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권(군주)제 사회질서와 정파언론-그 현실과 기원

        박승관(Sung Gwan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4

        현대 한국의 정치와 언론이 그 외양적 성과와는 달리, 심층적 측면에서 노정하고 있는 부실과 실패의 현실을 최근의 대통령 선거 국면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한국 정치와 언론의 실패는 조선조 이래 한국 사회에 뿌리내려 온, “패권(군주)제적 사회질서”를 중핵으로 하는 “(신)유학적 관습질서”에서 유래된 폐단과 한국 지성계 전반의 실패의 결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관점에서 현대 한국 정치와 언론의 파행성은 조선조 언론·공론정치·당쟁정치의 연장·복제·재현이며, 이들 양자는 질적으로 동일한 패턴을 공유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결국, 한국에서 조선 정치와 언론은 현대 정치와 언론의 “본적지”이며, 역으로 현대 정치와 언론은 과거 조선 정치의 “현주소”로서 이들 양자는 하나의 “동일 호적부”, 즉 “신유학적 관습질서”라는 거시적 문명체제에 통합·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론화하였다. 이러한 문명적 쇠철창을 극복·혁파해 나갈 수 있는 대안적 신문명의 길로서 정치계, 언론계, 학계, 법조계 등 지성계 전반의 “신념윤리”의 극복과 “책임윤리”의 구현, 전문직업주의 언론과 가치자유 언론의 실현을 주창하였다. South Korea recently has witnessed a major political transition after the impeachment and imprisonment of the former President Geun-Hye Park and the election of Mr. Jae-In Moon as the 19th President. This shift of power, which was propelled by a series of candlelight rallies attended by millions of South Korean citizens, is being acknowledged as the opening of a new chapter i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of the nation. Despite the seeming progress, the nature of the political, social, and intellectual conditions have not changed much to a satisfactory degree. The present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Korean politics and media, tracing “the origin of the failure” to the imperialistic social order rooted in the Neo-Confucian customs. Specifically,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contemporary Korean politics and media “inherit” the problems of the political factionalism (Bungdang) of the middle and late Chosun Dynasty. Guided by Max Weber"s distinction between the ethic of conviction and the ethic of responsibility, this paper posits that the “iron cage” of the imperial social order that dominates Korean society could be overcome when the political, social, and intellectual agents of the society prioritize the ethic of responsibility over the ethic of conviction. This paper also calls for media practitioners" efforts in committing themselves to pursuing professionalism and value-free journalism.

      • KCI등재

        해직 그리고 그 이후 …

        김세은(Sae-eu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0 언론과 사회 Vol.18 No.4

        이 연구는 1975년 동아투위ㆍ조선투위로 일컬어지는 일련의 사태로 말미암아 해고된 기자들과 1980년 해고된 언론인들, 이른바 ‘해직 언론인’을 한국의 현대사를 구성하는 핵심집단의 하나로 상정하고, 이들 해직 언론인을 통해 1970년대 이후 우리의 현대사를 면밀히 추적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해직 언론인의 경력을 조사, 수집하고 계량화하여 정권별로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들이 추구했던 반독재 자유언론수호운동은〈한겨레〉의 창간으로 이어져 정치권력과의 긴장 속에서 시민사회를 공고화하는 동시에 민주화를 이끌어내는 원동력이 되었다. 해직 언론인으로 인해 한국사회는 정치적으로 보다 강력한 야당과 재야를 갖게 되었으며, 이들은 시민사회로 영역을 확장, 진화하며 한국사회의 이념적 분화를 이끌었다. 여기에〈한겨레〉의 발간으로 정치, 시민사회, 언론이 구조적인 통합을 이루면서 점차 보수와 대별되는 진보의 축을 형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해직 언론인으로서 지녔던 비판언론으로서의 상징성, 그리고 희생과 비타협의 상징성은 1990년대 후반 정권의 교체와 더불어 흐려지기 시작한다. 김대중정권에서 적지 않은 해직 언론인이 이른바 정부기관에 등장하는 가시적 변화를 겪게 되며, 더욱이 노무현정권에서는 언론관련 요직이 모두 해직 언론인의 차지가 된다. 한국사회의 이념적 분열에 따른 담론투쟁과 언론의 정치적 편향 등과 관련해서도 해직 언론인은 일부 책임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는 비단 언론뿐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문제이며, 한국사회의 언론과 언론인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지점이다. Suggesting dismissed journalists in the 1970s and 1980 as a keyword of Korean journalism history, this study tries to pursue and figure out the traits of their life and career changes after the dismissal. Right after the dismissal due to the resistance against press control of the political power, although highly educated and intellectual, they couldn’t get a job almost anywhere owing to the government’s prohibition. Unemployed for several years, they had no choice but to be suffered from hunger and humiliation. Associations of dismissed journalists for the restoration soon developed to lead democratic movement against authoritarian military governments, which gave birth to and enlarged Korean civil society in liaison with students and labour movement. Their struggles for free press finally incarnated with the launch of the Hankyoreh in 1988 which played a critical role in Korean society’s ideological differentiation and even the change of political regime in the late 1990s. However, it should be asked if their identity of resistant journalist still be retained in this point. The number of whom became working members of the government, governmental committees and public sector increased in Kim Dae Jung’s and Roh Moo Hyun’s government. They also became the head of KBS, MBC and YTN during these regimes.

      • KCI등재

        언론 불신 만들기: 공적 담론의 병리화와 여론조사의 숫자 정치

        성민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2 언론과 사회 Vol.30 No.1

        이 글은 언론 불신을 사회 구성원의 집합적 의지의 표출과 수행이라는 공적 담론으로서 접근한다. 공적 담론은 사회에서 개인과 집단이 언어 사용을 통해 참여하는 객관적 현재이자 그 객관적 현재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회가 수용하는 표상 체계로 구성된 물질적 삶의 표출이다. 이런 관점에서 언론 불신을 공적 담론으로서 이해한다는 것은 언론이 수행하는 언어 사용이 언론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인식하고 정당화하는 표상 체계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그리고 그 표상 체계의 작동은 공론장의 구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의 문제이다. 공론장에서 언론은자신의 신뢰 형성 기제인 뉴스가치, 전문직주의와 같은 표상 체계로써 언론 신뢰의 고유성을 복원하려 한다. 하지만 이는 언론 불신과 언론 신뢰를 단선적인대립 선상에 놓는 언론 신뢰에 대한 본질주의를 야기하며, 공론장 내 여러 갈등과 충돌의 담화를 단순화하고 병리화한다. 게다가 언론 불신의 책임을 수용자의문제로 환원하는 언론 불신의 병리화는 민주주의 상징 질서의 작동방식에 대한이해를 막고 민주주의를 소수 특권자의 정치로 지속해낸다. 확률적 엄밀성을 입증할 수도 없는 여론조사의 언어에 포획된 언론의 정치 분석은 그러한 반민주주의 정치의 반영이자 결과이다. 언론이 언론 신뢰 고유성의 표상 체계를 위한 특정한 언어 사용을 지배적으로 채택하거나 그 언어 사용에 포획되는 것은 독립적인 사회 비평으로서 언론의 지위를 스스로 파행시킨다

      • KCI등재

        언론학자의 비판적 참여 모델의 가능성 : 고 김세은 교수를 기리며

        심석태(Seog-Tae Sh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1 언론과 사회 Vol.29 No.2

        한 언론학자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언론은 ‘기자보다 더 기자 같은 삶을 살았다’는 평가를 내놓았고, 많은 언론인들이 추모의 글을 올렸다. 이런 추모 분위기가 기사로 보도되기에 이르렀다. 언론 현장과 학계의 일반적인 거리감을 생각하면 일반적이지 않은 일이었다. 이런 일이 왜 일어났을까? 고 김세은 교수가 현장의 언론인들로부터 ‘기자보다 더 기자 같은 삶을 살았다’는 평가를 받은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해직 언론인 연구 등 곧은 언론인들의 굴곡진 삶을 들여다본 연구로 언론인들과 일정한 유대가 생겼을 수는 있다. 하지만 정치권을 기웃거리는 폴리널리스트에 대한 끈질긴 연구 등 김 교수의 비판적 연구 태도를 생각해보면 쉽지 않은 일이다. 이 글은 2020년 6월 세상을 떠난 고 김세은 교수가 보여준 언론 현장, 언론인과의 관계 형성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단순히 비판에 그치지 않고 제대로 된 언론을 위해 직접 현장에 나서게 된 과정도 살펴보았다. 특징적인 것은 언론학계와 언론계 사이의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김 교수가 스스로 실천한 활발한 현장과의 소통이었다. 특히 이런 소통 속에서 언론과 언론인의 삶과 원칙을 집요하게 추적했던 김 교수의 사례는 언론학계와 언론계 사이의 건강한 관계 모델의 단초가 될 수도 있다. 아울러 김 교수의 사례를 통해 언론에 대한 건강한 비판과 언론 혐오의 차이를 생각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After a media professor passed away in June 2020, the press described her “to have lived a more journalistic life than the journalists themselves.” Many journalists posted comments honoring her on their SNS accounts. Media covered the memorial atmosphere between journalists as news stories. It was unusual phenomenon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media and the discipline of communication. What made this happen? What made the late professor Sae-Eun Kim to be honored so?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she has built certain ties with many journalists during her time-consuming researches on the tough lives of journalists dismissed under political reasons. However, she also criticized some journalists who sought political opportunities by using their journalistic career, usually called as ‘Polinalists’ in many articles. So it could not be easy for her to acquire such strong ties with journalists.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fellowship between the late professor Kim and journalists. It also looks into the steps she took before engaging into the journalism issues apart from criticizing them as a seasoned media scholar.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research was the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late professor Kim and journalists, which she has emphasized a lot. Such communication along with the critical study into the media and the lives of journalists would be a model of healthy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academia. Such characteristic could be named as critical participation. It would be also very meaningful to cope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ductive criticism toward media and the hate against journalism through the case of the late professor Kim.

      • KCI등재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저널리즘 인공지능: 언론 신뢰와 인공지능 신뢰성 간 통약가능성을 바탕으로

        박대민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3 언론과 사회 Vol.31 No.4

        이 연구에서는 언론 분야의 인공지능 전환(AIX)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 아래, 언론 신뢰 논의와 인공지능 신뢰성 논의 간의 통약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TAI) 기반 저널리즘 인공지능(JAI)’를 이론적으로 모색했다. 언론 신뢰와 인공지능 신뢰성 간의 통약가능성은 JAI에서 TAI 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언론 신뢰를 달성하는 것으로 실현된다. 이에 JAI는 언론 신뢰와 AI 신뢰성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JAI의 신뢰는 인간 신뢰와기술 신뢰를 포괄하며 언론사의 신뢰성과 언론사가 활용하는 AI 시스템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신뢰도 제고를 통해 달성된다. JAI의 신뢰는 JAI가 제공하는 결과물의 사실성과 공정성에 의해 확보된다. TAI로서 JAI의 투명성, 안전성은 사실성 요청에 대한 필요조건, JAI의 다양성, 책임성은 공정성 요청에 대한 필요조건이다. JAI의 신뢰성은 루프 속 인간, 인간 중심 AI 등의 관점에서 언론인이 JAI의 기획, 개발, 운영, 검수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추구될 수 있다. JAI의신뢰성은 사용자의 신뢰도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 TAI 기반 JAI는 다음과 같은 세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첫째, AIX 조건이다. 이는 저널리즘 분야에서 AIX 가 진행된다는 것, 즉 저널리즘과 AI의 실천적 결합이 전면적으로 이뤄진다는것을 의미한다. 둘째, TAI 조건이다. JAI에 TAI를 적용한다는 것, 즉 JAI가 TAI 관점에서 AI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도메인 조건이다. TAI 기반 JAI는 언론 신뢰의 개선, 즉 언론사의 신뢰성과 수용자의 신뢰도 증진에 기여해야 한다. 이러한 TAI 기반 JAI의 세 조건은 다른 사회 도메인에서 TAI 를 적용할 때에도 일반화해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contex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ransformation (AIX) in journalism, this study explores the commensurability between media trust and trustworthy AI and theoretically explores ‘journalism AI (JAI) based on trustworthy AI (TAI)’. The commensurability between media trust and trustworthy AI is achieved by implementing TAI in JAI and building media trust through it. Therefore, JAI must meet the criteria for both media trust and AI trust. JAI’s trust encompasses trust in human and trust in technology, attained by enhancing user credibility based on the trustworthiness of journalists and AI systems used by journalists. The trust in JAI is secured by the factuality and fairness of the outputs it provides. As a TAI, JAI’s transparency and safety are requirements for factuality claims, and JAI’s diversity and accountability are requirements for fairness claims. The credibility of JAI can be pursued by actively engaging journalists in the design, development, operation, and verification of JAI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s in the loop and human-centered AI. The trustworthiness of JAI should lead to improved user credibility. TAI-based JAI must satisfy three primary requirements. First, the AIX requirements imply that AIX is carried out in the field of journalism, ensuring the practical integration of journalism and AI. Second, Second, the TAI requirements involve the application of TAI to JAI, ensuring the trustworthiness of JAI from a TAI perspective. Third, the domain requirements dictate that TAI-based JAI sh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edia trust, encompassing the trustworthiness of the media organization and the credibility of the audience. These three requirements for TAI-based JAI are anticipated to be applicable to the integration of TAI in other social domains as well

      • KCI등재

        언론이 재현하는 ‘정치적 기획’으로서의 ‘포퓰리즘’의 특징과 쟁점: 주요 일간지의 관련 사설에 관한 비판적인 텍스트 분석과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이기형,황경아,김은정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2 언론과 사회 Vol.30 No.3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상당수의 언론이 특정 정책이나 주요 사회경제적 사안을 비판할 때 관행적으로 채용하는 ‘포퓰리즘’의 용례와 ‘정치적 기획’으로서의함의를 밀도 있게 진단하고자 한다. 이 작업은 박근혜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 각각 약 4년, 총 8년간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한겨레》 등 정파성이차별화되는 국내 주요 일간지 4사의 지면에서, 특히 ‘포퓰리즘’을 포함한 사설375건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진은 해당 용어와 관련 쟁점을 복합적으로 탐구하는 방안으로 텍스트 분석과 내용분석을 조합하여 실행하였으며, 특히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 각 시기 보수 성향 언론이 주도해온 포퓰리즘에관한 부정적 인식과 공세적 비판에 기반한 의제화와 담론 기획의 문제점을 상세하게 조명하고자 하였다. 주목할 만한 추세로, 주로 보수 성향 언론사 사설에서포퓰리즘을 진영화된 이해득실 차원이나 대중을 상대로 한 ‘인기 영합’을 반영한정치공학적 기획으로 꾸준히 채용·부각하는 현실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보수언론의 ‘포퓰리즘’ 사용 행태는 절제되지 않는 정파성이나 협소한 정치적 이해관계에 기인하며, 지목된 정책이나 사안에 대한 공론화에 역행하고 있는 사례도상당수 짚어낼 수 있었다. 진보 성향 언론 사설의 경우, 전술한 추세에 비판과 대안적인 의미화를 시도하면서 대응하는 측면을 접할 수 있지만, 보수언론이 주도하는 포퓰리즘 기획에 강한 도전과 조직적 대항은 충분히 개진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서 이러한 상황에서 영향력이 큰 보수언론의 포퓰리즘 기획은 이 용어의 확장된 의미 규정과 공적 활용에 꾸준히 영향력을 발휘한다. 이번기획을 통해, 연구진은 일견 친숙하지만, 관련 연구가 범(汎)커뮤니케이션학 분야에서 상당히 정체된 ‘포퓰리즘’이라는 갈등적인 주제에 대한 다면적 진단과 성찰적 논점을 모색하는 데 일정하게 공헌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의 민주화와 언론 1987∼2017

        조항제(Hang-Je Ch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3

        이 글의 목적은 민주화 이후 지난 30년간 한국의 민주주의와 언론 · 미디어가 어떤 궤적 속에서 어떤 관계를 맺으며 지금에 이르렀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 글의 이론적 자원은 최근 등장해 주목받고 있는 미디어화론이다. 미디어화론을 원용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는 한국의 언론이 가진 권력성을 직접적으로 포착하기 위해서이다. 둘째는 미디어화의 단계론은 미디어와 정치 사이의 역학에 민감하게 대응한다. 셋째는 역사성이다. 한국 민주주의의 지난 30년에는 정치뿐만 아니라 미디어에서도 생태계적 변화가 있었다. 민주화 이후 언론의 자유가 회복되었으나 시장에서 주류신문은 바뀌지 않았고, 노조가 초반에는 활발했으나 경쟁에 밀려 곧 쇠락하였다. 이로써 언론의 민주화는 내외적 측면에서 모두 실패했다. 보수 일색으로 조성된 언론의 장은 IMF 이후 급격하게 바뀐 의견지형을 반영하지 못했다. 특히 진보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는 주류 신문과 보수야당 사이에 권력적 양태의 병행·연합관계가 강화되었으며, 정부에서도 세무조사나 법(신문법) 등으로 대응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시도는 대부분 실패했으며, 보수세력은 결국 재집권하였다. 주류 신문이 방송시장에 진출한 ‘종편’은 이런 승리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권위주의의 반언론적 색채가 강했던 박근혜 정부 말기에 이르러 연합의 내부적 균열은 심해졌으며, 총선에서 패배하고 최순실 게이트가 열리면서 마침내 박대통령은 탄핵되었다. (공영)방송에서는 신문과 달리 노조의 희생어린 투쟁이 계속되었으나 정부의 후견주의는 해결되지 못했다. 방송의 제도화는 차기 정부로 넘겨진 큰 숙제이다. 미래에는 기존의 집중화된 언론을 넘어 더 많은 미디어가 번성할 것으로 보이고 미디어화는 일상의 미시적 영역으로 더 많이 진전될 것이다. 이제 정치와 사회는 언론과 미디어의 민주적 제도화에 대해 더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으면 안 된다. This paper applies to the concept of ‘mediatization’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democratic transition of Korea during about thirty years since 1987. In doing so it addresses the question of how journalism and media has both a conflictual and symbiotic relationship with politics and democracy. The role of mediatization theory is three aspects: power dynamics of journalism and media, reciprocal and (de-facto) institutional relationship between media and politics (government) such as political parallelism and political-media alliances, historic specificity over transformative process in media ecosystem. Whereas the freedom of press was formally protected after democratization in 1987, established dominance of three conservative dailies, ‘Cho-Joong-Dong’ has little been changed since authoritarian age. Cho-Joong-Dong and Hannara Party have evolved into the political-media alliance facing the opposition’s rise to power. Especially during presidency Moo-Hyun Roh (2003∼2008), government clashed fiercely with Cho-Joong-Dong on the issue of democratization of media. However, the failure of Roh government resulted in conservative’s return to power and Cho-Joong-dong’s longing for advancement to television market. President Geun-Hye Park (2012∼2017) have her own way ignoring civil society and even some supporting classes too disappointingly. After the failure of 20<SUP>th</SUP> general election, the alliance has gradually ruptured, eventually bringing about the historic candle protest and the unprecedented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In public service broadcasting, unlike papers, the dedicated struggle for internal freedom of the union has continued, but the age-old issues of political clientelism was not resolved. Arguably, new media ecosystem arising from internet may substitute centralized political-media alliance for decentralized political communication revealing diverse and everyday mediatization.

      • KCI등재

        인간ᐨ미디어 공생체의 사회 : 포스트휴먼의 사회성과 윤리적 실천

        박선희(Sun-Hee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1 언론과 사회 Vol.29 No.4

        코로나19 팬데믹이 인간과 자연의 공존, 타자와의 상호의존성, 사회적 약자와 공동체의 삶에 대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지만 신자유주의 경쟁체제의 배제와 차별, 사회적 불평등이 여전한 현실에서, 이 논문은 사회적 삶이 구성되는 방식을 인간ᐨ기술ᐨ세계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고 공존과 공생의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윤리적 실천들을 탐색한다. 먼저 미디어가 인간과 관계 맺는 방식을 포스트휴먼의 관점에서 논의하고, 우리 자신이 곧 인간ᐨ미디어 공생체로서 포스트휴먼임을 주장한다. 다음으로 인간ᐨ미디어 공생체가 사회적 관계 및 경험을 형성하는 방식인 사회성을 검토하고, 사회성의 두 차원인 연대와 유대의 탈구에 미디어테크놀로지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구명한다. 마지막으로 포스트휴머니즘의 사유를 바탕으로 인간ᐨ미디어 공생체의 윤리적 실천들을 제안한다. 유목적 주체로서 낯선 것들을 가로질러 연결짓기, 공생관계에 있는 복수종들을 친척으로 만들기, 서로의 이야기에 응답하고 책임지기, 자동화된 차별과 불평등에 저항하기는 데이터ᐨ네트워크ᐨ인공지능의 기술생태계를 공ᐨ산의 생태계로 재배치하는 포스트휴먼의 윤리적 실천들이다. The COVID-19 pandemic reminds us of coexistence with nature, interdependency with others, and the lives of the socially weak. However, the exclusion, discrimination, and social inequality of neoliberalism remain in our society. This paper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and argues that we are human-media symbionts as posthumans with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technology. It examines sociality, the way in which human-media symbiont forms social relationships and experiences, and investigates how media technology is related to the disarticulation of solidarity and social ties, two dimensions of sociality. Ethical practices are suggested to strengthen solidarity and social ties and create a society of coexistence and symbiosis. Human-media symbiont as a nomadic subject connects across heterogeneous beings like a rhizome, makes multispecies kin, responds to other"s storytelling with responsibility, and resists automated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These posthuman ethical practices replace the technological ecosystem of data-network-artificial intelligence with a sym-poiesis ecosystem.

      • KCI등재

        민주화 이후 한국 언론의 반공 담론 연대기

        주재원(Jaewon Jo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7 언론과 사회 Vol.25 No.3

        한국의 정치 지형도는 민주화 이후 이념적으로 더욱 양극화되어가는 양상이다. 1987년 6월 항쟁 이전의 군사 독재정권 시대에는 ‘독재와 민주화’, ‘국가권력과 반권력’이라는 명백한 사회적 대립구도가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언론의 이념적 프레임이 오히려 강력한 기제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제도적 민주화를 쟁취한 이후 최초의 문민정부인 김영삼 정권에 이르러 민주화 진영은 이념을 중심으로 분열양상을 보였다. 이것은 제도적 민주화 이후 한국사회에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매카시즘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주목할 만하며, 특히 이후 한국 정치의 전개 과정에서 가장 강력하고도 효과적인 이념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은 6월 항쟁 이후 30여 년간의 한국 언론의 역사를 성찰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주요 언론들의 반공 담론 생산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 6월 항쟁 이후 제도적 민주화가 자리 잡기 시작한 1990년부터 2016년까지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등 주요 4개 언론의 관련 사설과 칼럼들을 분석하여 반공(친북 · 종북) 담론이 생산되는 논리적/구조적 틀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1987년 민주항쟁 이후 언론에서 친북 · 종북 세력으로 지칭하는 대상은 너무나도 다양하며 사회적 이슈에 따라 변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질적이고 개별적인 이슈와 대상에 대해 친북 · 종북이라는 단일한 잣대로 규정하는 폭력적 반공주의는 사상의 자유와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고 갈등 속에서 합의를 도출하는 민주주의 기본 원칙과는 공존할 수 없는 이데올로기라 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부분은 미국의 매카시즘이 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과 같은 사건이었던 반면, 한국은 그 반대로 외부적으로는 냉전의 종언, 내부적으로는 민주화의 시작과 함께 매카시즘이 본격화되었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언론의 반공(친북 · 종북) 담론은 각 언론사의 이념적 가치에 따라 전혀 다르게 재구성되는 담론적 구성체이며, 권력 유지와 재창출 등과 같은 특정한 정치적 목적과 깊은 관련이 있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서 확인한 바대로 민주화 이후 한국사회 역시 정치타블로이드 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이념적 편향성 극대화, 확산되는 이미지 정치의 양극화, 그리고 이로 인한 정책 대결의 실종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민주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당면하고 있는 정치-언론 관계의 가장 큰 난제중 하나라 할 수 있다. The Korean political topography appears to be ideologically polarized more and more. During the era of military dictatorship before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the social confrontation between ‘dictatorship and democratization’ and ‘government power and anti-government power’ was very obvious, and the ideological frame of the press did not function well as a powerful mechanism. However, as the Kim Young Sam regime approached, the first civilian government after achieving the institutional democratization, the democratization camp showed the ideological division. This is very remarkable in the sense that this is the new form of McCarthyism that emerg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society since the institutional democratization. Also, the fact that this has been acting as the most powerful and effective ideology in the process of Korean political development is mightily important when reflecting on the 30-year-long history of Korean press after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In order to analyze the production mechanism of the pro-North Korean related discourses, this research examined the last 30-years worth of editorials and columns related to the four major presses including Chosun, Donga, Hankyoreh and Kyunghyang, and attempted to study the logical, structural frame of production of pro-North Korean related discourse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fter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the objects referred as the ‘pro-North Korean power’ by the press vary and have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issues at the moment. Violent anti-communism that defines the heterogenous and separate issues with a single standard ‘pro-North Korean’ is an ideology that cannot coexist with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democracy in which guarantees the freedom of ideology and individual rights, and draws consensus agreement from conflicts. Another interesting point is that if McCarthyism of the United States was like the signal to the beginning of the Cold War, in Korea, on the contrary, McCarthyism gained momentum with the beginning of the democracy internally, and the end of the Cold War externally. In conclusion, the pro-North Korean discourse of the press is the discursive structure which is reconstructe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each press’s ideological value, and it’s deeply related to a certain political purpose such as maintenance and recreation of power. As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discussion of this research, due to the diffusion of tabloid culture in politics, the Korean society after the democratization has also faced many problems including maximization of ideological bias, polarization of proliferating image politics and disappearance of political rivalry, and this is one of the biggest conundrums the politics-press relationship is facing as it moves towards the democratic society.

      • KCI등재

        보도된 쪽방촌과 보도되지 않는 쪽방촌 : 탈식민주의적으로 빈곤의 공간 읽기

        탁장한(Tak, Jang Han)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0 언론과 사회 Vol.28 No.3

        본고는 빈곤이 밀집된 공간, 그리고 그곳에 거주하는 빈곤한 타인들이 그동안 대중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묘사되어왔는지를 회고적으로 탐구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빈곤의 문제를 포함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인간의 각종 인식 및 실천을 형성하는 중요한 도구인 주요언론의 보도내용에 관심을 두고, 한국사회에 실재하는 주요 빈곤밀집지역인 쪽방촌과 관련해 무엇이 보도되고 무엇이 누락되어 왔는지를 페어클러프(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분석의 도구로서 지난 10년을 되돌아보는 의미로 2010년대에 작성된 쪽방촌 보도들을 전수조사했으며, 대조가 명확한 두 매체인 보수언론 《조선일보》와 진보언론 《한겨레》를 비교의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결과, 두 언론의 보도 모두에서 먼저 쪽방촌은 인간이 거주해서는 아니 되는 온갖 조건들을 갖춘 ‘역(逆)유토피아’로 수렴되었고, 그 내용은 조속히 해결되어야 하는 ‘빈곤포르노’의 형태로서 지극히 자극적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그러나 해당 문제에 대응하는 해결책을 보도함에 있어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각각 ‘사회복지단체’와 ‘시민사회단체’를 내세워 ‘외부의 구원’ 대 ‘내부의 자조’라는 처방의 대립각을 보였고, 그것은 재개발의 명목으로 쪽방의 멸실, 쪽방촌의 철거, 주민들의 추방이 현실화되는 사회적 상황과 결부될 때 ‘쪽방촌 소멸’ 대 ‘쪽방촌 보호’라는 더욱 극적인 차이를 빚어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빈곤한 공간 및 타인을 이해하고 그것들에 대한 대중의 실천을 추동하는 렌즈들에 어떠한 권력이 침투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빈곤의 문제를 바라보는 사회적 태도들의 경합과 그 이면을 드러내고자 했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retrospectively investigate how poverty-stricken area and the poor people inhabiting there have been portrayed to the general public for years. Thus the newspaper reports related to Jjokbangchon (one sort of concentrated poverty areas in Korea), of mainstream media in Korea, which are a crucial source for ordinary peopl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as to social issues such as poverty, were thoroughly reviewed through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o see what was reported and what was not. For analysis, all Jjokbangchon reports in 2010s were collected, but especially narrowed down to the distinctively different two representative media, one, conservative 《Chosun》 and the other, progressive 《Hankyoreh》, respectively. In study results, initial reports were converged to depict Jjokbangchon as Dystopia where human beings must not live with inhumane housing conditions, while expressing there as a provocative poverty pornography. However, when the solutions were reported, 《Chosun》 and 《Hankyoreh》 showed a totally different and even opposing prescriptions, especially when the social reality in Korea where Jjokbangchons have been torn down and residents there have been involuntarily displaced. With the study results, the intense competition as to social attitudes toward the phenomenon of poverty was attempted to be shown by disclosing the authorities reproducing people’s particular ways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about poverty area and the poor others through the discourse used in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