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30년대 경성 다방 낙랑 연구 : 문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민수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1 문학이후 Vol.1 No.-

        본 논문은 1930년대 경성의 대표적인 다방인 낙랑의 의미를 새롭게 살피기 위한 의도에서 씌어졌다. 낙랑은 1932년 경성부 장곡천정에 문을 연 이후로 문인을 비롯한 많은 예술가들이 모여드는 공간으로 당대 문화 예술의 산실과도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낙랑의 의미를 제대로 살펴보 기 위해 우선적으로 남・북촌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성 내의 장곡천정이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장곡천정은 조선이 일제의 식민지라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낙랑은 당대의 많은 문학작품에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문학 작품 속의 배경 공간으로 등장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낙랑의 각종 사진 자료와 보도 자료 및 낙랑을 등장시키고 있는 당대의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낙랑은 문인들이 모 여 교류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서 등장하지만, 동시에 다방의 부정적인 면을 표상하는 곳으로 묘사되기도 하였다. 1930년대 후반에 이르면 문화 예술인 중심의 공간으로서 지니는 의미도 점차 상실되기 시작한다. 결국 낙랑은 식민지자본주의화가 극심해져 가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문학예 술을 전개해 나갔던 1930년대적 시대상을 표상하는 중요한 공간이라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Nangnang, a representative dabang in Gyeongseong in the 1930s. Since Nangnang was opened in Hasegawamachi in Gyeongseong in 1932, it has been a space of gathering for many artists including writers and has played a role as the cradle of contemporary culture and art. In order to properly examine the significance of Nangnang, the significance of the Hasegawamachi in Gyeongseong, which was divided into the South and North areas, was first explored. Hasegawamachi was a representative area that showed that Joseon was a Japanese colony. Nangnang began to appear in many literary works of the time as the background setting of the works. In this paper, various photographs and press releases of Nangnang, and literary works of the time that used Nangnang as the setting was examined. Nangnang appeared as a representative space where writers to gathered and interacted, but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described as a place that represented the negative side of dabangs. By the late 1930s, its significance as the center space for artists began to be gradually lost. In the end, Nangnang could be seen as an important space that represents the era of the 1930s, when literature and art were developed in a special situation where colonial capitalism was intensifying.

      • 근대 문인의 제주탐방 콘텐츠 제작 방안 연구

        모희준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3 문학이후 Vol.3 No.-

        제주도는 월평균 20만 명(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2022년 10월 기준) 이 방문하는 우리나라의 대표 관광지이다. 제주특별자치도에 의하면 2020년 12월 기준으로 제주도에는 총 77개의 박물관(제주시와 서귀포시) 이 있으며 20개의 미술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문학 및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의 배경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한라산, 해녀 등과 같은 천애 경관과 전통문화를 보유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며, 제주 4・3사건 등 역사 적 사건의 배경지이기도 하다. 그러나 근래 들어 제주특별자치도는 문화관광사업 분야에 있어 지속 적으로 그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서 실시한 박물관 관람 만족도에서는 직원・해설사 친절도, 관람 동선 등의 만족도는 하락추세에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의 문화관광콘텐츠 산업 이 이제는 변화를 가져야 할 시점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문학이후연구소>에서 수행 중인 연구사업 <도시기반서사 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문화관광콘텐츠 생산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의 일환으로 제주지역의 문화관광콘텐츠를 탐색・연구 및 개발하여 새로 운 유형의 문화관광콘텐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이후연구소>는 <Li:n>이라는 데이터베이스 입력 프로그램을 활용 해 각 지역의 문화관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Navi-Lit>이라는 문 화관광콘텐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Li:n>에서 입력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문화관광내비게이션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고착화된 제주도 관광의 패턴을 변화시켜보자는 문제 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들, 혹은 저명한 작가들이 제주도를 어떤 형태로 향유했는지가 시작이다. 이러한 인물들의 발자취, 혹은 여행 경로를 함께 탐험하면서 단순히 수동적으로 관람하는 것에서 끝나는 관광이 아닌, 우리의 역사를 함께 살펴볼 수 있는 목적을 더할 수 있다. Jeju Island is a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in Korea with an average of 200,000 visitors per month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urism Association, October 2022). According to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s of December 2020, Jeju Island has a total of 77 museums (in Jeju City and Seogwipo City) and 20 art galleries in operation, and is used as a backdrop for various media such as literature and film. It is also a place of natural beauty and traditional culture, such as Hallasan Mountain and haenyeo (female diver), and is the setting for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Jeju 4・3 Incident. However, in recent year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been experiencing a steady decline in satisfaction with its cultural tourism business. In fact, the survey of satisfaction in museum visits conducted by the province has seen a decline in the kindness of the staff and tour guides, visitor circulation, etc., and it can be said that the cultural tourism contents industry of the province is in need of a transform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research, and develop cultural tourism contents in the Jeju region as part of the research project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ata-Base of Urban-based Narratives and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Contents Production System” being conducted by the Institute of Post Literature, and to suggest new types of cultural tourism contents. The Institute of Post Literature uses a database entry program called <Li:n> to build a cultural tourism database for each region and develops a cultural tourism contents program called Navi-Lit to be used as a cultural tourism navigation through the database entered in <Li:n>. In addition, the study was motivated by the critical mind to change the stagnant pattern of Jeju Island tourism. It starts with how famous people or celebrated writers have enjoyed Jeju Island throughout history. By exploring the footsteps or travel routes of these figures together, we can add a purpose to tourism that is not just passive observation but a way to explore our history together.

      • 한국문학과 커피, 세련된 일상을 지향하는 매혹의 음료

        오창은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1 문학이후 Vol.1 No.-

        이 연구는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phy)’의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자의 경험과 연구대상을 겹쳐내는 글쓰기를 시도한다. 1장에서는 연구자가 경험한 커피문화와 한반도에서 커피가 수용되는 역사적 과정을 함께 기술 했다. 커피는 ‘근대의 음료, 매혹의 음료’였다. 그리고 세련됨의 표상이기 도 했다. 2장에서는 문헌을 통해 한반도에서 커피가 유입되는 과정을 재구 성했다. 커피가 한반도에 유입된 시기는 대략 1861년 즈음이다. 프랑스 선교사 베르뇌에 의해 조선에 유입된 커피는 조선의 상층계급으로 전파되 었다. 이후 민중계급이 커피를 마심으로써 취향의 평등성을 이뤄냈다. 커피는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기호품이다. 그렇다보니 상층계급 의 특수한 소비형태가 지속되었다. 3장에서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 문 학 텍스트를 통해 그 시기 커피가 일상 소비문화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는 가를 추론해 보았다. 1920대까지만 해도, 커피는 기호품으로서 비교적 비싼 품목에 속했고, 제한적으로만 소비되었다. 4장에서는 1930년대에 이르러서 카페, 다방문화와 연결하여 커피의 일상적 소비가 이뤄졌음을 살폈다. 결론에서는 현대 한국인에게 커피라는 일상문화가 어떤 정치적 성찰을 촉구하는지에 대해 기술했다. 한국인들은 인스턴트 커피에서 자판 기 커피, 믹스커피에 이르는 커피 향유의 변화과정을 겪었다. 커피는 때로 는 세련됨의 상징이었고, 취향의 구별짓기이기도 했다. 커피 소비문화는 제국주의의 효과, 전지구적 자본주의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커피는 취 향의 계급성을 안고 있는 ‘식민지 지배체제’의 부산물이다. 세련됨에는 계급성이 있듯이, 취향의 정치성도 존재한다. 커피 문화의 확산 과정을 통해 근대적 취향에 대한 성찰이 이뤄질 수 있다. Coffee is called ‘the drink of the bourgeoisie.’ This paper reconstructs the process of coffee establishing a culture of taste after it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Coffee was first introduced by the French missionary Berneux around 1961 and was spread to the upper classes from the foreigners. Later, as the general public started to consume it, it presented the experience of the equality of taste. Coffee was a luxury product that was entirely dependent on imports. Therefore, there was a phase in which the special consumption patterns of the upper classes continued. Until the 1920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ffee was mostly a culture enjoyed by the privileged class and in the 1930s, coffee became a common practice in connection with the cafe and dabang culture. Coffee was a by-product of the ‘colonial rule system’ that entailed the hierarchical nature of taste. Just as sophistication has a hierarchical nature, taste also has a political nature.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the spread of coffee culture, we can make a reflection on modern tastes.

      • 『화산도』에 나타난 제주 지역의 장소성과 문화관광콘텐츠 제작 방안 연구

        김민수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3 문학이후 Vol.3 No.-

        『화산도』는 해방공간으로서의 제주와 4・3사건을 정면으로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이 글은 김석범의 대하소설 『화산도』가 지닌 제주도 지역의 장소성을 살펴보고, 이를 문화관광콘텐츠의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을지 를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화산도』는 2015년 완역 출간됨에 따라 한국어 독자들에게 보다 가깝게 다가올 수 있었다. 『화산도』 속의 공간들은 소설 가 김석범의 관점에서 새롭게 창조된 서사공간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제 주도민이 지닌 경계인으로서의 당대적 인식과도 무관하지 않으며, 김석 범이 지닌 정체성 탐구 작업과도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결국 역사로 미처 기록되지 못한 부분들이 서사적으로 재현된다는 점에서 『화산도』 가 지니는 위상은 매우 특이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최근 4・3사건의 유적지들을 조사, 정리하고 이를 문화관광프로그램의 차원에 서 활용하려는 시도와 함께 『화산도』 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문화답사 프로그램의 경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문학작품을 대중에게 알리는 노력과 함께 문학자료의 데이터 베이스화, 기념물 조성, 스마트폰의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등으로 응용된 답사 프로그램 개발이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 Hwasan-do is a novel that tackles Jeju as a liberated space and the 4・3 Incident head-on.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laceness of Jeju Island in Kim Seok-beom's epic novel, Hwasan-do, and explore whether it can be utilized as cultural tourism contents. The full translation of Hwasan-do was published in 2015, bringing it closer to Korean readers. The spaces in Hwasan-do can be said to be newly created narrative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novelist Kim Seok-beom. These are not irrelevant to the contemporary perception of Jeju residents as marginalized men, and are also closely connected to Kim's work on identity exploration. In the end, the status of Hwasan-do is very unique in that it is an epic recreation of a part of history that has been failed to be recorded. In this article, we attempt to investigate and organize the sites of the recent 4・3 Incident and discuss how they can be utilized as part of a cultural tourism program. In the case of cultural exploration programs, efforts to inform the public about literary works deemed to be closely related should be mad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pplied exploration programs, such as the database of literary materials, the creation of monuments, and the development of contents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of smartphones.

      •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나는 다방공간의 재현 양상 : 소설장르를 중심으로

        임영봉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1 문학이후 Vol.1 No.-

        일제강점기 다방 혹은 카페 공간의 문학적 재현 양상은 서구의 차(茶) 와 커피문화가 유입되고 발전해나가는 문화사적 배경 속에서 이해될 필 요가 있다. 191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유입되는 홍차와 커피 중심의 ‘다 방문화’는, 술과 여급이 중심이 되는 일본식 ‘카페문화’의 대두 현상에 의해 서서히 퇴조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방공간의 재현 양상도 초기의 근대적인 감수성과 이국적 정취 중심의 상상적 내면적 의미를 띠는 이미지에서, 술과 여급이 등장하는 유흥 중심의 일상적이고 퇴행적인 의식을 담고 있는 이미지로 변화해 나갔다. 이광수의 신문연재소설 「개척자」(1917)는 커피라는 서구적 기호품이 수용되는 과정의 풍속과 현실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1920년대에 발표된 박영희의 「백수의 탄식」과 정지용의 「카페・프란스」는 서구적 감 수성과 이국 취향의 정서에 지배되는 다방문화 수용 초기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두 편의 시 작품은 근대적 문화공간에 대한 수용이 이념에 따라 굴절되는 이후의 양상을 예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구한다. 일제강점기 소설의 다방공간에 대한 재현은 이광수와 염상섭, 채만식같은 작가를 비롯하여 ‘카프계열’의 박영희와 김남천, ‘동반자 작 가’였던 유진오와 이효석, ‘구인회’의 박태원과 이태준, 이상 등의 작품에 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 근대소설에 그려진 다방공간은 인간 존재가 뿌리를 내리고 안주할 수 있는 원초적 장소의 상실 국면, 즉 ‘집’이면서 ‘고향’이 거나 ‘조국’으로도 상징될 수 있는 삶의 장소 상실에 대응하는 정신적 표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제강점하의 상황에서 다방이라는 공간은 뿌 리를 상실하고 떠도는 존재의 피난처인 동시에 자신의 내밀한 꿈을 보호 하고 실현해나가는 내면적 상상적 장소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박태원 의 <방란장 주인>에 나타나는 헤테로토피아적인 이상향의 이미지는 이 러한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경우이다.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ea rooms or café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needs to be understood from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nd growth of Western tea culture in Korea. The “tea room culture” (based on black tea and coffee), which was introduced in earnest starting in the 1910s, slowly disappeared with the emergence of the Japanese “café culture,” featuring mostly alcohol and barmaids. Accordingly, the representation of the tea room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its early image with an imaginative, inner meaning centered on the modern sensibility and an exotic atmosphere to a quotidian and decadent image centered on entertainment, permeated by the odor of alcohol served by barmaids. The first work identified thus far featuring the tea room is Lee Kwang-soo’s Pioneer(1917), a serial novel published in a newspaper. This work illustrates the customs and reality of a time when the Western culture of coffee was introduced. Park Young-hee’s Sigh of the Jobless and Jung Ji-yong’s Café France, published in the 1920s, show images of the early years of the tea room culture when it was dominated by Western sensibility and exotic tastes. These two poems call for attention because they foretell how the introduction of modern cultural spaces is affected by ideology. Representations of the tea room during the colonial era are found in different forms in works such as those of Lee Kwang-soo, Yeom Sang-seop, and Chae Man-sik; Park Young-hee and Kim Nam-cheon of the Korean Federation of Proletarian Art (KAPF); Yoo Jin-oh and Lee Hyo-seok, who were sympathizer writers; and Park Tae-won, Lee Tae-joon, and Lee Sang of the Guinhoe (Nine Person Association). The tea room depicted in novels during the colonial era corresponds to a mental representation expressing the loss of the primal place where people can take root and settle down, i.e., the loss of a living space symbolized as a “house,” “home,” or “fatherland.” Under colonial rule, the tea room signified a temporary shelter for wandering people without roots and an inner, imaginary place that protects and realizes one’s intimate dreams. The heterotopian image in Park Tae-won’s The Owner of Bangranjang is a case in point.

      • 제주도 기행의 한 차원 : 시바 료타로의 『탐라기행』 읽기

        손종업 선문대학교 문학이후연구소 2023 문학이후 Vol.3 No.-

        이 글은 일본 작가 시바 료타로의 제주 기행문 탐라 기행 을 비판적으 로 독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시바 료타로는 제주기행은 단순한 기행이 아니라 고대이후의 한일관계를 역사적인 측면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의 도적인 답사여행이었고 작품 속에 등장하는 재일한국인 학자들과의 교 류, 해박한 한국 및 제주관련 지식, 폭넓은 역사지식 등을 바탕으로 한 철저히 준비된 기행이었다. 여러 정황에 비추어 보면 시바 료타로의 탐 라기행 은 시대적 요청에 의거한 것이었다. 개인적인 여정의 기록보다는 공식적인 탐색의 성격이 짙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출생지인 오사카의 자 이니치 한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제3항으로서 제주가 채택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탐라기행』에는 사적인 여정이나 감흥의 기록들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소위 ‘혐한’의 본거지인 오사카의 현실들도 거 론되지 않는다. 제주에서 일어난 비극의 현재성은 그의 관심사가 아니다. 자이니치 한인들과 ‘탐라’를 찾아서 그가 보는 것은 두 가지인데, 그 하나 가 주로 유학사상의 모순으로부터 기인한 근대의 폭력이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아픔을 극복하고 제주가 맞이하는 근대화다. 이것은 일종의 우월 감에서 촉발된다. 유교, 주자학, 송학에 대한 반감은 역사가 결핍된 일본 의 자기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의지이며, 메이지유신 이후에 추진된 제국 주의 근대를 합리화하려는 태도의 일환이다. 그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 제주도도 아닌 탐라를 배치하고, 자이니치 한인들을 끌어들이고, 제주도 를 방문했다. 모든 여정은 이러한 목적 속에서 선택되고 당연히 필요한 만큼만 논평된다. 시바 료타로의 『탐라기행』은 개인의 기록이지만 한・ 일 현대사의 풀리지 않는 매듭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것이 바로 탐라 기행 이 문제적인 이유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critical reading of Japanese writer Shiba Ryotaro's travelogue of Jeju Island, The journey of TAMRA. Shiba Ryotaro's travel in Jeju was not just a trip, but an intentional exploration trip to check the historical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ancient times, and it was a thoroughly prepared trip based on his interactions with Korean scholars who appear in the work, his in-depth knowledge of Korea and Jeju, and his extensive historical knowledge. In light of the circumstances, Shiba Ryotaro's The journey of TAMRA was a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It was more of a formal exploration than a record of a personal journey. Among others, Jeju was chosen as the third harbor because of his relationship with the Zainichi (Koreans in Japan) in Osaka, his birthplace. In that sense, there are little private journeys or inspirational accounts in The journey of TAMRA. Similarly, the realities of Osaka, the home of the so-called “anti-Korea,” are not mentioned either. The immediacy of the tragedy in Jeju is not his concern. What he sees in Zainichi and “Tamra” is twofold: the violence of modernity, which stems largely from the contradictions of the Confucius thought, and the modernization of Jeju, which has overcome such pain. This is triggered by a sense of superiority. The antipathy toward Confucianism, Doctrines of Chuzahak and Song Neo-Confucianism is part of Japan's intention to secure its self-legitimacy in the face of its lack of history, and part of the rationalization of imperialist modernity that followed the Meiji Restoration. He placed Tamra, not Jeju Island,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engaged Zainichi, and visited Jeju Island. Every journey was chosen with this objective in mind, and naturally only as much as was necessary was commented on. Shiba Ryotaro's The journey of TAMRA is a personal account, but it also symbolizes an unresolved knot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Japan. This is why The journey of TAMRA is problema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