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5년 성균관대 분규의 원인과 그 의미 -이정규 부총장 해임 문제를 중심으로-

        오제연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6

        This article examines the specific contents and causes of the Sungkyunkwan University dispute that occurred in 1955, focusing on the issue of dismissal of Vice-President Lee Jeong-gyu,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pute. Lee Jeong-gyu, who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at Sungkyunkwan University in 1947, played a big role in the early development of Sungkyunkwan University by helping Kim Chang-sook. In particular, he contributed greatly to the expansion of the faculty and the school building. However, in January 1955, Lee Jeong-gyu was dismissed as vice-president. Sungkyunkwan University was immediately caught up in a dispute. The dismissal of Vice-Chancellor Lee Jeong-gyu in 1955 and the resulting dispute at Sungkyunkwan University was a pain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Sungkyunkwan University in the early days. Vice-President Lee Jeong-gyu’s dismissal came from a conflict with President Kim Chang-sook. The root cause of this conflict was the identity problem of the school, which aros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ungkyunkwan University based on Confucianism into a modern university. 이 글은 1955년에 발생한 성균관대 분규의 구체적인 내용과 그 원인을, 분규의 시작점이었던 이정규 부총장의 해임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47년 초 ‘국대안 파동’의 수습 과정에서 성균관대로 초빙된 이정규는, 김창숙을 도와 교수진과 교사 확충 등 초창기 성균관대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1955년 1월 이정규는 부총장에서 해임되었다. 성균관대는 곧바로 분규에 휩싸였다. 1955년 이정규 부총장 해임과 이로 인한 성균관대 분규는, 초창기 성균관대가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진통이었다. 이정규 부총장 해임은 김창숙 총장과의 갈등에서 비롯한 것이었고, 그 갈등의 기저에는 유교 이념으로 중건된 성균관대가 현대적 대학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직면한 학교의 정체성 문제가 놓여 있었다. 김창숙과 이정규 두 사람은 성균관대의 유학 교육과 유교 이념, 즉 정체성의 유지⋅강화에 있어 입장 차이를 보였다. 이는 유교에 바탕을 둔 근대 대학 성균관대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한 두 사람의 방법론의 차이였다. 그리고 이는 성균관대 분규 과정에서 교수 겸직 등 인사 문제로 표출되었다.

      • KCI등재

        인문학적 노년학의 관점에서 본 『나빌레라』 -한국 만화에 재현된 새로운 노년관-

        김경화 ( Kim Kyung Hwa ),고봉만 ( Ko Bong Man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3

        본 연구는 2017년에 출판된 한국 만화 『나빌레라』를 인문학적 노년학의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한국사회에 등장한 새로운 노년관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서구 노년학 연구 동향을 살피고 한국 사회의 역동적인 변화를 반영하는 노년학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노년학 전개 과정에서 인문학적 노년학의 위치를 파악하고, 한국에서 그 적용 가능성을 『나빌레라』의 주인공, 덕출이 쓰는 ‘되기의 서사(narratives of becoming)’를 통해 점검해 보고자 한다. ‘되기의 서사’는 노년의 자기실현을 지향하는 서사 방식으로, 한느 레슬레(Hanne Laceulle)에 의해 주창되었다. 인간은 자신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자기 정체성을 구성하기 때문에 서사는 노년 연구에 특히 중요하다고 레슬레는 주장한다. 그녀는 인문학적 노년학의 핵심을 신체적·정신적 쇠퇴를 경험하면서도 성장의 서사를 멈추지 않는 노년의 삶에서 찾고 있다. 서구의 인문학적 노년학은 주류 노년학이 인간실존이라는 기본적 질문을 도외시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노년을 관리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삶의 주체로서 바라보고자 한다. 노년 연구가 사회학적 연구 대상에서 벗어나 인간적 관점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인 이론을 수립하지는 못했다. 본 논문은 『나빌레라』의 분석을 통해 인문학적 노년학의 정립에 기여하고 국내 노년학 연구에도 미력하나마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aim of the paper is to explore a new perspective on the elderly in a Korean comic book Nabillera, published in 2017, in the light of humanistic gerontology. We also examined the trends in gerontology studies in the West and rais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methodology of aging studies that can reflect the dynamic changes in Korean society. After determining a brief history of aging studies of the modern West, we explained the recent definitions of humanistic gerontology, and then analyzed how Deok-chul, the main character of Nabillera, grows up to search for the self-identity through the “narratives of becoming”. The narratives of becoming, coined by Hanne Laceulle, is a term serving as a prelude to the idea of self-realization. According to her, human beings answer the question who they are by telling the stories about themselves. Stories are thus granted a constitutive function in personal identities. Researchers of humanistic gerontology regard the elderly as the co-equal members of society not as social refugees, criticizing that mainstream gerontology doesn’t ask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human existence. They suggest that older age needs to be explored without losing sight of the individual persons concerned. Humanistic gerontology is in a process that is yet to be fully established as a theory. This study helps expand humanistic gerontology to be a comprehensive and accurate theory through the analysis of Nabillera, the struggle for affirmation in old age.

      • KCI등재
      • KCI등재

        인문학적 객관성과 현상학적 방법론

        박승억 ( Park Seung U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4

        최근 호킹이나 도킨스와 같은 자연과학 연구자들이 인문학의 전통적인 문제들에 대해 대답을 시도하는 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한 편으로 영역의 경계를 뛰어넘는 전위적 탐구라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인문학적 탐구 영역의 위축이라는 부정적인 효과를 갖고 있기도 하다.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과학 역시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따르고 있다. 자연과학적 탐구 방식은 학문 탐구 방식에 있어 표준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문학적 탐구의 본성과 역할의 문제를 제기한다. 근대 이래로 자연과학이 성공적이었던 까닭은 그 탐구의 객관성에 있었다. 그렇다면 인문학적 탐구에 있어서도 객관성을 말할 수 있을까? 있다면 인문학적 탐구의 객관성은 무엇을 의도할까? 이 논문은 인문학적 탐구의 객관성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주로 현상학적 방법론에 의지하여 해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른바 사회적 딜레마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에 대해 인문학적 탐구가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Recently, it is not strange to see that the famous natural scientists have tried to answer the old metaphysical questions. It is good to see, on a positive side, the collaboration between research of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research, but at the same time it negatively means the shrinkage of the research territory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originally aimed at seeking for the solutions of the social problems, has also adopted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Scientific research becomes the standard of every academic research. This situation raised a question about the nature and role of humanities research. Since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key to the success of natural science is the objectivity of their methodology. Then, could we request for objectivity in humanities research? I have tried to argue in this paper the objectivity of humanities research with the help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nd it shows which role humanities research has in the research about the so-called social dilemmas.

      • KCI등재

        학부 유학생의 한국어 쓰기에 나타난 내용 지식 구성 양상 고찰

        유현정 ( Ryu Hyun-jun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71

        최근 한국의 대학(원)에 진학하는 외국인 유학생 수의 증가와 함께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동안의 연구가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면, 최근에는 대학(원)에서의 학업 수행에 필요한 학문적 배경지식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학부 유학생의 한국어 쓰기에 나타난 내용 지식 구성 양상을 고찰하여 유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재학 중 요구되는 쓰기 과제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내용 지식을 구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내용 지식 습득 과정에서는 최근 컴퓨터와 인터넷이 주로 사용되는 학습 환경을 감안하여 학습자들이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는 방식으로 쓰기의 내용 지식을 구성하는 양상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연구와 이론을 검토하고, 학부 1학년 대상 교양 글쓰기 과목의 한국인 학생 분반과 외국인 유학생 분반에 동일한 주제의 쓰기 과제를 부여한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실시하고 2차 과제를 부여하여 1차 과제와의 차이점 및 개선된 점을 알아보고, 한국어 쓰기교육에서 내용 지식구성을 위한 교육 방안에 관한 제언을 덧붙였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분야의 쓰기 교육과정에서 내용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제 학습자 자료를 대상으로 쓰기 내용 지식 구성 양상을 고찰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를 기점으로 유학생의 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내용 지식과 관련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content knowledge composition in the writing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This study tries to confirm the definition of the content knowledge for writing, analyze the writing-texts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and compare it with those of the Korean students.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n academic purpose is increasing with a significant rise in the number of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The focus of the studies on wri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n academic purpose is now changing from exercising writing skills to accumulating the background knowledge for writing. This study shows that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have several problems in terms of searching, collecting, and selecting the information for writing on the Internet by utilizing search engines and suggests some solutions for i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ticipated futur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n academic purpose for th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Another expectation is that this study would be followed by many more notable studies on content knowledge composition in writing for the education of writing in Korean for an academic purpos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플랫폼으로서의 교양교육

        김종규 ( Kim Jonggyu ),원만희 ( Won Manhee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70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이 몰고 올 미래의 변화에 조응할 수 있도록 대학 교양교육이 지향해야 할 교육의 방향과 그 구체적 방안의 모색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이 추동하고 있는 변화의 핵심은 바로 플랫폼이다. 플랫폼은 그 자체로 하나의 협력 모델로서 과거의 고립적 생산 방식과 체계를 대체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도 협력 역량을 갖춘 새로운 인재들을 요구하고 있다. 창의성 역시 협력에 기초하여 새롭게 이해되고 있으며, 이러한 협력적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시대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경쟁이 아닌 협력을 교육은 지향해야 하며, 다양한 협력을 통한 창의성 발현의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대학 역시 협력 기반의 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다양한 전문지식들이 융합될 수 있는 교육 공간을 구축해야 한다. 이 때 교양교육은 다양한 전공지식들이 협력할 수 있는 지식확장을 위한 플랫폼으로 기능해야 하며, 이와 같은 협력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Big Question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finding out a new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the concrete programs associated with it in the era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re area of the change that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pushes forward is a platform. A platform itself, as a cooperative model, replaces the old isolated modes of production. Corporations look out for the talents equipped with cooperative competence. Creativity is also newly understood on the basis of cooperation, and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this collaborative creativity is demanded in this era. A new orientation of this education is cooperation, not competition. Universities should also provide collaborative education and are urged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space where various expertises can be converged. At this time,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function as a platform for expanding knowledge that could incorporate various content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prepare for an educational plan utilizing Big Question which can naturally induce such cooperation.

      • KCI등재

        학부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 교재 개발 방안

        유현정 ( Ryu Hyunjung ),김경훤 ( Kim Kyonghw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7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문화교육의 목표는 주로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한국 대학(원)에 진학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급증하면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차별화된 한국문화 교육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의 목표를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뿐 아니라 대학에서의 학문수행을 위한 문화적, 학문적 배경지식을 형성하는 것으로 재설정하고, 그 동안 문화교육이 언어교육의 부수적 요소로 활용되었던 데서 벗어나 중심적 내용지식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문화중심 교재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문화교육의 내용면에서는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의 문화항목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실제 요구 및 대학에서의 학문수행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항목을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학부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 항목을 선정, 제시하였다. 문화교육의 방법 면에서는 문화교육을 지식 전달의 관점에서 다룬 언어교수 이론을 참고하여, 각 문화 항목의 성격과 실제 수업의 단계를 고려한 수업 방안을 구상하여 제시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차별화된 문화교육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문화를 지식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고의 논의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광범위한 한국문화 항목을 외국인 유학생의 필요에 맞게 체계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교재 개발 및 교육방안 마련에 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어져야 한다. 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language education has mainly been aimed at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However, a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who go onto graduate schools in Korea dramatically increases, there should be wider discussions on the differentiated education of Korean culture for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among foreign students. This study aimed to reestablish the objective of cultural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for not only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but also building up the cultural and academic background knowledge for the learning performance at universities, as well as developing a textbook focusing on Korean culture, which has been used as an element incidental to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the content of 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has additionally reflected the actual requirements of learners based on the cultural items of standard model and items which were judged necessary for the learning performance at universities. Besides, it has accordingly selected and suggested the necessary items of Korean culture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cultural education, a language teaching method which covers the propagation of cultural knowledge was referred to, and the classes which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ltural item and class stage was planned and suggeste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has given an idea of implementing a differentiated 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nd that a method of educating th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academic knowledge had been sought. Based upon discussions in this study, a broad variety of Korean cultural items have to be incorporated into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which enable teachers to systematically teach foreign students to cope with their needs, and more active discussions on the preparation for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done.

      • KCI등재

        일반논문 : 글쓰기 심화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대학 글쓰기 센터의 필요성 및 운영방안 -성균관대학교 재학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김종규 ( Jong Gyu Kim ),원만희 ( Man Hee Wo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8

        본 논문은 글쓰기 심화 교육을 위해 글쓰기 센터가 필요하며, 그것이 계열별 튜터제에 기초하여 운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행 글쓰기 교육 시스템 하에서 글쓰기 교육은 하나의 교양 교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현행 글쓰기 교육은 심화 단계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 글쓰기 심화 교육의 부재는 학생들의 실질적인 글쓰기 역량 부족으로 이어져 결국 수요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문제의 근본 해결은 WAC을 도입하는 것이지만, 실현 가능한 대안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점에서 글쓰기 센터는 WAC의 이념과 원리를 실천할 수 있는 대안이며, 이를 위해 글쓰기 센터는 전공 계열별 튜터들을 활용하여 전문성을 강화한 형태로 운영되어야 한다. This paper suggests that a writing center is needed for advanced writing education and it must be based on the professional tutor in each department. Under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system, teaching of writing is regarded as part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s. It is a systematic problem that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does not lead to promoting the level of advanced writing. Students cannot acquire high-level writing skills, because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system cannot provide students with advanced writing programs. The current writing program does not measure up to the level of catering to students" demands. For the education catering to demands, the WAC should be introduced to the writing education system. However, it is hard to serve as a feasible alternative to introduce the WAC into the system of writing education. In this situation, a writing center can be an alternative to realize the idea and the principle of the WAC. The center should be managed by the professional tutors in each department.

      • KCI등재

        ▣ 일반 논문 : 시장(市場)에 대한 장소적 고찰 -전통시장의 미래에 대한 인문학적 제언-

        김종규 ( Jong Gyu Kim ),김태경 ( Tae Kyung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0

        본 논문은 시장 공간의 장소성을 문화철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를기초로 현재 시장 공간에 대한 일반적 이해가 시장 고유의 장소성 훼손을 촉진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기존의전통시장 활성화 정책들이 기초하고 있는 시장 공간에 대한 이해 방식과태도를 분석한 다음, 이것을 시장이 역사적으로 수행해 온 문화적ㆍ사회적 기능과 비교하여 현재의 시장 공간에 대한 일반적 이해의 문제점을제시한다. 시장 공간에 대한 일반적 이해 속에서 시장 공간과 대형 마트공간은 본질적으로 구분될 수 없으며, 이러한 공간 이해는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들의 토대가 되어 왔다. 현재 전통시장 활성화는 인위적인 공간 변형을 통해 시장 고유의 장소성을 무차별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시장은 대형 마트와의 경쟁에서 대체의 위험에 늘 노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진정한 전통시장 활성화는 시장의 장소성을 회복하는 데서 찾을 수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시장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은 인문학의 지속적인 과제가 되어야만 한다. This paper aims at trying to prove that the ordinary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market space does destroy the placeness of its own, in consideration of the space of traditional market from the cultural-philosophical point of view. For this purpose, it does analyze the way and attitude of understanding the market space on which current promotions of market have been based. And, through comparing with the social function of the past market, this paper tries to show the problem of this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market space. Especially, it points out that the space of market and the space of a large discount store are not essentially distinct on this understanding of the space, and that the current promotions of market stimulate the indifferenti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space. Because of it, the market is in danger of being replaced with a large discount store. The genuine method of promoting the traditional market is to recover its placeness. In this sense, to consider the traditional market is the task of humanities, because the placeness has been a very important thesis of humanities.

      • KCI등재

        일반논문 : 유럽통합과 문화정체성

        신혜양 ( Hye Yang Shi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6

        지금의 유럽연합이라는 거대한 공동체로 유럽을 통합하려는 계획은 제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1950년대 초부터 추진되어 독일이 재통일 된 1990년 이후에 빠른 성과를 보이면서 진척되었다. 유럽 내 시장통합을 이루었고 정치 및 경제통합도 달성했으며 유로화를 도입해서 통화도 단일화 하게 되었다. 유럽대륙에서의 이러한 진보적 성과는 아시아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는 동경의 대상이기도 하다. ‘하나의 유럽’을 만들려는 계획은 그 역사가 장구하다. 이미 17세기 30년전쟁의 시기에 평화적인 결정에 의한 유럽통합이라는 구상이 나왔고, 그 이후로도 철학자나 작가 등의 지성인들이 하나의 이상으로서 유럽통합을 꿈꾸어왔다. 주장자에 따라 이이상적 유럽공동체의 내용은 다르지만 대부분 기독교를 중심으로 한 종교적 문화적 유럽공동체를 그렸다. 그러나 현재의 유럽연합은 우선적으로 정치적 경제적 통합체로서 각기 다른 언어와 문화를 지닌 유럽의 국가들을 문화적으로 통합하지는 못하고 있다. 유럽연합도 새로운 유럽에 맞는 새로운 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이는 정책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닌 것이다. 유럽 내 다양한 문화와 지역사정을 유럽연합이 입법과 정책 집행에서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다는 것에 대해 여러 지성인들이 비판을 가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유럽통합 이전에 ‘하나의 유럽’을 이상으로 제기했던 유럽담론의 주요 인물들을 살펴보고, 20세기 후반에 유럽통합이 실제로 이루어지면서 어떤 면에서 이상적 유럽공동체가 되지 못하는지를 주요 비판자들의 관점을 통해 알아본다. 특히 유럽연합의 비민주주의와 경제정책중심주의를 비판했던 한스 마그누스 엔첸스베르거와 로베르트 메나세의 주장을 그들의 글을 통해 분석한다. 이어서 유럽의 문화정체성 논의와 연관하여 문화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인 문학에서 ‘유럽문학’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고찰하고 유럽의 시대별 지역별 문화유산인문학 작품들이 유럽 공동의 문화자산으로 갖는 의미를 진단하고 유럽 문학의 특징 및 문화정체성과의 연관관계를 밝힌다. 그럼으로써 유럽이라는 문화정체성에 기반한 새로운 문화공간을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lan to integrate Europe into what has become the enormous community of the European Union (EU) was germinated in the early 1950s right after World War II and was rapidly facilitated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in 1990. As a result, Europe has unified its market, complet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tegration, and adopted a single currency - the euro - among its member countries. Such a remarkable progress can be an object of admiration for the people of Asia. The plan to establish “one Europe” has a long history. The idea of European integration based on a peaceful agreement was suggested by Europeans during the period of the Thirty Years`` War in the 17th century. Afterwards, intellectuals including philosophers and authors dreamt of European integration as their ideal. Although the specific idea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dvocates, they mostly conceived a religious and cultural European community based on Christianity. The European Union as a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ntegrated system of today, however, fails to perform its role of culturally integrating the European countries with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Although the European Union attempts to establish a new cultural identity to cope with the image of new Europe, this design cannot be achieved only by polices alone. Many intellectuals have criticized that the European Union has not been able to properly deal with diverse cultur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legislation and policy implementation. This paper is aimed at figuring out, from the perspectives of major critics, who were the major advocates of the European discourses suggesting one Europe as the ideal before the European integration and what has prevented Europe from establishing an ideal European Union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This study will put much focus on Hans Magnus Enzensberger and Robert Menasse, along with their writings, who criticized the non-democratic aspects and economy-centered policies of the European Union. With regard to European discourses on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will then examine: how literature interprets the concept of ‘European literature’; what is the meaning of literary works - the regional cultural assets of Europe in each period - as the common cultural legacy of Europe;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European literature and its relation to European cultural identity. Finally, this paper will predict the creation of a space of transcultural communications based on the cultural identity of Europe in the contemporary times of global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