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시대, GIS 기반 역사학 연구방법론 모색: 경성 토지시장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유슬기 역사학연구소 2024 역사연구 Vol.- No.50

        서구학계에서 GIS는 사회과학 분야에서 인문지리학을 거쳐 역사학으로 활용 영역을 넓혀가며 분석도구로서 유용성을 인정받았다. 국내에서도 2010년대 이후 GIS 기반 역사지도 구축과 공간분석 시도가 이어져오며 역사학에서의 GIS 접목 가능성을 보여왔다. 이 글은 GIS 기반의 연구가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역사학 연구방법의 한 파트가 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해 경성 토지시장 연구 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 사례들은 필지 단위로 경계선이 그려진 지도와 각 필지 별 토지정보가 기록된 사료를 토대로 GIS 데이터를 구축하여 진행되었다. 토지 가격 결정 요인을 다룬 연구에서는 GIS 기능을 이용해 거리와 면적을 측정하여 통계분석의 변수로 사용하였고, 공간분석 기법을 통해 공간효과 존재를 확인하여 보다 적합한 통계모형을 설계함으로써 토지가격에 영향을 준 요인을 분석하였다. 원남동 연구에서는 시기별 토지정보를 비교하여 토지에 대한 수요와 일본인의 투자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토지의 위치를 각각 레이어로 생성하고 원남동 주변을 둘러싼 주요 시설과 도로 등을 각각의 레이어로 하여 이를 중첩해 원남동에 나타난 일본인의 토지 투기열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GIS는 사료의 공간정보를 재구성하는 분석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지속적인 공간데이터 구축과 함께 여러 공간에 대하여 그리고 다양한 공간분석 기법으로 연구 지평을 확장해 나가며 GIS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역사학 연구방법론으로 정립되길 기대한다. In Western academia, GIS has been recognized as a useful analytical tool, expanding its application from the social sciences through human geography to history. In South Korea, the integration of GIS into historical studies has been showcased through ongoing efforts to construct GIS-based historical maps and perform spatial analyses since the 2010’s.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 study of the Gyeongseong(京 城) land market to explain how GIS-based historical research can be a suitable part of historical research methodologies in the digital age. The research cases involved constructing GIS data based on maps with drawn parcel boundaries and records of land information for each parcel. In studies focused on the determinants of land prices, GIS functions were used to measure distance and area, which served as variables in statistical analyses. And spatial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to identify spatial effects, which helped in designing more accurate statistical model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land prices. In the Wonnam-dong(苑南洞) study, land information over different periods was compared to assess the demand for land and the involvement of Japanese investments, creating separate layers for each. Layers representing major facilities and roads around Wonnam-dong were overlaid to investigate the fervor of Japanese land speculation in the area. As these examples show, GIS can serve as an analytical tool that supplements historical sources. With ongoing development of spatial data and the application of various spatial analysis techniques, GIS is poised to become a new methodological approach in historical research for the digital age.

      • KCI등재

        민중사학의 학술문화: 망원한국사연구실, 구로역사연구소 활동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조형열 역사학연구소 2024 역사연구 Vol.- No.50

        민중사학은 특정한 학문적 경향이 조직적 운동과 결합한 형태로 등장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한 마디로 민중사학은 1980년대 정세 변화에 발맞춘 젊은 한국사 연구자들의 새로운 시도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가 한국사 연구 내용뿐 만 아니라 학문 환경을 둘러싸고 어떠한 학술문화를 만들려고 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민중사학 주체들, 특히 망원한국사연구실과 구로역사연구소의 당사자들이 남긴 역사학연구소 소장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이 글은 망원과 구로를 연속적으로 보면서 민중사학의 전개를 세 시기로 나눠서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망원의 설립과 초창기를 민중사학의 모색기로, 2장에서는 1986년 이후 1988년 망원의 ‘분화’까지를 민중사학의 방향을 둘러싼 지식인·연구자 운동론의 논쟁기로, 3장에서는 구로의 창립 이후 민중 주체 역사서술과 노동자 민중 교육 등을 독자적 활동기로 다루었다. 그 가운데 민중사학을 무엇이라고 정의하고자 했는지, 민중사학을 내세우며 기성학계와 다른 어떠한 학문 생산 방식을 지향했는지, 역사서술의 형식과 내용은 어떠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Mingjung Sahak (people’s history) in South Korea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emerged as a specific academic trend combined with an organized movement. It was a new attempt by young Korean history researchers to respond to the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in the 1980s, 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only the contents of their Korean history research but also the kind of academic culture and environment they attempted to create and expand.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rchival materials of the Institute of Historical Studies left by the practitioners of Mingjung Sahak, especially the researchers of Mangwon Center for Korean History (Mangwon Hanguksa Yeongusil) and Guro Center for Historical Studies (Guro Yeoksa Yeonguso). Taking the Mangwon and Guro centers as a consecutive history, this article divides the development of Mingjung Sahak by the research centers into three periods. Section 1 narrates the establishment and early years of the Mangwon center as a period of exploration for Mingjung Sahak, Section 2 investigates the period from 1986 to the ‘breaking up’ of the Mangwon in 1988 as a time of debate among intellectuals and researchers over the direction of their people’s history, and Section 3 reviews the perio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uro center as a period of independent activities such as people’s history writing and the education of working people. In this, the article focuses on what Minjung Sahak researchers tried to define as people’s history, what kind of academic production methods they pursued in the name of people’s history and to make a departure from the established academia, and what the form and content of their historical writings we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