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의 미래 - 국내·외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강이화(Kang Ewha)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국외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대학교육의 혁신사례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교육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연구되었다. 연구방법: 이에 주제 관련 문헌을 질적자료로 보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Walsh & Downe(2004)의 질적 메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 문헌은 4차 산업혁명과 교육 관련 총 200여 편의 초록과 목차 리뷰 후 초점 문헌인 단행본 9종, 정책 보고서 16종, 학술지 논문 31종이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대응 대학교육 관련 교육정책과 대학사례를 살펴본 결과, 정부는 재정지원 사업으로, 개별 대학들은 그 사업에 맞추어 교과목 개편, 교수방법, 교육 환경 구축으로 대응하고 있다. 둘째, 국외 주요국의 대응 사례 분석 결과, 정부 정책 대응의 공통적인 방향성은 미래 핵심기술 산업화 중심 대학교육이었고, 개별 대학의 대응 양태는 학제적 교육과정, 학생 개별화 관리 시스템, 실험적 다원화 체제를 보였다. 셋째, 국내외 논의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은 4차 산업혁명이 ‘핵심 동인’이며, ‘이중적 현상’으로 ‘대응 요구’ 과제로 작용하여 ‘인재 양성 방안’을 내놓게 만드는 구조였다. 차이점은 해외 주요 국가들의 대응이 포괄성과 연계성이 강한 반면 우리나라는 일원화 및 개별성을 보인다는 점이었다. 결론: 이에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관련 대학교육 대응 정책과 노력 간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연계와 포괄의 권한을 갖는 기구를 재설정할 것과 나누어져 있는 예산 및 지원 기관의 스코프를 점검하고 중장기적이며 균형 있는 대응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s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lated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n university education. Method: A meta-analysis of Walsh and Downe(2004) was us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literature and cases. After the Review of over 200 literature, were 9 Books, 16 policy reports, and 31 papers analyzed intensively.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government responded with governmental university aid, and universities responded with reforming curriculum and rebuilding educational environments. seconds, the common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y in foreign countries was the core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y education, and Individual universities attempted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ndividualized student management system, experimental pluralization system.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o reset the organizations that have the authority of linking and to check the scope of the budget and project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부산형 미래교육 운영을 위한 중학교 창의융합교육 성과요인 분석

        신동민,남창우,최정아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교사교육연구 Vol.61 No.1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부산형 미래교육 운영을 위한 중학교 창의융합교육의 성과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창의융합교육의 주요 변인 중 교과효능감, 컴퓨터-스마트폰 사용, 미디어이해, 부모-자녀관계, 학교만족도, 창의력, 토의・토론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컴퓨터-스마트폰 사용’은 ‘교과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터-스마트폰 사용’과 ‘교과효능감’ 간 관계에서 ‘미디어이해’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중학생의 ‘부모-자녀관계’는 ‘교과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학교만족도’는 ‘부모-자녀관계’와 ‘교과효능감’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창의력’은 ‘교과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력’과 ‘교과효능감’ 간 관계에서 ‘토의・토론’ 수업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부산형 미래교육과 창의융합교육 현장에서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 학습자의 미디어이해를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ICT리터러시 교육 등이 필요하며, 학교와 가정의 연계 및 학교만족도 향상을 위한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면대면 수업환경과 비대면 수업환경이 혼합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환경에 적합한 교수・학습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부산지역 과학관의 실태조사 분석을 통한 지역과학관 활성화 방안 연구

        조민아,한국인 부산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5 科學敎育硏究 Vol.30 No.-

        본 연구는 지역 과학관이 지역사회의 과학교육과 과학 대중화에 유의미하게 부응하고 있는지를 부산 지역 과학관 실태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과학관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과학교육의 진흥이라는 일관되고 광범위한 목적으로 과학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교통이 불편하여 접근성이 낮아 지역적 특성을 살린 소규모 특성화 과학관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과학관의 전시 공간이 부족하고 전시물에 대한 평면적 전시가 많아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시기법의 활용과 체험 위주의 전시형태로의 진환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내용의 다양성과 일반 시민을 위한 과학 강연 및 강좌 부족하며, 학교 교육과의 연계가 잘 되지 않아 과학교육 목표 달성이 비효율적이므로 관람대상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일반 대중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고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과 연계된 과학관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넷째, 과학관의 인력 구조면에서 교육연구직의 비중이 적고 자원봉사자의 활용도가 낮으므로 다양한 법적 · 제도적 정비를 통해 진문 인력 양성과 과학적 소양인 및 외부 인력자원의 활용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사이버 과학관 운영에 있어 진시자료에 대한 평면적인 자료 제시 뿐 아니라 과학관 전시 및 연구 자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양방향적이고 과학 학습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사이버 과학관을 확충 · 운영해야 한다. This study suggests several action plans for activating the local science museum through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cience museums in Busan area. The research was done to know the local museums are contributed to popularization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First, most of local science museums are managed with the old-fashioned and vague goal of the promotion of science education. Besides, the accessibility is very low due to the inconvenience of the transportation. So the small-scale specific science museum which has regional character needs to be expanded. Second, the space for exhibition is not enough and mostly there are plane displays not solid one. It should be designed to have high utilization of the place and children can have experiences with the displays in that place. Third, generally the local science museums are shortage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 and science class for the public. They don't connect with school education very well for that reason they have few achievements in science education. Therefore they should lead the participants of the public to the science and develop the various and interesting science education programs. Forth, the human resources organization at the science museums is less educated professional staff and worse use of volunteers through various legal and systemical consolidation it should carry out educating professional staffs and best use of volunteers. Firth, to manage the cyber-science museum, not only exhibiting plane data but also computerizing data it should operate the cyber-science museums for improving the science learning ability opportunity.

      • KCI등재후보

        초등 교사 양성 기관의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강현구,김경린,류재규,소금현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 양성기관인 부산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교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Kember와 Leung(2009)이 개발한 도구를 교육대학교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으며, 완성된 검사도구는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해 함양될 수 있는 개인적 소양에 대한 인식(8항목, 16문항)과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9항목, 1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한 개인적 소양 함양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으나,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중요성이 높은 만큼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에서의 커리큘럼 개선을 통해 교사로서의 소양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발명교육 정규강좌 운영에 따른

        이시원,이경애,정지윤,문대영,김경태,왕유진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발명교육 정규강좌 운영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 3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Hall & Hord(2006)의 관심단계설문지 총35개 문항을 발명교육의 맥락에 맞도록 조정한 설문지를 적용하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정규강좌를 통한 발명교육은 무관심한 ‘비사용자’ 단계의 예비교사를 발명교육의 새로운 진입 단계인 ‘초기 사용자’ 단계로 전환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발명교육의 지속적인 발전과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이 결과들을 교육과정 및 관련 정책 수립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에서 수업비평공동체 활용사례 연구: 초등 사회과 경제영역을 중심으로

        김영현 ( Kim Younghyu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사교육과정에서 수업비평 공동체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예비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관점의 변화와 그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교육대학교 예비교사들을 참여자로 하여 수업비평공동체 활동에 기반한 사회과 교육의 실제 강의를 구성하고 운영한 뒤 수집한 연구자료인 수업에세이, 수업비평문, 수업설계 및 시연영상, 수업비평공동체 활동에 대한 소감문 등을 근거이론연구의 개방코딩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교육에서 수업비평공동체는 예비교사들에게 수업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공유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수업비평문을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수업을 반복적으로 간접체험하며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다양한 관점을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었다. 향후 예비교사교육에서 수업비평공동체가 보다 유의미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에게 입체적인 해석이 가능한 다양한 관점의 수업비평영상이 요구되며 수업비평을 수업의 잘못된 점을 찾아 비판하는 것이라 생각하는 예비교사들의 오해가 수정되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use of the instruction criticism community on the change of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teaching. A preparatory teacher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collected research data after experiencing a lecture based on the activities of the instruction criticism community. Research data were analyzed using open coding of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lass criticism communit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llowed pre-service teachers to share their experiences and insights about class and to make various interpretations of instruction possible. The process of sharing instruction criticism is to experience the class repeatedly.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can experience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various perspectives on the instruction. In order for the instruction criticism community to be meaningfully utilize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videos tha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re required for pre-service teachers.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misconception that instruction criticism is only focused on for finding faults.

      • 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식생활교육 실태와 식생활교육 요구도

        박은숙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of dietary education and demand of dietary education of preschool children’s mothers in Jeonbuk province. The study was carried out using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s were 275 mothers. The questions were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perating status at their own house, and demands for dietary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the subjects were in their 30’s (74.9%). The frequency of eating a meal with the whole family once a day was 48.4%, the frequency of the dietary education at their own house was more than 3 times per week (44.0%), and education time was the meal time (83.6%). The desirable frequency of dietary education was once per week (40.4%). About two thirds of the subjects (70.2%) recognized the purpose of the dietary education was not only for preschool children but also their parents. The ratio in the core value of dietary education as environment, health, and thanks was 30.10%, 41.35%, and 28.48% respective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demand for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parents is necessary in preschools. 식생활 개선 등을 통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식생활교육지원법에서는 식생활을식품의 생산, 조리, 가공, 식사 용구, 상차림, 식습관, 식사 예절, 식품의 선택과 소비 등 음식물 섭취와 관련된 유⋅무형의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식생활 교육이란 개인 또는 집단으로 하여금 올바른 식생활을자발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말한다. 어린이 대상 식생활교육은 어린이가 올바른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부모, 보호자, 교육관계자, 농어업인, 식품 관련 종사자 등의 적극적인 참여하에 지속적으로추진되어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유아기는 신체 발달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식생활교육이 매우 필요한 시기이다. 우리나라 식생활교육 요구도에 대한 연구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및 교사, 영양교사, 주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아동 대상 식생활교육요구도는 유치원 교사와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아동의 식생활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학부모의 요구를 파악할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유치원 학부모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식생활교육 실태와 식생활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20대 3.6%, 30대 74.9%, 40대 21.5% 이고, 교육 수준은 고졸 15.3%, 전문대학 졸 24.4%, 대학 졸업 46.9%, 대학원 졸업 13.5%였으며, 45.5%가 직업을 가지고 있었으며, 54.5%는 전업주부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가족이 모두 식사를 하는 빈도는 하루 한번(48.4%), 식생활교육을 실시하는 빈도는 주 3회 이상(44.0%), 가정에서 식생활교육을 실시하는 시간은 식사시간(83.6%)이 가장 많았다. 어머니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에서 식생활교육 실시 빈도가 많아(p<0.05), 주3회 이상 식생활교육을 실시하는 대상자는 대졸 이상48.8%, 전문대졸 이하 36.7%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에서 식생활교육을 할 때 배려 영역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식생활교육 장소는 주로 ‘가정⋅유아교육기관(86.9%)’이었으며, 식생활교육 빈도는 대상자의 40.4%가 ‘주 1회’, 식생활교육 대상은 ‘유아⋅엄마⋅아빠’가 70.2%로 가장많았으며, 식생활교육은 ‘급식 시간(56.0%)’과 ‘일반 교육 시간(41.1%)’이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효과적인 식생활교육 방법은 대상자 93.5%가 ‘체험⋅실습’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식생활교육을 할 때 체험⋅실습 비율은 50∼60%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고, 환경 : 건강 : 배려는 30.10% : 41.35% : 28.48%의 비율이 적절하다고 하였다. 식생활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환경 영역에서는 ‘음식물 쓰레기(4.31점)’, 건강 영역은 ‘이 닦기 습관(4.68점)’, 배려 영역은 ‘우리나라 식사 예절(4.25점)’이 가장 높았다. 체험⋅실습 영역의 요구도는‘유치원 텃밭 가꾸기 실습(4.45점)’이 가장 높았다. 위의 결과를 기초로 유아 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추후 지역별로 유아 어머니를대상으로 식생활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여 유아 대상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중등교사의 교수적 수정 지식 습득과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영심 ( Kang Youngs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3

        통합교육이 확대됨에 따라 일반교사가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장애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교육을 실행해야 하는 책무감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이러한 통합교육을 준비시키기 위한 과목으로 개설된 특수교육학개론 강좌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중등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 방법에 대한 지식의 습득과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지역의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교사 177명이다. 이들은 교직 소양으로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하였다. 수업의 첫 시간과 수업이 끝난 후 마지막 종강 시간에 설문지를 통하여 교수적 수정 방법에 대한 지식의 습득 정도와 장애학생교육에 대한 효능감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후 예비중등교사는 수강 전과 비교했을 때 교수적 수정 전 영역에 대한 지식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양성과정에 개설된 특수교육학개론이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 방법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는데 긍정적이지만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예비중등교사의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은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를 고양시킬 수 있도록 특수교육학개론 강좌 내용이나 운영 방식에 대한 고민과 보완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articipation in an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ourse could influence pre-service teachers’knowledge on implement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teaching efficacy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surveyed 177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P National University in B cit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background information questions (gender, grade, experience acces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teaching practice), instructional adaptations questions, and teaching efficacy questions. The instructional adaptations questions consisted of 5 sub-categories totaling 30 items (environment 8, grouping 5, methods 6, contents 6, evaluation 5). The teaching efficacy questions were structured using a five point Likert scale and consisted of 2 sub-categories totaling 25 items (general 9, personal 16).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aking the mandatory cours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tes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implement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teaching efficac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cours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ervice teachers’knowledge on implement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efficacy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This study implies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mandatory course is very important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후보

        뉴스 기사를 통해 본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쟁점과 과제

        김소영,강신원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혁신연구 Vol.25 No.2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news articles about an introduc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between humanities and sciences and engineering tracks, and the issues handled seriously; and then to discuss what the problems are according to it. The issues raised fro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 lack of education recipient’s attention regarding curriculum revision, (b) controversies associated with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c) confusion caused by repeated curriculum revisions, (c) demand for revision both on the curriculum and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d) the press’ passiveness about governmental policy. The integrated curriculum revision should be addressed regarding the issues as follows: (a) the curriculum was revised based on various opinions from different fields and identifying pedagogical needs accurately. (b) the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learning experiences which would be able to allow students to achieve a various and macroscopic problem solving viewpoint. (c) A prototype of the new curriculum should be pre-implemented and evaluated thoroughly. (d) Along with the curriculum revisi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college admission test and related system should be addressed more. (e) The news medias should develop their news articles based on well-specialized knowledge about the integrated curriculum so that partens and students will be able to receive more useful and accurate information. 본 연구는 2014년에 발표한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을 발표한 시점에 보도한 뉴 스를 통하여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의 주요 내용 중 어떠한 내용이 뉴스 보도를 통하여 알려졌으며 중요하게 다루어진 쟁점과 과제를 논의 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제기되고 있는 쟁점으로 첫째,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교육 수요자의 무관심, 둘째, 교과서의 국정화 논란, 셋째, 잦은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한 혼란, 넷째, 교육과정 개정과 수능의 동반 개편 요구, 마지 막으로 국가 정책에 대한 언론의 소극적 태도이다. 쟁점에 대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의 견 수렴과 정확한 요구 조사를 토대로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다양하고 거시적인 안목을 가질 수 있는 학습 경험을 포함하는 교과서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을 실 행한 이 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적용․평가를 해야 한다. 넷째, 수능이나 대입 제도에 대한 적극적 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중요한 정책 결정에 있어서 뉴스의 태도는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식견을 갖추어 국민에게 유용한 정보와 다양한 의견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쟁점과 과제에 대한 논의는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 정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둔다.

      • KCI등재후보

        사범대학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송신철 ( Shin Cheol Song ),이치하 ( Chi Ha Lee ),심규철 ( Kew Cheol Sh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변화의 필요성,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사 생활에 대한 유용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증가 또는 감소시켜야 할 분야, 교과교육학 과목의 중요성, 교육과정에서 지식과 실습 영역의 중요성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수 참여 과학 교사 130명(남자 38명, 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으며 현행의 이러한 교육과정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의 우선 순위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결과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등을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증가시켜야 할 영역으로는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교육실습 등을, 감소시켜야 할 교육과정 영역으로는 일반교육학, 교양과목, 일반선택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과교육학 과목 중에서 과학교재연구, 과학교수법 등을 특히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 교사들은 교사 양성 교육과정 중 지식영역에서는 교과내용학 지식,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중·고등학교 교과내용 등을, 실습영역에서는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의 분석,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에 대한 수업 실습,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의 활용, 실험(탐구) 수업 실습 등을 지금보다 더 강화시켜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과학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필요하다고 절감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여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instrument consisted of seven components: the adequacy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need of change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usefulnes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n teacher`s life, the need for field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s and pract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cience teachers(38 males and 92 female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wasn`t adequate, and should be changed, and the ratio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contents as well as science education should be heightened. They perceived that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theory and literacy, and selective subjects should be reduce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science teaching material, and science teaching method among science education fiel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related to science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es related to secondary content analysis,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teaching experiments and inquiries. It seems desirable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considering science teachers`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