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교육과정 연구 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2007년부터 2020년을 중심으로

        윤옥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255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from 2007 to 2020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ntegrated curriculum research.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combined number of universities and elementary schools by researcher affiliation was 236 (92.5%). Sec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s analysis by research method revealed that theoretical research articles, numbering 123, constituted the most articles (50%), followed by 46 qualitative (18.2%), 43 quantitative (13.6%), and 43 practical research articles (13.6%). Thir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s analysis by study subject reveal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the subject comprising the most articles (138 or 54.1%). Fourt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s analysis by research topic indicated that articles in the curriculum theory field, numbering 78, comprised the most articles (30.6%).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area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should be expanded. Second, resistance that appears when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constructed and applied must be overcome. Third, for the realization of the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national curriculum and legal basi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통합교육과정학회지에서 발행하는 통합교육과정 연구논문을 2007년부터 2020년까지 총 255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통합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 소속별로 보면 대학교와 초등학교를 합치면 236편(92.5%)으로 연구자 대부분은 대학교수와 초등학교 교사로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 방법별 현황분석 결과는 이론연구가 123편(50%)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이 질적연구가 46편(18.2%), 양적연구 43편(13.6%), 실천연구 43편(13.6%)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자별 현황분석 결과는 초등학생이 138편(54.1%)으로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 주제별 현황분석 결과는 교육과정 이론 분야가 78편(30.6%)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과정의 연구 영역을 확장해야 한다. 둘째, 통합교육과정이 구성되고 적용될 때 나타나는 저항을 극복해야 한다. 셋째, 통합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해서는 국가교육 과정과 법적인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건물의 조명환경 성능개선을 위한 채광시스템 연구동향 분석 연구

        정수연,이민구,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ing year after year, and the energy consumption in the building sector accounts for a significant part of the total consumption. The demand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research to solve increasing lighting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s is growing, and daylighting systems are receiving much attention as a possible solution.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daylighting systems compared to building cooling ener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daylighting system research related to improving the lighting environment and saving building energy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daylighting systems.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daylighting systems published in Korea after 2000 were analyzed,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ain content of most related papers was centered on combining various element technologies. These combinations focused on offering different functions from daylighting systems and integrating other fields, and most results showed improved daylight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ingle-structured daylighting systems. Also, recent research has begun to integrate IT,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Industry 4.0,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2) Most research on developing daylighting system technologies focused on daylighting control, which requires an optimal combination of operation and control, as mentioned above. 3) Most previous studies on daylighting systems valid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chnologies but only focused on energy savings. These performance evaluations should have also considered the demand and satisfaction of occupants to verify the proper performance of daylighting systems. 4) Most previous works on developing daylighting system technologies did not consider or review economic feasibility (such as initial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which is a major omission in demonstrating their effectiveness and a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에너지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 건물에너지의 사용량은 전체 사용량에 대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건물 에너지중 조명에너지의 사용량의 증가 문제로 인한 기술개발 및 연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중 채광시스템은 조명에너지 사용량 증가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채광시스템 관련한 연구분야는 건물부분의 냉방에너지 관련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빛환경 개선 및 건물에너지 저감과 관련된 채광시스템 연구의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채광시스템과 관련한 연구 방향에 대한 분석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간된 채광시스템 관련 국내논문의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채광시스템의 기술개발에 대한 관련 논문의 주요한 내용은 요소기술간의 결합으로 보여지고 있다. 요소기술간의 결합은 채광시스템과는 다른 기능을 가지거나 타분야와의 결합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채광시스템의 단일구조에 의한 것보다 채광성능이 개선된다는 결과가 보여지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는 4차혁명의 핵심기술인 IT기술과 결합된 연구로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 채광시스템의 기술개발과 관련한 연구의 주요한 내용은 채광제어에 대한 수준으로, 앞서서 언급한 가동 및 제어 분야와 적절한 결합이 요구된다. 3) 채광장치의 선행연구는 기술개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에너지저감의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채광시스템에 대한 적절한 성능검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에너지저감 및 재실자의 요구수준 및 만족도에 근거한 성능평가가 반영되도록 개선되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 본 연구에서 수행된 채광시스템과 관련한 개발 연구 기술개발에 대한 초기 구축 비용 및 유지관리 관련 경제성을 검토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는 기술개발의 실효성 입증에 부적합하다. 이러한 부분은 선행연구들이 가지는 한계로 보인다.

      • KCI등재

        테크 스타트업 연구개발 투자의 사회, 경제적 성과 창출 효과

        최규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전세계적으로 국가 기간산업부터 소비재에 이르기까지 4차 산업혁명 기술 위주의 디지털 전환과 그린 에너지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기술창업 기업에 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기민함과 민첩함을 무기로 신기술을 사업모델에 접목해 빠르게 성장하는 이들 기술창업 기업은 국가적 신성장 동력으로 일자리 창출과 국가 경제성장을 선도하기 때문이다. 기술 창업기업은 언어 장벽이나 시장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의 특성을 무기로 규모의 경제 위주의 대한민국 산업 지형을 변화시키고 있고, 정부도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여 이들의 연구개발을 지원한다. 한편, 기술창업 기업의 경제적, 사회적 성과 창출에 관해서는 연구자들간 견해가 엇갈리는 추세다. 이에 본 연구는 다수의 딥테크 스타트업 사례를 관측할 수 있는 대덕특구가 위치한 대전 테크 스타트업의 연구개발 투자가 기업의 경제적 성과인 수익과 정부 차원에서 사회적 성과인 고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보다 면밀한 분석을 위하여 기술 기반 창업기업인 테크 스타트업과 그렇지 않은 기술 기반 일반 기업으로 집단을 분리하여 각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지역 내 연구개발 투자 상위 500대 기업 투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이중 조사 대상으로 창업기업 총 100개와 비교군으로서 500대 기업 중 업력 8년 이상 연구개발 투자 상위 100대 기업을 선별했다. 연구개발 투자 기업을 기술 기반 업종 군으로 구분하고, 업력 7년 이하 기업을 창업기업으로 분류하여 SPSS 25.0 버전으로 차이 분석, 상관분석과 단순 회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각각 실시했다. 분석 결과, 기술 기반 창업기업과 기술 기반 일반 기업 모두에 있어서 연구개발 투자의 증가는 매출 증진 효과를 주었다. 한편 창업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의 증가는 고용 창출과 같은 사회적 효과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기업의 경우에는 이들 간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기술 기반 일반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는 기업의 매출 신장에는 기여하나 고용 창출에는 기여하지 않았고, 기술 기반의 창업기업은 연구개발 투자가 매출과 고용 창출 모두에 기여하였다. 즉, 대덕특구 클러스터가 위치한 대전지역의 경우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가 중요하며, 특히, 테크 스타트업의 경우 그 사회, 경제적 실효성이 높게 나타난 것을 재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 정부와 클러스터 혁신기관들이 수행하는 테크 스타트업 지원의 당위성을 실증하였다는 데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amined how the R&D investment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non-startup companies affects economic effects such as corporate profits and social effects such as employment. Daejeon, which has a policy significance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a high proportion of deep-tech startup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target area. Based on the empirical data of the top 500 firms that invest in R&D investments in Daejeon were used and the data has been secured from KoDATA. Among the top 500 companies, the target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for the study. A total of top R&D 100 SMEs in which seven years have not passed since the date on which the person commenced business operations were selected as the start-up group, and the other top R&D 100 companies with more than 8 years old were selected. As an analysis tool, SPSS 25.0 version was used. Statistical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and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economic and social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technology-based startups invest in R&D, the higher the social effect as well as the economic effec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various R&D support fund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for technology-based start-ups directly help the start-ups to improve their profitability and create job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echnology-based non-startup companies, the more they invest in R&D, the more it can help increase sales, but it was not very helpful for job creation. Since R&D investment in technology-based startups has considered to be helpful not only in generating profits but also in job creation, continuous support should be needed to enhance the effect of local economic and social investment.

      • KCI등재

        나노 사회에서 중소기업 CEO의 상담코칭 융합 연구

        서우경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본 연구는 나노 사회에서 기업의 위기를 겪은 중소기업 CEO의 삶의 경험을 내러 티브 탐구 방식을 통해 이해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담코칭 융합적 접근 방식으로 연구 참여자에게 2020년 2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질적 연구에서 비확률적표집의 하나로 이용되는 유목적 표집 방법으로 중소기업 CEO 한 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나노 사회에서 화재, 구치소 수감, 집 경매 등으로 경영 위기와 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에게 상담과 코칭의 융합적 접근을 적용함으로써 문제로부터 빠르게 벗어나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새로운 인식 전환을 가져오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나노 사회에서 상담 영역만 으로 해결이 어려운 연구 참여자에게 코칭과의 융합적 접근을 적용해 봄으로써 불안과 외로움, 위기 극복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담코칭 두 영역의 적용은 연구 참여자의 만족도를 높이며,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게 하는데 매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상담코칭 융합을 위한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o understand and search for meaning in the life experiences of CEO of SMEs who suffered a business crisis in the nano-society through a narrative inquiry method. To this end, this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from February 2020 to March 2023 using a counseling coaching convergence approach. A research participant selected one CEO of SMEs through purposeful sampling, which is used as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in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pplied a convergent approach of counseling and coaching to research participant who experienced management crises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fires, detention centers, and house auction in the nano-society. Through this, research participant quickly escaped from the problem, overcame trauma, and brought about a new perception shift.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in overcoming anxiety, loneliness, and crisis through a convergence approach with coaching to research participant who are difficult to solve only in the area of counseling in the nano-society. It was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wo areas of cou-nseling coaching was very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 and experiencing post-traumatic growth. This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for counseling and coaching convergence.

      • KCI등재

        교육사회학 25년(1990-2014) 연구 동향 분석

        윤옥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5

        이 연구의 목적은 1990년부터 2014년까지 지난 25년간 한국교육 사회학의 발전 과정을 교육사회학 연구 논문 총 567편을 중심으로 연구동 향의 주요 특성들을 고찰하고 학문 발전을 위해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교육사회학 연구 영역 중 가장 많이 연구된 영역은 교육 제도와 사회 정의 영역 181편(31.4%)이다. 그 사람 다음이 사회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 영역이 141(24.4%)편이다. 세부 영역으로 가장 많이 연구된 영역은 교육과 평등문제 69편(11.9%)이었으며 그다음이 교원 정책 및 교육개혁 60편(10.4%)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과제는 첫째, 연구 동향 분석 때 분석체계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교육사회학 연구 동향을 거시적 관점에서 타당 화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다른 인접 학회나 박사학위논문, 석사학위논문, 교육사회학 관련 저서 등을 통해 교육사회학 흐름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사회학 연구동향을 다른 사회학회지 연구동향과 비교분석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incipal aspects of the research trend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al sociology from 1990 to 2014. This is mostly based on 567 papers on educational sociology in order to outline the prospective task that academic development should undertake. According to the study, the most intensively studied area in Korean educational sociology is educational systems and social justice with 181 papers (31.42 %). It is followed by studies on society’s influence on the education in 141 papers (24.47 %). The most intensively studied specific area concerns the issue of education and equality in 69 papers (11.97 %), followed by the policy on teachers and educational reforms in 60 papers (10.41 %). The task that this study presents is as follows. First, diversifying the analytical framework when analyzing study trends is necessary. Second, to validate the trends in the study educational sociology in Korea, main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also becomes necessary to extensively study how educational sociology permeates the broader society, doctoral and master's degree theses, and books on educational sociology that have been studied so far. It would also be meaningful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with those of other sociology journals.

      • KCI등재

        효율적인 건물에너지 저감을 위한 가동형 건물외피의 태양광 패널 적용 연구 동향 분석

        백송이,이현민,정수연,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0

        급속한 산업혁명과 기술 발전으로 인한 무분별한 자원의 소비는 에너지 고갈을 가져왔다. 이에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그중 태양에너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태양에너지 발전 시 사용되는 태양광 패널의 효율은 태양의 세기와 고도, 주변의 기온에 영향을 받기 때문의 별도의 전력을 사용하여 태양추적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들이 등장하였으나, 에너지 발전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위하여 오히려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는 모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 가동형 건물외피에 결합하여 함께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들이 그 해결책으로 등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가동형 건물외피와 태양광 패널이 결합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그 특징과 장점, 한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가동형 건물외피에 적용되는 태양광 패널의 기술 및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00년 이후에 출판된 학술지 논문 중 태양광 패널과 건물외피를 주제로 하는 논문을 관련 키워드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선별하여 10건의 논문을 도출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연구 목적, 태양광 모듈 결합 방식, 가동형 건물외피의 가동 방식, 연구 결과 등의 내용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및 정리하였다.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태양광 패널이 적용된 건물외피 선행연구는 가동형 건물외피의 이동성을 이용하여 효율을 증대시키려 하였으나 다양한 외부적 요인들이 고려되지 못하며 태양광 패널 자체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가동형 건물외피 및 태양광 패널의 성능에 미치는 요인들뿐만 아니라 그 개념 또한 적절히 숙지하고 이루어지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단, 본 연구는 그 범위가 한정적이므로 보다 폭넓은 연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reckless exploitation of resources caused by rapid industrializ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led to the depletion of energy resources. Therefore, renewable energy is receiving great attention, and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solar energy. The efficiency of solar panels used to generate solar energy is affected by the intensity and altitude of the sun and ambient temperature, so many studies adopted solar tracking techniques using separate power supplies. However, there were contradictions in consuming energy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generating energy. Therefore, studies integrating solar panels with movable or dynamic building envelopes have emerged in an attempt to resolve such issu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technology and research direction of solar panels to be used in future movable building envelopes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advantages, and limitation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combining movable building envelopes and solar panels. Ten papers on solar panels and building envelopes were selected by searching related keywords among academic papers published after 2000. The purpose, the solar module coupling method, the operation method of movable building envelopes, and the research results of these papers were analyzed, compared, and organi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previous studies on building envelopes applying solar panels attempted to increase efficiency by using the mobility of movable building envelopes. However, various external factors were not considered and focused only on the solar panel. Therefore,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movable building envelopes and solar panels and the concepts behind them. Also,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a wider range of studies to supplement the limited scope of this study.

      • KCI등재

        대학생 관점에서 본 다학제적 학습역량에 관한 연구

        김혜진(Kim, Hye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연구는 세계 각국의 데세코 프로젝트 결과를 근거하여 교육정책 및 과정 그리고 혁신적인 교육(학습)역량이라는 범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다. 학습역량을 특정 영역에 대한 복합적인 지식, 인지적, 실용적, 기술, 태도, 정서, 가치, 동기 등 다방면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한 융합적인 모형의 틀로 보고 있다. 다시 말해, 다학제적인 성격을 가진 학습역량이 중요한 만큼 개발된 자료와 학생들 간의 실질적인 차이와 인식에 대한 요소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학제적인 학습역량의 자료에서 융합 부분과 그 외 영역에 대한 의미를 구분해 보았다. 연구자료를 살펴본 결과, 연구자들의 융합적인 영역으로 학습동기 및 학습심리로 보았고, 그 외 학습환경에 따는 영역으로 구분했다. 이 부분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및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공이 다른 대학생 대상으로 소그룹을 구성하여 2회에 걸쳐 인터뷰를 진행했다. 질문내용은 문헌 정보 및 연구자료를 토대로 내용축약과 질문유형으로 구분했다. 1차 인터뷰에서는 총 25문항으로 학업비전, 학습동기 학습조건, 학습전략, 학습환경, 학업 극복, 그 밖에 기타 문항으로 진행했고, 2차 인터뷰는 15문항으로 학습동기, 기초학습역량, 일반학습역량, 전공프로젝트 학습역량, 대인관계, 기타 문항으로 1차 내용을 반영하여 재설계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은 역량이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학습에 동기 여부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연구자료 및 인터뷰 내용에서 일괄적으로 학습동기가 학습에 중요한 역량으로 파악되었다. 학생이라는 조건으로 예상된 결과라고 볼 수 있지만, 또 다른 시각으로는 많은 학생이 학습 동기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학습역량이 다학제적이고 혁신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습에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학습역량에 관한 이론과 근거도 중요하지만, 학습능력을 발휘하고 재능을 펼칠 수 있는 계기와 전공별 맞춤형 학습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개발 하여 유형별 학습 동기가 유발할 수 있는 개발 및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seco project around the world, this study began in the course of studying the scope of education policy and course and innovative educational (learning) competency. The definition of learning competency is discussed in various ways by researchers. Learning competency is viewed as a convergence model framework for developing successful resolution capabilities by using multiple aspects, including complex knowledge of a particular area, cognitive, practical, technical, attitude, emotion, value and motivation. In other words, as learning competencies with a multidisciplinary nature are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actual differences between the developed materials and students and the factors of perception. In the data of multidisciplinary learning competencies, the meaning of the fusion part and other areas was divid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data, it was viewed as a study motivation and learning psychology in the convergent areas of the researchers, and was divided into other areas for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understand students’ opinions and perceptions on this part, a small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fferent majors was formed and interviewed twice.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summary of the contents and types of questions based on the literature information and research data. In the first interview, a total of 25 questions were conducted in terms of academic visi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conditions, learning strategy, learning environment, academic overcoming, and other questions, and the second interview consisted of 15 questions. , Major project learning cap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ther questions were redesigned to reflect the first content. Through interviews, students saw that in order to demonstrate their competence, it depends on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In the research data and interview contents, collectively, learning motivation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competency for learning. While the expected results can be seen as a condition of being a student, another view is that many students do not have a motivation to study. In order to develop multidisciplinary and innovative learning capabilities, we believe that various institutional devices that can motivate learning are needed. In addition, the theory and evidence of learning ability are important, but development and research that can be induced by type of motivation should be carried out by developing a tool that can diagnose customized learning competencies by major and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learning ability.

      • KCI등재

        국내 아동기 부정적 경험(ACE) 연구 동향

        김희영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아동기 부정적 경험(ACE)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연구대상자의 ACE 관련 논문을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ACE에 대한 용어, ACE에 대한 측정도구, ACE 관련 연구변인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국내 ACE 연구의 특징과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였다. 국내 데이터베이스(DBpia, KCI, KISS, RISS)에서 “아동기 부정적 경험”,“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아동기 역경 경험” 그리고 영문“Adverse Childhood Experiences”를 2016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국내 논문 중에서 검색하였다. 최종 26편의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국내 ACE 연구는 201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은 성인(11편)과 청소년(9편)이 가장 많았고, 다수의 논문이 복지 관련 출판 분야(17편)학술지에 발표되었다. ACE의 국문 용어는 “아동기 부정적 경험”(8편)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측정도구는 전통적 ACE 범주를 묻는 ACE 척도(15편)가 주로 사용되었다. ACE 실태조사와 유형 관련 연구가 7편, 정신건강 관련 변인 14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ACE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s the research trend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ACE) published in Korean jornals. To this end, we collected domestic research on ACE and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ics of research population, terminalolgy of ACE, and research variables realted to AC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o examine the characterisics and trend of current Korean ACE research.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In domestic data (DBpia, KCI, KISS, RISS), we searched for the Korean keywords “childhood adverse experiences”, “childhood adverse life experiences”, “childhood hardship experiences” and the Enlish keyword“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mong domestic articles published from 2016 to 2023.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inal 26 resarch articles, the number of ACE studies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18. Adults (11 studies) and adolescents (9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study populations, with the majority of articles published in welfare-related academic journals (17 studies). The Korean terminology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8 studie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erm for ACE,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measurement tools was the traditional ACE scale (15 studies). There were 7 studies related to ACE prevalence and types, and 14 studies related to mental health-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ACE research in Korea.

      • KCI등재

        OTA 서비스 특성이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주성완,이정실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여행사(Online Travel Agency, OTA)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이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을 통해 제시된 연구가설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OTA 서비스 특성의 적시성, 신뢰성, 정확성 및 풍부성은 브랜드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 가설 2, 가설 3 및 가설 4의 검증결과, 적시성, 신뢰성, 정확성 및 풍부성은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브랜드 선호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의 검증결과, 브랜드 선호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갖는 의미는 첫째, 현재 국내외의 OTA 서비스가 지닌 특성인 적시성, 신뢰성, 정확성 및 풍부성은 이용객에게 브랜드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최근 과열현상을 보이고 있는 OTA 시장에서 영속성과 생존을 위해서는 이용객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여행사는 정확한 정보과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온라인 여행사의 브랜드 선호도는 이용객의 브랜드 충성도의 고취로 이어지므로 직접적인 경제수익과 연관성을 지닌 브랜드 충성도의 고취를 위해 OTA 서비스 제공 여행사는 서비스 이용객에게 정확한 정보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있도록 지속적인 서비스 품질의 개발과 서비즈 제공 능동적 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연구의 진행에서 나타난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개선할 여지가 있어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국내 OTA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국한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연구결과가 지는 의미에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국내외 온라인 여행 서비스 제공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특성을 비교해 본다면 근본적으로 외국 온라인 여행서비스 업체와 경쟁력을 파악해볼 수 있는 연구결과의 도출이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brand preference and brand loyalty of customers using services provided by Online Travel Agency (OTA). To this en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presen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1, Hypothesis 2, Hypothesis 3, and Hypothesis 4 that timeliness, reliability, accuracy, and abundance of OTA service characteristic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preference, timeliness, reliability, accuracy, and abund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rand preference.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5, brand preference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brand loyalty. The meaning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is. First, it was found that timeliness, reliability, accuracy, and abundanc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domestic and foreign OTA services, can increase brand preference among users. Therefore, for persistence and survival in the OTA market, which has recently been overheating, online travel agencies should continuously provide accurate and reliable information to increase user accessibility. Second, since online travel agencies' brand preference leads to the promotion of users' brand loyalty, to promote brand loyalty that is directly related to economic profits, travel agencies that provide OTA services will need to continuously develop service quality and actively provide services to provide accurate and reliable information to service users. Despite these research achievemen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in the progress of the study, so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in future studies, suggesting the following. First, the meaning of the research results is insufficient in that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ly on the services provided by domestic OTA compani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s offered by domestic and foreign online travel service providers should be compared. The research results that can fundamentally grasp the competitiveness of foreign online travel service companies have been derived.

      • 통합관점의 기술준비지수와 도입 효과에 관한 연구

        프파 레스레이 암비(Pupah Lesley Ambi ),타베 이카오카 엘비스(Tabe Ekouka Elvis ) 글로벌융합연구학회 2022 글로벌융합연구학회지 Vol.1 No.2

        한국의 식품의약국(FDA)은 환자가 약의 복용 여부를 의사에게 얄릴 수 있는 센서가 있는 의약품인 디지털 알약을 승인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알약이 제기하는 윤리적, 사회적 문제를 진단하고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알약의 올바른 사용에 기여하는 것이다. 첫째, 사용자가 우리의 삶을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디지털 알약 혁명을 수용할 수 있는 좋은 인식을 준비 한다. 둘째, 디지털 알약의 채택을 위해 기술준비지수와 기술수용이론을 개발, 테스트 및 검증한다. 셋째, 디지털 알약의 채택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와 계속 사용을 고려한다. 연구의 방법론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실증적 연구를 수행한다. 디지털 알약의 기존연구의 한계를 최소화하면서, 디지털 알약의 필요성을 알리는 것을 목표로 기존연구의 개념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연결한다. 문헌 검토에서 공식화된 기술준비지수 및 기술수용모델은 Amazon Mechanical Turk에서 수행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얻은 데이터로부터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총 319개의 데이터 표본을 수집하고 9개의 무효 응답을 제거한 후 310개의 유효 응답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였다. 설문 분석에는 Smart PLS 3.0 및 IBM SPSS 버전 23.0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기술준비지수와 기술수용모델을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기술준비지수와 도입 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본다. 분석 결과는 낙관론, 혁신성, 불안정, 불편함이 인지된 사용 용이성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실증적 공헌은 디지털 알약 사용에 의한 의사결정 과정의 중요한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와 설명이다. Korea's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uthorized digital tablets, which are pharmaceuticals with a sensor that may notify doctors whether or not patients are taking their med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proper usage of digital pills, by highlighting the main ethical and social challenges it raises and providing solutions.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to prepare a good perception for users to accept the digital pills revolution that is changing our lives health-wise, (2) to develop, test, and validate TRI and TAM for the adoption of digital pills, (3) to strengthen the user's understanding of the digital pill's adoption and continue to use, this study's methodology is appropriate for gathering data and addressing the research questions via an online survey. The methodologies are conceptually and practically linked with previous research, with the goal of building on them while minimizing the limitations of previous work. The TRI and TAM formulat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were empirically validated from data acquired in an online survey conducted on Amazon Mechanical Turk. ln total 319, samples were gathered and 310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eliminating 9 invalid responses. This study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which allows for simultaneous analysis. SmartPLS 3.0 and TBM SPSS version 23.0 were used for the analysis. Moreover, this study investigates TRI and TAM, however, the primary purpos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s' (TRI) technological readiness index and Adoption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optimism, innovativeness, discomfo1t, and Insecurity have positive impacts on perceived ease of use. The majority of the given hypotheses are supported by a satisfactory overall model fit index.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add to our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critical mechanism underlying digital pill users' adoption intention decision-mak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