의 의지를 지켜 나갔다. 이렇게 볼 때 꺼져가는 대한제국 한민족의 전통과 사상을 단절 없이 지켜내고 끝까지 지조와 절개를 지키고자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이들은 진정한 선비이며, 지행합일(知行合一)의 도학정신을 실천한 유교 지식인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s the spirit and status of Confucianism of Confucian scholars based in Chungcheong region in modern times, focusing on father and son, Kwon Jungmyeon (權重冕, 1856-1936) and Kwon Taehun (權泰勳, 1900-1994). Both Kwon Jungmyeon and Kwon Taehun were widely known as scholars of the Chinese classics, Danhak (the study of Dan or bioessence, 丹學) and oriental medicine, than of traditional NeoConfucianism. But, their published works and activities showed aspects of Confucian intellectuals based on the spirit of Confucianism. When all national authorities of the Korean Empire were seized due to the 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07 (丁未七條約), Kwon Jungmyeon abandoned his government post and lived in seclusion in order to remain as a loyal subject of King Gojong. During the retirement in Sangsinri near Mount Gyeryong in his late years, the senior Kwon made “Yongsangugok (Nine Poems of Dragon in the Mountain, 龍山九曲)” honoring Koreans` wishes to save the country and cultivating talents in the region. His son Kwon Taehun took Kwak Jongseok (郭鍾錫), a great Confucian scholar of Gyeongsang region, as his teacher and searched for the core of nationalism through Confucianism while emphasizing the view of sage as ideal (聖人觀) of Confucianism, sincerity and mindfulness (誠敬)oriented theory of selfcultivation (修養論), and the sixteenword message for cultivating the mind (十六字心法).” From such small parts of confucianism they displayed, the two men cannot be affirmed as Confucian scholars. But, they were typical antiJapanese Confucian scholars who practiced “Defend old values in hiding (去之守舊)” or “Raise the righteous army and defeat traitors (擧義掃淸)” based on antiJapanese spirit. Throughout modern times of ups and downs, they did not once desert their loyalty as the royal subject and love for the country and people, while steadfastly guarding their will. In this regard that they made an effort to maintain their loyalty and fidelity to the end without losing the tradition and idealism of Koreans in the Korean Empire, Kwon Jungmyeon and Kwon Taehun were authentic scholars and can be evaluated as Confucian intellectuals that practiced the spirit of Taoism,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知行合一).”

      • KCI등재

        민족주의적 한국유학사 서술의 재조명 -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를 중심으로 -

        정성희 ( Jeong Seong-h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현상윤은 유학자의 집안에 나서 어린 시절에 유학을 습득하였지만 10대 후반기부터 식민지 근대교육을 받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대학교육까지 마치면서 유교망국론적 식민사관의 영향을 그대로 받은 인물이다. 그러나 40대 이후에는 유학에 대한 시각에 변화가 오면서 유학의 긍정적 측면을 조명하는 글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이후 해방을 맞이하고 또 다른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현상윤은 『조선유학사』를 편찬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나온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는 조선 말기부터 있어온 민족주의적 유학사 서술의 마무리이자 이후 현대 유학계의 유학사 서술의 새 장을 여는 서막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유학사』의 바탕을 흐르는 유학사관이 민족주의라면 그것을 서술하는 방편은 모화사상 비판과 춘추필법적 서술방식이었다. 모화사상은 현상윤이 조선유학의 `죄`로 들고 있는 여덟 가지 중에 가장 먼저 들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현상윤은 모화사상을 비판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척사위정운동을 평가하고 있다. 즉 모화사상 비판이 중국에 대한 민족주의를 천명하는 것이라면 척사위정운동을 국권 옹호와 인륜도덕을 지켜내는 방파제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보는 것은 일본과 서양 세력에 대한 민족주의라고 할 수 있다. 현상윤은 또 인물이나 사상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정하고 거기에 따라 포폄을 가하고 있다. 그 기준은 `절의`와 `실천`이다. 이것을 기준으로 정도전이나 권근 등 고려말에서 조선 초기에 걸쳐 활동한 인물들에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조선초기의 유학에서 절의문제를 정식으로 제기하여 사육신과 생육신, 공신의 문제를 언급한다. 조선 말기의 척사위정운동에 대해서도 춘추대의의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다. 현상윤은 `실천`을 또 다른 기준으로 제시하는데, 조선 초기의 지치주의를 유학사상의 정치적 실천으로 보고 있다. 실천성에 대한 중시는 조선 후기의 경제학파에 대한 서술에서도 두드러진다. 『조선유학사』의 이러한 민족주의적 서술은 현상윤이 조선 유학의 독자성을 인정하였기 때문에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현상윤의 민족주의적 유학사 서술은 격변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정신적·문화적 주체성을 잃지 않고자 하는 지식인의 시대적 요구에 대한 부응이라고 할 수 있겠다.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朝鮮儒學史』) of Hyeon Sang Yoon is the the most authentic version which describes Korean contemporary Confucianism based on national view of history. He was a historian rather than a Confucian schola even though he was born in the family of Confucian schola and studied Confucianism since childhood, He studied history in the university and was an intellectual who learned modern sci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days. Hyeon Sang Yoon revealed his view of history clearly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I thought that his view of Confucianism was based on nationalism, and as the method for this he criticized china worship(慕華思想), and he emphasized the style of `chunchupilbeob`(春秋筆法- the method of describing Chunchu of Kong zi), the origina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As Jang Ji Yeon accepted the theory of origin of Kija(箕子) in The origin of Confucianism of Chosun (『朝鮮儒敎淵源』) Korean scholars considered the Confucianism of Chosun was originated from Kija(箕子). But Hyeon Sang Yoon denied the theory of origin of Kija(箕子), he criticized that china worship(慕華思想) put our independent spirit to death.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made a related chapter about china worship(慕華思想) and described it′s origin, representative persons, ideological influences. Such statements were based on national consciousness against China. In the same vein he described `wijong-cheoksa`(衛正斥邪) movement seriously, but he did not referred any scholars who insisted enlightenment movement at that times. Adopting the style of `chunchupilbeob`(春秋筆法)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evaluated scholars and their thoughts. Standard of the evaluation was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and utility. It was an unexpected style of description in comparison with being influenced by historical positivism during his university years. His method of description was different from that of History of Confucianism of Korea of Lee Byeong Do who studied together in Waseda university at the same period. Lee Byeong Do was influenced by Ranke who asserted historical fact. In this aspect he obviously stood in contrast with the historical view of Hyeon Sang Yoon. Hyeon Sang Yoon described that Jeong Do Jeon(鄭道傳), Kweon Kun(權近) and the other Confucian scholars of Koryeo dynasty did not keep fidelity to their principle as the Confucian scholars of Koryeo dynasty. Moreover he described `sayuksin`(死六臣), `saengyuksin`(生六臣), `kongsin`(功臣) from the viewpoint of retainer`s fidelity. He emphasized uti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as the origina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mentioned `ultimate governing ideology(至治主義)` of Cho Kwang Cho(趙光祖) and practical science of Chosun which represent the uti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of Hyeon Sang Yoon was a result of history of national Confucianism which continued to Paidongyeonwanrok(『浿東淵源錄』) of Song Byeong Seon, Joseonyukyoyeonwon(『朝鮮儒敎淵源』) of Jang Ji Yeon, Dongyuhakan(『東儒學案』) of Ha Kyeom Jin, and besides, it is a foundation describ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for the future.

      • KCI등재

        동중서의 공사론

        김우진 ( Kim Woo-ji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9 No.-

        본 연구는 단순히 동중서의 사상에서 공사관을 읽어내는 방식이 아니라 유학사상의 변화와 시대적 변화 안에서 동중서의 공사관이 어떤 특징을 보이며 그것이 이전 시대 유학의 공사관과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동중서 유학의 공사관이 가지는 의의가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자는 서주시대 종법제도와 봉건제도의 원리인 ‘예악(禮樂)’을 새롭게 복원하려고 했지만 또 다른 하나의 사상을 만들어냈다. 그리고 동중서의 사상은 공자를 계승한 맹자와 순자의 사상과는 달리, 새로운 체계와 틀로 자기 사상을 형성했는데,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 먼저 분석함으로써, 그의 공사관을 규명한다. 제국(帝國)의 유학은 선진시대의 유학과는 그 방식이 달라야 했다. 대륙 전체에 적용되는 사상이 필요했고, 그것은 인간 자체의 본성에서 유래하는 사상보다는 인간뿐만 아니라 존재하는 모든 것의 원리에 기반하는 것이어야 했다. 선진시대의 종법제와 봉건제에 기반하고 있는 유학은 家에서 國으로의 확장적 보편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제국의 유학은 통치의 원동력이 家보다는 제국에 있어야 했고 그 원동력도 제국에 있어야 한다는 특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선진유학에서 공공성이 도덕주체, 임금의 태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면, 동중서의 입장에서는 그 공공성이 하늘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천명에 따라 임금이 된 자는 도덕적이어야 하고 하늘의 원리에 따라 백성을 다스리고 신하를 거느려야 한다. 임금의 권력은 天에서 나왔다. 동중서는 군권(君權)의 절대성을 확보해주었지만, 그 절대성은 天道를 벗어날 수 없다. 맹자는 임금의 “공적 태도”라는 자발성에 집중했다면, 동중서는 이러한 물음에 ‘재이(災異)’와 ‘부명(符命)’을 통해 임금이 독단적으로 폭정을 하지 않도록 장치를 마련한다. 공맹순에게 공과 사를 결정하는 것은 인간 개인의 태도인 반면, 동중서에게 公은 개인의 태도 그 자체보다는 우선 天의 원리이다. 그 객관적인 天의 명에 따르는 것이 인간의 도리이기 때문에 인간의 태도 이전에 먼저 天 자체가 공의 기준이 되고, 그 기준에 따르는 것은 그다음이다. 즉 동중서에게 인간 개인의 본성과 태도는 天의 하위 원리에 해당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simply to read perspective on the public and the private in the ideology of Dong Zhongshu, but to show how his perspective on the public and the private is distinctive in the change of the Confucian ideology and in the change of the times and how it differs from perspective on the public and the private in the previous era, What is significance is to analyze. Confucius tried to restore the Rites-music(禮樂) which is the principle of the Patriarchal clan system(宗法) system and the Feudal system (封建) system of Western Zhou dynasty, but he created another thought. And, unlike Mencius and Xunzi who succeeded him, it is necessary to first analyze why Dong Zhongshu's ideas that have approached the new system and framework should be formed. Then, this paper interprets his perspective on the public and the private in the idea of such Dong Zhongshu. Imperial Confucianism had to be different from the Confucianism in the Pre-Chin(先秦) periods. Thoughts applied to the whole continents were needed, which should be based on the principles of everything that exists, as well as humans, rather than ideas that originate from human nature itself. Because Confucianism, which is based on the Patriarchal clan system(宗法) system and the Feudal system(封建) system in the Pre-Chin(先秦) periods has the characteristic of expanding universality from family to nation, but Imperial Confucianism should have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driving force of government should be in the empire rather than the family, and its power should be in the empire. In Confucianism before Chin(秦), if publicity can be said to be in moral subjects, the attitude of the king, Dong Zhongshu(董仲舒) can say that the publicity is in heaven(天). Those who has become king at the Mandate of Heaven(天命) must be moral, and he must rule over the people according to heavenly principles. The king's power came from heaven. Dong Zhongshu secured the absoluteness of the monarchy, but its absoluteness could not escape the way of heaven. While Mencius focused on the spontaneity of the king's "public attitude", Dong Zhongshu provided a mechanism to prevent the king from arbitrarily tyranny by using portents(災異) and omen(符命). While it is the attitude of individuals to determine what is the public and the private to Confucius, Mencius and Xunzi, for Dong Zhongshu, the public is the principle of heaven(天) rather than the attitude of the individual. Since it is human's duty to follow the Mandate of Heaven, Heaven(天) itself becomes the standard of the public before the attitude of human beings, and then follows the standard. In other words, for Dong Zhongshu, the nature and attitude of the individual corresponds to the sub-principle of heaven(天).

      • KCI등재

        연구논문 : 21세기 중국 "정치유학"의 이념과 쟁점

        송인재 ( In Jae S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5 儒學硏究 Vol.33 No.-

        오늘날 중국 유학계에서는 유학의 정치적 전변을 통해 유학의 현실 개입성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형성되고 있다. ‘정치유학’으로 지칭되는 이 경향은 단순한 학술의 혁신을 넘어 ‘중국 굴기’ 시대에 중국식 정치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는 욕망을 발산하고 있다. 정치유학을 주창하는 장칭, 야오중추, 간춘쑹은 기존의 현대 신유학이 현실과 괴리되어 있다고 비판하고 이를 ‘심성유학’, ‘박물관화/철학사’, ‘관념사’ 등으로 규정한다. 그 대안으로 ‘정치유학’, ‘인민유학’, ‘제도유학’ 등을 제시한다. 이들은 ‘정치유학’을 서양 근대성을 극복하는 동시에 홍콩/대만의 현대 신유학과 구별 정립되는 이념으로 위치 지운다. 2015년에는 현대 신유학의 계승자인 리밍후이가 정치유학을 비판하면서 정치유학 논쟁이 일어났다. 이 논쟁은 현대 신유학에 대한 양자의 인식 차이와 양자가 처한 정치사회적 환경의 차이를 드러낸다. 더 나아가 서양의 근대 정치이론과 그것의 영향력 하에 진행된 신문화운동, 그 이후 중국근대사에 대한 인식에까지 연루된다. 여기서 대륙의 유학자들은 리밍후이의 비판이 대륙의 현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라 비판하고, 대륙의 신유학이 중국의 현실에 대응한 산물임을 강변한다. 정치유학의 등장과 논쟁은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유학이 현실 개입성 강화를 꾀하면서 자기발전을 수행한 결과물이다. 현실개입이라는 목적의식 하에 정치유학은 향후 중국의 행보를 논하는 중요한 담론으로 자리 잡고 있다. In the times of ‘The rise of China’, ‘Political Confucianism’ has raised as the new Ideal type for reinforcing the influence of Confucian values. Through persisting Political Confucianism, Chinese Neo-confucianists intend to construct the unique political model of China, beyond the scientific innovation. Jiang Qing(蔣慶), Yao Zhongqiu(姚中秋), Gan Chunsong(干春松), the representative exponents of Political Confucianism, criticize that Neo-confucianism, producted by Taiwan Neo-confucianists, do not concern the reality of China, just concentrates on the academic research, so call them ‘Mind Confucianism’, ‘the exhibit of museum’, ‘the history of philosophy’, ‘Ideal history’. Their alternative type to existing Confucianism, proposed by them, is so called ‘Political Confucianism’, ‘People’s Confucianism’, ‘Institutional Confucianism’. Their argument is connected to the idea of searching for Chinese model in the times of ‘The rise of China’. Neo-Confucianists in Chinese continent orient their Confucianism as the idea to overcome Western modernity and have difference to the Neo-Confucianism in Hong Kong and Taiwan. In January of 2015 Li Minghuei(李明輝), the successor of Neo-Confucianism in Taiwan, criticized the argument of Political Confucianism. His criticism cause the debate between the Confucianists of Chinese continent and Taiwan. Their debate revealed the difference of the view on the Neo-Confucianism and social context of both sides. Furthermore it is relevant to the view on modern Western political theories, Chinese modern history since New Culture Movement, based on pursuing Western modernity. The main point in criticizing Li Minghuei is that Li cannot understand the situation of China, insist that their Confucianism is the result of dealing with the Chinese situation. The hole process of argument and debates on Political Confucianism reveal that Chinese Confucianism have continued to develop, through searching for reinforcing its influence on Chinese reality.

      • KCI등재

        고청 서기의 학문과 사상

        김창경 ( Kim Chang-gy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6 No.-

        고청 서기는 조선 중기 무렵 국학으로 정한 유학이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 않은 시기의 유학자로서, 파주에서 주로 강학을 한 율곡의 가르침을 받은 김장생이 연산에 내려와 기호유학으로 성립되기 이전, 대전·논산·공주·부여·홍성·조치원 및 보령·당진의 내포지역까지 포함하는 호중(湖中)의 유학을 진작시킨 선비이다. 서기는 스승인 이지함의 우국애민의 실천적 학풍을 영향 받아, 유교경전 중심의 사변적인 학풍보다는 성인(聖人)의 길을 학문의 궁극적 목표로 삼았으며, 공·맹을 비롯한 정·주의 학문방법을 따라서 실천적 유가의 도를 올바르게 행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는 그가 향약을 실시하고, 주자의 백록동서원을 본받아서 충남지역 최초의 서원인 충현서원을 세웠으며, 더불어 주자의 영정을 봉안하고 강학을 하였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이를 통하여 송이창과 초려 이유태의 스승인 민재문 등, 많은 제자들을 길러내서 당시 한미하였던 충남 호중의 유학성립에 큰 영향을 주었고, 이후 내포지역 유교문화를 형성하는데 큰 밑거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서기의 한국유학사에서의 위상이 새롭게 평가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더불어 서기와 더불어 이지함·조헌·송익필·조식 등이 신분을 넘고 학문적 편견을 초월하면서, 함께 교유하여 절차탁마하고 투철하게 실천한 유학자로서의 삶의 모습에서 참된 선비정신의 귀감을 찾을 수 있다. 이는 오늘날 청소년 인성교육 함양과 지역사회 문화콘텐츠로서의 활용가치와 현대적 의의를 지닌다. Gocheong Seogee is a Confucian scholar in the mid-Joseon period during which Confucian philosophy is not completely established as a national discipline. He was an authentic Seon-bi who helped boost Confusion philosophy in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Chungcheong area including Daejeon, Nonsan, Gongjoo, Buyeo, Hongseong, Jochiwon as well as Boryeong and Dangjin. Following Seogee, Jangsaeng Kim, who had studied under Yulgok, strived to firm up Giho Confusion philosophy there. Influenced by his teacher Geeham Lee's pragmatical school whose main principle is loyal to their country and affectionate to their people, Seogee set his heart on living up to the same path as previous holy men had gone through rather than pursuing an overly speculative school only focused on Confucian scriptures. He seems to have put the virtues of pragmatic Confusion scholars into practice in accordance with the way Confucius and Mencius devoted themselves to their study and learning. He carried Hyangyak into effect, built the first Seowon in Chungnam area called Chunghyeon Seowon emulating Zhu Xi's Baeklokdong Seowon, and paid close attention to learning with Zhu Xi's portrait enshrined. Those things attest that he eagerly strive to put Confucianism into practice. Through these efforts, he g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stablishing Confusion philosophy in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Chungcheong area and trained lots of disciples like Leechang Song, Jaemoon Min - the teacher of Choryeo Yootae Lee - and so on. As a result, he laid a big foundation stone to develop Confusion culture in Naepo region. Therefore, his position should seem to be re-evaluated in Korean Confucian history. In a rigidly hierarchical social structure, he studied and interacted alongside with Geeham Lee, Heon Jo, Ikpeel Song, Sik Jo, and others with no thought of their lower social status and without any academic prejudices. These kinds of his mind-set and attitudes seem to be a precious example of embodying real Seon-bi spirit. So, I suggest Seogee's life has a substantial significance in strengthening personality education of the young today and composing media contents of local community.

      • KCI등재

        기획논문 : 호서선비문화가 가진 교육콘텐츠로서의 의미와 가능성

        김세정 ( Sea Jeong Kim ),양선진 ( Seon Jin Ya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5 儒學硏究 Vol.33 No.-

        지금 21세기 사회는 인문학, 과학기술, 사회과학, 예술학 영역을 포함하는 ‘통섭적 융합문화시대’라고 평가된다. 유학(儒學)에 대한 연구도 근대적인 분과학적 입장에서 벗어나 다른 학문.문화.사유 등과 통섭적으로 융합시킬 수 있는 연결지점을 찾는 일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유학의 콘텐츠를 현재의 삶과 문화 등과 연결시킬 수 있는 그 무언가를 찾는 일이 요구되는 것이다. 21세기에도 유효한 유학의 사상을 발굴하여 이를 새롭게 조명하여 ‘교육적 가치를 지닌 콘텐츠’로 되살려야 할 것이다. 그 점에서 이 논문의 주제인 ‘호서선비문화가 가진 교육콘텐츠로의 의미와 가능성’을 찾는 일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맞닿아 있다. 콘텐츠는 산업적.경제적 측면의 상품뿐만 아니라 교육적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 내용물(content)이다. 곧 교육콘텐츠는 ‘교육적 가치를 지닌 내용물’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교육콘텐츠로서 ‘선비정신’은 유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넘어서 이 시대에 유학의 가치를 새롭게 되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선비정신은 인성교육진흥법 시행과 관련하여 그 필요성이 더욱 요청되며, ‘세방화’하는 세계적 추세와 ‘교육과정 지역화’에 들어맞는 교육콘텐츠로서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에 충청지역의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호서선비문화의 정신’이 교육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일은 너무도 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다음의 세 과정을 거쳤다. 먼저 유학의 역사와 사상을 통해 선비 정신에 대해 정리하였다. 더불어 그것이 현대적으로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오늘날의 호서 지역에서 형성된 선비정신을 호서유학의 흐름과 사상적 특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물론 이 두 과정을 거치면서, 선비정신과 호서의 선비문화가 교육콘텐츠로서 어떠한 의미와 가능성을 지녔는지도 검토하였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간략하게 정리하고 남은 문제를 짚어보았다. The current 21st century society is considered ‘the era of convergence culture’ in which different fields such as the humanities, the technology, social sciences, and science of arts etc go on reciprocal exchange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 on Confucianism (儒學) must liberate itself from the modern standpoint of disciplinary division and seek for points of connection on which it can combine with other disciplines, cultures, and thoughts. Thu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search for what can connect Confucian contents with the present-day life and culture. In this 21st century, the rediscovery and consideration of useful Confucian thoughts and the revival of them as ‘contents filled with educational values’ is regarded as very importan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uthors think that the search for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ies of educational contents in Ho-seo’s Seon-bi culture’ as the subject of this paper can meet those demands of the era. The term ‘contents’ refers not only to the goods in economics and industry, but also to the valuable things contained in the education. From this aspect, it can be said that educational contents are ‘things filled with educational values’. The Seon-bi spirit (the intellectuals’ spirit) thus can start from the point of overcoming misunderstandings of the Confucianism and reviving Confucian values. Especially, the Seon-bi spirit becomes more important in the context of the enforcement of the Law for Stimulation of Humanity Education, and can be seen as valuable educational contents appropriate to ‘the curriculum localization’. It is regarded as reasonable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ies of constructing the ‘spirit of the Seon-bi culture in the Ho-seo area’ as educational contents to cultivate students in the Chung-cheong area. Based on that standpoint, the paper is developed into three processes as follows. Firstly, the authors try to re-define the term ‘seon-bi spirit’ by considering the Confucian history and thoughts. Together with it, the authors discuss what suggestion this spirit can give from the modern aspect. Secondly, the authors examine the Seon-bi spirit rising in the Ho-seo area nowadays, based on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the Ho-seo Confucianism. After those considerations, the authors try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ies of the Seon-bi spirit and the Seon-bi culture in Ho-seo as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conclusion, the authors summarize the above contents and point out some outstanding questions.

      • KCI등재

        『논어』를 통해 본 유학의 창의성

        이시우 ( Lee See-w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4 No.-

        현 시대는 과학뿐만 아니라 경제, 기술, 예술, 정치 등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인재를 필요로 한다. 인문학도 예외가 아니다. 유학 교육ㆍ연구에서도 창의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며 창의와 인성을 결합시킨 교육을 강조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유학의 창의성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은 회의적이다. 극단적으로는 유학, 유교사상, 유학교육이 우리 사회의 진보를 가로막고 창의성 말살을 초래했다고 매도하는 발언도 쉽게 들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학과의 분리’를 진보로 보려는 경향은 다른 형태의 쇠퇴라는 입장에서 유학과 창의성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아울러 유학과 창의성 간의 긍정적 작용이 좀 더 바람직한 인간관계와 사회적 행위를 낳아 사회 발전과 조화를 이끄는 진보의 계기임을 밝힌다. 필자는 유학의 경전이 마치 세상만사를 모두 설명, 해결할 수 있는 진리의 총화라고 말하고 싶지 않다. 또 유학의 전통적 지식 추구 방법인 ‘온고지신’은 태생적으로 창의성과 접점을 가질 수 없다고 말하고 싶지도 않다. 다만 어떤 상반된 입장이 서로가 고수하는 중요한 발언을 관철시키거나 타협하려고 하면 양측이 다 같이 인정하는 원칙적 명제와 포용의 감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양측이 다 같이 인정해야 하는 것, 즉 ‘모든 창의성과 창의적인 것은 관계 속에서 발견ㆍ실현된다.’ 라는 명제와, 새로운 ‘관계맺음의 감각’을 제시함으로써 유학과 창의성의 만남 가능성을 밝힌다.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주로 『논어』의 용례를 기초로 삼고 그와 관련한 문헌을 참고하여 해석을 시도할 것이다. 그 결과 유학은 동형반복의 역사가 아니라 도덕적 창의성 계발에서 탁월함이 발휘된 개성분투의 역사임을 밝힌다. We need creative talent not only in science but also in economics, technology, art, politics and so on. The humanities is no exception. Confucian education research also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and utilize ways to cultivate creative talent, and emphasizes education that combines creativity and human nature. However, our society's perception of confucianism's creativity is skeptical. In the extreme sense, it is easy to hear the remarks that Confucianism, Confucian idea, and Confucian education have blocked progress of our society and led to the eradication of creativity. In this paper, the tendency to view 'separation from confucianism' as progress is a different form of decline. So I look for the possibility that Confucianism and creativity can be linked without interfering. It also reveals that the positive 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creativity is an opportunity for progress that leads to more desirable human relationships and social behaviors, leading to social development and harmony. I don't want to say that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are the sum of truth that can explain and solve everything in life. And I don't want to say that Confucianism can not have creativity and contact in its native way due to the New Wisdom, a traditional way of seeking knowledge[wenguzhixin(溫故知新)]. However, in order to compromise or compromise an important statement held by one another, there must be a sense of principle proposition and engagement that both sides recognize. Therefore, in this paper, I propose the proposition that both sides must acknowledge together, that 'all creativity and creativity are discovered and realized in a relationship' and a new 'sensation of forming a relationship.' This reveals the possibility of a coexistence between Confucianism and Creativity. To carry out these studies, an interpretation will be attempted, mainly based on examples from The Analects and references related literature. As a result, the paper reveals that Confucianism is not a history of repetition but a history of struggle for individuality, which showed excellence in the development of moral creativity.

      • KCI등재

        현대신유학 내부의 충돌과 분열 - 장경(蔣慶) 유교헌정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정종모 ( Jung Jong-m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9 No.-

        주지하듯이 21세기 들어 대륙신유가 진영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유교헌정론을 주장하는 장경(蔣慶)의 활약은 괄목할 만하다. 그는 정치유학, 제도유학의 차원에서 기존 홍콩대만신유가의 심성유학, 생명유학 전통을 비판한다. 그리고 중국 나름의 헌정질서체계를 의회삼원제(議會三院制)란 이름으로 구상한 뒤, 서구민주주의를 극복할 대안으로 중국고유의 유교헌정론을 제시한다. 한편, 모종삼(牟宗三), 서복관(徐復觀), 당군의(唐君毅) 등을 주축으로 한 홍콩대만신유가 노선을 계승하는 대만학자 이명휘(李明輝)는 장경의 유교헌정론 구상을 비판하는데, 최근 몇 년 사이 이들 사이의 논쟁은 대륙신유가와 홍콩대만신유가 간의 이론적 논쟁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명휘의 관점의 연원으로서 모종삼의 입장을 소개한다. 모종삼은 유학이 비록 서구민주주의에 상응하는 제도를 구현하지는 못했지만, 유학의 이념이 서구민주주의와 배치되지 않으며, 도덕주체에 대한 강조를 지성주체로 일부 전환함으로써 민주주의의 수용과 토착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양지자아감함설). 이처럼 이명휘는 모종삼의 이른바 `개출설(종자설)`을 받아들여,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연속성을 긍정하고, 내성에 입각한 정치유학 혹은 민주주의의 발전과 내면화가 가능하다는 이론을 고수하면서, 장경의 입장과 날카롭게 대립한다. 이상의 논쟁을 일별하고, 그 연원과 맥락을 분석함으로써 본 논문은 21세기 현대신유학의 현황의 일단을 살피고자 한다. The growth of Contemporary Neo-Confucianism in China this century is amazing. Especially, Jiang Qing(蔣慶) became a very important Confucian thinker in Chinese philosophical world. In view of the `political Confucianism(政治儒學)` and `Confucian constitutionalism(儒敎憲政論)`, he criticized the stream of `moral Confucianism(心性儒學)` in HongKong and Taiwan. In the middle part of the 20th century, Mou Zongsan(牟宗三), Xu Fuguan(徐復觀) and Tang Junyi(唐君毅) devoted themselves faithfully to creative interpretations of Confucianism, and established contemporary Neo-Confucianism in HongKong and Taiwan. Li Minghui(李明輝) is in succession to this school of thought, and insists that `moral Confucianism` is not at odds with the democracies of the modern West. On the other hand, Jiang says that China`s political future and political system have to be based on Chinese heritage and Confucian tradition. For example, in a Western democracy, political legitimacy is based on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But in Jjiang`s system, there are three kinds of legitimacy. They come from way of heaven(天道), way of earth(地道) and way of human(人道). In this paper, we can see the main issue and context of the debate between Jiang and 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