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 배경과 가치이념에 관한 연구

        윤황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sphere expansion and ideological values of the global diaspora in the age of global multi-cultu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current situation of global multi-culture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widespread global diaspora. The global diaspora has a population of estimated two billions in worldwide, and global immigrants reach one billion among the global diaspora. People in the global village are called for the establishing a global community without boundaries between the mainstream group (indigene, compatriot, resident, majority, centrality) and the fringe group (immigrant, foreigner, outsider, minority, periphery). Second, the sphere of global diaspora is rapidly expanded in the global village. Now, the global diaspora networks are emerging as new phenomenon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global markets, spread of the global communication networks, increase the multiple identities and dual nationality, and generalization of the world tour and sightseeing. The sphere expansion of the global diaspora has immediate connection with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disperse capitalism, and network of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ith these backgrounds, the sphere of global diaspora will expand further. Third, in order to build an indiscriminate global community in the age of global diaspora, the global ideological values are needed such as cosmopolitan sympathy, positive communalism, open pacifism, and non-killing socialism. The people of the world could enjoy their lives with the global diaspora by virtues of compathy, justic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The global community is likely to be realized only when the boundaries are abolished between the mainstream and fringe group in this world. In conclusion, it is high time for people in this world to establish a global community and communitization of global village where there is no discrimination against diaspora.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글로벌 다문화시대에서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에 대한 배경과 이들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면서 추구해야 할 가치이념이 무엇인가를 모색하는 데에 있다. 그에 따라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현재 글로벌 다문화시대가 ‘세계 디아스포라시대’와 접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구촌 인구의 약 20억명 정도가 디아스포라들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에 국제이주자의 수가 현재 10억 명에 달하고 있다는 것은 글로벌 다문화시대가 곧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와 접속되고 있다고 규정했다. 이런 시대에서 지구촌의 인류는 원주민, 동포, 국내자, 다수자, 중심인, 주류집단과 이주민, 이방인, 국외자, 소수자, 경계인, 비주류집단과의 경계가 무너지는 ‘지구촌공동체화’와 ‘지구공동체’ 건설을 추구하도록 요구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둘째, 오늘날 세계는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 출현을 갈수록 확대해가고 있다고 규명했다. 지금 지구촌은 지구화로 인해 글로벌 시장의 대두,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확산, 다중 정체성과 이중 국적의 증가, 세계 여행과 관광의 일상화 등에서 세계 디아스포라 네트워크의 출현과 같은 디아스포라 공간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 공간 출현의 배경은 3차 산업혁명시대, 분산자본주의 시대, 비정부기구 네트워크 시대의 요구에서 규명하고 그 배경에 따라 디아스포라의 공간 출현 확대가 더욱 추동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분석했다. 셋째, 세계 디아스포라의 시대적 공간출현에 기초하여 ‘디아스포라에 대한 차별 없는 지구촌 건설’을 위해 필요한 글로벌 가치이념은 코스모폴리탄 공감주의, 적극적 공동체주의, 열린 평화주의, 비살생 사회주의가 될 것이라고 제시했다. 오늘날 다문화시대와 접속된 디아스포라 시대의 인류 모두가 디아스포라와의 공감, 공행, 공정,공생, 공존, 공영을 향한 글로벌 가치이념의 선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고 규명했기 때문이다. 지구촌에서 이주민, 이방인, 국외자, 소수자, 경계인, 비주류집단으로 구별되고 차별받는 디아스포라가 원주민, 동포, 국내자, 다수자, 중심인, 주류집단과의 경계가 완전히 사라질 때만이 지구공동체 건설의 목표를 향한 지구촌공동체화도 현재화되고 구체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글로벌 국제이주가 보편화 된 오늘 날, 다문화시대는 필연적으로 세계 디아스포라 시대와 융합될 수밖에 없는 바, 지구촌 인류는 디아스포라의 가치이념을 기반으로 ‘디아스포라에 대한 차별을 배제하고 모두 함께 더불어 사는 평화로운 지구촌 공동체’의 건설 방향으로 즉시 움직여야 할 때라고 주장됐다.

      • 중원 지역의 한류 현황과 대학 한국문화 교육

        샤위에량(Xia YueLiang)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내학술회의 Vol.2016 No.12

        중원 지역은 핵심적인 지리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예로부터 중국 교통 허브의 역할을 담당해 왔을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융합적인 문화를 보유한 지역이라서 한류라는 외래문화를 잘 수용할 수 있는 전제 조건을 갖춘다고 볼 수 있다. 지리적, 문화적 특성으로 중원 지역은 연해, 연변 등 지역과 다른 한류 수용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부 대개발 전략으로 최근 들어 경제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이 지역이 고유 의식의 영향과 홍보의 부족으로 지역 한국 문화 수용 및 교육에 대하여 아직 많은 학자의 주목을 받지는 못한 상태이다. 한중 수교 3 년 후에 중원 지역의 하남성이 바로 한국의 경상북도와 우호교류 관계를 맺어 경제, 문화, 교육, 과학기술 등 여러 영역의 교류 및 합작을 시작하였다. 2005년 하남성 성도에 위치한 정주경공업대학교는 중원 지역에서의 한류 시작 초기에 한중교류의 맹활약을 예측해 중국 국가교육부의 허가를 받아 대학 정규 본과 4년제 한국어문학과를 설립하였다. 10년 역사를 넘은 정주경공업대학교 한국어문학과는 중원지역에서의 한국어교육, 한국문화교육에 이바지해 중원 지역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 관련 인재를 지원해 왔다. 본 연구는 정주경공업대학교 한국어문학과의 사례를 통하여 중국 중원 지역 현행 한국문화교육 실태와 그 문제점을 분석하며, 또한 사회 실정에 맞는 한국문화교육의 바람직한 목표, 교수 내용, 교수법 및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중국 대학 한국어문학과의 커리큘럼은 주로 언어 교육에 집중되는 것과 같이 한국을 대상으로 전문 통번역 인재, 교육 인재, 무역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정주경공업대학교 한국어문학과도 언어 과목이 전체 교학과목에서 절대적인 비율을 보유한다. 하지만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도구를 넘어 그 자체가 문화이자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고 축적하는 수단이 되기도 하며, 문화는 언어를 통해 유지해 나가기도 한다. 이런 차원에서 정주경공업대학교의 한국어문학과가 하드웨어 시설의 업그레이드와 보다 다양한 형식의 교육 수단 실천을 통하여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글로벌화시대의 문화교육은 문화지식의 전수를 넘어 문화를 활용하는 방법, 문화에 대한 창의적 사고, 문화요소를 이용하여 유·무형 결과물을 생산하는 능력 양성까지 목표로 삼아야 한다. 때문에 사회 요구의 급속한 변화와 외국어 인재가 날로 포화 상태에 이르러는 전제 하에 통합적이고 실용성을 강조하는 문화교육이 바람직하고 본다.

      • KCI등재후보

        재미 작가 김보현 작품의 디아스포라 이미지 분석

        정금희(Jung, Kum Hee),조사라(Cho, Sa Rah)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3 디아스포라 연구 Vol.7 No.1

        1955년 도미한 화가 김보현은 한국 근현대미술사에 있어서 마지막 남은 추상표현주의 1세대로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굴곡의 한국 근현대사 속에서 좌우 이념의 희생양이 되어 고국을 등진 후 60년 가까이 뉴욕에서 작업 활동을 하고 있다. 김보현은 한국에서 3차례나 정신적ㆍ신체적으로 고통을 겪게 되면서 한국 화단과 40년 간 단절하였다. 도미 후 그의 60여년 화업에 있어서 고국에서 받았던 트라우마는 예술의 근원으로 작용했다. 디아스포라의 전형적 삶을 살았던 김보현의 예술세계도 자연 그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디아스포라적인 김보현의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재미 한인사와 미술사를 알아본다.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들은 초기에는 하와이와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살았으나 1950년대 이후 미국 전역으로 확산된다. 김보현이 도미했던 당시 뉴욕은 현대미술의 메카로 떠오르면서, 전 세계 수많은 미술가들을 비롯해 한국 작가들도 서서히 모여들었고, 현대미술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김보현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디아스포라적 이미지와 특성이 무엇이며, 그의 예술이 지닌 의미와 가치에 대해 문제를 제기시켜 본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오늘날 디아스포라 미술의 의미와 디아스포라의 정의 및 형성을 알아보고 김보현 예술을 이러한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범주는 김보현이 미국으로 이주한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창기 작품을 중심으로 한다. 김보현 예술에 대한 디아스포라적 관점의 분석은 현대미술에 드러난 디아스포라적 이미지와 특징을 도출해낼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시대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한국의 정체성과 특질을 연구한 사례로 의미를 가지며, 한국근현대미술사의 한 영역으로서 재미 작가 재조명 측면에서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Bo-hyun Kim, Korean-American artist, went to America in 1955. He is the last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bstract expressionists, having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art history. Kim was scapegoated in the long and winding modern history of Korea, and forced to leave his native country. He has been in New York for six decades. After he suffered both mental and physical pain three times in Korea, Kim had to cut himself from the Korean artist community for over four decades. The trauma he has had to endure over the past six decades has always been the source of his artistic inspiration. Kim who had to flee his native country is a classic example of ‘diaspora’.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American history and the American art history first to understand his works inspired by diaspora. The Korean-American history traces back to 1903 when the Gaelic docked in Honolulu with around 100 Korean immigrants - who left their home country to pursue the American Dream - aboard. It has been 110 years since then, and around two million Koreans now live in the United States. Early generations of Korean Americans settled first in Hawaii and Los Angeles, and, in the 1950s, they started to spread across the country. Currently, the 40 percent of Korean Americans live in New York and Los Angeles, the two largest cities in the United States. When Bo-hyun Kim arrived at New York first, the city was rising as the mecca of contemporary American art, attracting many artist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ose from Korea and leading the contemporary art trend of the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images and characters of diaspora that is melted in his works, and raises questions on the implications and values of his works in art history. To do so, the implications of today’s diaspora art and the definition and development of diaspora are reviewed.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Kim’s early works from the late 1950s to the early 1960s. Analyzing Kim’s works from the aspect of diaspora will serve as a ground to extract general images and characters of diaspora that is expressed in modern art. It will also have implications for studying the identity and characters of Korea from the same perspective in this global era, as well as for contributing to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by discovering and shedding new light on Korean-American artists.

      • KCI등재

        한일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비교연구

        김태완(Kim Tae-Wan),이혜진(Lee, Hey-Jin),이연옥(Lee, Yeon-Ok),조윤용(Cho, Yoon Yong),노츠타카시(Notsu Takash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한일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과 그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간에 존재하는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일 양국의 도시 중 역사적, 환경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진 부산과 고베를 선택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다. 다문화수용성 척도는 이주민에 대한 차별 정도에 해당하는 ‘차별’, ‘거부회피’, ‘문화개방’, ‘상호교류’, ‘고정관념’ 등 총 5개 요인,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다문화수용성과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일본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한국 대학생에 비해 높았다. 일본 대학생의 경우에는 외국인친구가 있거나, 다문화강좌 수강 경험을 가진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한국 대학생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유학/연수 의향을 가진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높은 것은 양국 대학생 모두에게서 확인되었다. 또한, 하위요인의 기여순위를 분석해본 결과,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의 구조에는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한일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적절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to investigate influence factor explaining their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o compare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sub-factor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data were selected from the survey conducted in Busan and Kobe as two citie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history,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specificity.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scale consisted of 13 items and these items were categorized as 5 factors such as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s”, “rejection/avoidance”, “cultural openness”, “willingness to exchange”, and “stereotypes”. The result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overall scor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Japanes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students. Specifically, college students having foreign friends, having taken multicultural classes, and planning to study abroad showed higher multicultural acceptance scor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nking of the contribution of sub-facto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in the two countries. This difference could provide the appropriate criteria for seeking ways to chang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후보

        초창기 재일한인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성향 연구

        정금희(Jung, Kum Hee),김명지(Kim, Myeong J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2 디아스포라 연구 Vol.6 No.1

        재일한인사(在日韓人史)의 시작은 일제의 조선 식민지 정책 이후 몰락한 조선농민층이 도항한 1910년을 기점으로 보고 있다. 이후 일본에서 활동한 한인 미술가들은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일본으로 유학을 온 동경유학생들과 한국의 정치적, 역사적 상황 속에서 일본으로 올 수밖에 없었던 작가로 구분된다. 동경유학생들은 유학 후 상당부분이 고국으로 돌아가게 되었지만 초창기 재일한인 작가들은 경제적, 정치적 이유로 고국에 돌아가지 못하고 일본에 남아서 작품 활동을 했다. 초창기 재일한인 작가들은 일본미술사와 한국 근현대미술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정치, 사회적 문제 때문에 그동안 재일한인 미술가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연구자는 초창기 재일한인 작가의 작품을 디아스포라의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초창기 재일한인 작가들은 일본미술단체에 참여하여 일본미술계에서 그들만의 영역을 형성했으며 재일한인을 중심으로 하는 ‘재일조선미술가협회’, ‘재일조선미술회’ 등의 민족미술단체를 만들고 이 단체를 중심으로 활동을 하였다. 유학생들은 당시 일본에서 유행했던 모더니즘 성향을 보였으나, 초창기 재일한인 작가들은 리얼리즘 경향이 더 강했다. 재일한인들에게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가장 큰 특징은 모국을 지향하는 성향과 모국에 대해 정치?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보였다는 점이다. 또한 일본과 한국, 북한과의 특수한 관계 속에서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경계인으로서의 존재 즉, 변형된 초국가적 양태를 보였다. 이러한 재일한인들의 디아스포라적인 특징은 이들 작가들의 작품에 잘 표현되었다. 민족적 정서를 추구했던 재일한인들의 삶은 고향의 모습과 모성의 이미지를 통해 표현되었으며 경계인으로 살아야 했던 그들의 내면적인 갈등은 가면의 이미지와 혼란스러운 자화상 등으로 표현되었다. 더불어 이들이 겪은 현실적인 삶의 고통은 일용직 노동자, 불법행상을 주제로 다루어졌다. 초창기 재일한인 예술가들의 작품에서 나타난 디아스포라적인 삶의 흔적이 어떻게 반영되어 표현되었는지 그 의미와 가치에 대해 고찰했다. This study is to review works of Korean Japanese artists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terms of diaspora. The Korean Japanese" history began in 1910 when many people went over to Japan after the fall of peasantry due to Japan"s colonial policy. Korean artists in Japan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ose who were born in better-off families and went to Japan for study and those who had no choice but to go to Japan due to Korea"s politic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Under this circumstance, Korean Japanese" artistic works varied according to each generation along with changing historical and political environments. It might be right to study for each generation group. Howeve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wo subjects are only to be looked into: first, the background of Korean Japanese" art formation and second, analysis of artistic works of Korean Japanese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colonial era.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orean Japanese artists formed their own territory in Japan"s art sector by participating in Japan"s art associations. Moreover, they created self-organized art groups such as "The Joeseon Artists" Association of Korean Japanese" and "The Jose on Art Society of Korean Japanese". Korean students in Japan created Modernism-styled works of art which was in vogue at that time. Meanwhile, Korean Japanese artists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created Realism-styled works that reflected the desperate situation of Korea and their strong homesick for their home country. Second, they showed in their works the sorrow and emotional conflicts they experienced while living in Japan as strangers who were not either South Korean, North Korean or Japanese. Korean Japanese artists reflected in their artistic works the hidden persecution, disdain and their suffering while living in Japan, Korea"s situation in which the nation is divided into two due to differences in ideologies and consequential division among Korean Japanese. In short, the works of Korean Japanese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showed the propensity of diaspora. Furthermore, how their life as diaspora was reflected in their works and the meaning of them could be figured out.

      • KCI등재후보

        국내 이주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변용과 가치지향

        박민철(Park, Mincheol)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2

        이 글은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한국으로의 대규모 이주에서 발생하는 ‘충돌’과 ‘갈등’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가치관 연구들은 이를테면 ‘직업 선택’, ‘거주지 선택’과 같은 개인적인 선호도에 집중된 영역에 집중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개인적인 선호도를 넘어, 평등ㆍ자유ㆍ권리와 같은 보편적인 윤리적 지향으로서 ‘가치지향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둘째,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과 고유한 존재방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고 하였다. 이는 코리언 디아스포라들에게 나타나는 가치지향성의 생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셋째,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코리언 디아스포라들에 대한 심층구술조사를 주요 방법론으로 채택했다. 요컨대, 그들과의 대화를 통해 그들의 가치지향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한국(인)의 가치충돌이 구체적으로 어떤 양상으로 발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국내이주 코리언 디아스포라로부터 한국인들의 ‘민족 내 위계화와 차별’에 대항하는 ‘평등의 지향’, 강고한 ‘국적=정체성’ 프레임에 반발하는 ‘민족적 연대’에 대한 요구,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생활양식의 모순적 공존’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f collisions and conflicts occurring in the large scale migration of Korean diaspora into South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has two goals. First, while existing studies of Korea diaspora’s values focus on the area of their personal preferences such as career choice and residential area choice, the current study rather aims to disclose Korean diaspora’s value orientation characterizable as a universalistic ethical one such as equality, liberty and other rights, hidden under the surface of their personal preferences. Secondly, this study want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generation of Korean diaspora’s value orientation by trying to comprehend their identities and their own way of existence.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principally takes the method of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diaspora. That is to say, this study examines the way in which collisions of values take place among Koreans through conversations with oversea Koreans who migrated back to Korea.

      • KCI등재

        다문화시대 문화 중개자로서 디아스포라의 가능성 연구

        강원(Kang Wo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09 디아스포라 연구 Vol.3 No.1

        코리안 디아스포라에 내재한 민족적 정체성과 노마드적 정체성의 공존이 오늘날 네트워크 시대의 매우 큰 가능성이라고 본다. 재외한인은 끊임없는 모국에로의 회귀를 꿈꾼다. 동시에 세계인으로서 성공 가능성을 점치며, 끝없이 이주한다. 코리안 디아스포라에 내재한 ‘민족정체성 ⇔ 정주국(사회)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 세계인으로서의 정체성’은 보다 적극적 견지에서 ‘충분히 활용되어야 할 자원’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 자원은 코리안 디아스포라가 전지구적 차원에서 문화적 중개인으로 활동할 수 있는 가능성이다. 이 경우 그를 이끌어줄 확실한 목표는 무엇보다도 문화네트워크를 통한 문화적 콘텐츠의 확대재생산이 될 것이다. 이것이 전 지구적으로 전파 혹은 교류되면서 네트워크의 개방성, 상호작용성을 통해 보다 확대된 창발성(emergence)을 갖게 되며, 그것이 결국 다문화 사회에서 문화다양성을 추구하면서도 각 지역의 창조적 역량이 세계사회에 통용되는 인류 공통의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네트워크로서 상호 접촉하고자 하는 문화의 특성을 읽어낼 수 있는 쌍방향적 인식의 폭이며, 실천적‘상호 존중’이다. 특히 각 지역적으로 형성된 "연성적 블록(soft block)"으로서‘문화적 결속기재(geo-governance mechanism)"가 전체 네트워크를 조절해야 한다는 대전제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결속기재는 국가적 신념이나 민족적 이해로서 종속적 시스템이 아닌 개별적 속성들이 수평적으로 만나 이루어지는 비제도권의 시스템을 말한다. 이 네트워크는 각 지역의 자발적, 주체적, 유기체적 활동이 횡적?수평적 교차를 통해 이루어지며 거대한 망상 속에 자체적 생명을 갖고 움직이는 프랙탈(fractal) 구조를 띤다. 이는 쉼 없이 움직이면서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내며 그러면서도 흩어지지 않는 강한 결속력을 갖는다. 이것이 문화적 다양성을 확장하며 프랙탈 구조로 형성되는 네트워크의 가능성이다. "Coexistence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nomadic identity in the Korean diaspora" has a very big possibility in the network age today. Overseas Koreans are constantly dreaming of returning home. At the same time, they tell their fortune of the possibility for the success as a cosmopolitan and move without the end. "national identity ⇔ identity as a person of fixed country(society) ⇔ identity as a global person" is necessary to be recognized as a "sufficient utility resource" from more positive view. In this respect, the resource is the possibility of Korean diaspora which can take into action as a cultural intermediary on the global level. In this case, above all, the definite goal will lead it is expansive re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cultural networks. This helps have more expansive emergence through the openness and interaction of networks by transmitting or interchanging globally, and at last seek after cultural diversity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common purpose of human beings whose local creative ability is in use will be achieved. In this case, the most essential problem is the realm of mutual recognition which can understand the characters of the culture that wants to make contact mutually as a network in a practical "mutual respect". Especially, the major premise that "geo-governance mechanism" has to regulate the total network as "soft block" formed in each locality is needed. Here, governance mechanism does not refer to the system such as national faith or racial understanding but the unsystematic system that consists horizontally of individual properties. This network is being formed by each local spontaneous, independent and organic operation through the cross and horizontal intersection and has a fractal organization that moves with its own life in huge network. It makes a new organization by moving constantly and has the strong solidarity undivided. This is the possibility of network that forms the fractal organization by expanding the cultural diversity.

      • KCI등재

        ‘세계디아스포라연맹’ 창설의 제안: 필요성과 방향

        윤황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This article is designed to study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Global Diaspora's Coalition'(GDC) and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its founding. The followings are the main points of this proposal. Firstly, the numbers of dispora and international NGOs have been increasing. Many countries have founded governmental institutions dealing with diapora and the state of network type are being appeared. Secondly, the GDC would be founded on the cooperation of organizations, groups, and collectivities of the different countries. The objectives of GDC is to guarante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diaspora and to resolve problems concerning diaspora. This article proposes the strategy of three steps to take concrete shape of GDC. The first step is to found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which is the stage of networking based on Association of Global Diaspra Studies, The second one is to organize the GDC as a coalition body of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institutions. The third step is that this GDC would be recognized as one of the UN specialized agencies with the integration of UNHCR. In conclusion, the founding of GDC is quite necessary in this period of global diasporas and it is very timely to have a such kind of international institu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에 관한 필요성을 규명하고,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 필요성은 1) 세계디아스포라의 수 증대, 2) 국제비정부기구의 수 급증, 3) 디아스포라 관련 정부기구 및 전담기구를 설립하는 국가 증가, 4) 네트워크 형태의 국가가 만들어지고 있다는점이다. 둘째,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창설방향은 각국의 기관, 단체, 집단등을 중심으로 추진주체가 만들어져야 하고, 세계디아스포라의 권익보장과행복추구를 확보하는 목표와 디아스포라의 보호, 디아스포라문제의 해결과관련된 제반업무 수행의 설립목적이 명확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명칭문제의정립과 관련해서는 ‘세계디아스포라연맹’의 영문 명칭을 ‘Global Diaspora's Coalition’(GDC), 한자어 명칭을 ‘世界離散同胞聯盟’이라고 표기해야 한다. 단계별 전략은 ‘3단계 추진전략’으로써, 제1단계 국제비정부기구조직화, 세계디아스포라학회 중심 네트워크화 → 제2단계 국제비정부기구 간 연대연합 활동화 → 제3단계 UN 전문기구화, 유엔난민기구(UNHCR)와통합화 발전단계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기구의 제도화 준비에도나서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