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TS 신학 공관 운동의 역사적 개관 및 전망 -현 ACTS 교수들의 연구들을 중심으로

        한상화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4 ACTS 신학저널 Vol.59 No.-

        이 글은 ACTS 신학공관 운동의 궤적을 살피되 현직 ACTS 교수들의동참과 제안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이다. 그리함으로써 ACTS 신학의현주소를 되짚어보고 앞으로 ACTS 신학이 나가야할 방향을 확인하고자했다. 이러한 작업은 그 작업의 성격 자체가 조직신학적 즉, 통합적이기때문에 조직신학의 과제의 일환으로 진행되었고 끝부분에서는 ACTS 신학 발전을 위한 조직신학의 과제에 대하여 간략히 언급하며 맺었다. 이글을 통하여 강조하고자 한 것은 ACTS 신학은 단순히 어느 한 사람의 신학이 아니고 아신대학교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공동체의 신학적 정체성이기 때문에 진정성 있게 교수공동체의 연구와 교육 그리고 학제운영에까지 반영되어야 하며 앞으로도 그동안 시행해왔던 것보다 더 명확하고도진지하게 추구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rajectory of the ACTS theological movement, focusing on the participation and proposals of current ACTS professors. By doing so, it aimed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ACTS theology and to determine the direction that it should take in the future. Thus this task was undertaken as a task of systematic theology, that is basically organizational and integral in nature. This article concludes by briefly mentioning some tasks of systematic theology for the development of ACTS theology. What this article seeks to emphasize is that ACTS theology is not merely the theology of any one individual, but rather the theological identity of a community of professors responsible for Acts University edu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authentically reflected in the research, education, and academic administration of the professorial community. ACTS Theological movement should be pursued more clearly and seriously than ever before.

      • KCI등재

        ‘ACTS 신학-신앙운동’에 대한 신학적 고찰과 제언: 복음과 문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학봉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3 ACTS 신학저널 Vol.58 No.-

        ACTS(Asian Center for Theological Studies and Mission, 아신대학교)는 ‘국제적, 복음주의적, 교회연합적’ 성격을 지닌 대학으로서 지난 49년 동안 아시아와 세계 복음화에 기여해왔다. ACTS의 목적과 정체성은 무엇보다‘ACTS 신학-신앙운동’에 의해 체계적이고 역동적으로 구현되어 왔다. ‘ACTS 신학-신앙운동’의 목적과 내용은 2015년 발표된 ‘ACTS 신학공관’(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선언문에 ‘기독교 중심진리 운동’, ‘바른 신학 운동’, ‘참 신앙인 양육 운동’, ‘교회 연합 운동’, ‘교회 회복 운동’으로 기술되어 있다. 본 연구는 희년을 앞둔 ACTS 신학의 발전을 위해 ‘ACTS 신학-신앙 운동’을 신학적으로 고찰하고 평가하여 운동의 장점과 기여 그리고 한계와 보완점을 발견하고 제시한다. 이를 위해 논문은 먼저 ‘ACTS 신학-신앙운동’의 역사적 배경을 간략하게 서술할 것이고, 이어서 운동의 신학적내용과 의의를 서술할 것이다. 끝으로 운동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평가하되, 특별히 미래를 위한 제언에 초점을 둘 것이다. 이 과정에서 논문은‘ACTS 신학-신앙운동’과 복음주의 신학(evangelical theology)을 비교하고 신학적 보완점을 ‘복음과 문화의 관계’와 관련하여 도출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신학적 고찰과 제언을 통해 논문은 ‘ACTS 신학-신앙운동’이 성경적이며 복음주의적 특징을 지닌 건강한 운동임을 드러낼 것이며 동시에 실천적 측면을 보완하여 더욱 발전될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ACTS(Asian Center for Theological Studies and Mission, ACTS University), an ‘international, evangelical, ecumenical’ university, has contributed to the evangelization of Asia and the world for the past 49 years. The purpose and identity of ACTS has been embodied in a structured and dynamic way by the ACTS theology-faith movement. Importantly,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movement are described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manifesto issued in 2015 as the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movement, the right theology movement, the nurturing true believers movement, the church unity movement, and the church restoration movement. This paper examines and evaluates the ACTS theology-faith movement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in order to discover and present its strengths and contributes, along with its limitations and deficienc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CTS theology in preparation for the jubilee. To this end, the paper will first briefly outl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CTS theology-faith movement, then expound the theological content and significance of the movement, and finally evaluat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movement, with a particular focus on proposals for the future. In this process, the paper will compare the ACTS theologyfaith movement with evangelical theology, drawing out theological complements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gospel and culture. Through the theological reflections and proposals, the paper will reveal and argue that the ACTS theology-faith movement is a sound movement with biblical and evangelical characteristics, yet it can be further developed by expanding its practical dimensions.

      • KCI등재

        ‘ACTS 신학공관(共觀)운동’에서 본 이자익 목사에 관한 연구 - 장로교회 총회장 3번 역임한 마부 출신의 목회자

        신종철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2 ACTS 신학저널 Vol.54 No.-

        Rev. Lee, Ja-i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e Korean church history. He was a moderator three times (13th, 33rd and 34th)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before it splits into Hapdong Presbyterian and Tonghap Presbyterian denominations in 1959. Additionally, Lee was a presbytery chairman several times in several presbyteries, planted around 20 churches, and faithfully pastored them. !is article evaluates Lee, Ja-ik, using the lense of the ‘ACTS !eological Synoptic Movement (ACTS TSM).’ First, we can find the viewpoint of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movement’ in the ACTS TSM, in Lee, Ja-ik’s passionate evangelism. Second, we can "nd the viewpoint of sound theology movement,’ in the ACTS TSM, in Lee Ja-ik’s resistance to Shintoism, the establishment of the Daejeon Presbytery, and the petition by the 51 students of the Chosun Theological Seminary submitted to the General Assembly, He presented himself as a defender of the orthodox and conservative faith. A third value of the ACTS TSM is nurturing true believer nutuing movement. Lee had a major role in the establishing of Chungnam Higher Bible School (predecessor of Daejeon Bible High School) and Daejeon !eological Seminary. He devoted himself to cultivating faithful believers. A fourth value of the ACTS TSM is the development of church unit. Lee was involved in the publishing hymns for all the denominations of Korea, !is hymn was used by all Korean churches, including Presbyterian, Methodist, and Holiness denominations. Lastly, a fifth vaule of the ACTS TSM is the development of church renewal, Lee sought to rebuild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after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He was instrumental in helping to restore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through having instilled the spirit of the rule of law. From the values of the ACTS TSM, Rev. Lee, Ja-ik is a signi"cant model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honor. We want to produce more people like Lee Ja-ik. 한국교회 역사에 있어서 주목하여 존경해야 할 중요한 인물들이 있다. 이들 가운데 이자익 목사는 한국교회가 반드시 기억하고 주목해야 할 중요 인물이다. 이자익 목사는 장로교회가 1959년 합동과 통합으로 분열되기 이전 장로교회 총회장을 세 번이나(13, 33, 34대) 역임한 전무후무한 인물이다. 또한 그는 충청도(대전노회), 전라도(전북노회), 경상도(경남노회)를 망라한 전국에 걸쳐서 노회장을 여러 번 역임하였을 뿐만 아니라 약 20개교회를 설립하고 성실하게 목양한 목회자이다. 본 고는 ‘ACTS 신학공관(共觀) 운동의 관점’에서 이자익 목사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ACTS 신학공관’의 ‘기독교의 중심 진리 운동’은 이자익의 전도하는 일에 열정을 다한 그의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둘째, ‘ACTS 신학공관’의 ‘바른 신학운동’에 비추어 볼 때, 이자익의 신사참배 거부와 대전노회의 설립, 총회에 제출한 조선신학교 51인의 진정서와 관련하여 그는 정통 보수주의 신앙의 수호자로서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ACTS 신학공관’의 ‘참 신앙인 양육 운동’은 충남 고등성경학교(대전성경고등학교 전신)와 대전신학교 설립에 큰 역할을 담당한 이자익의 역할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올바른 신앙인을 키우는 것이었다. 넷째, ‘ACTS 신학공관’의 ‘교회 연합운동’에 비추어 볼 때 이자익은 찬송가 합동에 앞장을 섰다. 찬송가 합동은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였다. 이는 찬송가를 통한 연합을 의미한다. 다섯째, ‘ACTS 신학공관’의 ‘교회 회복 운동’은 해방 이후 이자익 목사가 한국 장로교회를 재건 하는 데 최선을 다한 그의 모습에서 발견할 수있다. 특히 교회 회복을 위하여, 그는 한국 장로교회에 법치정신(法治精神) 을 심어주었다. ACTS 신학공관 운동에 본 이자익 목사는 한국교회가 반드시 존경해야 하는 훌륭한 모델이었다. 앞으로 우리는 이자익과 같은 인물을 더 많이 배출해야 한다.

      • KCI등재

        ‘ACTS 신학공관(神學共觀) 운동’에서 본 이수정(李樹廷) 연구

        신종철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3 ACTS 신학저널 Vol.58 No.-

        이수정은 한국 초기 기독교 재한 선교사들이 오기 전에 도일하여1883년 4월 29일 일본 동경 노월정교회((露月町敎會)에서 세례를 받았다. 그의 개종(세례받음) 사건은 한국교회 역사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사건이되었다. 개종 이후 그는 성경을 한글로 번역하였고, 조선에 미국 선교사파송을 요청하는 ‘한국의 마게도니아인(人)’의 역할을 감당했다. 이로인해언더우드와 아펜젤러 선교사가 한국에 선교사로 오게 되었으며 이수정이 번역한 한글 마가복음 성경은 언더우드와 아펜젤러가 1885년 4월 5일제물포 입국 시 가져오게 된 것이다. 본고는 ‘ACTS 신학공관(共觀) 운동의관점’에서 이수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ACTS 신학공관’의 ‘기독교의 중심 진리 운동’은 이수정의 신앙고백문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그는 철저하게 성경에 근거하여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고 있다. 둘째, ‘ACTS 신학공관’의 ‘바른 신학운동’에 비추어 볼 때, 이수정은‘삼위일체 신앙’과 믿는자에게는 ‘천국의 소망’이 있음을 고백한다. 구원에 관련해서는 불교의 자력 구원을 허무한 가르침으로, 기독교(聖敎)의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음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ACTS 신학공관’의 ‘참 신앙인 양육 운동’은 그의 전도사역이다. 이수정은 유학생 전도와 주일학교 설립, 동경에 최초의 한인교회 설립에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넷째, ‘ACTS 신학공관’의 ‘교회 연합운동’에 비추어 볼 때 이수정은 일본에서 최선을 다해 성경 번역 사역을 감당했다. 그는 마가복음을 한글로번역하여 한국 개신교 교회를 하나로 만들었다. 다섯째, ‘ACTS 신학공관’의 ‘교회 회복 운동’은 이수정이 일본에서 ‘한국의 마게도니아인(人)’ 으로 미국에 강력하게 한국선교를 호소하였다는점이다. 이로 인해 미국 개신교 선교사들이 입국하여 한국에 복음을 전파하게 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이수정은 “한국 개신교 선교의 개척자”로서 ‘ACTS 신학공관 운동’이왜 중요한가를 한국 개신교 선교 초기에 미리 보여준 인물이었다. Lee Soo Jung arrived before the first missionaries to Korea and was baptized on April 29, 1883, at the Nowoljeong Church in Tokyo, Japan, and his conversion (baptism) was a very important even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After his conversion, he translated the Bible into Korean and served as the Korean Magedonian’s advocate for the establishment of American missionaries in Korea. This led to Underwood and Appenzeller coming to Korea as missionaries, and Lee’s transl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ospel of Mark was brought by Underwood and Appenzeller when they entered Jempo on April 5, 1885. This article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Soo-Jung Le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ACTS TSM)’ First, we can find the viewpoint of ‘Central Truth of Christianity Movement’ in the ACTS TSM, This is evident in Lee’s statement of faith. He confesses his faith in a thoroughly biblical way. Second, we can find the viewpoint of ‘Sound Theology Movement,’ in the ACTS TSM, Lee confesses to a “Trinitarian faith” and the “hope of heaven” for those who believe. When it comes to salvation, he rejects the Buddhist teaching of self-salvation as futile and emphasizes salvation by the grace of God in Christianity. Third, we can see the viewpoint of ‘True Believer Nurturing Movement,’ in the ACTS TSM, he played a leading role in evangelizing international students, establishing Sunday schools, and founding the First Korean Church in Tokyo. Fourth, we can find the viewpoint of ‘Church Unity Movement,’ in the ACTS TSM, Lee did his best Bible translation work in Japan. He translated the Gospel of Mark into Korean and united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Fifth, we can find the viewpoint of ‘Church Renewal Movement.’ in the ACTS TSM, Lee was a “Korean Magedonian” who made a strong appeal to the United States from Japan for missionary work in Korea. This led to the arrival of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to spread the gospel in Korea. Lee, a pioneer of protestant mission in Korea,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ACTS TSM at the early stage of protestant mission in Korea.

      • KCI등재

        ACTS 신학·신앙운동으로서의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의 방향

        하태선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3 ACTS 신학저널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ing the the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as an ACTS theology-faith movement an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based on the central Christian truth. First,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of ACTS should be a practice to restore the image of God. Second,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of ACTS can be realized in the redemption of spirit and body through Jesus Christ based on the redemptive work of Jesus Christ. Third,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of ACTS should be a practice for world evangelization. Therefore, the Christian social welfare practice of ACTS must practice God’s love for human beings through concrete care and to solve social problems broken by sin, and ultimately pursue welfare that is realized only through the redemption of Jesus Christ. 본 논문은 ACTS 신학·신앙운동으로 신학공관 운동을 이해하고, ACTS가 지향하는 기독교 중심진리 내용을 고찰한 후, 기독교의 중심진리에 근거한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ACTS의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CTS의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기 위한 실천이 되어야 한다. 둘째, ACTS의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은 예수그리스도의 구속사역에 기반하여 예수그리스도를 통한 영과 육의 구속에서 실현될 수 있다. 셋째, ACTS의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은 세계복음화를위한 실천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ACTS의 기독교사회복지실천은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이 구체적인 돌봄과 실천으로 구현되어야 하며, 죄로인해 깨어진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궁극적으로 예수그리스도의 구속으로만 실현되는 복지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CTS 신학과 북한선교 -교회연합운동과 교회회복운동을 중심으로

        정지웅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2 ACTS 신학저널 Vol.52 No.-

        In this paper, I focus on how, among the ACTS theological movements, the Church Union Movement and Church Restoration Movement, could have an impact on North Korean missions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I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Christian unification movement, preparation for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hristian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f we look at the causes of division of Korea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we find that various arguments exist within Christianity, such as the missionary division policy, the theory of the cause of shrine worship, and the process of training the nation. I examine Pastor Gwang-Sun Seo’s work with the Church Union Movement as well as Pastor Yang-Won Son’s work with the Church Restoration Movement. In addition, Korean Christianity must contribute to safeguarding both the hard-built economy and the democracy which was achieved through struggle and sacrifice. We must go beyond the level of protection and make it mature. There is no grand preparation for unification. We need only to maintain a proper democracy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and create a healthy society that is rich, that does not have a larg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 society with free and open communication. We must make Korea an attractive society. So, as iron is attracted to a magnet, North Korea will naturally want to become one with our society. We must not forget that making it a democratic and more livable society is the most basic and powerful preparation for unification. We Christians need to be actively involved in this, so there is much work for ACTS to do to train church leaders. We Christians must lay the foundation of Christian love in the matter of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It is also necessary to add strength to reaching an agreement between the South and the South and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To this end, Korean Christians should engage in the Church Union Movement and Church Restoration Movement. We must launch a movement for justice domestically, a movement for peace internationally, and a campaign to end hostile relations with North Korea. We must nurture believers with the right theology based on the truth of Jesus, as it is revealed to us through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So, if we continue to promote the Church Union Movement and Church Restoration Movement, the road to national evangelization will naturally open. ACTS 신학 운동 중에서 교회연합운동과 교회회복운동이 북한선교와통일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그 함의가 무엇인지를 기독교 통일운동, 통일준비, 기독교교류의 측면에서 살펴 보고자 하였다. 한국 분단의 원인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을 살펴보면 선교지 분할정책과 신사참배원인설, 민족연단설 등 다양한 주장들이 기독교 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교회연합운동은 서광선 목사의 사례로, 교회회복운동은 손양원 목사의 사례로 고민해 보았다. 한국 기독교는 힘들게 건설한 경제와피로써 얻은 민주주의 모두를 지키는데 공헌해야 한다. 지키는 수준을 넘어서 성숙되게 꽃피워야 한다. 통일을 위한 거창한 준비는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정치적, 경제적으로 제대로 된 민주주의를 하는 것이다. 풍요롭되 빈부격차가 크지 않고, 자유롭되 소통이 잘 되고 건전한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매력 있는 사회로 만들어서 철이 자석에 이끌리듯 북한이저절로 우리 사회로 하나 되길 원하는, 민주적이고 보다 살기 좋은 사회로 만드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고 강력한 통일준비임을 우리는 잊어서는안 된다. 우리 기독인들이 여기에 적극 참여해야 하며, 그래서 교회지도자들을 양성해야 하는 ACTS가 해야 할 일이 너무 많다. 우리 기독인은 북한과 통일문제에 있어서만큼은 기독교 사랑의 정신을 바탕에 깔고 남남간, 남북간 합의를 이루는데 힘을 보태야 한다. 이를위해 한국 기독인은 교회 내부적으로는 교회회복운동과 교회연합운동을벌이고, 국내적으로는 공의운동을 펼치고, 북한에 대해서는 적대적 관계해소운동을 펼치고, 국제적으로는 평화운동을 펼쳐야 한다. ACTS가 지향하는 예수진리에 바탕을 둔 바른 신학으로 참신앙인을 잘 길러서, 교회연합운동과 교회회복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간다면 민족복음화의 길은 자연스럽게 열릴 것이다.

      • KCI등재

        ‘ACTS 신학공관’과 그리스도인의 사회참여- 베를린대회와 로잔대회에서 복음전도와 사회참여의 관계 연구

        전희준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3 ACTS 신학저널 Vol.56 No.-

        The World Congress on Evangelism in Berlin(1966) is the starting point of both the establishment of ACTS University and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n World Evangelization in Lausanne the same year(1974). However, while the Lausanne Congress established a holistic mission theology that integrates evangelism and Christians’ social responsibility,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of Christians’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that is, a theological movement that clarifies and articulates the theological position and missional task of ACTS. Thus, this article studi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ACTS University and Lausanne Congress and makes two conclusions. First, the Lausanne Congress connected evangelism and social responsibility more closely than the Berlin Congress, and the founding ideology of ACTS University follows the position of the Berlin Congress. Both the Berlin Congress and Lausanne Congress emphasize evangelism while opposing the theolog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which puts social acts before evangelism. However, while Berlin Congress did not emphasize social responsibility, the Lausanne Congress declared the priority of evangelism while connecting evangelism and social responsibility more closely. Meanwhile, the establishment of ACTS University was planned at the Singapore Congress which was a result of the Berlin Congress. Therefore, ACTS University took the same theology as the Berlin Congress regarding Christians’ social responsibility. Second, the Berlin Congress had less emphasis on social responsibility compared to the Lausanne Congress, but that does not mean that the Berlin Congress completely ignored the issue of social justice. the Berlin Congress declared the priority of evangelism more clearly with the conviction that social reform will occur as a result and fruit of evangelism. Therefore, although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does not explicitly declare Christians’ social responsibility, it can be understood that ‘ACTS Theological Synoptic Movement’ inherits the theology of the Berlin Congress, so evangelism and social reform are set as roots and fruits.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의 자유의 문제

        유은혜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3 ACTS 신학저널 Vol.58 No.-

        God has called the church to preach the gospel of truth, and to bear witness to the freedom we have in Christ Jesus, but there are forces that oppose it and hold creatures captive, away from the truth. Thus, ‘mission’ and ‘liberty’ are inextricably linked, and missiology must grapple with the question of freedom through the gospel and the bondage that holds it captive. The forms of non-freedom in which human beings are ideologically bound can manifest themselves in different ways in different times, but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idea of postmodernism, which has penetrated deeply into our lives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our thinking about Christian freedom and oppression. In the field of missiology,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relativism and pluralism of postmodernism denies the existence of truth and thus suppresses the proclamation of the only truth and freedom of faith. This paper seek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non-liberal nature of postmodernism and its theological problems that can suppress the freedom of the Korean church to believe and mission, and to offer an alternative. This paper explains that postmodernism rejects modernism’s ‘univocity with implied commonality’ and absolutises a single hermeneutic perspective: ‘everything is contextual’ and ‘everything has absolute difference without commonality’. As a result, it denies the possibility of representing for anything. It threatens the freedom to understand and proclaim the total depravity of the human race, that the penalty of sin and death has fallen upon all mankind, without any one person being involved, from the sin and death of Adam, the representative of humanity, and the ‘principle of representation’, that one person, Jesus Christ, came as a man to represent humanity, to take our sins upon himself and to die as punishment, so that all who believe and are united with him may be justified. It also denies the gospel of justification, whereby one is justified, not by good works, but by faith in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Christ Jesus, now my representative. And the hermeneutical flood of postmodern ‘difference’ threatens the freedom of faith and procla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ameness and similarity’, of living a life ‘similar’ to that of our brothers and sisters in Jesus Christ and our forefathers in the faith. It also identifies the problem that postmodernism has absolutised the view of ‘difference’ and is ultimately heading in the direction of nonfreedom, installing the power of earthly creaturely ‘mediators’ other than Jesus Christ to ‘mediate’ and ‘arbitrate’ the fragmented differences that have arisen as a result of seeing everything differently. In response, this paper will finally expose the biblical hermeneutical position of ‘image and figure’ to suggest that through a theology and hermeneutics of ‘similarities in univocity’, the Christian gospel of truth can proclaim that beyond the non-freedom imposed by the ideological and hermeneutical bondage of postmodernism’s ‘difference’, the Christian gospel of truth brings true freedom. 하나님은 교회로 하여금 진리의 복음을 전하며,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얻은 자유를 증거하게 하신다. 그러나 그것을 역행하여 피조물들을 진리로부터 멀어져 포로되게 하고 압제하는 세력이 있다. 따라서 ‘선교’와 ‘자유’는 불가분의 관계이며, 선교학은 자유와 속박의 문제와 씨름할 수 밖에 없다. 인간이 사상적으로 속박되는 비(非)자유의 형태는 시대마다 다양한 현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본 논문은 특별히 20세기 중반 이후 시대정신으로 자리 잡아 우리의 사고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이라는 사조가 기독교의 자유와 압제의 문제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주목하여 논의한다. 선교학 분야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상대주의와 다원주의가 절대적 진리의 존재를 거부하여 진리의 선포와 신앙의자유를 억압함을 지적하였는데, 본 논문은 그보다 더욱 구체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의 비자유적 속성과 그 신학적 문제점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공통성이 함축된 일의성 (univocity)’을 거부하면서, ‘모든 것이 상황에 따라 다르다’, ‘모든 것은 공통성 없이 절대적 차이를 가진다’는 하나의 해석학적 관점을 절대화하였음을 설명한다. 그 결과 포스트모더니즘은 일의성의 논리를 기반으로 한 재현(represent)의 가능성, 그리고 대표성, 대변성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이것은 신학적으로, 인간의 대표 아담의 죄와 사망으로부터, 한 사람도 무관함 없이 온 인류에게 죄와 사망의 형벌이 임하였다는 전적타락과, 또한 한 분 예수그리스도께서 인류를 대표하시기 위해 인간의 몸을 입고 오셔서 우리의 죄를 대신 지시고 형벌을 받아 죽으신대속과 부활의 첫 열매가 되신 대표성과, 그리고 이 모든 것을 믿고 예수님께 속하는 자, 예수의 모형(figure)이 된 자들이 구속받고 부활을 얻는 ‘대표의 원리’를 이해시키고 선포할 자유를 위협한다. 또한 행위가 아니라, 이제는 나의 대표되신 예수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을 믿음과 그 분 안에 속함으로, 의롭다고 인정되는 칭의의 복음을 부정하게 한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다름’의 해석학적 절대화는, ‘한 분 예수 안에서’ 신앙의 대열에 선 신앙의 선조들, 그리고 한 몸된 형제자매들과의 ‘유사함’을 가진다는‘동일성 내 유사성’의 해석학적 관점을 신앙하고 선포할 자유를 위협한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이 ‘차이와 다름’의 관점을 절대화하고, 종국적으로는 그렇게 모든 것을 다르게 보게 된 결과 발생한 파편들을 이제는 ‘매개’ 하고 ‘중재’하기 위해서, 예수 그리스도 외의 이 땅 위의 피조물 ‘매개자’의권력을 설치하는 비자유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밝힌다. 이에 대하여, 본 논문은 ‘원형과 모형’이라는 성서 속의 해석학적 입장을 드러내어, ‘동일성 내 유사성’의 신학을 통해 포스트모더니즘의 ‘다름’이라는사상적, 해석학적 속박에 의한 비자유를 넘어서, 기독교의 진리의 복음은참 자유를 가져옴을 선포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Church’s Public Engagement from Abraham Kuyper’s Ecclesiological Perspective and Its Implication in Korean Context

        정훈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2 ACTS 신학저널 Vol.53 No.-

        In the past decades, the interest in the role of church in public area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However, the research so far has been focused mainly on publicness of church itself from a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hurch needs to be involved in the public realm from a more practical perspective. As a Dutch Neo-Calvinist pastor, theologian, and politician in the nineteenth century, Abraham Kuyper wrestled with the church’s public engagement. More specifically, his ecclesiology is the basis of his idea regarding this topic. In unpacking his ecclesiology, Kuyper divides the nature of church into the two: church as institution and church as organism. Also, sphere sovereignty is a pivotal concept for grasping his view regarding this topic in that sphere sovereignty deals with the pluralistic structure of society. On the basis of these concepts concerning church and society, Kuyper suggests how Christianity can be engaged in public square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indirectly as church as institution and directly as church as organism. In the first step, this article analyzes what the church’s public engagement looks like on Kuyper’s ecclesiology and investigates how it can be practiced in the real life. Then, this article turns to Korean context. Kuyper’s idea regarding church’s public engagement has an implication in the contemporary Korean context. Because Korean church has been strongly entrenched in the privatization of Christian faith, practicing the faith in the public realms is difficult challenge. In this sense, Kuyper’s idea is useful in finding the way the Korean church engages in the public areas. Specifically, Kuyper’s concepts of ecclesiology and sphere sovereignty help Korean church, which tends to go toward Christendom, evade the problem of Christendom.

      • KCI등재

        조나단 에드워즈의 구원 확신론: 칼빈의 신학으로부터 멀어졌는가?

        전희준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22 ACTS 신학저널 Vol.54 No.-

        Compared to the study of Jonathan Edwards’ theology on Justification, the study of the assurance of salvation is not enough. This paper studies Edwards’ theology of assurance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Calvin and Edwards, examining Dan Saunders’ criticism of Edwards’ doctrine on assuranc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role of practice in the theology of assurance. Saunders argues that if a practice is accepted as evidence of assurance, like Edwards, it will break away from the principle of the Reformation, which is salvation only by faith, and embrace synergistic justification. Saunders argues that Edwards’ theology of assurance, unlike the Reformers, is not centered on Trinity or Christ. However, this study proves that Edwards’ theology of assurance also affirms Trinity and Christ. It also reveals that Calvin also recognizes practice as meaningful evidence for assurance. Both Calvin and Edwards agree that practice serves as evidence as a fruit, not a basis for assurance, and that fruit plays a role in strengthening and encouraging faith. Next, this paper examines Saunders’ argument that using practice as evidence of assurance in Edwards’ theology promotes uncertainty. However, Calvin and Edwards both admit that it is impossible to have unwavering convictions of salvation. Nevertheless, both argue that assurance of salvation is possible even in doubt. In addition, when people question their assurance of salvation, both theologians commonly advise them to focus on God and not on themselves. !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Edwards and Calvin’s theology of assurance is not inherently different. 조나단 에드워즈의 칭의 교리에 대한 연구에 비해 구원의 확신 교리에대한 연구는 빈약하다. 본 논문은 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를 비판한 댄 손더스(Dan Saunders)의 주장을 점검하면서 칼빈과 에드워즈의 비교를 통해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를 연구한다. 본 논문은 먼저 구원의 확신 교리에 있어 실천의 역할을 점검한다. 손더스는 에드워즈처럼 실천을 구원 확신의 증거로 채택할 경우, 오직 믿음에 의한 구원이라는 종교개혁의 원리에서 벗어나 신인협력을 인정하게된다고 주장한다. 손더스는 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는 개혁자들과 달리 삼위일체나 그리스도 중심적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본 논문은 에드워즈의확신 교리도 삼위일체와 그리스도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또한 칼빈도 실천을 구원의 확신을 위한 유의미한 증표로 인정한다는사실을 밝힌다. 칼빈과 에드워즈 모두 행위가 확신의 기초가 아니라 열매로서 증거 역할을 하며, 열매가 믿음을 강건케 하고 격려해 주는 역할을한다는 사실에 동의한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실천을 구원 확신의 증거로 삼으면 불확실성을 조장하게 된다는 손더스의 주장을 점검한다. 칼빈은 확신을 강조했지만, 그것이 의심과 불안이 전혀 없는 상태는 아니었다. 실천을 확신의 근거로강조하든지, 믿음 자체를 확신의 근거로 강조하든지, 흔들림없는 구원의확신이라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빈과 에드워즈는 모두 의심과 흔들림 속에서도 구원의 확신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구원의 확신이 의심될 때 두 신학자 모두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지 말고 하나님께 집중하라고 공통적으로 조언한다. 이러한 견해들을 검토해 볼 때에드워즈의 확신 교리는 칼빈의 교리와 강조점의 차이는 있지만 본질적으로 다른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