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이버비행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

        유연주(Yu Yeonju),전주성(Jun JuS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사이버비행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의 중학교 1학년 2,571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연구자료는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사이버비행,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부모양육태도는 사이버비행, 사회적 위축, 공격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사이버비행, 사회적 위축, 공격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청소년의 사이버비행이 가정환경 요인뿐만 아니라 개인 정서 측면의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과도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사이버비행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의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사회적 위축이 높아지고, 사회적 위축이 높을수록 공격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격성이 높을수록 사이버비행 가해 경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대인관계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회피하는 행동)과 공격성을 감소시키면 사이버비행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사이버비행을 예방하기 위해 학교 및 청소년 상담 현장에서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과 공격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심리적 개입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한다. 특히,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 성향이 높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또래관계 형성 및 상호작용 기술향상을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코칭 등의 개입이 우선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ir cyber delinquency. This study used the data of 2,571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s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Hayes (2013) s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dual mediated effec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yber delinquenc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Cyber delinquency,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This shows that adolescents’ cyber delinquency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in terms of personal emotions as well as to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Second, there were full du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cyber delinquency. Social withdrawal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cyber delinquency, and so did aggression. This shows that cyber delinquency can be reduced by reducing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behavior that avoid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social interactions) and aggression.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hat can improve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alleviate aggression at school and youth counseling sites to prevent cyber delinquency among adolescents. In particular, interventions such as education, counseling programs, and coaching are first required for adolescents with high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to build positive peer relationships and improve interaction skills.

      • KCI등재

        ‘가족개호’의 사회적 고립과 ‘돌봄의 사회화’

        박승현(Park Seunghy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3

        2000년 4월부터 일본에서는 공적인 고령자 케어정책으로서 ‘개호보험제도’가 실시된다. 개호보험제도는 가족 단위가 아닌 개인을 대상으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에 대한 보편적인 접근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출범했다. 이로써 돌봄의 탈가족화, 돌봄의 사회화에 대한 기대 또한 높아졌다. 그러나 고령화의 진전과 후기고령자가 증가하는 인구변화속에서 제도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역에서의 ‘자립과 자조’는 개호보험제도의 가장 중요한 모토가 되었다. 그리하여 개호보험제도 성립 이후 20년이 지난 오늘날 ‘가족’은 여전히 가장 중요한 돌봄의 주체로 남아있다. 그러나 ‘초고령화와 비혼화가 만났다’라고 할 만큼 돌봄을 맡을 수 있는 가족의 자원은 빈약하다. 최근 개호살인이나 개호동반자살과 같은 사건들을 통해 가족개호의 사회적 고립의 문제는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누군가의 돌봄을 필요로 하는 시기부터 죽음의 순간까지의 긴 시간은 돌봄을 받는 쪽에서나 돌보는 쪽에서나, 고령사회의 평범한 사회구성원들에게 반드시 찾아오는 삶의 과제가 되었다. 그렇다면 이 보편성은 개인과 가족을 넘어선 사회적인 돌봄을 논의하기 위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초고령사회 일본의 개호보험제도의 성립배경을 고찰하고, ‘가족돌봄’의 한계를 검토함으로써 ‘돌봄의 사회화’를 논의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The public insurance system for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devised in April 2000, marked the beginning of the socialization of care in Japan. However, as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had emphasized a sustainable system and stressed self-reliance and self-help , family still remain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of old age care. But the lack of family resources to care for the elderly, which causes social isolation, has become a social problem. The time from the moment of needing someone s care to the moment of death became a life task which all of the society members must go through either from the caring side or cared side. This universality will be the basis for discussing social care beyond individuals and families. The current paper examines the limitations of family care and seeks the possibility of socialization of old age care.

      • KCI등재후보

        사회적기업육성법의 주요 쟁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박태정(Park, Tae-Je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육성법」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발전적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검토하면서 나타난 사회적 기업의 의의와 특징을 분석한 후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출발 및 전개과정에서 나타나는 차별성과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사회적 기업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찾는 한편, 유럽형 및 미국형 사회적 기업의 특징을 비교ㆍ분석하여 이것이 「사회적기업육성법」에서 갖는 함의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두 번째 본 논문이 목적으로 두고 있는 「사회적기업육성법」의 쟁점에 대해 인증요건ㆍ권리구제ㆍ세제-재정지원으로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적기업육성법」은 그 내용상 연관관계에 있는 타 법과의 비교가 요구되는 만큼 적극적인 비교분석을 하였고 이를 통해 문제점과 한계를 찾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법적 개선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for suggesting amendment. As with reviewing the literature, I try to figure out identifiable features that include principles. Similarly it is argued that social enterprise depends on their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at the law should be designed to meet these characteristics. As compared American style social enterprises with European style social enterprise, it is found that we need to understand Korean style social enterprise with reference to these different styles. Second, I divided my analysis into three pan-certification, redemption of right system, financial support- and suggested amendment. As social enterprise ranges between the Civil and the Commercial, I did in-depth analysis while comparing with another laws. Finally, as it is found that the current contents of the law have several problems, in order to reforming these factors, I present a few alternative suggestions.

      • KCI등재

        동북아해역인문학 관련 연구의 동향과 전망 : 부경대 HK+사업단 아젠다 연구와 관련하여

        손동주(Son Dongju),서광덕(Seo Kwangde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국내 인문학계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바다를 대상으로 새로운 인문학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것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인문한국 프로젝트에 선정된 여러 사업단에 의해 전개되었으며, 부경대학교 HK+사업단도 이 가운데 하나로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부경대학교 HK+사업단의 아젠다는 동북아해역에서 전개된 다양한 인적 · 물적 교류 및 이와 함께 발생한 다양한 문화의 수용과 변화를 조사하여 현재 동아시아 지역에 존재하는 갈등과 대립을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대 이후의 바다는 전쟁의 바다였다. 이것은 동북아지역에 상존하고 있는 갈등과 대립의 씨앗이 바다에서 시작되었다는 의미다. 이런 점에서 부경대 HK+사업단의 아젠다는 1980년대 이후 국내 지식계에 등장한 동아시아 담론이 제기한 문제의식과 상통한다. 따라서 부경대 HK+사업단이 추구하는 동북아해역인문학의 성립은 바로 지금까지 해양사를 비롯한 다양한 인문학 분야의 해역 연구가 현재적 문제를 푸는 대안적 가능성을 어느 정도 갖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인문학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학계의 해역과 관련된 인문학 연구를 검토하고, 부경대 HK+사업단의 3년간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했다. Research in the humanities field related to the ocean (sea) in Korea has been active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ere may be various reasons for this, but above all, it was triggered by an interest in the sea as an object of increasing crisis consciousness in the humanities itself and the search for postmodernism. Research to cultivate new humanities thinking on the ocean (sea) has been conducted in the domestic humanities world for the past 20 years. This trend was conducted jointly by several project groups selected for the Humanities Korean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University is also conducting research in that rank.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sults of humanities research related to the ocean (sea), and to examine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e agenda of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s a practical approach to overcoming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that exist in the current East Asian region by investigating various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nd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different cultures that have occurred in the Northeast Asian sea region after the modern era. I want to pursue a plan. This somewhat overlaps with the consciousness of problems raised by East Asian discourses that have emerged in the domestic intellectual world since the 1980s. Therefore, whether or not the Northeast Asian marine humanities pursued by th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K+ project group can ultimately be established depends on the degree of alternative possibility to solve the problems that marine research in various humanities fields including maritime history has tried to solve so far. . Focusing on this point, we reviewed the humanities research related to the sea area of Korean academia,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for three years, and explor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피로사회’ 속 보육교사의 목소리 내기

        김선희(Kim Sunhee),손준희(Son Junhee),이희영(Lee Hee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3

        현대사회는 성취와 성과를 중시한다. 이러한 능력주의의 원리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의식 세계와 사회제도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성과를 매우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더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 매일 매일 피로를 무릅쓰고서라도 일을 해내는 너무나도 피곤한 삶을 살고 있다. 한병철(2012)은 ‘규율사회’에서 ‘성과사회’로 현대사회의 변화를 말하고 있다. 과거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어떤 것을 ‘해서 안 된다’ 또는 ‘해야 한다’고 강요하는 것으로 타인을 착취했다면,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긍정성’에 매달려 지쳐서 쓰러질 때까지 스스로를 착취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병철(2012)이 말하는 피로사회, 성과주의, 자기착취 등의 개념이 보육교사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탐색한다. 특히 보육교사들의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한 완벽주의, 자기 자신과 주변으로부터의 지나친 기대, 과잉긍정성, 과도한 자기비판 등의 특성이 어떻게 피로사회가 요구하는 성과주의로부터 보육교사를 위험하게 만들 수 있는가를 말하고자 한다. 또한 최근 사회현상에서 많이 이슈가 되고 있는 보육교사들의 자살에 관한 이슈가 피로사회의 성과주의와 어떻게 구조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깊은 심심함, 중단하는 본능. 머뭇거리는 능력, 사색적 삶의 복원, ‘아니오’ 라고 말할 수 있는 힘 등 보육교사의 피로사회 극복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모두 달리고 있는 경주에서 혼자만 느리게 걷는 것을 망설이지 말라는 한병철(2012)의 이야기는 우리들에게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중요한 것이라고 전달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대의 보육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간절한 사색의 기회인 것이다. Achievement and performance are considered as the best value in modern society. Meritocracy is deeply rooted in modern society’s system and comtemporary humans’s consciousness. In this society, there are many people who try to produce good results and that makes themselves tired and gets tired of their lives. HAN Byung-Chul(2012), who is author of Fatigue Society(Müdigkeitsgesellschaft), points out that modern society has been changed from a “regulatory society” to a “performance society(achievement-driven society)” He insists that people in the capitalist society had exploited others to do what they “should” or “should not” However,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had constrained themselves to believe “you can do anything” by self-exploitation until they are worn out because of “over-positivity” This study explored what connections to the concepts by Han(2012); fatigue society, performance society, self-exploitatio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Especially, this paper discussed what makes early childhood teachers a high risk group in modern society called fatigue society under perfectionism towards a good teacher, high expectations from themselves and others, over-positivity, excessive self-criticism, and so on. In addition, this study is dealt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ssue of committing suici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ocial structure of performance society. Also, this paper suggested the way to overcome fatigue society that in-depth boredom, a will to discontinue and hesitate, recovery of a life of meditation, and courage to say ‘No’ Direction is so much more important than speed. Therefore,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a chance of meditation.

      • KCI등재

        Globalization and Korean Nomadism

        Changnam L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이 논문은 전통적으로 정주적인 특성을 지녔던 한국사회가 도시화와 글로벌화와 더불어 유목화 경향을 보이는 현실에 착목하여, 그 핵심이 되는 사회사상적 경향을 노마디즘이라는 개념으로 파악하고 그 긍정적, 부정적 양상들을 검토하고 있다. 흔히 유목주의로 불리는 노마디즘은 사회의 유동성이 증가하고, 전통적인 공동체와는 다른 사회적 그룹화가 이루어지는 현상에 대한 사회사상적 표현이다. 이와 더불어 문화적으로도 민족주의적 정체성을 견지하는 일 보다는 다문화적 혼종성이 새로운 가능성으로 부상하게 되고, 국민국가적 단일성의 이념도 새롭게 재고되며, 종래와는 달리 직장간 ‘이동’도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변화된 의식을 요구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마디즘의 사회변혁적 계기는 종종 신자유주의 글로벌화를 동반한 제반 사회적 문제로 인해 한국사회에서는 시장 제국주의로 오해되어 학계의 논쟁을 촉발하기도 했다.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세계화가 정책적으로 시도될 무렵 찾아온 금융위기와 IMF 관리 체계 하에 들어감으로써 겪게된 질곡으로 인해 세계화와 더불어 노마디즘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된 현상을 분석한다. 하지만 논문은 들뢰즈, 마페졸리를 비롯하여 철학, 사회학 분야의 노마디즘 일반과 관련된 여러 관련 사상들을 고려하고, 현대 한국사회의 도시와 문화 의 제반 영역에서 나타나는 여러 유목적 경향들을 검토하면서 한국의 노마디즘을 예의 시장자본주의의 신제국주의와 동일시하는 것은 착오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노마디즘은 오히려 강대국과 자본의 초국적 지배에 저항하는 사상이며, 동시에 유동하는 글로벌 사회에서 배타적 민족주의로 회귀하지 않으면서 열린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대안적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 개념이라는 것이다. 현대 한국사회에는 외국인의 수가 급증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해외 한인의 수도 크게 늘고 있다. 그만큼 과거적 의미의 배타적 경계 안에 머물고자 하는 태도와 경계 없는 초국적 자본의 논리를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태도는 모두 지양될 필요가 있다. 논문은 그러한 양 극단을 반성적으로 재고하고, 창발적으로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인식적, 실천적 비전으로서 노마디즘을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nomadism,” considering the changes of modern Korean society from being sedentary to nomadic through urbanization and globalization. “Nomadism” is a word for the spiritual and social trends of a society which witnesses increasingly enhanced social movements and wherein traditional communities are replaced by new, more flexible ones. Although this tendency in Korea can be traced back to the colonial period, this paper covers it since the 1980s when the 1988 Olympic was held in Seoul and the Travel Liberation Law was enacted. Since then, transborder consciousness in people and cultural hybridity began being valued more positively than long lasting requests for cultural-national identity. However, there were critical reactions to nomadism as well. Some critics, who negatively evaluate nomadism, identify it with new liberalism which is often regarded as a kind of market-imperialism by Korean intellectuals. This criticism of nomadism can be understood in the light of how Korea experienced new liberalism with the IMF’s economic control. However, this paper highlights some misleading points in the identification of nomadism simply using an ideology advocating the attack of global capital and transnational conglomerates. It also highlights the duality of nomadism as a spiritual and social tendency and movement against transnational capital and political expansion of global powers without delving into exclusive nationalism and conservative regionalism. The Korean society must consciously transgress these by moving toward the global community.

      • KCI등재

        탈북(脫北) 디아스포라에 대한 남한 사회의 배제와 포용에 관하여

        조현상,Joe Hyeons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1

        2014년 한국 사회에 거주하는 탈북자는 27,253명에 이른다. 이들은 남한 사회에 등장한 이후 그 수가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사회적으로 커다란 관심의 대상이었다. 탈북자는 과연 어떤 존재들인가? 우리사회에서 사회문화적 배제의 대상인가 혹은 선택적으로 포용과 통합의 대상으로 위치 지워지는가? 우리사회는 이들의 실존적 정체성을 명확하게 규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탈북자들의 한국거주 현황과 실태를 자세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정체성(Identity)에 대한 규정을 시도한다. 또한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등의 측면에서 이들을 향한 배제와 포용의 수준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탈북자들에 대한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수용성의 정도를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으로 탈북자들과 관련된 정책들의 지향점에 관해 제언하고 사회통합의 측면에서 탈북자 정책이 갖는 함의를 도출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lear identity of the Escapees from North Korea those are now settled in South Korea and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 and inclusion to them in South Korea as well. in order to analyze above mentioned issues we need to recognize them as a ‘Diaspora’ From the 1990 the number of the North korean asylum seekers increased and attempted entry into South korea under the circumstance,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had better find a way to improve and renew the support programme for the escapees. The escapees from North korea should be treated somewhat differentiated from the ethnic groups living in Korea. the correct recognition of the identity of North korea escapees can derive the right countermeasure. Those terms of both social exclusion and social inclusion are mostly related to the terms of multicultural society at this moment here in Korea thus we tend to treat the escapees as one of the group of multicultural members. However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 level have different ideas about them.

      • KCI등재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도영(Gim Do 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소득수준, 교육수준, 경제활동 형태를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설정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경제적 지위의 요인들이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실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갑자기 불거진 문제가 아니지만 사회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리사회에서 발생하는 건강불평등 현상은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발생되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수준의 격차를 줄이고 국민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보건의료 차원의 정책만이 아니라 사회계층별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불평등 해소를 위한 사회적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level and medical service use by utilizing the data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fter setting the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and form of economic activity as the representative indicators to measure socioeconomic status and analyzing resulting differences in health level and medical service use, the study identified socioeconomic status as a factor influencing health level and medical service use. The phenomenon of health inequality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has not been newly confirmed, but the fact that it has continued on without any changes until recently raises a need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reality. The phenomenon of health inequality in our society takes place as social structural issues, which implies that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social interventions to resolve inequality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the social classes as well as policies at the level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in order to reduce the gap in health level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and improve the level of national health.

      • KCI등재

        한국 사회에서 타자의 문제 : 정치적 연대를 위하여

        한주희(Han Juh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에서 발생하는 타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타자 간의 정치적 연대를 형성하고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정책과 제도의 구축이 절실하다는 필요성에 의한 것이다. 대체로 타자는 지배 집단의 바깥에 있고 암묵적으로 지배 집단에 종속된 자를 포함하는 어휘라고 할 수 있으며, 보편적으로 타자의 문제는 수적 열세에 따른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로 발생한다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사회의 타자 문제는 불평등과 차별에 관련한 제도적 장치나 법률로부터 그 현상을 인식할 수 있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로 정의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타자 문제는 어떻게 발생 되었는가? 오랜 기간 지속하였던 한국의 전통적인 정치문화로부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집단주의, 권위주의, 격을 중시하는 위계질서, 상대주의・다원주의 가치관의 불용 등은 사회 내의 타자를 허용하지 않는 요소들이다. 더욱이 다문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한국 사회는 문화적 다원주의, 인종적 차별금지, 정치적・사회적・경제적 불평등과 차별 철폐 등의 압력이 기존의 전통적인 정치문화의 풍토와 새롭게 갈등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타자의 양산을 공고히 한다는 점이다. 예컨대, 이주노동자 및 국제결혼 등에 따른 외국인, 성적 소수자, 여성, 북한 이탈 주민, 비정규직 등이 한국 사회에서의 대표적 타자들이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다양한 타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타자 스스로 그 주체와 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타자 간의 정치적 연대를 형성하여 정치 세력화한다. 이를 토대로 공적 영역으로의 확대를 마련하여 지배 집단과 의 권력의 평등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대화와 소통의 영향력을 지닐 수 있는 정치적 연대로써 지배 집단과의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각기 다른 목적의 타자들은 홀로 그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지만, 평등한 사회 건설과 차이의 인정을 요구하는 공동의 목표를 가진다는 점에서 다자간의 연대는 꼭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해서 국가적 차원 타자의 권리 보장과 평등권을 주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법률 제정 등을 마련하여 타자 문제로 발생하는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극복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한 해결 방안으로 타자의 정치적 연대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 of others in Korean society by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political solidarity between others and establishing government-level policies and institutions to support them. In general, it can be said that the other is a vocabulary that includes those who are outside the ruling group and implicitly subordinate to the governing group, and that the problem of the other is universally defined as the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of society due to the numerical inferiority. Accordingly, the problem of typing in Korean society can be defined as the socially weak and the minority who can recognize the phenomenon from institutional devices or laws related to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Then, how did the problem of typing in Korea arise? It can be said that it originated from the traditional political culture of Korea that lasted a long time. In other words, collectivism, authoritarianism, class-oriented hierarchical order, and the disuse of relativism and pluralism values are factors that do not allow others in society. Moreover, entering the multicultural era, Korean society solidifies the mass production of diverse hitters in that the pressure of cultural pluralism, racial discrimination,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inequality and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creates new conflicts with the traditional political culture. For example, migrant workers and foreigners due to international marriage, sexual minorities, women, North Korean defectors, irregular workers, etc. are representative hitters in Korean society.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se various problems of the other, the other must be able to establish its own subject and identity,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form a political solidarity between the other and political power.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the equality of power with the ruling group by preparing the expansion to the public domain. Furthermore, a consensus with the ruling group can be formed through political solidarity that can have the influence of dialogue and communication. Although others with different purposes cannot exert their influence alone, multilateral solidarity is essential in that they have a common goal of equal social construction and recognition of differences. Therefore, in order to support this, the institutional device and legislation to guarantee the right to equality and the right to claim at the national level are prepared to overcome the social conflicts and divisions caused by other issues, and as a solution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for building political solid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