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19년 전후 일한관계와 일한 양국 정부・정치인・매스컴 지식을 둘러싼 고찰

        다카하시 고지 지식인문학연구회 2020 지식인문학 Vol.2 No.1

        2018년부터 2019년에 걸쳐 일한 관계가 악화하고 있다고 보도되고 있 다. 일한 관계 악화의 원인에는 일한 양국 정부와 정치가, 매스컴의 무지도 있다고 생각된다. 그런 이유로 본고에서는 2019년 전후의 일한 관계에 관 해 일한 양국 정부, 정치가, 매스컴의 지식의 유무에 대해 고찰을 진행하였 다. 본고에서는 2018년 10월 30일의 징용공 판결, 2019년 7월 4일의 반도체 수출 규제, 2019년 8월 2일 백색 국가 제외 및 같은 달 22일에 결정된 한국 의 GSOMIA 파기를 소재로 고찰하기로 한다. 본고에서는 강제력이 없는 국제법을 가져와 일본국 정부가 ‘국제법 위 반’이라는 점을 재차 지적한 것, 그런데도 일본국 정부가 WTO 협정을 위 반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GSOMIA 파기를 거론했지만 결국 파기를 중 단한 한국 정부는 앞날을 제대로 예상하지 못하고 일한 양국 정부 모두가 ‘무지’했다고 판단한다. 또한 징용공 판결을 본래 소멸 시효의 점에서 논점 으로 다루어져야 함에도 그 점을 보도하지 않은 매스컴 역시 무지하다고 하겠다. 결론적으로 보자면 양국 간 관계가 나쁘다고 하지만 상대국에 대해 어 떠한 관계 악화를 불러일으키는 행동을 취했을 뿐 아니라 정부의 지식 부 족도 관계악화의 커다란 원인 중 하나가 되지 않았냐는 것이 본고의 결론 이다. 결국 일한 양국 정부가 일한청구권협정체결 시 국가 간에 정한 개인 의 배상청구권도 소멸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 것 자체가 잘못된 것으로, 이러한 ‘무지의 외교’를 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담당자가 제대로 지식을 파악해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From 2018 to 2019, Japan-Korea relations have deteriorated. One of the causes of the worsening of Japan-Korea relations is the ignorance of the governments, politicians, and the media in both countri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consider Japan-Korea relations around 2019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nowledge of the Japanese and Korean governments, politicians, and the media. In this article, we consider the qualification judgment of October 30, 2018, the semiconductor export regulations of July 4, 2019, the exclusion of the White country on August 2, 2019, and the GSOMIA destruction by Korea decided on the 2nd of the same month. In this article, it was pointed ou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is “violating international law” by bringing in unenforceable international law, and it is possible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violates the WTO Agreement. Howev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hich said the destruction of GSOMIA, but ended the destruction, did not carry out pre-reading activities, and both the Japanese and Korean governments are “ignorant”.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recruitment work judgment should originally be the point of extinction aging, but the media that do not report the point is ignorant. As a result, even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bad, not only will it take any action that will worsen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tner country, but the lack of government knowledge will not be one of the major causes of the relationship deterioration. The conclusion is whether or not. After all, when the Japanese and Korean governments conclude a Japan-Korea claim agreement, it is necessary for the person in charge to hold the knowledge firmly in order to avoid such “ignorant diplomacy” based on the rules of construction of the Workers' Law. There will be.

      • 근대 매체를 통한 역사지식의 생산과 전파 : 한용운 『삼국지』의 조조를 중심으로

        이병민 지식인문학연구회 2020 지식인문학 Vol.2 No.1

        이 연구는 파울슈티히가 인류 역사의 매체 역사에서 매체가 사회 전반 의 변화를 촉매하는 기능을 수행했으며 근대사에서의 매체사적 전환은 전 통적인 의미의 인간매체보다 인쇄매체가 그 자리를 점유하고 발전해왔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 나아가 인쇄기술의 발달에 따른 신문 매체의 등장은 새로운 소식과 지식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음은 물론, 대중의 관심 을 모아 공론장을 형성하는 촉매 역할을 하였고, 나아가 근대적 자각을 가능케 하는 계몽적 기능을 수행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한용운 『삼국지』는 일제강점기라는 정치경제적 환경 속에서 신문연재라는 매체 전달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많은 민중들의 관심과 호응 속에서 독자들 과 만나게 되었다. 『삼국지』에서 유비와 조조에 대한 평가 및 이에 관련하 여 어느 나라가 정통성을 지니느냐의 판단은 주요 논쟁거리 중 하나다. 일제의 조선일보 폐간에 의해 연재가 중단되었지만, 한용운의 『삼국지』는 이야기의 흥미진진함을 통해 독자들에게 오락적 재미도 제공하여 일제 식 민치하에서 삶의 위안으로 삼을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조조라는 인물이 지닌 선악이 겸비된 복잡한 면모를 담고 있음으로써 그 자신과 그가 세운 왕조가 과연 정통성을 지니는가에 대한 사유를 촉발하며, 우리 동포들이 그 시기를 견디고 이겨나가도록 돕는 동시에 시의적절한 역사지식을 생산 하며 전파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view that Faulstich played a role in the history of the media in human history in which the medium has catalyzed changes in society as a whole, and that the medium-history transition in modern history has been more dominated and developed by the print media than by the traditional human media. Furthermore, it noted that the emergence of newspaper media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not only served as a source of new news and knowledge, but also as a catalyst for the formation of a public forum by collecting public attention, and further performing an enlightening function that enabled modern awareness. This time, Han Yong-u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 in the Japanese occupation, political and economic way of transmitting a newspaper serialization, in the media environment by many people's attention and selection. In the response met with readers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the assessment of the costs and coordination and the judgment of which countries have legitimacy in this regard are among the main issues of contention. Although the series was stopped by the closure of the Chosun Ilbo, Han Yong-u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was a fascinating story, which provided entertainment to readers so that they could serve as comforts for lif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also containing a complex aspect of the good and evil character of Caocao(曹操), at the same time, triggered a reason for his compatriot to endure the times when he and helped us to promote the sense of legitimacy of history.

      • 옛이야기 <선녀와 나무꾼>의 변용양상 고찰

        김광식 지식인문학연구회 2019 지식인문학 Vol.1 No.1

        옛이야기 <선녀와 나무꾼>은 오랫동안 연행되어 왔지만, 기록되기 시작 한 것은 1898년 이후다. 이 논문에서는 필자가 새롭게 발굴한 해방 이전에 간행된 97종(중복을 제외하면 채집자료 64, 연구자료 18, 총 82종)의 자료 를 분석하고, 해방 후에 간행된 옛이야기집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그 전 개양상을 살펴보았다. 일본어로 발표된 자료는 중복을 제외하면 47편인데, 그 중에서 29편은 선행 자료의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카하 시 도오루(22종)와 미와 다마키(5종)의 영향이 강했다. 1910년대에 간행된 두 옛이야기집은 이후에 간행된 자료집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카하시의 영향을 받아 나무꾼 승천형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미와에 의해 수탉형, 임석재에 의해 시련 극복형이 채록되었다. 또한 조선인도 일본어로 자료 를 발표했고, 임석재와 손진태는 식민지기에 일본과는 다른 조선 옛이야 기의 특징을 명확히 의식하면서 시련극복형 및 수탉형을 소개하였다. 해방 이전에는 다카하시의 영향으로 나무꾼 승천형이 다수 채록되었다. 그 러나 64편중에서 중복되지 않는 33편을 분석하면 나무꾼 승천형(14편)과 함께 수탉형(9편)이 보고되었다. 한편, 해방 후에 간행된 주요 옛이야기집에는 시련극복형과 수탉형이 다수 채록되었다. 임석재 한국구전설화에 해방 전의 자료가 다수 포함 되었음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양상은 식민지기에도 비슷했을 것이다. 그 러나 다카하시, 최남선 이후 나무꾼 승천형이 주로 지면으로 발표되고 1, 2차 교육과정 교과서(1955~72)에 나무꾼 승천형이 수록되면서, 그 영향을 받아 1990년대 이후에는 나무꾼 승천형이 확산되었다. 옛이야기 <선녀와 나무꾼>은 1980년대까지 복잡한 유형(시련극복형과 수탉형)이 주를 이루었지만, 다카하시 이후의 서승양상과 교과서의 영향 으로 나무꾼 승천형이 증가하였고, 근년에는 서사성이 더 간략한 선녀 승 천형이 다수 채록되었다. 도시화, 고령화에 따른 연행자의 기억 쇠퇴, 연행 의 감소 등으로 인해 복잡한 서사 유형을 대신하여 기본형이 중심을 이루 는 상황을 보여준다. 식민시기에 손진태와 임석재는 다카하시의 보고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선녀와 나무꾼> 연구사에 이의를 제기하고 서사성이 복잡한 시련극복형 과 수탉형을 소개하였다. 해방 후 70여 년이 지난 지금 서사적으로 복잡한 유형이 줄어들고 간단한 유형이 연행되는 현상을 주시하고 다른 옛이야기 와의 관련 양상을 검토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Although the folktale of The Woodcutter and the Nymph has a long oral tradition, it was first recorded in Korea in 1898. This paper analyzes how the folktale changed in collections over time. The author first examines ninety‐seven newly discovered collections published before liberation and the circumstances of their recording post‐liberation. Twenty‐two versions of the tale presented by Takahashi Toru and five versions presented by Miwa Tamaki in Japanese were influential, and their two collections particularly impacted those published after 1910. Although Takahashi’s version of the tale where the woodcutter ascends to heaven appears most frequently by far, Miwa’s version with a rooster and Im Seok‐jae’s version where the woodcutter overcomes a series of trials were also recorded. Moreover, Im and Sohn Jin‐Tae published papers clearly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versions of the tale. Although the number of materials presented in Korean is relatively limited compared to the Japanese at eighteen, they are valuable as modern sources, particularly as leading intellectuals Choe Nam‐seon, I Neung‐hwa, and I Gwang‐su recorded them. In sum,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Japanese mainly recorded versions of the tale with the woodcutter ascending to heaven while Koreans recorded the versions of tale with the ascension and the rooster as well. While many folktale collections published post‐liberation mainly recorded the trial and rooster versions of The Woodcutter and the Nymph, the ascension version saw more publication post‐1990. The loss of oral memory and declining oral tradition following urbanization and an aging population has now resulted in the tale being reduced to its basics rather than retaining a complex narrative. There is a need to fundamentally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folktales in the seventy‐some years since liberation and its significance.

      • ‘역설’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한글(훈민정음) 사용과 의미

        김슬옹 지식인문학연구회 2020 지식인문학 Vol.2 No.1

        이 논문은 ‘역설’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여성의 한글(훈민정음) 사용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곧 조선시대에 중국 한자에 비해 비주류 문자였던 한글이 남성 양반 계층에 비해 비주류였던 여성 계층에 의해 오히려 발전 한 것을 역설적 상황으로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왕실 여성들이 발행한 한글 공문서는 역설적 상 황이 오히려 자연스런 권력으로 작용한 것이었고, 여성의 한글 상소문은 역설을 통한 한문 공문서의 틀을 균열낸 것이었다. 여성들의 한글 편지 쓰기는 역설의 생활화이고 한글소설과 같은 문학을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생활 속에서 유통한 것은 역설을 오히려 즐긴 것이었다. 여성들이 펴낸 한글 요리책과 같은 실용서는 역설을 통한 지식의 승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다섯 가지 측면에서 여성들의 한글 사용은 절대적인 남성 중심 의 한자 권력에서 한글이 살아남아 발전할 수 있는 실질적인 힘이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use and meaning of Hangeul (Hunminjeongeum) of women in Joseon Dynasty from the point of view of paradox. In the Chosun Dynasty, it was paradoxical that Hangeul, which was less mainstream than Chinese Chinese, was developed by the female who was less mainstream than the male clas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Korean official documents issued by royal women were a paradoxical situation that acted as a natural power. The writing of Korean letters by women was a paradoxical lifestyle, and it was rather a paradox that women actively distributed literature such as Hangul novels in their lives. Practical books, such as the Korean cookbooks published by women, mean victory of knowledge through paradox. In these five aspects, women's use of Hangul has become a practical force for Hangul to survive and develop in absolute male-centered Hanja power.

      • 박완서 소설의 중국어 번역본에 나타난 ‘자국화(naturalizing)전략’ 연구

        양레이 지식인문학연구회 2019 지식인문학 Vol.1 No.1

        본고는 박완서 작품의 중국어 번역 출간물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속에 나타나는 번역의 자국화 전략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번 역이 지향해야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논의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한국의 저명한 여류 문학가인 박완서의 작품은 한중 수교 이래 장편소 설 5편과 단편소설집 2편, 동화집 1편 및 중단편 10편의 소설이 중국어로 번역되어 소개된 바 있다. 일찍이 박완서의 소설은 사용된 언어가 매우 세밀하며, 다루고 있는 소재들도 매우 폭넓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박완서 소설이 지니는 예술적 특징은 번역가들이 맞닥뜨려야 하는 고충이기도 한 데, 본고에서는 박완서 작품의 중국어 번역본을 통해 이러한 예술적 감성 이 어떠한 방식으로 번역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고에서는 박완서 소설 작품의 번역 과정에서 일어나는 자국화 전략의 양상에 주목하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내용을 첨가하거나 독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단어를 익숙한 개념이나 단어로 치환하는 경우 그리고 원문의 의미를 설명하듯 풀어서 번역하는 경우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 한 번역의 자국화 전략은 가독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를 발휘 하였다고 할 수 있지만, 그 과정 속에서 원문의 의미가 훼손되거나 은폐되 는 경우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번역의 미학을 살리기 위해 서는 문화적, 언어적 특징들을 충분히 고려한 번역어 강구의 과정이 필요 할 것이며, 이는 번역 과정에서 끝없이 고민하고 실천해야 할 과제라고 하겠다.

      • 朴婉绪小说汉译中的“归化策略”研究

        杨磊 지식인문학연구회 2019 지식인문학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naturalizing of translation that appears in Park Wan‐suhʹs work, and to discuss what translation should ultimately be oriented toward. Park Wan‐suh, a renowned Korean female novelist, has been introduced in Chinese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with five novels, two books of short stories, one book of fairy tales and 10 novels of intermission. Park Wan‐suhʹs novel was very detailed in the language used, and the subjects covered were also very extensive. This artistic feature of Park Wan‐suhʹs novel is also the hardship that translators have to face, and we looked at how these artistic sensibilities were translated through the Chinese translation of Parkʹs work. In particular, we have noted the patterns of naturalizing that take place during the translation of Park Wan‐suhʹs novel, in which we can add content or replace words that are unfamiliar to readers with familiar concepts or words, and translate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as explained. While this naturalizing translation strategy worked in that it could enhance readability, it was able to identify cases in which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was compromised or covered up in the process. Therefore, to revive this aesthetics of translation, the process of the translation word will be necessary, taking into account cultural and linguistic features, and this is a task that must be constantly contemplated and implemented in the translation process.

      • 충돌과 융합 : 중국 대륙의 ‘한류’ 연구

        리우리리 지식인문학연구회 2019 지식인문학 Vol.1 No.1

        1992년 한중 수교 이래, 한중 양국의 문화교류가 새로운 시대에 접어든 지 이미 20여 년이 되었다. 1990년대 말, 한국은 드라마와 음악 등 대중문 화를 선봉에 두고 문화 전파에 박차를 가하였으나, 초창기 중국 언론, 정 부, 학계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비록 한류의 영향을 받긴 하였지만 크게 중시하지 않았고, 한국 문화가 중국뿐 아니라 아시아 전체에 이렇게 큰 반향을 일으키며 문화적 신화를 탄생시키고 나아가 유구한 문화적 전통을 지닌 중국의 롤모델이 될 것이라 예측하지 못 하였다. 2006년, 혹자는 이 흐름이 현재 ‘파멸’1)의 단계에 이르렀다고 단언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단언은 매우 성급한 결론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중국에서의 ‘한류’가 형성된 과정을 돌아보고, 한중 수교 이래 대륙에 미친 ‘한류’의 유형을 종합하고, 중국의 ‘한류’ 연구 역사를 회고하여 대륙의 ‘한류’ 문화정책 및 각계의 입장에 대해 정리함으로써 중국 문화 의 내실 강화 및 대외 전파, 나아가 한국 문화의 보존 및 향후 발전에 대해 시사점이 있기를 바란다.

      • 『상해 독립신문』의 교육 관련 기사를 통해 본 일제 강점기 해외 교육 상황 연구

        허재영 지식인문학연구회 2020 지식인문학 Vol.2 No.1

        『상해 독립신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관지로 1919년 8월 21일 『독립』이란 제호로 창간행된 후, 1925년까지 발행된 신문이다. 망명 정부에 의해 발행되었음을 고려할 때, 발행 주기나 횟수가 불안정한 면이 많이 있지만, 이 신문은 1920년대 한국의 독립 운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신문이었다. 이 논문은 이 신문에 나타난 교육 관련 기사를 분석하여 1920년대 해외 지역의 한국인 교육 상황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 신문에 따르면 1920년대 중국과 러시아 지역에서의 한인 교육은 이주민의 고단한 삶으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했으나, 교육이 독립운동의 기초가 된다는 차원에서 각 지역에서 그 나름대로 교육 관련 활동이 지속 적으로 전개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아령실기’를 중심으로 한 러시아 지역의 교육 활동은 학계에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 왔던 분야인데, 이 신문의 기사와 러시아 지역 한인 활동의 역사를 대조 해 볼 때, 러시아 지역으로 이주한 한인의 역사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Shanghai DONGNIOPSINMUN(the Independent Newspaper) is the branch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ublished on August 21, 1919 under the title Independence, and published until 1925. Considering that it was issued by the government of asylum, there were many unstable cycles or times of publication, but it was a very important newspaper in the 1920s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is paper aims to objectively examine the educational situation of Koreans abroad in the 1920s by analyzing educational articles in this newspaper. According to the newspaper, Korean-Chinese education in China and Russia in the 1920s was not activated due to the hard life of migrants, but education-related activities continued in each region in that education was the basi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can confirm. In particular,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Russian region, centered on ‘A-Ryeong Silgi(俄領實記)’,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by the academic community. This can be an important resource.

      • 和杜와 集杜 창작으로 본 조선 문인들의 杜詩 수용

        최석원 지식인문학연구회 2020 지식인문학 Vol.2 No.1

        주지하듯이 杜詩는 한자라는 동일한 문자 체계를 공유한 문화권 내에서 전통 시학의 전범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고는 이렇듯 한자 문화권 내 시학 의 전범으로 인식되어 온 두시의 영향과 후대 문인의 수용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조선이라는 특정 시기와 공간 속 두시에 대한 인식과 해석의 문제를 다루었다. 다만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들과는 달리 和韻과 集句라 는 유희적 시체 속에 드러나는 두시의 재문맥화 과정에 천착하고자 하였다. 언급한 바와 같이 화운과 집구는 비록 유희적 속성을 지닌 시체로 창작되었 으나, 송대에 이르러서는 원작에 대한 존경에 기초한 재문맥화의 과정으로 변화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 문인들의 和杜詩 와 集杜詩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속에 내재된 조선 문인들의 두시에 대한 기억과 재문맥화 과정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조선의 화두와 집두 창작은 조선 문인들에게 깃들어 있던 ‘理性情’과 ‘達風敎’라는 이학적 문예심리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we are aware, Du-shi(杜詩) has been recognized as the standard of traditional poetry within the cultural sphere in which the same writing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is shared.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Du-shi(杜詩),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standard of poetry in Chinese culture, and to explore the acceptance of later writers, this study dealt with the problem of recognizing and interpreting the Du-shi(杜詩) in Joseon(朝鮮). In this paper, however, unlike previous research achievements, He-yun(和韻) and Ji-ju(集句) were intended to focus on the re-texturing process of Dushi as shown in the playfulness. As mentioned, He-yun(和韻) and Ji-ju(集句) were initially based on amusement, but by the Song Dynasty, we were able to confirm the re-textualization on the basis of respect for the original work. Thus, I used Joseon(朝鮮) literati’s He-du(和杜) and Ji-du(集杜) as research subjects to identify the memories of Joseon literati about Du-shi(杜詩) and the process of Du-shi(杜詩) re-texting. This allowed us to confirm that Joseon(朝鮮)’s creation of He-du(和杜) and Ji-du(集杜) originated from Joseon(朝鮮) literati’s neo-cofucianism literary psychology called ‘理性情’ and ‘達風敎’.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