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 국어 교재를 통해 본 국어와 정전의 형성

        문혜윤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One of the first decisions to be made in the process of nation building right after Liberation wa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he Joseon Language Society had tremendous roles to play in the process of the symbolism of Korean being formed and spread. Being stationed in the nation with no preparations for Korean and Korean situations,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nd those in charge of the matters from its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 appointed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adopted the textbooks written by the society so that they would play their roles in the stabilization of the nation. As Korean, education, and textbooks were essential to the formation of people, the publication market of the nation right after Liberation was booming with the publication of government-designated, authorized, and auxiliary textbook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and Korean canon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y looking into the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written by the Joseon Language Society and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published by Jeongeumsa,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society among the several publishers responsible for textbook publication. The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formation of Korean canons as well as that of Korean because most of the textbooks those days were collections of selected works from the colonial period. Published in 1946,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consisted of total six volumes including Volume 1 of Hangul Reader by Jeong In-seung, Volume 2 of Wooam Seonsaeng Gyenyeoseo by Song Shi-yeol, Volume 3 of Collection of Joseon Shijos by Choi Yeong-hae, Volume 4 of Collection of Joseon Proverbs by Kim Won-pyo, Volume 5 of Handbook of Joseon Spelling by Kim Byeong-je, and Volume 6 of Model Sentences for Secondary School by Park Tae-won. Those who were in charge of each of the volumes had relations with the Joseon Language Society in any forms. Compared with the government-designated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that was published almost at the same time, the reader from the Liberation period had common features with it including being organized mainly with the works in circulation during the colonial days and activating the mechanism supporting the formation of Korean and further the nation. First, the works on the materials and topics of youth, young people, and spring held a high percentage in quantity. They proposed the lively power, determination and vision of the new era and helped to cultivate the attitude of people for the new era. Second, they revealed organization and description about weather and nature including the seasons, which reflects the intention to present experiences in abstract forms rather than individual experiences and reorganize them into a new life and memory. Finally, they exhibited the intention to place textbooks in the historicity of Korean and Hangul. One of the common features among the volumes of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was the elimination of memories of Chinese classics, which was demonstrated by the standard language and spelling rules at the end of each volume and the side dots(attached to the frequently miswritten marks) in the main body. The forms of readers(textbooks) underwent another round of changes as the Korean Language Society lost its influence around the Hangul simplification shock with the anti-communist climate reinforced by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which raises a need to compare them in future study. 해방 직후 국가 건설에서 선결되어야 할 것은 국어의 수립이었다. 국어가 가진 상징성이 형성, 전파되는 과정에서 조선어학회의 역할은 막중했다. 한국어와 한국적 상황에 대한 방비가 없이 주둔하게 된 미군정 및 미군정 학무국 담당자들은 조선어학회의 인사들을 준용하고 조선어학회 저작의 교과서를 채택하여 국가 안정화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국어, 교육, 교과서는 국민의 형성에 필수적인 것이어서, 해방 직후의 출판 시장은 국정 및 검인정 교과서, 부교재 형태의 출판이 활황을 이루었다. 이 글은 조선어학회 저작의 『중등국어교본』과, 교재류의 출판을 담당했던 여러 출판사들 중 조선어학회와의 관련성이 짙은 정음사 부독본총서를 살핌으로써, 해방기 국어와 국어 정전의 형성 과정을 살폈다. 국어의 형성뿐 아니라 국어 정전의 형성을 살필 수 있는 이유는, 그 당시의 대부분의 교재류가 식민지 시기의 작품들을 선별하여 묶은 형태를 띠고 있었기 때문이다. 1946년 간행된 정음사 부독본 시리즈는 총6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권 정인승의 『한글독본』, 2권 송시열의 『우암선생계녀서』, 3권 최영해의 『조선시조집』, 4권 김원표의 『조선속담집』, 5권 김병제의 『조선어철자편람』, 6권 박태원의 『중등문범』이다. 각 권 담당자들은 어떠한 형태로든 조선어학회와 관련을 맺고 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출간된 국정 『중등국어교본』과 비교하였을 때 드러나는 해방기 독본의 공통점은, 식민지 시대에 유통되었던 작품들 위주로 구성되었다는 점, 그리고 이것이 국어의 성립과 나아가 국가의 성립을 뒷받침하는 기제를 작동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그 첫 번째가 청춘, 청년, 봄 등을 소재 및 주제로 하는 작품들이 양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새 시대의 약동하는 힘과 의지, 비전을 제시하여 새 시대의 국민의 자세를 함양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는 계절을 비롯하여 날씨나 자연에 관한 구성 및 기술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개별자로서의 경험보다는 추상적인 형태의 경험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생활과 기억의 재구성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는 국어 및 한글이라는 역사성 속에 교과서를 위치시키려는 의도를 드러낸다. 정음사 부독본총서의 공통점 중 하나가 한문학 기억에 대한 소거인데, 책의 말미에 수록되어 있는 표준어, 맞춤법 규정이나 작품의 본문에 제시된 (자주 틀리는 표기에 붙은) 방점 등이 이를 증명한다. 한글간소화파동을 전후로 하여 조선어학회의 영향력 쇠퇴가 드러나고, 정부 수립을 기점으로 강화된 반공 국시의 풍토는 다시 한 번 교과서 및 독본의 형태를 변화시키는데, 이에 대한 비교도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유기음화와 어문 규정

        송홍규 ( Hong Kyu Song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6 No.-

        본고에서는 어문 규정의 ``로마자 표기법``과 ``표준발음법``에서 ``ㅈ`` 역행적 유기음화를 일관되게 설명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두 규정에 따르면 ``ㅈ`` 역행적 유기음화는 단순한 축약 현상으로 분류될 수도 있고, 축약 현상에 구개음화가 동반된 것으로 분류될 수도 있는 여지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두 규정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축약에 이은 구개음화의 결과로 ``ㅈ`` 역행적 유기음화를 설명하기 위한 음운 변화 과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음운 변화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저형에서 표면형으로의 도출에 필요한 각각의 음운 변화가 일관되게 설명될 수 있는지를 살필 필요가 있다고 보고, 도출 과정에서 일어나는 각각의 음운 변화, 즉 평폐쇄음화, 자음군 단순화, 구개음화와 관련된 조항들을 살펴보았다. 국어 화자의 정확하고 바른 언어생활을 위하여 교육적인 측면에서 어문 규범의 숙지와 활용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데, 그에 대한 교육 방향은 개개의 규정의 암기보다는 원리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 이해를 중시하고 있다. 한 음운 현상에 대한 이해는 기저형에서 표면형이 도출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각각의 음운 변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이것은 어문 규정의 조항이 그런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술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에서는 각 음운 변화와 관련된 어문 규정의 조항들의 검토를 통해 그것들이 제시된 도출 과정을 위한 충분하고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였다. 이런 과정 속에서 지적된, 보완이 필요한 어문 규정의 조항들은 원리에 의한 어문 규범의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바탕을 마련하기 위해 재고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Regulation of romanization of Korean`` and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explain ``ㅈ`` regressive aspiration process consist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considering the two regulations, ``ㅈ`` regressive aspiration process can be treated as either simple coalescence or palatalization following coalescence. While examining the two regulations, this paper proposed a phonological process explaining how ``ㅈ`` regressive aspiration process can be understood as coalescence followed by palatalization. In order to access the validity of proposed process, it is needed to check whether each phonological change involved in the derivation of ``ㅈ`` aspiration is properly described in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Thus, this paper looked into the provisions related to coda neutralization,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nd palatalization. For the proper language use of Korean speakers, the education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has been emphasized, and the education focuses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rinciples rather than memorization of each provision. The understanding of a phonological process requires understanding all phonological changes taking place in the derivation from the underlying form to the surface form. Thus, provisions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have to provide proper explanation of the phonological changes. While examining the provisions relevant to ``ㅈ`` regressive aspiration process, this paper showed that the provisions are not described in the way that they provide sufficient and clear explanation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ㅈ`` regressive aspiration process.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description of some provisions has to be reconsidered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education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emphasizing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rinciples.

      • KCI등재

        초우당 주인(蕉雨堂主人) 육정수 연구

        조경덕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hed light upon life and works of Yook Jung-Soo who wrote Shin-so-seols during the late Chosen Dynasty. His works include Shadow of Blood,Larva,and the Sound of Waterwheel which were published in ChangHak-bo in February,April,and May of 1908. In the same year,he additionally wrote a Shin-so-seol, titled Gayageum and Toongso Under the PineTree. The list of the aforementioned four works is the only known works by YookJung-Soo. I also discovered that YookJung-Soo translated OkRhee-hon, a Chinese novel ,into Korean. This work was serially published in MaeilShinbo, a Korean daily, between February 15,1919 and May 3,1919. The scope of this paper is not limited to YookJung-Soo s life, but it also covers the lives of YookYong-Jong, his grandfather ,and YookJong-Yoon, who wash is father. His grandfather YookYong-Jong was a leading advocate of the "OpenDoorPolicy", which was known as DongdoSeoggiron towards the end of Chosen Dynasty. YookJong-Yoon, his father, was a pro-Japanese politician in the same era. YookJung-Soo was a graduate of PaiChaiHakdang and a life-long member of YMCA.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prove that the novel Gayageum and Toongso Under the Pine Tree was heavily influenced by his grandfather s thought. In addition,I uncovered that YookJung-Soo stopped writing due to his father s pro-Japanese activities. YookJung-Soo introduced epistlatory and personal journal styles in his final work OkRhee-hon. This shows that YookJong-Soo had deep interest in using variety of techniques. 이 연구는 구한말의 신소설 작가 육정수의 삶과 그의 작품 세계를 조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육정수는 갑신정변이 일어난 이듬해인 1885년에 태어나서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직전 해인 1949년에 운명을 달리했다. 그가 11세 때, 아버지 육종윤은 을 미사변에 연루되어 일본으로 망명했고, 그는 배재학당에 입학했다. 그 후로 육정수는 YMCA에서 활동하며 평생을 기독교인이자 교육자로 살았다. 그가 문학사에 이름을 남긴 이유는 하와이 초기 이민사를 내용으로 담은 「송뢰금」을 창작했기 때문이다. 문학사에서 「송뢰금」의 위치는 독특하다. 당시 여느 신소설과 달리 전통을 중시했다는 점에서 「송뢰금」의 입각점은 견고하기 때문이다. 소설 속에 자조(自助) , 독립 등의 이념을 담았던 육정수는 우리나라가 국권을 상실한 이후 한동안 작품을 쓰지 않는다. 그리고 「송뢰금」을 발표한 지 십여 년만인 1919년, <매일신보>에 중국 소설 「옥리혼」을 번역·연재한다. 그가 「옥리혼」을 연재할 무렵은 고종이 서거하고 3·1운동이 일어났던 때다. 「옥리혼」은 중국에서 편지체와 일기체가 작중에 들어간 최초의 작품으로 소설 방법론을 일신했다고 평가된다. 육정수는 단편 세 편과 「송뢰금」에서도 서술 방식에 대한 관심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육정수의 「옥리혼」 번역은 서술 방식에 대한 관심의 연장선에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로 볼 때 육정수는 비록 과작(寡作)의 신소설 작가이지만 소설 서술 방식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작가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박인환 시에 나타난 연대 의식 연구

        송현지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2 No.-

        박인환은 끊임없이 예술 공동체를 구성하고자 하였던 자신의 삶의 이력과 같이, 타자와의 결속을 추구하는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창작하였던 시인이다. 박인환의 시에서 화자는 계속하여 ‘우리’를 호명하며 ‘우리’가 상호간의 우애를 바탕으로 함께 뜻을 모아 공동의 행위를 할 것을 촉구한다. 좌⋅우와 같은 이데올로기의 대립이 극심하였던 해방기 시절부터, ‘우리’의 단결을 통해 그가 꿈꾸었던 연대는 이데올로기와 무관하게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특징적인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대의 대상으로 상정되는 ‘우리’의 범위와 결속을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목표에는 차이를 보인다. 처음 박인환은 예술 공동체를 통해 시인을 비롯한 예술가들이 새로운 예술에 대해 논의하며 이를 위해 협력을 도모하는 좁은 범위의 ‘공동 의식의 집단’을 결성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격변하는 시대에서 순수한 이상만을 추구하는 것의 한계를 체감한 그는, 곧이어 한국전쟁까지 겪으며 보다 넓은 범위의 타자들과 상호 의지하여 힘을 합쳐야 함을 깨닫는다. 그것은 전쟁이 지나간 폐허에서 전란의 상처를 가진 모든 이들과 정서적 유대를 공고히 하는 방향으로의 결속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는 단결을 통해 갈등이 해결된다거나 상황이 전복되는 등의 목표가 쉽게 달성될 것이라는 기존의 관념적인 낙관론에서 벗어나는 한편, 연대를 목표의 창출을 위한 수단으로 보지 않고 유대감 자체가 주는 정서적 가치에 주목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1950년대 이후 박인환이 현실에 대해 더욱 예민하고 실질적인 감각을 갖게 되었음을 증명하는 한편, 후기에 이르러 그가 연대에 속한 자이자 시인으로서 사회 내 자신의 역할에 대해 첨예한 고민을 이어갔던 행보를 설명해준다. The work of Park, In-hwan has been unfairly underestimated in the earlier studies. The main logic of their comments was Park's work had ended up having no sense of realism after the Korean war. This paper starts with this question if Park has lost his awareness of reality. To figure it out, this study tracks his consciousness especially his feeling of solidarity. His passion about solidarity has been secured, but the range and the goal of it has been adjusted. Since Park was arrested for viola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experienced the Korean war, he began to concern about the way of unity realistically and did not draw an optimistic conclusion. Instead of that he values the emotional union and contemplate his poetic vocation. These variations are resulted from his perception of reality. It shows us Park faces up more to the reality after all. Therefore, the hasty conclusion about his awareness of reality 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

        1920년대 유학생 잡지 『현대』 연구 -『기독청년』에서 『현대』로 재발간되는 과정과 매체 성격의 변모를 중심으로-

        서은경 ( Eun Kyoung Seo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1920년 1월에 발간된 유학생 잡지 『현대』는 동경 조선기독교청년회 기관지인 『기독청년』을 잇는 잡지이다. 동경 조선기독교청년회가 설립된 것은 1906년이었지만 기관지 발간은 1917년 11월에 이루어졌다. 1910년대 기독교 담론의 생산과 수용은 유학생잡지 『학지광』을 통해 이루어지다 『기독청년』의 발간으로 기독교 담론은 이들 기관지에서 다루어졌다. 이처럼 『기독청년』은 조선기독교청년회 기관지로서 기독교 편향의 소규모 잡지에 불과했다. 그러나 1919년 12월 15호를 끝으로 종간한 후, 『기독청년』은 제호가 ‘현대’로 바뀌어 재간행된다. 이 때 제호와 편집인뿐만 아니라 잡지의 전반적 성격과 분량 등전면적 개편이 이루어진다. 국내와 국제정세 모두가 급변하는 시기인 1920년 벽두에 창간된 『현대』는『학지광』의 기반인 학우회의 인적 네트워크를 공유하되 기독교 단체 기관지와 종합사상지 두 역할을 수행한다. 『기독청년』이 기독교청년회 산하 기관지로서의 역할에 머물렀던 반면, 『현대』는 『기독청년』을 잇는 매체의 연속성을 부인하지 않되 당대 세계정세를 읽고, 그 속에서 우리 청년이 나아가야 할 바를 모 색한 종합지적 성격을 띠었다. 세계로 시선을 확장한 『현대』가 바라본 당대 키워드는 사회주의와 데모크라시이다. 종합사상지를 지향한 『기독청년』은 『학지광』과 맥을 같이할 수밖에 없지만, 담론을 구사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였다. 『현대』에는 필자의 주관적 견해 위주의 평론보다 객관적 입장에서 세계정세변화를 소개하는 글이 많다. 또한 조선의 문제를 세계라는 큰 틀에서 읽되, 1910년대 만연했던 우승열패적 식민사관을 극복하고자 한 점 역시 돋보인다. 동시에 『현대』는 조선기독교청년회 기관지로서의 특성 역시 견지했다. 그러나 『기독청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한국교회나 교역자에게 당부하는 식의 종교평론이 아닌 범종교적 차원, 혹은 종교일반론에 가까운 글이 대부분이다. 그러한 점에서도 『현대』는 기독교청년회의 ‘기관지’라는 소극적 입장에서 벗어나 종합사상지의 역할을 맡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선기독교청년회의 네트워크로서의 역할 역시 수행했음은 잡지 전편의 여러 글들을 통해 확인할수 있다. 『Hyeondae』, a magazine of overseas students published in January 1920 was a succeeding magazine of 『GidokCheongnyeon』, a bulletin of Korean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of Tokyo. While Korean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of Tokyo was established in 1906, the bulletin was published in 1917. The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Christian discourses in 1910s was made through 『Hakjigwang』, a magazine of overseas students. Thanks to the publication of 『Gidok Cheongnyeon』, the Christian discourses were dealt with these bulletins. As such, 『Gidok Cheongnyeon』 was a bulletin for Korean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and nothing but a small size magazine with bias to Christianity. However, after the closure in December 1919 with volume 15, it was republished by renaming its title from 『Gidok Cheongnyeon』 to ‘Hyeondae. ’At this point, overall reorganization was achieved not only with the change of title and editor, but also with the change of overall characteristics and volume of the magazine. 『Hyeondae』, published in 1920, at a time wh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was rapidly change, shared human network of Hakwoohoi which is the foundation of 『Hakjigwang』 but also performed the dual role as a Christian organization``s bulletin and a comprehensive intellectual magazine. 『Gidok Cheongnyeon』 remained as a bulletin under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But, 『Hyeondae』 aimed to be a general magazine figuring out the contemporary political trend of the world and seeking the direction of Korean youth while not denying the consecutivity of media of 『Gidok Cheongnyeon. 』The key words of the time which 『Hyeondae』 considered were socialism and democracy. 『Gidok Cheongnyeon』 aiming a general magazine had to take same trend with 『Hakjigwang』, it had differences in the way of demonstrating discourses. 『Hyeondae』 contained many articles introducing the political trend of the world at an objective perspective rather than critical article with the subjective perspective of writers. Even though it tried to read the issue of Korea from the larger context of the world, it attempted to overcome colonial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which was rampant in 1910. At the same time, 『Hyeondae』 kept its characteristics as a bulletin of Korea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But, it was not about religious review on Korean churches or ministers which were often found in 『GidokCheongnyeon』, but was mainly on general religion or general religious theories. In this sense, 『Hyeondae』 intended to play a role as a general intellectual magazine beyond a passive perspective of ``bulletin`` of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However, it also worked as a network of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which was demonstrated in various articles of the magazine.

      • KCI등재

        한국 한시의 괴물 형상에 대한 일고찰

        박종우 ( Jong Woo Park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5 No.-

        이 글은 < 한국문학과 괴물의 형상 >을 구명하고자 하는 연구 주제의 일환으로서, 우리 전통 한시에 나타나는 괴물 소재의 형상화 유형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첫째는 경물의 장대함을 강조하거나 신비감을 표출하는 데 활용되는 것, 둘째는 인물의 왜곡된 또는 긍정적인 모습을 비유적으로 강조하는 데 효과적인 장치로 나타나는 것, 그리고 셋째는 고사 자체를 그대로 끌어다 시적 정황과 연계하거나 새롭게 전용하는 사례가 그것이다. 이 세 가지 유형은 지금까지 확인된 괴물 소재의 한시 작품 중에 많은 비중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 대표적인 사례를 정리한 것이다. 이 사례의 검토를 통하여 우리는, 괴물 소재가 한시에 있어서 소설 작품에서만큼 제재로서 자주나타나지는 않지만, 주로 시적 상상력과 결합하여 경물의 분위기나 느낌을 강조하거나 확장하는 데 유효한 장치로 쓰임을 확인하였다. This thesis is for clarifying a few aspects of monster figures appearing in Korean chinese poem. Monster figures is a kind of a imaginative thing that a poet designed. This figure is not ordinary, but is very important subject of Korean chinese poem world, so that we are going to make it clear. First, we thought about a displaying magnificent and a mystic figure in their own poem world, and we found out this figure always appeared in a imaginary space. The second is a distorted and a praiseworthy figure, and we found out this kind of figure appeared in their literary device. Finally we talked about a historical and a diversional figure, and we found out this figure appeared in the original text. Now we have to clarify three kinds of monster figure in Korean chinese poem. In the end, we so sure that we will carry on a research the whole monster figures appearing in Korean chinese poem.

      • KCI등재

        이창동의 <버닝>에 나타난 문예 미학적 논리 연구 -무라카미 하루키, 윌리엄 포크너 소설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황경 ( Hwang Kyeong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4 No.-

        이창동의 영화 <버닝>을 메타서사로서 분석한다. <버닝>은 종수라는 소설가 지망생의 비극적인 추적의 서사를 통해 우리 시대에 소설쓰기란 과연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환기한다. 현실 비판적인 사실주의 작가로서 오랜 시간 나름의 미학관을 구축해 온 이창동 감독이 새삼 이러한 질문을 던지는 것은 그가 마주한 우리 시대의 현실에 선뜻 동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버닝>의 미스터리는 곧 감독 이창동이 인식한 현실의 모습이며, 확정할 수 있는 어떠한 진리도 진실도 가치도 부재하는, 모든 것이 유동하는 불확실성의 시대와 조응한다. 이창동은 하루키와 포크너의 동명의 소설, 「헛간을 태우다」와 「헛간 타오르다」를 매우 흥미로운 방식으로 차용하면서, 우리 시대의 문학/예술의 존재 방식을 탐문한다. 하루키의 ‘헛간 방화’가 탈중심적이고 탈주체적인 해체적 사유와 관련된다면, 포크너의 ‘헛간 방화’는 경제적 착취와 계급적 차별에 대한 분노와 저항의 의미를 갖는다. <버닝>의 비극적인 결말은 하루키적 현실에 대한 부정이며, 포크너적 저항과 싸움의 논리에 대한 수용으로 해석할 수 있다. 어쩌면 이창동 감독은 <버닝>을 통해 이미 지나버린 시대의 미학적 논리와 문학적 욕망을 호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역사의 발전과 진보에 대한 믿음으로 어떤 가치와 진리의 실현을 향해 나아가던 모더니티의 미의식이며 사회 현실과 길항하는 리얼리즘적 방법론의 요청이다.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Lee Chang-dong's films < Poetry > and < Burning >. < Poetry > and < Burning > can be interpreted as meta-narratives. The < Poetry > emphasizes the poet's sense of ethics. < Burning > was made like a mystery movie. What is mysterious is the reality of our society. There are many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in society today. But our society is rich and affluent. No one seeks the truth or thinks of social justice. People pursue pleasure. < Burning > asks what is novel writing in this age. < Burning > explores the literary and artistic styles of our time with novels by Haruki and Faulkner. Haruki's novel shows off decentered ideas and deconstructive logic. Faulkner's novel depicts resistance to class discrimination. The tragic ending of < Burning > denies the postmodern logic of Haruki novel and accepts the resistance of the Faulkner's novel. Lee Chang - dong's film show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modernity that believes in the progress of history and pursues value and truth. And his film is aimed at reality-critical realism.

      • KCI등재

        어린이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시리즈에 반영된 무속적 해원구조의 콘텐츠화 양상과 의미

        권선경 ( Kwon Sun-kyung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4 No.-

        본고는 전통적인 원혼담뿐만 아니라 무속적 해원 구조를 콘텐츠화하여 성공한 국내 제작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시리즈에 주목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신비아파트> 시리즈에 반영된 무속적 해원구조가 애니메이션으로 콘텐츠화한 양상을 밝히고, 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신비아파트>는 외화와 내화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화는 개별적인 해원굿을 콘텐츠화하였고, 외화는 이러한 내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구조적 장치를 콘텐츠화하였다. 외화에서는 내화인 해원굿을 연행할 수 있도록 해원굿을 연행할 무당, 그 무당에게 영험함을 부여할 몸주신, 굿연행에 필요한 무구 등을 마련하였다. 내화는 외화에서 마련된 해원굿의 구조적 장치 위에 개별 원혼들을 해원시켜 승천시켜주는 해원굿과 같았다.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무속적 해원구조의 콘텐츠화는 무속적 신관념을 통한 구조의 확장과 무속적 원혼 인식의 확장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먼저 사회적 문제로 죽은 원혼의 경우 무속신으로 좌정하기도 한다는 무속적 신관념은 원혼의 고스트피규어로의 전환으로 나타났다. 원혼이 고스트피규어로 전환됨으로서 해당 원혼은 개별 회차에서 퇴장하지 않고, 고스트볼을 통해 이후 서사에서도 지속적으로 소환되어 등장하였다. 고스트볼과 고스트피규어로 콘텐츠화한 무속적 신관념은 <신비아파트>의 개별 회차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면서 확장될 수 있게 하였다. 다음으로 해원구조에서 구현된 원혼은 우리 사회에서 소외된 존재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신비아파트> 시리즈의 원혼 인식은 커다란 틀에서 한국 무속의 원혼 인식과 동일한 궤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 더해 한국 무속 원혼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던 어린이의 원혼까지 <신비아파트> 시리즈에서 확대했다는 데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successful domestic animation < Sinbi Apartment > series by making content not only traditional ghosts but also shamanic liberation structures. The structure of shamanic liberation reflected in the < Sinbi Apartment > series was intended to reveal the content of animation and find its meaning. < Sinbi Apartment > consists of a large plot and many episodes. Each episode was made into individual liberation content, and large plots were made into a structural device that realizes individual episodes. In order to perform Haewongut, an episode, a shaman to perform Haewongut, a body god to give the shaman spiritual powers, and tool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ritual were prepared. The individual episodes are like Haewongut, which liberates individual ghosts and ascends them to heaven, based on the structural device of Haewongut prepared in a large plot. Contentization of the shamanic liberation structure of the < Sinbi Apartment > series could be found in the expansion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shamanistic god concept and the expansion of the recognition of the shamanic spirit. First, the idea of a shamanic god, that souls who died due to social problems sometimes become shamanic gods, appeared as a conversion to a ghost figure. As the ghost was converted into a ghost figure, the ghost did not exit from individual episodes, but was continuously summoned and appeared in the subsequent narrative through the ghost ball. The concept of god, which was made into content with ghost balls and ghost figures, made each episode of < Sinbi Apartment > closely connected and expanded. Next, in the liberation structure, the common point is that the ghost was an alienated existence in our society.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recognition of ghosts in the < Sinbi Apartment > series is the same as that of Korean shamanism in a broad framework. In addition to this, the meaning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 Sinbi Apartment > series has expanded to the ghosts of children, which were not considered important in Korean shamanistic gho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