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Use English as a Teaching Medium

        PARK, WON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1992 영어교육연구 Vol.- No.12

        본 논고의 목표는 영어 수업에서 영어를 교수 매체로 사용해야 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의 효과적 실천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첫째, 듣고 말하기 위주의 구두 영어 수업이 되지 않고 있는 한국 영어 교육 현장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러한 영어 교육으로 인한 청화 장애의 실례를 필자의 경험을 통해 입증하고 있다. 둘째, 한국 영어 교육의 기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개발을 달성하기 위해, 그 첫 단계로서 영어 수업에서 "교실 영어" 사용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있다. 셋째, 한국의 영어 수엽이 온통 자국어 투성이로 진행되고 있는 이유를 다음 4가지로 진단한다. (1) 대다수의 영어 교사들이 다인수 학급에서 입시 위주 영어 교육을 해야 하는 여건에서, 영어를 교수 매체로 하기에는 교사의 부담이 지나치게 크다고 생각한다. (2) 교실 영어 사용이 실제 사회 생활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 개발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없다고 생각한다. (3) 영어 문법이나 번역을 지도할 경우에는 인지가 발달한 성인 학습자에게는 자국어 사용이 오히려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4) 보다 더 원천적인 이유는 영어 교사가 다양한 교실 상황에 대처할만큼 교실 영어 및 구두 영어 구사에 자신감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넷째, 교실 영어 사용의 개선책으로 6가지 방안을 제시하면서 각각 구체적 실례를 들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 한국식 영어를 피할 것. (2) 영어 수업용 교육 용어에 숙달할 것. (3) 가급적 짧고 관용적인 구두 표현을 선호할 것. (4) 같은 한가지 상황에 대해 다양한 표현으로 변화를 이르킬 것. (5) 비격식 구어체 영어와 학생용 속어를 이해할 것. (6) 교육용 대화를 통해 교실 영어를 자연스럽게 익힐 것. 다섯째, 교실 영어 활용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5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1) 한국과 같은 영어 교육 환경에서는 "교실 영어"라는 교과목을 영어 교사 양성 및 연수 기관에서 특수 목적을 위한 영어 프로그램으로 개설할 것. (2) 각급 학교 별로나 지역별로 가장 잘 훈련된 교사가 교실 영어 사용에 관한 시범을 보이고, 나아가 교사들 간에 공동 연구집회를 통해 교실 영어 사용을 촉진시킬 것. (3) 교실 영어 활용이 입학 시험 위주의 교육과 다인수 과밀 학급 등의 이유로 제약을 받는다면, 우선 특별 과외활동 시간에서 만은 교실 영어를 필수적으로 사용할 것. (4) 영어 교육 목표가 의사소통 능력개발에 있다는 확실한 인식과 함께, 한국의 영어 교사는 수업중에 자국어 사용을 극소화하고 목표 언어인 영어 사용을 극대화할 것. (5) 관련된 행정 및 연구 후원 기관이 교실 영어 안내서 개발에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 하며, 특히 교과서 발행자는 교과서와 함께 교실 영어 지침서를 발행하여 영어 교육 현장에 보급하므로, 영어 수업을 영어 수업답게 개선시키는 선봉적 역할을 할것. 끝으로, 영어는 영어로 가르쳐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영어 수업시간에 "교실 영어" 사용의 활성화를 주창하고 있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의 초등영어교육 관련 정부 자료집 및 연구 동향의 체계적 고찰

        허혜정(Hye-jung Heo)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22 초등영어교육 Vol.28 No.3

        한국의 첫 번째 코로나19 환자는 2020년 1월 19일에 처음 발생하여, 2월 중순부터 급격히 환자의 수가 증가하였다. 한국은 3월부터 정규 학기가 시작되기 때문에 이러한 감염 확산세는 학교 교육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교육부는 불가피하게 2020년 2월 23일, 전국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의 개학을 연기하는 방안을 발표하며 첫휴업령을 선포하게 되었다. 이후 2020년 3월 31일, 교육부는 등교 형태의 개학이 어렵다고판단하여 원격수업을 통한 개학 실시를 발표하였다. 장기화되는 학생들의 학습 결손을 최소화하고 코로나19로 인한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자 내린 사상 초유의 발표였다. 이러한원격수업으로서의 개학을 위하여 교육부는 3월 27일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교육부, 2020a) 을 수립하고 4월 7일 ‘원격수업 출결·평가·기록 가이드라인’(교육부, 2020b)을 마련하여 학교 현장에 배포하였다. 이후 감염병 상황이 조금씩 호전되면서 5월 20일부터 6월 8일까지고등학교 3학년을 시작으로 4차례에 걸쳐 순차적으로 등교 개학을 하였고, 학교 내 밀집도원칙의 변화를 거듭하다 2021년 10월 29일 ‘교육 분야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방안’을 발표에따라 2021년 11월 22일 이후부터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의 구분에 따른 등교 원칙이 폐지되어 전면 등교가 가능하게 되었고 교과 및 비교과 영역에서 위축되었던 교육활동들도 부분적으로 정상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약 2년간 지속된 원격수업은 학교나 교사, 학생의 선호나요구에 의해서가 아니라 감염병 상황 하에서 사회적 합의에 의한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점에서 기존에 이루어졌던 영어 원격 수업이나 화상 수업과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년과 2021년에 이르는 약 2년 동안 교육부가 초등영어교육과 관련하여 발간한 각종자료집을 분석하고, 이 시기에 이루어진 원격수업 형태의 초등영어수업과 관련한 1차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당면한 교육 현장의 실태를 점검하고 향후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implications for online English classes by systematically reviewing government casebooks and research studies dealing with online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in Korea during the COVID-19 epidemic. In-depth analyses of Korean government casebooks and 16 primary studies published during the years 2020 and 2021 show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tried to support elementary schools by providing examples of restructuring standards for achievement, examples of instructional plans, and examples of evaluation and feedback. Some othe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atio of content utilization-centered classes using the ‘E-learning platform’ for elementary English was high. Of the entire studies, 74% was conducted in the metropolitan area. Learners valued interaction with teachers the most. Teachers were concerned about copyright infringement and the learning gap between learners. It is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various types of online English classe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learners.

      • Acquisition of Topic Representation in the EFL Class through the Integrated Skills Teaching

        康美圭(Mi-gyu Kang)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05 영어교육연구 Vol.- No.30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로서의 영어(EFL) 수업시간에 학습자들이 접하게 되는 영어의 “주제제시(topic representation)” 방법의 습득에서 영어학습자들이 겪게 되는 이해의 난점들을 살피고 보다 효율적인 학습방법으로 ”통합기술교육“을 제시해 보았다. 우선, 영어와 한국어의 경우 모두에서 무표적 어순(unmarked word order)을 취하는 구문에서의 주제제시 방법을 살펴 보았는데, 영어에서는 명령문(imperatives)을 제외하고는 주제어(topic word)를 주어 자리에 놓는 것으로써 그 주어자리에 놓인 명사가 담화(discourse)의 주제임을 암시해 준다. 반면에, 한국어에서는 은/는(un/nun)과 같은 주제어 표시 불변화사(particles)를 이용하여 주제어를 나타내 준다. 따라서 한국어에서는 문장의 주어가 곧 주제어일수도 있고 주제어와 주어가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유표적 어순(marked word order)을 취하는 구문의 경우, 주제어는 주제화(topicalization)되기 위해 문두로 이동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 때 두 언어 모두 의미 해석에 있어 변화를 초래하게 되는데, 특히 양화사구(quantifier phrases)나 의문사구(wh-phrases)의 이동일 경우 문장 전체를 해석 범위로 취하는 넓은영역해석(wide scope readings)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담화(discourse) 속에서 ‘주제’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수동구문(passivized constructions)이 쓰이는데, 두 언어 모두에서 주제를 고수하기 위해 수동표현이 쓰임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법적 사항을 EFL 수업에서 학습자가 습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상어(target language)를 실제로 이용하면서 언어의 네 가지 기술을 적절히 균형을 이뤄 학습케 하는 통합기술(integrated skills)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영어의 ‘주제어 제시’ 방법을 습득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기존에는 언어수업을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등 네 가지 언어기술(language skills)을 서로 분리하여 습득하게끔 하는 수업방식이었던 반면에, 통합기술교육은 대상언어 수업의 최종 목표가 무엇이든 간에 그 수업을 통해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기술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대상언어에 대한 능력을 균형 있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통합기술교육의 실현을 위해 실제 교실 수업에서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와 Consciousness-Raising tasks를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영어 구사능력(communicative proficiency)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외국어 교육의 보다 획기적이고 효율적인 수업방식의 용기 있는 도입은 학습자들과 교육자 모두에게 보다 의미 있는 시간을 제공해 주리라 생각한다.

      • 대면·비대면 혼합 수업 환경에서의 학생평가 지원 방안 탐색 : 컴퓨터 기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평가도구 개발 및 시범적용

        이문복 한국영어독서교육학회 2020 한국영어독서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11

        본 연구는 역량 중심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중학교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컴퓨터 기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평가 도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 시범적용 하는데 목적이 있다. 컴퓨터 기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해,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영어 교과 역량 간 관계, 영어 교과 역량별 하위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교과 역량별 하위 요소와 성취기준 간 연계성을 탐색하였다. 네 언어 기능(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을 상호 연계하고 다양한 기술공학적 기능(편집기, 피드백, 녹음, 메신저 등)을 구현한 역동적 평가도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영어 수업에 시범 적용하였다. 시범 적용 결과 교사 및 학생들의 컴퓨터 기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평가 도구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같은 시범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영어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영어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영어교과서 개발의 최근 동향

        이재근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02 영어어문교육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of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textbooks in EFL situation. The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NEC) in 2001 which emphasized the curriculum-centered school education have had much influence on the traditional testbook-centered school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paradigmatic change of school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English textbooks were changed into the new types of students-centered classroom activities. For students' communicative activities, the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by two types of syllabuses: process-oriented syllabus and product-oriented syllabus. The 7th NEC includes procedural syllabus and task-based syllabus as well as grammatical- structural syllabus and notional-functional syllabus. In short, unlike the English textbooks in former curriculums, learners' classroom activities and tasks have been emphasized in those to foster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 KCI등재

        초등영어교육과정과 연계한 유아영어교육교재의 분석과 개발방향

        강후동(Kang, Hoo Dong)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4 영어교육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preschool English education textbooks based on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The study reviews the current issues of preschool English education and analyzes previous studies on preschool English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realities of preschool English textbooks as well as preschool English education in Korea. After reviewing eight preschool English textbooks, the study found many textbook series and their teacher's guidebooks do not contain detailed development criteria such as the number of vocabulary and the limit of sentence length according to different preschool pupil age categories in their developing textbooks. The study indicates many words, expressions, and dialogues included in the preschool textbooks are inappropriate for their levels. The study finally insists that preschool textbook developers should consider detailed criteria in closer connection with elementary school textbooks. Related government organizations as well as publishing companies should have the proper reviewing system for better preschool English education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