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민의 환경보건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미정,김정훈,이은주,김규상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risks perceived by Seoul citizens, opinions on environmental health risks, and the effects on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through a quantitative psychology method and to build a basic reference in establishing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for 6 days in August 2017 from 2,000 adult men and women aged 19 or older, who had lived in Seoul for more than 1 year. The present study referenced a psychometric paradigm study for the risk perception tool, identified 20 perceived risk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health, and measured 6 risk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added general perception and the needs of preventative policies, used factor analysis to reduce factors into two risk perception structures, and measured the size of their effects. Results: The average of Seoul citizens’ general perception about environmental health risks was calculated by age, gender, marital status and revealed that the risk they perceived as most hazardous was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regards to policy needs, the respondents said particulate matter needed policies mo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6 risk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into two attributes—dread risk and controllable risk—and four different types. Higher dread risk and lower controllable risk had a larger effect on both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Conclusions: A gender difference was observed in environmental health risks perceived by Seoul citizens, and general risk perception and policy needs varied depending on dread risk and controllable risk. When enforcing environmental health policies, it would be important to consider the above, identify priorities, and provide appropriate adjustments and interventions. 연구목적: 서울시민이 느끼는 위험인식과 환경보건위해에 대한 의견,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심리학적 방법에 따른 분석을 통해 환경보건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자료는 서울시에 1년 이상 거주한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8월 총 6일간의 온라인 설문조사로 수집되었다. 위험인식에 관한 도구는 심리측정패러다임 연구를 참고하여 환경보건분야로 한정한 20개의 위해요소를 도출하고 6개의 위험특성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위험인식과 예방 정책 필요성을 추가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위험인식 구조를 2개로 축소한 후 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20개 환경보건위해요인에 대한 일반적인 위험인식 순위를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 평균값 순으로 나열한 결과 방사능의 위험인식이 가장 높았고 정책 필요성 순위는 미세먼지가 가장 높았으며 항목마다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서울시민의 환경보건위해요인에 대한 서울시민의 일반적인 위험인식을 평균값에 따라 도출한 결과 방사능, 산업폐수, 환경호르몬 순으로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으로는 미세먼지, 자동차 배기가스, 산업폐수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6개의 위험특성은 위험에 대한 두려운 정도와 위험의 통제가능성 정도의 2개의 속성과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위험에 대한 두려운 정도가 높을수록, 위험에 대한 통제가능성이 낮을수록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서울시민이 체감하는 환경보건위해는 성별, 연령별, 혼인상태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위험의 두려운 정도와 통제가능성 정도에 따라 일반적인 위험인식과 정책 필요성이 변화하였다. 환경보건정책 집행 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한 적절한 조정과 중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결혼 상태에 따른 외래 의료이용의 차이 분석

        박영용,최소영,이광수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8 대한보건연구 Vol.44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outpatient service uses by marriage status. Methods: Data was provided from the Korea Health Panel(KHP) collect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HIS) an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in 2013. The number of sample was 4,879 people. This study use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Negative Binominal regression and Gamma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utpatient visits and outpatient medical expenses by the marital status. The averag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was 13 days for married women and 7 days for unmarried women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 average amount of outpatient medical expenses was 231,269 won for married women and 153,009 won for unmarried women. The subjective health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When the perceived subjective health was poor and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was higher,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was higher. The type of medical insur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utpatient medical expenses only. Compared to NHI, outpatient medical expenses were lower for those receiving medical aid. Conclusion: As the marriage rate decreases,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chang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For thi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the outpatient service uses between married and unmarried group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and outpatient medical expenses by marital status even after controlling factors affecting medical use. In the Future,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iversity of research and the establishment of health policy.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 상태에 따라 외래이용횟수 및 외래의료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공동으로 수집하는 한국의료패널 2013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대상자는 4,879명이며, 분석방법은 성향점수매칭방법(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감마 회귀분석과 음이항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 결혼 상태에 따라 외래이용횟수와 외래의료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향점수 매칭 후 외래이용횟수는 기혼 여성이 평균 13일, 미혼 여성이 평균 7일이었으며, 외래의료비는 기혼 여성이 평균 231,269원, 미혼 여성이 평균 153,009원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만성질환 수는 외래이용횟수에만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주관적 건강상태를 나쁨으로 인지하였을 때, 보유하고 있는 만성질환 수가 많을수록 외래이용횟수가 많았다. 의료보장형태는 외래의료비에만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의료급여 대상자일 경우 외래의료비가 더 적었다. 결론 : 혼인율 감소에 따른 의료이용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혼 집단과 미혼 집단 간 의료이용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석 결과,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결혼 상태에 따라 외래이용횟수 및 외래의료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연구의 다양성과 보건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전국 보건소 금연클리닉 신규등록자의 성별 금연 성공요인

        김진실,강수정,김대진,최인영,최병선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8 대한보건연구 Vol.44 No.1

        Objective : The study aimed to identify success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among smokers enrolled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at public health centers based on gender differences. Methods : A total of 677,254 smokers in smoking cessation clinics from 250 public health centers for more than 6 months from July 18, 2013 to July 27, 2015 were examined. After classifying enrolled smokers into men and wome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ir smoking cessation rate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Results : The study variables of age, occupation, alcohol, past quit-trials, smoked cigarettes daily, nicotine dependence, confidence, motivation and readiness of smoking cessation, total number of visits for counseling, area, motive to register and use of supplemental agents were successful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to both genders. On the other hand, past disease, age of starting smoking, and duration of smoking were non-significant. In regard to education level, the level was a significant factor to men, while it wasn't to women. Conclusion : To efficiently manage smoking cessation clinics, different approaches should be required since enrollees had different success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based on gender. In particular, male smokers' smoking cessation rates were higher as getting older while females showed lower rates. Thus, it's necessary to promote younger female smokers to enroll the clinics, providing gender differentiated service types for smoking cessation. Also, total number of visits for counseling and use of supplemental agent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moking cessation rates. Therefor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motivating smokers to easily access the clinic services should be required.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남성등록자와 여성등록자의 금연성공요인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보건소 금연사업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3년 7월 18일부터 ~ 2015년 7월 27일까지 전국 250개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6개월 이상 서비스를받은 성인흡연자 677,254명을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금연 성공 여부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단변수 분석과 다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결과, 연령, 직업, 음주 횟수, 과거 금연시도 여부, 하루평균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금연 자신감, 금연 동기, 금연 준비, 총 상담횟수, 지역, 등록경로, 보조제 사용 여부가 남성과 여성의 공통적인 금연성공요인으로 나타났고, 질병력과흡연 시작연령, 흡연기간은 남성과 여성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교육수준은 남성에서 유의하였으나 여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금연클리닉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의 금연 성공 영향요인이 다른 만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남성은 연령이 높을 때 성공률이 높지만, 여성은 성공률이 낮으므로 젊은 여성의 등록율을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금연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또한, 금연보조제사용과 상담 횟수는 남성과 여성 모두 금연성공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금연클리닉 서비스 이용 동기를 높일 수 있는 운영 방식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병원의 소독, 세척, 멸균 등에 필요한 비용 조사 연구

        시혜진,김성란,유현미,손희정,김진화,최훈화,박관준,엄중식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4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소독, 세척, 멸균은 의료감염관리의 주요 요소이지만 실제로 한국에서 비용이 얼마나 소요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의료 현 상황에서 소독, 세척 및 멸균에 필요한 비용과 그 보상방법을 계산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18일까지 한국 120개 병원에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에는 각 병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소독 및 세척의 방법과 종류, 사용되는 소독제의 양, 실제로 얼마나 자주 소독 및 세척, 멸균을 시행하는지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설문은 지면조사로 수행되었으며, 결과는 전문가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38개 병원에서 설문조사에 응답하였고, 그 중 37개 병원의 결과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병원별로 차이가 있으나 평균적으로 한 환자가 하루 입원당 소독, 세척, 멸균 및 소독제 멸균용품등의 구입에 소모하는 비용은 2,341원 이었다. 상급병원에서 종합병원에 비해 2배 가량의 비용이 소요되었다. 소독제는 재원일수 1일당 916원이 소요되었다. 세척제 비용은 재원 일수 1일당 165원이 소요되었다. 세척제 비용에 재원 일수 1일당 195원이 소요되었다. 자동 소독기와 관련하여 구입비용은 평균값 22,878,210 (±16,543,798.2)원, 최소값 1,221,000원, 중간값 19,363,636원, 최대값 53,915,705원이었다. 유지 관리 비용은 재원 일수 1일당 18원이 소요되었다. 소독제 비용은 재원 일수 1일당 793원이 소요되었다. 상급종합병원 재원 일수 1일당 853원, 종합병원 재원 일수 1일당 678원이 소요되어 이 또한 차이를 보였다. 멸균기와 유지 관리 비용은 재원 일수 1일당 178원이 소요되었다. 소독과 멸균에 필요한 기타 물품(포장재, 접착물품, 라벨, 멸균확인 물품 등)은 재원 일수 1일당 269원이 소요되었다. 상급종합병원 재원 일수 1일당 301원이 소요되었고, 종합병원 재원 일수 1일당 207원이 소요되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소독 및 세척, 멸균에 다양한 물품과 비용이 지속적으로 소모되고 있었다. 이러한 소모 비용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는 것이 감염관리의 개선을 위하여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Disinfection, cleaning, and sterilization are major elements of medical infection control, but research on how much it actually costs in Korea is lack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lculate the cost and compensation method required for disinfection, cleaning and sterilization in the current medical situation in South Korea.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t 120 hospitals in Korea from May 1 to June 18, 2019. The survey included the methods and types of disinfection and cleaning implemented in each hospital, the amount of disinfectant used, and how often disinfection, cleaning, and sterilization were actually performe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s a paper surve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experts. Result: Thirty-eight hospitals responded to the survey, of which 37 hospitals' results were used for analysi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hospitals, on average, the cost of disinfection, cleaning,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products for one patient per patient-day was 2,341 won. The cost was about twice that of a general hospital in a tertiary hospital. The disinfectant cost 916 won per patient-day. The cleaning agent cost 165 won per patient-day. The cleaning agent cost 195 won per day of stay. Regarding the automatic sterilizer, the average purchase cost was 22,878,210 (±16,543,798.2) won, and the median value was 19,363,636 won. The maintenance cost was 18 won per patient-day. The cost of disinfectant was 793 won per patient-day.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cost of 853 won patient-day spent at tertiary hospitals and 678 won per patient-day at general hospitals. The sterilizer and maintenance cost was 178 won per patient-day. Other items necessary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packaging materials, adhesive items, labels, sterilization confirmation items, etc.) cost 269 won per day of stay. It cost 301 won per patient-day spent at the tertiary hospital, and 207 won per patient-day spent at the general hospital. Conclusion: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estimate the cost for disinfection, cleaning, sterilization. In conclusion, various items and costs were continuously consumed for disinfection, cleaning, and sterilization. It is thought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infection control to be properly compensated for these consumption costs.

      • KCI등재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과 영향 요인

        박은옥,강경자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1

        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al competency level of public health personnel in the communities and identify the affecting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surve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120 healthcare workers using a self report questionnaire from Aug, 2015 to Feb, 2016. Chi-square test,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3.0 for data analysis. Results: Cultural competency was 2.42 on average, and the affecting factors the cultural competency of healthcare workers were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t=3.53, p=.001), communication ability (t= 3.58, p=.001), and the exposure to other culture (t=2.03, p=045), and work responsibilities (t=-3.23, p=.002). The four variables explained 30.4% of the variance in cultural competency (F=7.93 p<.001). Conclusion: We need to provide systematic cultural competency education to enhance understanding other culture and the cultural competency for healthcare workers, and find out ways to remove communication barriers to offer proper healthcare services to people who came from other countr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수준과 문화적 역량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보건소와 보건진료소 등 보건기관인력 12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적 역량의 평균점수는 5점 기준 2.42점이며, 문화적 지식(평균 2.05±0.65)과 문화적 수용성(평균 2.30±0.66)이 다른 영역에 비해 점수가 낮았다. 문화적 역량 교육요구 점수는 10점 기준 6.65점이며, 문화적 의사소통(평균 6.88±1.78), 태도와 기술(평균 6.85±1.78), 기본지식(평균 6.55±1.57) 등이 점수가 높았다. 보건인력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준 변수는 다문화 교육경험(t=3.53, p=.001), 의사소통능력(t=3.58, p=.001), 타문화 접촉경험(t=2.03, p=.045), 담당업무(t=-3.23, p=.002) 등이었고, 이들에 의해 다문화 역량의 30.4%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역사회 보건인력의 다문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보건인력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다문화 역량 교육을 실시하고, 의사소통 등 장애요인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하여 다문화 대상자와의 접촉빈도를 높이고, 담당 업무 특성을 고려한 다문화역량강화방안을 마련함으로써 다문화 대상자에게 보다 체계적인 건강관리 방안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 환자 및 가족들에 의한 입원 이용 결정의 양상

        안병기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2

        We used the 2008-2015 Korea Health Panel Data. Of the total 2,058 cases of admission, 298 cases(14.5%) of admissions are made by the decision of patients or their families with disabilities.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admission decision by patients or their families with disabilities(ADPFD) is higher in the 18-44 years age group(OR:27.332) and 45-64 years of age group(OR:28.823) and 65 years old or older years of age group(OR:26.113) compared with the under 17 years age group. the ADPFD rate is higher in the patients admitted in hospital or clinics(1.980) and geriatric hospital or convalescent hospital(OR:12.785) than that of admitted in superior general hospitals. the ADPFD rate is higher in the patients admitted in 29-30 days(OR:8.108) and more than 31 days(OR:1.635) than that of admitted 13 days or less. In addition, The ADPFD rate is higher in the medical aid’s group(OR:4.499) and national merit reward beneficiaries and their family’s group(OR:3.836) compared wit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s group. Accordingly, various health care utilization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nable disabled people who are admitted by pati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to use medical services in appropriate places. 연구 결과, 총 2,058명의 입원환자 중 14.5%인 298명이 장애인 환자 및 가족 등에 의해 입원하였다. 입원한 환자들은 17세 이하의 환자보다 18-44세 환자, 45-64세 환자, 65세 이상 환자가 각각 27.332배, 28.823배, 26.113배 많았고, 의료기관 종별유형에서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보다 병원 및 의원과 노인 및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가 각각 1.980배, 12.785배 많았으며, 재원 기간에서 13일 이하로 입원한 환자보다 29-30일 입원한 환자와 31일 이상 입원한 환자가 각각 8.108배, 1.635배 많았고, 진료비 지급유형에서 건강보험환자보다 의료급여환자와 국가 유공자 및 가족 특례 환자가 각각 4.499배, 3.836배 많았으며, 의료기관 선택 사유에서 다니던 병원이었기 때문에 입원한 환자보다 병원이 가까우므로 입원한 환자가 1.635배 많았다. 이에 따라, 장애인 환자 및 가족 등에 의해 입원된 장애인들이 적절한 곳에서 의료이용이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보건의료 이용정책(입원기준 마련, 사전입원허가제 도입, 본인부담금 책정 일원화, 보건의료이용정보체계 개선, 덴마크와 스웨덴의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의료서비스체계 구축)들이 개발되어야겠다.

      • KCI등재

        전자담배 유형별 관심도와 유튜브 동영상 내용 분석

        김하나,황정인,김한솔,노희경,강나은,조은별,유승현,조성일,황지은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3 대한보건연구 Vol.49 No.2

        Objective: YouTube is a popular social media platform among Koreans, and video-related electronic cigarettes (e-cigarettes) could be a gateway to the use of tobacco products. This study aimed to draw discussion for intervention by analyzing the interest about e-cigarettes and factors that induce the usage of e-cigarettes in YouTube videos by tobacco product type. Methods: We conducted trend analysis using search volume data to identify the interests by age and tobacco product type. Videos in YouTube were searched based on the period (2021.06-2022.06) and views and finally 49 videos were selecte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selected video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duce the usage of e-cigarettes. In addition, 3,210 comments were analyzed to check high-frequency words, co-occurrence word networks, user’s sentiment to confirm the opinion and attitude of YouTube users. Results: The relative search volume of e-cigarettes among 40s was the highest than the other age groups, and the search volume of heated tobacco products (HTPs) was higher than that of e-cigarettes. E-cigarettes-related videos had a longer average length, more views, more likes, and more comments than HTPs-related videos. Smoking scenes and tricks, availability, taste, place of purchase, and warning messages were mentioned a lot in the videos related to e-cigarettes. Smoking cessation aids were mentioned a lot in HTPs-related videos and most of the videos were classified as comparison and review types. There were differences in high-frequency words and odds ratios depending on the tobacco product type, and comments in the e-cigarettes-related videos used more positive words. Conclusion: Blind spots in social media should be addressed, and governments, businesses, and consumers should cooperate to prevent from using e-cigarettes. The regulatory strategy for e-cigarette should be based on types and tobacco control policies must be strengthened. 연구목적: 최근 전자담배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담배회사의 마케팅이 성행하고 있다. 유튜브는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소셜미디어 매체 중 하나이며 유튜브 속 동영상 콘텐츠는 전자담배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관문(gateway)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담배 유형별 관심도를 파악하고 유튜브 동영상 속 전자담배 사용을 조장하는 요소와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중재의 필요성과 논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전자담배 유형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전자담배에 관한 관심도를 파악하기 위해 트렌드를 비교하였으며 유튜브 동영상의 내용분석을 통해 전자담배 사용 유인 요소를 파악하였다. 또한 동영상 내 댓글을 활용하여 고빈도 단어를 확인하고 동시출현 단어 네트워크 분석과 감성분석을 실시하여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40대의 전자담배 검색량이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궐련형 전자담배의 검색량이 액상형 전자담배의 검색량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액상형 전자담배 관련 동영상은 길이(10.55분), 시청 횟수(61082.15회), 좋아요 수(437.15개), 댓글 수(112.15개)의 평균이 모두 궐련형 전자담배 관련 동영상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궐련형 전자담배(n=22)에 비해 액상형 전자담배(n=27) 관련 동영상은 흡연 장면 및 묘기(81.5%), 이용 편의성(51.9%), 맛(81.5%), 구입 장소(18.5%), 건강 유해성(22.2%)에 대한 언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반면에 궐련형 전자담배는 금연 보조제(18.2%) 기능에 대한 언급이 많았고 비교 및 후기 유형(45.5%)으로 더 많이 분류되었다. 전자담배의 유형에 따라 고빈도 단어, 오즈비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액상형 전자담배 관련 동영상 내 댓글(13.1%)이 궐련형 전자담배 동영상 내 댓글(8.1%)보다 긍정적 단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결론: 소셜미디어 내 전자담배 관련 모니터링이 되지 않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전자담배 사용 예방을 위해 정부를 포함한 사업체, 소비자 단체 등 다양한 주체가 협력해야 한다. 유형별로 전자담배 규제 전략을 계획해야 하며 담배 규제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손상 퇴원환자의 규모 및 치료결과 특성의 추이 (2005-2016):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은미,이혜원,김혜경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0 대한보건연구 Vol.46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injured patients and trends of discharge rate and treatment outcomes of injured patients over 12 years in South Korea. Methods: A total of 309,462 injured patients identified from the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Survey Data from 2006 to 2017 were included for analyses. The injury discharge rate was assessed by calculating the standardized discharge rate of injured patients by year, and that of treatment outcomes was assessed by calculating the in-hospital mortality rate. For the treatment outcome characteristics, average length of hospitalization and in-hospital mortality rate by comorbid status and severity of injury were analyzed. Results: The increasing trend of the injury discharge rate was clearly observed in elderly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and female patients. The most frequent mechanism of injury changed from traffic accidents to fall, which is the most frequent mechanism in the elderly. The average length of hospitalization was much higher in elderly patients and patients with comorbidity or severe injury. The in-hospital mortality was highest in elderly patients with severe injuries. The decreasing trend of in-hospital mortality rate was observed except in male patients, and the largest decline was found among patients aged 25-44 years. Conclusion: To reduce the burden of injury-related medical expenses, promote health, and improve quality of life while reducing the burden of socio-economic losses, our findings suggest that establishing public health policies and interventions, by focusing on vulnerable populations to injuries such as older female patients and patients with comorbidity and severe injury, could be an effective measure.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손상 퇴원환자의 규모 및 양상과 그 치료결과의 특성 및 추이 변화를 조사하여 손상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정책 수립의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6-2017년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의 전체 환자 중 총 309,462명의 손상 퇴원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인구학적 특성과 손상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손상 퇴원의 규모와 치료결과에 대한 12년 동안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손상 퇴원환자의 퇴원 규모에 대한 추이는 손상 퇴원환자의 연도별 표준화 퇴원율을 산출하여 평가하였고, 치료결과에 대한 추이는 손상 퇴원환자의 연도별 병원 내 사망률로 평가하였다. 치료결과에 대한 특성으로 동반질환 여부와 중증 손상 여부별 평균 재원일수와 병원 내 사망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손상 퇴원환자의 규모는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와 여성 환자에서 가장 증가율이 높았다. 이를 반영하듯 최다빈도 손상 발생 기전이 젊은 연령에서 많이 발생하는 교통사고에서 고령 인구에서 많이 발생하는 추락 및 낙상으로 바뀌었다. 평균 재원일수는 고령 환자와 동반질환이나 중증 손상을 가진 환자에서 제일 길었다. 손상 치료 후 병원 내 사망률은 중증 손상을 가진 고령 환자가 제일 높았다. 인구 10만 명 당 손상 치료 후 병원 내 사망률은 남성 환자를 제외하고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5-44세 환자에서 가장 큰 감소율을 보였다. 결론: 손상의 양상과 추이 변화에 대한 본 연구 결과, 손상으로 인한 의료비용 증가와 근로손실에 따른 사회경제적 총 손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손상에 취약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보건 정책 및 중재 방안 수립이 요구되며,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다학제간 전략적 협업과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 행위에 대한 통합적 고찰 : 정서사건 이론을 기반으로

        김지연,우소현,김성재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3 대한보건연구 Vol.49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 행위를 무례함 행위자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의료현장의 무례함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정서사건이론(AET)을 기반으로 하여, 의료환경, 업무사건이나 상황, 무례함 행위자들의 기질, 정서반응, 업무태도, 행동의 6개의 범주로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방법: PubMED, CINAHL, PsycINFO, Web Of Science의 4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2년 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을 다룬 연구들을 검색하였다.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문제 명료화, 문헌검색 및 선정, 문헌 평가, 문헌 분석, 의미 기술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검색된 1,519의 논문 중 26편의 논문이 최종 자료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교대 및 야간근무, 과도한 업무량, 수직적인 문화 등과 같은 의료환경에서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중대한 위해를 주는 상황 하에, 자기중심적이고 나르시시즘과 같은 기질, 분노와 같은 부정적 정서, 타인에 대한 적대적 판단과 같은 태도가 언어적․비언어적․은밀한 형태의 무례함 행동을 야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통합적 연구결과 도출된 무례함 행위 발생과 관련된 의료환경, 업무사건, 기질, 정서, 태도, 행동에 대한 지식체는 의료환경에서의 무례함을 이해하는데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료종사자간 무례함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무례함 행위자에 초점을 둔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 인식 정도의 관련성: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이용하여

        기채은,이예진,노영민,노진원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4

        Purpos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community awareness not only because of individual satisfaction as a community member but also because of the quality of life. It is needed to study considering adolescents’ behavior patterns from a broader perspective, such as community awareness, not limited to family and school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community awareness among adolescen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Method: This study used the fourth grade of the seventh year (2016)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urvey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hich included 1,643 subjec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community awareness. Results: As a result, the variables that affect adolescents′ community awareness are gender, residence, economic level assessment of household, housing type, life satisfaction, cyber delinquency, peer attachment,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wareness of positive communities is important for adolescents preparing to establish themselves as healthy members of society.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not only in the family and school but also in the community itself so that adolescents can have a positive awareness of the community. And these results suggest various programs that related to adolescent′s community awareness. 연구목적: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은 개인주의를 넘어 인간관계를 중시하고 의존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이에 청소년의 행동 양식을 가족 및 학교 환경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 환경까지 넓은 관점으로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지역사회 인식의 관계를 규명하여 청소년의 긍정적인 지역사회 인식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 초등학교 4학년 7차년도 자료를 바탕으로 실시되었으며 총 1,6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역사회 인식 정도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성별이 남성인 경우, 거주지가 비수도권인 경우, 주관적 경제수준평가가 잘 사는 편일수록, 주택 형태가 단독주택이거나 아파트인 경우, 또래 애착이 높을수록,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사이버 비행을 적게 할수록 그리고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긍정적인 지역사회 인식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이 되기 위해 준비하는 청소년들에게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청소년들이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이웃에 대한 소중함을 갖게 할 수 있도록 가정환경은 물론,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 자체에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삶의 만족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지역주민들 사이의 정서적 유대감 및 상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