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명문화지수, 누구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가?

        이승원(Lee, Seoung-wo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8 No.-

        반(反)생명'으로 정의될 수 있는 이 죽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은 공동체 내에 속한 개개인 의 고통이 구성원들 상호 간에 서로 소통될 수 있는 나름의 지표(indicator)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 글은 '생명문화지수' 라는 지적 작업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히 이 글은 '생명문화지수'가 공동체 유지의 기본적 원칙이 되는 다양한 가치, 그리고 그 가치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다양한 제도와 의식들을 반성하고, 그것들이 가지는 '반생명'적 경향성을 극복함과 동시에 '친생명'적 공동체의 생활양식을 새롭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한다. 생명문화지수는 첫째, 공동체의 합의틀과 질서가 언제나 구성원들의 생명보호라는 기본적인 목적에 부합하도록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생명문화지수는 공동체가 형성될 당시 사용되었던 지적 능력이 생명에 대해 상대적으로 협소하 거나 차별적인 인식을 만들었을 경우, 그것을 재검토하고 보다 친생명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글은 '고통관리(반생명성/친생명성)'와 '생명보호(자원접근성/연대성)'이라는 생명문화의 두 원칙을 제시하면서 사회 및 제도 차원에서의 생명문화의 수준을 파악할 것을 제시한다. To overcome the crisis of life defined as 'anti-life', the basic start point can be to set up an indicator helping understand other members' pain and make a better communication among all members in certain community.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n intellectual work on 'the life culture index'. In particular,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life culture index' can guide us 1) to reflect key values of maintenance of a community and various institutions and ideologies based on those key values, 2) to overcome a tendency of 'anti-life' remained in those values, institutions and ideologies, 3) to reconstruct a new mode of a 'pro-life community'. In this sense, the life culture index has two crucial aims. The one is to check how agreement systems and orders of a certain community are well-balanced and satisfying the basic purpose of the protection of life for all members. The other is to re-examine the intellectual level and tendency of human consciousness toward life.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principle of management of pain(anti-life/pro-life) and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life(capability of recourse approach/solidarity) as two principles of the life culture.

      • KCI등재후보

        자아실현의 관점에서 본 친생명교육

        박종대(Pak, Chong-tai)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19 No.-

        이 논문은 대학생의 생명을 위한 교육을 자아실현의 관점과 연결하여 이론적으로 논구하고 그 실천적인 방법을 제안하 려는 데에 목적을 둔다. 나는 우선 삶의 목적, 자아실현, 행복개념 등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다음으로 전통적 및 현대적 덕목들이 자아실현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긍정 심리학’과 ‘행복 심리학’의 응용가능성을 제시한다. ‘생명개념‘에 관한 정의나 이해방식은 참으로 다양하다. 그러므로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통합적인 이해를 제공해야한다. ’생명현상‘은 생물학을 비롯한 자연과학과 의학 등의 탐구대상이고 ’생명의 본질‘은 철학적 이론과 기타 인문과학의 연구대상이다. 물론 여러 고등 종교에서도 각기 경전과 교리에 토대를 두고 생명의 본질에 대한 질문에 해답을 제공한다. 오늘날 생명의 의의와 존엄성을 드높이려는 교육과 운동에서 내걸고 있는 ’생명의 문화’는 ‘죽음의 문화’의 반대개념이다. 죽음의 문화는 모든 생명을 경시하는 의식과 풍조에서 싹트고 이기주의, 쾌락주의, 물질주의가 그 온상이다. 현대사회에서 만연된 죽음의 문화는 생명의 문화로 바뀌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자의 도덕적 자각과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생명문화의 건설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의 삶의 방식은 에리히 프롬이 말한 대로 ‘소유의 삶’이 아니라 ‘존재의 삶’이어야 할 것이다. 생명을 위한 교육은 교양교육의 범위에서 모든 대학생들에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theoretically discuss pro‐life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alization and to propose practical measures. First examined will be the relationship among objectives of life, self‐realization and the concept of happiness. Based on the examination, possibilities of applying “positive psychology” and “psychology of happiness” will be demonstrated as concrete measures to utilize conventional and modern virtues in achieving self‐realization. Considering that different studies have reached different definitions of the “concept of lif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through consilient research. The “phenomenon of life” is the subject on which natural science, including biology, and medicine fields have studied, and the “nature of life” has been that of philosophy and other humanities. Most advanced religions have also provided solutions to the question of the nature of life, based on their own scripture and theories. The “culture of life” that today's education and movements proclaim to promote the importance and dignity of life stands at the opposite side of the spectrum from the “culture of death,” which is born by the attitude of devaluing life, and raised by egoism, hedonism and materialism. It is time that the “life culture” should replace the “death culture” that is prevalent in the modern society.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spur to nourish the culture of life by morally enlightening ourselves and improving social institutions. As Erich Fromm said, the way of our life shall be a “life to be”, not a “life to possess.” It is desirable to provide pro‐life education to all college students as a gene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꽃동네 생명문화담론분석

        강성례(Kang, Sung-ye)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2 생명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국내 최대의 복지시설인 꽃동네를 중심으로 형성된 생명문화의 담론분석을 시도한 연구로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꽃동네를 통해 형성되는 생명문화에 관련된 담론의 의미, 사회적 상호작용의 패턴, 사회적 파급효과 등을 분석함으로써 생명의료윤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들은 꽃동네 생명문화 및 생명의료윤리와 관련된 문헌들로서 주로 꽃동네 연보, 꽃동네 회보, 꽃동네 활동기록 및 신문기사, 영성 자료, 꽃동네에 소속된 이들의 체험을 기술한 자료 등이다. 자료분석을 통해 꽃동네 생명문화담론의 형성 및 확산과정, 그리고 꽃동네 생명문화담론의 주요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꽃동네 생명문화담론은 ‘인간존중운동’, ‘호스피스운동’, ‘죽음문화근절운동’, ‘생명문화확산운동’, ‘영성운동’ 등의 5가지 주요활동을 통해 형성되고 확산되었으며, 그 주요 주제는 ‘생명공동체’, ‘영성공동체’, ‘사랑공동체’ 등 3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기관 및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봉사자, 관련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지식, 이론 및 정신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하는 교육 콘텐츠 및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iffusion of bio-culture discourse in Kkottongnae. And also to identify the main themes of bio-culture discourse in Kkottongnae. Methods: This study took discourse analysis as a design of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s and documents on bio-culture and bio-ethics in Kkottongna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tent analysis. As results bio-culture discourse of Kkottongnae was formated and diffused by 5 movements as ‘human respect movement', ‘hospice movement', ‘wipe- outing dead-culture movement', ‘diffusing bio-culture movement', and ‘spiritual movement'. The main themes of bio-culture discourse in Kkottongnae were ‘life community', ‘spiritual community', and ‘love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me up with very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knowledges, theories, and attitudes on biomedical ethics for students who will be engaged in nursing and social welfare.

      • KCI등재후보

        How to Define the Concept of Life as a Universal Value

        로빈 코닝(Robin Koni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2 생명연구 Vol.26 No.-

        버나드 로너간은 완전한 위계를 이루는 가치척도를 제안하는데, 그것은 생명유지에 필수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 인격적 가치, 그리고 종교적 가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버트 도란은 로너간이 이 영역에서 이룬 이론을 발전시키면서 그 척도의 문화적 레벨이 수행하는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그 역할이란 한편으로는 인격적 레벨과 종교적 레벨을 잇는 것이고, 또 한편으로는 생명유지의 레벨과 사회적 레벨을 잇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가치척도와 그 척도 안에서 문화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로너간과 도란 이론의 개요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고 나면 어떻게 생명의 가치가 가치척도의 각 레벨에서 이해되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그들의 이론을 적용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이 논문은 생명과 관련한 문화적 문제들에 초점을 맞출 것을 이론적으로 지지할 것이며, 또한 그 문제들에 대해 직접적으로 기여하고자 한다. Bernard Lonergan proposes an integral hierarchical scale of values - vital, social, cultural, personal and religious values. Robert Doran, in developing Lonergan’s work in this area, has highlighted the pivotal role of the cultural level of the scale, mediating as it does between the personal and religious levels, on the one hand, and the vital and social levels on the other. This paper will outline Lonergan and Doran’s work on the scale of values and the role of culture within it. It will then apply this work by examining how the value of life may be understood at each level of the scale of values. In this way it will seek both to offer theoretical support for the conference’s focus on cultural issues in relation to life, and to make a direct contribution to the discussion of those issues.

      • KCI등재후보

        유가의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

        전병술(田炳述)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22 No.-

        동양철학의 특질을 ‘생명의 학문’이라 규정하는 견해가 있다. ‘생명의 학문’이란 각 개인의 삶의 역정에서 절실한 체험을 바탕으로 특정한 원칙을 세우고 삶의 지표로 삼은 다음 그에 의거하여 평생 실천한다는 의미라고 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주체성’과 ‘내재적 도덕성’으로 규정한다. 유가에서는 삶의 지표를 초월적인 신의 영역에 의탁하지 않고 인간 내면에서 주체적으로 우러나오는 힘에 의지하는데, 이는 ‘인의’(仁義)로 대표되는 주체적 덕성이 보증한다. 인간은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며 살아가는 존재이다. 따라서 유교에서는 먹고 마시고 입는 자연적인 생명보다는 사회적 가치를 더욱 근본적으로 여긴다. 그러나 ‘죽음학’의 관점에서 볼 때 생명에 대한 유가적 태도는 삶에의 집착과 죽음의 회피라는 부정적 태도를 띠기도 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생사학’ 개념 하에 ‘생명의 학문’을 ‘우리 실존 주체성의 생명에 대한 체험과 탐구 및 이론적 심화’라는 의미로 확대하여 해석하기도 하는데, 이를 통해 삶과 죽음을 아우르는 학문을 건립할 수 있다. 包括儒ㆍ彿ㆍ道, 東方哲學的特質可以稱爲‘生命的學問’. 做爲儒ㆍ彿ㆍ道三敎, 其所以爲‘敎’, 也正在其以提供生命的根本方向, 以安頓吾人生命而爲‘敎’. 此中, 無論是儒家以聖人爲人類生命的最高價値典範, 抑或是道家的眞人ㆍ至人ㆍ神人, 佛敎的佛, 都是以生命最圓滿的完成爲其標的. 這世界對東方哲學而言, 首先乃是一生命活動與自我實現時所經歷的場所. 當代新儒學者牟宗三對中國哲學的特質, 用一句最具槪括性的話來說, 特重‘主體性’(Subjectivity)與‘內在道德性’(Inner-morality). 儒ㆍ彿ㆍ道三大主流學問當中, 儒家把主體性復可以特殊的規定, 而成爲內在道德性, 卽成爲道德的主體性. 儒家把生命的指標不依歸超越這世界而主宰人的神, 依據以‘仁義’代表的內在的道德主體性. 以‘禮樂’爲象徵的人文制度, 也依據道德主體的實踐才會妥當的作動. 不然整個文化墮落於疲弊, 奪取個人安身立命的場所. 人是活着共同體裏, 實現價値的存在. 所以儒家比其自然生命, 把實現社會的價値視爲更根源的生命. 在這視野, 一生最恐懼的不是個體的死亡, 而是實現不了眞正的價値. 所以自然生命與價値觀相衝時, 毫不遲疑不舍一條命的. 子路問事鬼與死的問題時, 孔子回答說“未能事人, 焉能事鬼”, “未知生, 焉知死”, 就是闡明儒家的價値取向何在. 以後整個儒家生死觀, 從‘義命對揚’的格局, ‘捨生取義’與‘招魂再生’兩條路進行的. 儒家的生死觀, 從‘死亡學’(Thanatology)的 觀點看, 可以說帶着執着於生而回避死的負面的方向進行的. 爲了克復這點, 傅偉勳在‘生死學’的理念之下, 對‘生命的學問’這個詞彙重新解釋, 把生命的學問解釋爲我們實存主體性對生命的體認與探究, 來提唱了脫生死的智慧, 並以此來探討現代人的死亡問題及其精神超克, 以及生死的終極意義.

      • KCI등재

        중독사회 극복을 위한 생명 감수성 향상 필요성과 방안 연구

        조준호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2 생명연구 Vol.64 No.-

        Addiction society is an expression of the view of our society as an addict. The life of a civilization captured by tools, technology, money, organization (system), and writing causes the person to lose self as life. Instead, it leads to a mechanical life, leading to a lack of life sensibility such as various deficiencies, anxiety, obsession, and indulgence. Such vital susceptibility deficiency symptoms are also pointed out as the cause of addict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addiction, civilization and society, addiction society, and life susceptibility as a response to the addiction society, and suggested the necessity and method of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life.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opose an understanding of addi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in our society where studies and policies to manage addiction as a disease are dominant. ‘중독사회’는 우리 사회를 하나의 중독자로 보는 견해의 표현이다. 도구, 기술, 돈, 조직(시스템), 문자에 포획된 문명의 삶은 생명으로서 자아를 잃게 한다. 대신에 기계적 삶으로 이끌어 각종 결핍, 불안, 집착, 탐닉 등 생명 감수성의 결핍에 처하게 한다. 이와 같은 생명 감수성 결핍 증상들이 개인적 중독의 원인이자 중독사회의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독사회의 대응으로서 생명과 중독, 문명과 사회, 중독사회, 생명 감수성 등의 관계를 규명하고 생명 감수성의 향상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질병으로서 중독을 관리하는 관점의 연구와 정책이 지배적인 우리사회에 생명 관점의 중독 이해라는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의 관점에서 본 인류의 진화

        조현우,양경은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2 생명연구 Vol.64 No.-

        This study provides a rational reconstruction of Boyd and Richardson’s gene-culture co-evolutionary theory based on the methodology of Lakatos’ Research Program. In providing a more pluralistic and integrated theory of human evolution, Gene-culture co-evolutionary Theory adopts the “dual inheritance hypothesis”, which encompasses both biological and cultural evolution as a hardcore. Boyd and Richardson’s research program adheres to the negative heuristics that maintain hard cores and the positive heuristics that reinforce the theory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s protective belt.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the theories’ explanations for human uniqu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novel predictions of Lakatos’ research program. To this end, the novel predictions of the research program are structured into the human cognitive structure, communication,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moral norms. The combination of these elements, which constitute human nature, presents a concrete scenario of the evolution of human beings.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은 생물학적 진화와 문화적 진화를 포괄하는 ‘이중 유전 가설’을 채택하여, 인류의 진화과정을 설명한다. 본 연구프로그램은 특히 행동, 인지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이 빠르게 진화하는 인간의 독특성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세대에 거쳐 일어나는 생물학적 변이만으로 인류의 빠른 진화 속도를 설명하기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은 생물학적 진화 뿐 아니라, 모방과 사회적 학습을 포괄하는 문화적 진화까지 핵심 가설로 포함시킨다. 인류 진화에 대한 연구프로그램의 핵심 가설은 유전자에서 문화로, 다시 문화에서 유전자–문화 공진화로 확장된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보이드와 리처슨의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의 구조를 라카토슈 연구프로그램의 방법론에 기반하여 합리적으로 재구성한다. 이론의 구조는 핵심 원리로 구성된 견고한 핵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호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부정적, 긍정적 발견법은 이론이 반증에 직면했을 때의 연구지침을 제시한다. 둘째, 이들 이론적 구성요소를 통해 인간의 특성과 인류의 진화에 대한 신선한 예측을 제공한다. 즉 견고한 핵, 보호대, 긍정적, 부정적 발견법을 통해 인간의 행동, 인지 능력,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진화적 설명을 제공한다. 인간의 독특성을 구성하는 이들에 대한 설명은 각각 그리고 이들을 합쳐서, 인류가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 KCI등재

        베르그손의 생명론과 환경문제

        양선진(YANG SUN JI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6 생명연구 Vol.40 No.-

        근대 과학이 이룩한 성과는 인간이 자연을 객관적인 대상으로 설정하면서부터 가능해졌다. 이러한 결과 인간은 자연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결국 자연을 인간의 틀로 인식하면서 자연을 왜곡하고 말았다. 인간이 인간을 연구 주제로 생각하는 생명공학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간은 자연처럼 인간을 실험실의 대상처럼 만들면서 인간의 정신적 속성을 간과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생명공학기술은 인간의 정신성을 부정하고 물질로 이해하는 유물론적 시각이 지배적인 흐름이 되었다. 하지만 베르그손에 의하면, 이런 모든 결과는 바로 인간의 지성이 저지른 잘못이라는 것이다. 인간 밖의 대상을 인간의 앞의 대상으로 만드는 지성적 사고를 버리고 대상의 고유한 변화를 있는 그대로 인정할 수 있는 새로운 철학적 시각, 즉 시간성의 철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베르그손의 표현에 따르면 직관적 방식을 의미한다. 직관을 통한 인식은 대상을 대상 그 자체로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베르그손의 심신론은 생명공학시대의 인식틀인 인간의 정신성을 부정하는 DNA중심의 유물론적 시각을 비판한다. 인간의 생명은 육체라는 물질성 이외에도 내재된 생명의 힘인 생의 약동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런 시각에서 볼 때, 인간을 절대로 유물론적 시각에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가 올바르게 인간 생명을 이해할 때야 비로소 자연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며 자연물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명성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작업부터 시작될 때 참다운 환경문제를 논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consequence that the modern science has achieved is that the human has regarded the nature as the objective and good understanding. But this point of view results in the nature of the representation. Because of this philosophical thinking, the human has misunderstood and destroyed the nature. The biotechnology era is coming, it is the study of human beings. The biotechnology denies the human spirit, because it depends on the materialism. But according to Bergson, Every mistake that is made results from the conceptual intelligence of modern philosopher. But not from the thinking, the intelligence doesn't regard the nature as the representation in front of the human but exterior to the human. The intelligence ignores the time of the external object, on the other hand, Bergson considers the time of the object and calls it intuition. According to him, the intuition makes the coincidence of the epistemological subject with the external object. He criticizes the genetical materialism of biotechnology. There is the vital elan(élan. vital)inside of the human life. When we correctly understand the human life, we can properly recognize the nature. The right understanding about the life leads to the exact comprehension for the natural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장자(莊子)의 생명사상

        김경수(Kim, Kyoung-Su)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5 생명연구 Vol.38 No.-

        베르그송을 제외한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인식의 문제에 대해서만 논의하였을 뿐, 생명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았다. 철학에서는 생명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을 철학자의 소임이 아니라 생물학자의 소임이라고 여겼다. 그런데 생물학자들 역시 생명 현상만을 논의하였을 뿐, 정작 생명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침묵하였다. 설령 생명을 논의하더라도 그 생명체란 것은 단지 물리・화학적으로 지배받는 일종의 기계에 지나지 않았다. 그런데 동양에서는 생명을 중요시하였다. 무엇보다 서양의 전통적 생명관과 동양의 생명관은 현저히 다른데, 특히 장자(莊子)의 생명관은 서양에서의 전통적 생명관과 많은 차이점이 있다. 가령 서양철학은 인간중심 주의적 사유에 기반을 둔 반면에 장자는 사람과 동물의 경계조차 없애고자 하였으며, 서양에서는 보편생명을 중요시한 반면에 장자는 개별생명을 중요시하였으며, 서양에서는 생명체가 어떠한 원리에 의해 지배를 받는 수동적 존재라고 보았던 반면에 장자는 개체들이 자발적으로 전체의 질서를 이루는 능동적 존재라고 보았다. 서양의 기계론적 생명관은 궁극적으로 물체를 모델로 한 것이며, 생물학자들이 바라본 생명체 역시 물체로서의 생명체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생명체는 물체가 아님은 너무도 명백하다. 생명체는 수 십 억 년의 경험 을 통해 축적된 것이라는 점에서 무한한 삶의 지혜를 가지고 있으며, 생명체의 본질은 보편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별성에 있으며, 생명체는 어떠한 외부의 원리에의해 전체의 질서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전체의 질서를 이룬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장자의 생명사상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Most of the philosophers except Bergson only discussed the epistemology and did not debated over life thoughts itself.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the identification of life thought is not the role of philosophers, but biologists’. However, biologists also deliberated over only the phenomenon of life and did not show interest in what life itself is. Even when they discussed life, they regarded it as a kind of device governed by the world of physical chemistry. Eastern Asians placed importance on life. However, the traditional Western concept of life was significantly distinct from the Eastern Asian’s. For instance, Western philosophies were based on human-centred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Chuang-tzu attempted to eliminate even the boundary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While Western philosophies emphasised on a universal life thought, Chuang-tzu accentuate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life thought. Chuang-tzu saw individuals were regarded as active beings to build order, whereas Western philosophers believed that life is a passive being governed by some principles. Mechanical perspective of life of Western philosophy was ultimately modelled by material and biologist also viewed life was originated from material. However, it is obvious that life is not a material. Life is formed from accumulated experiences over several hundred million years, which implies life hold indefinite wisdom of life itself. The essence of life is not in universality, but in individuality and life does not form entire order according to external forces, but form universal order voluntarily. Considering this aspect, we should attentively explore Chuang-tzu’s Life Thoughts.

      • KCI등재

        생명윤리의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승주(Kim, Seungju)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1 생명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생명윤리의식을 구성하는 하위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생명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을 도출하고 2차에 걸친 전문가델파이로 구성된 김승주(2021)의 예비문항을 바탕으로 요인구조를 밝혀 범주화하고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먼저 예비조사에서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권에 거주하는 대학생과 주로 가톨릭 재단 기관 및 시설에 종사자 513명의 응답을 탐색적 요인분석하여 문항의 요인구조를 밝혔는데 최종적으로 ‘생명의료윤리’ 요인, ‘생명존중윤리’ 요인, ‘생명공학윤리’ 요인, 총 3개의 요인 35개의 문항이 묶였다. 다음 본 연구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2차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는데, 이때 준거타당도 평가를 위해 이영숙(1990)이 개발하고 권선주(2003)가 재구성한 생명윤리의식척도를 추가로 사용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서울, 충청, 경상, 전라권에 거주하는 대학생과 주로 가톨릭 재단 기관 및 시설에 종사자 360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AMOS21.0을 이용하여 최대우도법을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두 문항이 정제되어 최종 33문항이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생명수호의 중요성을 늘 인식하면서도 생명윤리의식을 측정하는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던 상황에서 어떤 변인들이 생명윤리의식을 높이는지 등을 고민할 때 객관적인 측정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생명윤리교육의 효과성을 하위요소별로 입증하여 교육의 방향성을 재정립하고 질을 제고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Bioethics Awareness. After that,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and mainly the workers in Catholic Foundatio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and 52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distributing 550 cop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tems was foun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finally, 35 items were tied to three factors: biomedical ethics , life respect ethics , and biotechnology ethics factor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extracted items and then the secon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In this case, we used additional Bioethics Awareness Scale developed by Lee(1990) and reconstructed by Kwon(2003) to carry out a concurrent validity assessment. The secon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Chungcheong, Gyungsang, Jeonra areas and mainly the workers in Catholic Foundatio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facilities, and 37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distributing 400 copies. Based on the resul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performed with AMOS21.0. As a result, the two items were refined and the final 33 items were composed. Almost all people are always aware of the sanctity of life, but there are few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ies to measure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was able to provide an objective measure of what variables would increase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and will help to reestablish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bioethics education by sub - factors through pre and post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