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의 분포 및 변동추이

        김종섭,박진호,윤홍식,임난희,진병로,이희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4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1 No.2

        1983년부터 1994년 상반기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1.050명의 진단기록 및 석고모형을 Angle씨 분류법으로 분류하고 성별, 연령별 분포 및 변동 추이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거의 매년 환자의 내원율이 증가하였으며 남자에 비해 여자의 내원율이 높았다. 8세-15세 연령군이 전체 내원 환자수의 61.4%를 나타내었으며 20세 이상의 연령균은 18.5%, 7세 이하 연령군은 8.1%를 나타내었다. class Ⅰ은 42.2%, class Ⅱ div 1은 22.5%, class Ⅱ div 2는 3.9%, class Ⅲ은 29.1%, 구순구개열 화자는 2.0%를 나타내었다. 외과적 교정 환자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다. 1,050 patients who visited orthodontic dental department from 1983 to 1994, were surveyed on the yearly tendency of orthodontic patient distribution and state by Angle's classif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increased visiting rate of patient per year and higher visiting rate in female than in male. 2. 8-15 age group was 61.4% in total visiting patients and over 20 age group was 18.5%, under 7 age group was 8.1% 3. Class Ⅰ malocclusion was 42.2%, class Ⅱ div 1 was 22.5%, class Ⅱ-2 was 3.9%, class Ⅲ was 29.1% and cleft lip & palate was 2.0% in total visiting patient. 4. As showed the living distribution, Namgu and Susunggu's patients were 43.7% of the total patients. 5. There was increased tendency for the number of the patient to be recieved orthognathic surgery.

      • KCI등재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약물처방 동향의 분석

        이광윤,김원준,김승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8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 No.1

        대구 및 그 인접지역의 질병 발생 경향을 추정하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의 약제수급 계획을 위한 참고자료를 얻기 위하여 1985년 3월부터 동년 8월까지 당 병원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을 위하여 내려진 약물 처방을 전산 집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장 빈번히 처방된 약물로 부터 100종의 약물을 처방빈도 순으로 나열하였던 바, diazepam, aluminum compound, acetaminophen, isoniazid,metoclopramide,?????????, carboxymethylcystien, ephedrine, codeine, caroverine(이하 생략)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이 선정된 100종의 약물을 임상용도별로 분류하여 총 처방회수 521,855회에 대한 백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추신경계약물(20.57%)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위장관 및 평활근에 작용하는 약물(18.64%), 호흡기계약물(16.11%), 항균제(15.12%), 심혈관계약물(5.64%)의 순으로 많았으며, 그 다음은 소염제(4.33%), 단독비타민제(3.76%), 호르몬 및 항호르몬제(3.29%), 감기치료제(3.12%), 이뇨제(2.81%), 간기능이상치료제(2.02%), 자율신경계약물(1.89%), 항히스타민제(1.02%) 및 소독약(0.7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report offers descriptive data about the drugs utilized in out patient department (OPD) of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YUH) in the period of march to august in 1985. The data in this report were produced by the computerized totalization of the number of mentions of individual drugs included in the prescriptions. The 100 drug entries that were most frequently recorded are listed in rank order. The listing is arbiturarily restricted to the drugs that were prescribed as single preparations, the drugs of basis of compound preparations and the drugs of adjuvent or corrective of compound preparations that have significant therapeutic effects-either by generic names. And in addition, the listing also involves the compound preparations used in relatively large frequency, and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which have the unique pharmacologial actions each other by proprietary names. And all routes of administrations were allowed. The 10 drugs most frequently named are diazepam, aluminum compounds, acetaminophen, isoniazid, metoclopramide, ?????????, carboxymethylcystein, ephedrine, codeine and caroverine in order. The 521, 855 drug mentions listed as above are described by the chief therapeutic usage that each is intended to apply generally. The drugs which account the largest proportion of total mentions were those acting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20.57%), including tranquillizers and sedative hypnotics(11.71%), analgesic antipyretics(5.55%), antidepressants(2.15%) etc. Gastrointestinal drugs and smooth muscle preparations(18.64%) included antacids and anti-ulcerdrugs(9.24%), antiemetics(3.57%), spasmolytics(3.14%) and others. Respiratory drugs (16.11%) included expectorants and cough preparation(10.99%) and bronchodilators(5.12%).Cardiovascular drugs (5.64%) included cardiac drugs and coronary vasodilator(4.12%) and antihypertensives and vasodilators(1.06%). And anti-inflammatory drugs(4.33%), vitamins of single preparations (3.76%), hormones and their antagonists(3.29%), common cold preparations(3.12%), diuretics(2.81%), drugs supporting liver function(2.02%), drugs affecting autonomic nervous system(1.89%) including anti-glaucomas, atropine and cerebral vasodilators, antihistamine drugs(1.02%) and disinfectants(0.74%) were following in order. The data in this report were compared to those reported by H. Koch, et al. in United States(US), 1981 as "Drugs Most Frequently Used in Office Practice: National Ambulatory Medical Case Survey, 1981." Cardiovascular drugs prescribed in YUH were much less in proportion than in US(10.56),but gastrointestinal drugs accounted the larger proportion than in US(3.72%). Expectorants and cough preparations in YUH also accounted the larger proportion than in US(2.74%). In conclusion, in the period of march to august, 1985, OPD of YUH prescribed the CNS drugs including diazepam most frequently, and gastrointestinal, repiratory and chemotherapeutic drugs in next orders. It is supposed that the eating habits of Koreans and a unique atmospheric condition in Taegu as a basin were som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the proportions of drugs acting on gastrointestinal and repiratory tracts.

      • 드문(Uncommon) 유방암의 방사선학적 소견

        김재운,안재홍,황미수,이재교,변우목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8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5 No.1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유방암으로 확진된 512례 중 드문 유방암은 34례(6.64%)로 점액성암종 14례, 수질성암종 9례, 림프종 4례, 악성엽상육종 3례, 전이성 소세포암 2례, 혈관육종 1례, 평활근육종 1례였다. 드문 유방암 21례의 단순유방촬영 소견은 군집성 미세석회화 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 20례, 변연이 분명한 경우 13례, 모양이 둥글거나 구형인 경우 9례로 양성종양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종괴가 다발성인 5례 모두 원발성 림프종과 전이성 유방암이였으며 크기는 1cm에서 3cm까지가 위치는 상외측이 가장 많았다. 12례의 초음파 소견은 둥글거나 구형 또는 분엽성의 규칙적인 모양이 10례, 매끈하고 고른 경계가 9례, 뚜렷한 측면에코 7례, 후방에코 증강이 11례로 모양, 경계, 측면에코, 후방에코 등은 양성을 시사하는 소견을 보였으나 비균질성의 내부에코 7례, 거칠고 두꺼운 주변부에코 8례, 종괴의 폭/깊이의 비율이 1.5이하 11례로 내부에코, 주변부에코, 폭/깊이의 비율등은 악성을 시사하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드문 유방암은 단순유방촬영상 양성 소견을 보이나 초음파영상에서 주변부에코, 내부에코, 폭/깊이 비율등은 악성을 시사하는 소견을 보여 진단에 주위를 요한다. We analyzed the mammographic (n=21) findings (location, margin, shape, cluster microcalcifications, size, multiplicity) and ultrasonographic (n=12) findings (shape, border, internal echo, boundary echo, posterior echo, lateral echo, width/depth ratio) to evaluate specific radiologic findings of histopathologically proved uncommon breast cancer. The mammographic findings (n=21) are as follow; 1) single; 16, multiple; 5 2) margin (smooth; 13, irregular; 4, spiculated; 4) 3) shape (round and ovoid; 9, lobulated; 8, irregular; 4) 4) cluster microcalcifications (abscent; 20, present; 1) 5) size (1-3cm; 18, 3-5cm; 2, 5cm> ; 1) 6) location (UOQ; 13, UIQ; 4, LIQ;3, LOQ; 1).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n=12) are as follow; 1) shape (round to oval; 5, lobulated; 5, irregular; 2) 2) border (smooth even; 9, rough uneven; 3) 3) internal echo (fine homogeneous; 5, coarse heterogeneous; 7) 4) boundary echo (regular fine; 4 irregular thick; 8) 5) posterior echo (enhanced; 11, no change; 1) 6) lateral echo (marked; 7, nonexistent; 5) 7) width/depth ratio (1.5>; 1, 1.0-1.5; 7, 1.0< ;4). Uncommon breast cancer show benign nature on mammogram, but malignant nature on ultrasonogram (especially boundary echo, internal echo, width/depth ratio).

      • 심실중격 결손증의 해부학적 분류 및 임상적 고찰

        강면식,이철주,정태은,이동협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86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3 No.1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총 99명의 심실중격 결손증 환자들을 수술 치험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남여비는 1.2:1로 남자가 약간 많았다. 2. 연령분포는 다양하였으며 전체의 ⅔가 3세에서 12세 사이였다. 3. 체중분포는 10㎏미만이 13예이고 21㎏이상이 44예였다. 4. 입원시 주소는 잦은 상기로 감염증이 78예로 제일 많은 빈도를 보였다. 5. 심도자 검사장 폐·체동맥압비가 0.75이상인 경우가 6명, 폐·체 혈관 저항비가 0.5이상인 경우는 0명,폐·체 혈류량비가 3이상인 경우가 13명을 대부분이 중등도의 병변을 보였다. 6. 동반된 심기형은 개방성 난원공, 폐동맥 협착증, 개방성 동맥관 등의 순이었다. 7. 심실중격 결손의 부위는 막변연 유입부 결손이 45예로 제일 많았으며 근육형은 1예로 없었다. 8. 술후 합병증은 완전 혹은 불완전 우각 차단증이 52예로 가장 많았다. 9. 술후 사망은 2예였으며 2%의 발생율을 보였다. Ventricular septal defect is most common congenital cardiac anomaly in Korea and worldwide. And its clinincal spectrum is well known. The anatomic classification had been undertaken by several authors, but recently Dr. Soto and Anderson's classification is widely used instead of Dr. Kirklin's it. From April, 1984 to December 1986, 99 cases of ventricular septal defects had been taken surgical repair under direct vision using conventional cardiopulmonary bypass technique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The clinical spectrum was similar to other hospital, and the postoperative mortality was 2%, The most common associated anomaly was patent foramen ovale, and the most common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incomplete or complete right bundle branch block. The rank of defects was as followings : 45 perimembranous inlet type, 21 doubly commited subarterial type, 17, perimembranous trabecular type, and 16 perimembranous outlet type. There was no muscular and mixed type.

      • 간내 간충병에 대한 간절제술 1예

        심민철,김홍진,권광보,노성균,이헌주,이태숙,장재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0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7 No.1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는 1989년 11월에 한국에서 발병한 간흡충병의 여섯 번째 증례로, 특히 간내 담관에 발생한 첫 증례를 우측 간엽 절제술 및 담낭 적출술로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간내 담관에 발생한 경우에는 간암과의 구별이 요구되어야 한다는 점을 상기 시키면서 증례보고와 더불어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Human Fasciola hepatica infection is a rare entity involving infestation of the liver and biliary tree with adult flukes, which can result in hepatitis, cirrhos is and biliary tract inflammation, obstruction and lithiasis. The patient had the typical diagnostic tetrad of fever, eosinophilic leukocytos is, tender hepatomegaly and fluke ova in the stools. Theatment consistes of Emetine hydrochloride administration for hepatic involvement and common bile duct exploration for removal of flukes, with cholecystectomy for associated cholelithiasis. The combination of medical and surgical therapy cal be expected to produce an arrest of this infection. The removed liver revealed eggs of the fasciols species in the intrahepatic bile duct. The clinical history, pathological findings and treatment of this case were described.

      • 산전에 투여한 Ambroxol의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예방 효과

        이태형,신손문,김경아,고민환,이은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9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6 No.1

        미숙아의 여러 가지 합병증 중에서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은 가장 빈도가 높고 사망률도 높은 질병이다. 이제까지 많은 저자들이 자궁내 성장기 동안에 폐 표면 활성제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약제로 corticosteroid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나, 산모와 태아감염에 중요한 위험 요인이 되어 이 약의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steroid의 부작용 때문에 태아의 폐를 성숙시킬 수 있는 ambroxol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에 저자들은 출생 전 산모에게 투여한 ambroxol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 빈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였던 36주 이전의 조산이 예견된 산모에게 ambroxol(Mucosolvan, Boehringer Ingelheim) 1,000mg을 5% glucose 용액에 녹여 2시간 이상 정주하며 3일에서 5일간 투여하였다. 또한 대조군에서는 생리 식염수를 정주하였다. 조기 분만의 원인이나 대상 환아 평균 재태 연령, 남녀비, 출생 체중과 I. 5분 Apgar 점수가 7점 미만인 미숙아의 수에는 양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21명 중 13명에서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하였고 ambroxol 사용군에서는 21명 중 6명에서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하여 두 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출생 후 산소 치료와 인공 환기를 필요로 했던 경우는 대조군에서는 각각 18. 12명이었고 ambroxol 사용군에서는 각각 9.8명이었다. 산소치료를 요구된 시간은 ambroxol 군에서 낮았으나 인공 환기가 필요하였던 시간은 ambroxol 군에서 더 길었다. 그 외 미숙아에게 나타난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는 ambroxol 사용군과 대조군을 비교해보면 두 군이 같거나 ambroxol 군이 더 적었다. ambroxol 투여전과 후의 산모의 혈액학적, 생화학적 검사에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다. 그리고 ambroxol 사용군에서 산모가 호소하는 부작용으로는 경미한 오심이 3례 있었으나, 구토, 두통이나 현기증, 알레르기 반응 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 출생 전 산모에게 투여한 ambroxol 은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발생 빈도를 감소시킨다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 산모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제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antenatal ambroxol administration to mothers who were in danger of imminent preterm delivery in preventing the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Forty-two preterm newborn infants who were delivered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1997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1 in ambroxol-treated group and 21 in control group. Six cases of th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ere developed from 21 ambroxol-treated infants, but 13 cases of RDS, from 21 control infants. This result indicat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occurrence of RDS by antenatal administration of ambroxol (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of adverse effects of ambroxol in mother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 hematolog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ambroxol-treated group. In conclusion, when premature delivery is expected, the administration of ambroxol before delivery enhances lung maturation in premature newborn infants and prevents the occurrence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ithout significant adverse effects.

      • 신경베체트병의 자기공명영상소견

        장한원,변우목,조길호,황미수 영남대학교의과대학 1998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5 No.2

        1994년 1월에서 1998년 8월까지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신경베체트병으로 진단받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적인 임상증상과 자기공명영상소견을 분석한 결과 주된 전신적인 증상은 구강궤양, 안질환, 음부궤양이었으며, 자기공명영상소견에서 병소부위는 중뇌, 내포, 뇌교, 시상, 대뇌기저핵, 중소뇌각, 연수, 그리고 피지하단백질 순으로 호발되었다. 이들 병소는 T2강조영상에서 불균질의 고신호강도, T1강조영상에서 저신호 강도로 보였으며, 국소적인 조영증강이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었다. 추적영상에서 병변의 호전 및 재발이 관찰되었으나 1년이상 추적검사에서 병변이 있던 부위에 뇌조직의 위축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신경베체트병의 전신적인 임상증상과 특징적인 자기공명영상소견을 앎으로서 신경베체트병의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MR findings in nine patients(three female, six male) with neuro-Behcet's disease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NeuroBehcet's disease was diagnosed on the basis of typical clinical symptoms. Involved site, pattern, signal intensity, and contrast enhancement pattern on MRI were evaluated. In addition, follow up MR imaging was performed in four patients. The midbrain(7/9), internal capsule(7/9), pons(6/9), thalamus(6/9), basal ganglia(5/9), middle cerebella peduncle(4/9), medulla oblongata(2/9) and subcortical white matter(2/9) are involved on MRI. The size of lesions was 1cm to 3cm and their margin was ill-defined and patchy. Inhomogeneous high signal intensity on the T2-weighted images and low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images was seen respectvley. In four of nine cases, there was focal enhancement. On follow up MR imaging, improvement or recurrance of the lesions was found. Also in two cases of follow up cases, there was artophy in brainstem and(or) middle cerebellar peduncles. In conclusion, MR imaging with systemic clinical symptoms is useful for diagnosing neuro-Behcet's disease.

      • 본태성 고혈압에 대한 Imidapril의 강압효과 및 마른기침 발현율에 대한 고찰

        신동구,박종선,전대진,배준호,김영조,심봉섭,홍그루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9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6 No.1

        1993년 일본의 Tanabe제약에서 개발된 염산 Imidapril(Tanatril )은 새로운 작용지속형 ACE inhibitor이며 강압효과와 안정성이 뛰어나고, 마른기침 등의 부작용이 다른 ACE inhibitor 보다는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997년 10월 6일부터 1998년 1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순환기 내과에 내원하여 고혈압이 처음 잔단되었거나 진단받은 후에도 강압제치료를 받지 않았던 환자 중 경증(1기)에서 중증(3기) 본태성 고혈압(JNC V 분류의거)을 보인 30명 중 최종분석이 가능한 21명(부작용으로 투약을 중단한 1명 포함)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시험 종료 시 측정한 확장기 혈압은 88.7±9㎜Hg로 평균 하강량은 13.8mmHg이었다. 혈압강하효과 판정에서 16명이 혈압 하강군으로 분류되어 혈압강하효과는 76.2%(16/21)였다. Imidapril 단독 투여로 치료 종료시 정상 혈압(140/90㎜Hg 미만)을 보인 경우는 10명(47.6%)이었다. 임상시험 중 나타나는 부작용으로는 마른기침, 두통, 현기증, 오심, 상복부 불쾌감, 졸리움 등이 있었으며 총 7명에서 (33.3%) 부작용이 관찰되었고, 심한 위장관계 불편감을 호소한 한 예를 제외하고는 모두 일상 생활에 불편을 주지는 않는 상태였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정도가 점차로 약해졌다. ACE inhibitor의 가장 흔한 부작용 중의 하나인 마른기침은 모두 2명(9.5%)에서 관찰되었다. 새로운 ACE inhibitor인 Imidapril은 다른 ACE inhibitor와 비슷한 강압효과와 안정성을 보이며 특별히 심각한 부작용을 보이지 않고, 그 중에서도 특히 마른기침 발현 빈도는 9.5%로 다른 제제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그 정도가 미미하여 감량없이 계속투여가 가능했다. Imidapril(Tanatril ), a newly developed ACE inhibitor, has been used to treat hypertension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antihypertensive effect and safety of Imidapril(Tanatril )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5-10mg of imidapril(Tanatril ) was administered once a day in 30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and followed up for 8 weeks. We tested the drug's effectiveness, safety, and the incidence of imidapril induced dry coughs. After 8 weeks of treatment with imidapril, 76.2%(16/21) of patients showed lowered blood pressure and 47.6% showed normal blood pressure. The overall incidence of adverse effects was 33.3%(7/21), and among these adverse effects, dry cough was shown in only 9.5%. Thus, we concluded that imidapril(Tanatril ) is as safe and effective as other ACE inhibitors, especially with imidapril showing very little incidence of dry cough compared to other ACE inhibitors.

      • 임신과 동반된 자궁부속기 염전 1례

        고민환,이태형,전경숙,이은지,이봉규,황광영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9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6 No.1

        저자들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과 동반된 자궁부속기 염전 1례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dnexal torsion is not a common surgical emergency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is not observed frequently during pregnancy with its incidence being one out of about 5,000 pregnancies: pregnancy is a factor that encourages torsion. The traditional treatment for ischemic and twisted adnexa consists of oophorectomy or salpingo-oophorectomy. With early diagnosis, a conservative approach is recommended in cases of young women to assure future fertility.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we report a case of unilateral salphingo-oophorectomy during pregnancy due to adnexal torsion with the delivery of a normal bab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