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문학교양교육의 필요성과 당면과제 : 부경대학교 교양교육을 중심으로

        高淳姬 釜慶大學校 2001 釜慶大學校 論文集 Vol.6 No.-

        Recently the crisis of humanities often has become an object of criticism.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essential necessity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education in current society, the evaluation of current status of detail liberal educations of humanities i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the observation of currently facing problems a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category of humanities used in this study was defined in Chapter II section 1. In section 2, the necessity of humanities in current society which is called post modern, high technology, global, information, post capitalism period was evaluated in terms of current discussions. The general trends of liberal arts and science education i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as observed in Chapter III section 1. In section 2, current status of the humanities education in liberal arts education was evaluated. The number of humanities related courses was 30 in the first semester of 2001 and the courses in humanity were not diverse but the number of lectures were increased. Currently facing problems in humanities liberal arts education i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to different aspects were evaluated. In section 1, the contents and methods improvements in humanities liberal arts education were dealt. Comparing to 26 courses i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opened 108 courses and especially 68 courses were opened in history and philosophy, which showed a good contrast. The humanities researchers' efforts to open versatile courses are indispensable. It is required that teaching methods for the humanitie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current social trend with the modernism based on the traditionalism. In section 2, the improvements of system and detail regulations in liberal arts education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ere dealt. It is required that the systematization for the rational liberal arts education reflected with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due to the lack of number of the opened liberal arts courses. Therefore, the regulational reform is required by the increase of required credit in liberal arts courses for the graduation, abolishment of maximum credit of liberal arts courses and prevention of overcrowded courses i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improve and develop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with versatile courses, members of school should put efforts and ideas such as separative contents of liberal arts courses in Daeyoun and Yongdang campus with the division of sectional domains. It is necessary that science and technology prevailing school such a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should be enforced with humanities courses in liberal arts education in current society with high technology and capitalism period

      • KCI등재

        동북아해역인문학 관련 연구의 동향과 전망 : 부경대 HK+사업단 아젠다 연구와 관련하여

        손동주(Son Dongju),서광덕(Seo Kwangde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국내 인문학계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바다를 대상으로 새로운 인문학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것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인문한국 프로젝트에 선정된 여러 사업단에 의해 전개되었으며, 부경대학교 HK+사업단도 이 가운데 하나로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부경대학교 HK+사업단의 아젠다는 동북아해역에서 전개된 다양한 인적 · 물적 교류 및 이와 함께 발생한 다양한 문화의 수용과 변화를 조사하여 현재 동아시아 지역에 존재하는 갈등과 대립을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대 이후의 바다는 전쟁의 바다였다. 이것은 동북아지역에 상존하고 있는 갈등과 대립의 씨앗이 바다에서 시작되었다는 의미다. 이런 점에서 부경대 HK+사업단의 아젠다는 1980년대 이후 국내 지식계에 등장한 동아시아 담론이 제기한 문제의식과 상통한다. 따라서 부경대 HK+사업단이 추구하는 동북아해역인문학의 성립은 바로 지금까지 해양사를 비롯한 다양한 인문학 분야의 해역 연구가 현재적 문제를 푸는 대안적 가능성을 어느 정도 갖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인문학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학계의 해역과 관련된 인문학 연구를 검토하고, 부경대 HK+사업단의 3년간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했다. Research in the humanities field related to the ocean (sea) in Korea has been active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ere may be various reasons for this, but above all, it was triggered by an interest in the sea as an object of increasing crisis consciousness in the humanities itself and the search for postmodernism. Research to cultivate new humanities thinking on the ocean (sea) has been conducted in the domestic humanities world for the past 20 years. This trend was conducted jointly by several project groups selected for the Humanities Korean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University is also conducting research in that rank.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sults of humanities research related to the ocean (sea), and to examine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e agenda of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s a practical approach to overcoming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that exist in the current East Asian region by investigating various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nd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different cultures that have occurred in the Northeast Asian sea region after the modern era. I want to pursue a plan. This somewhat overlaps with the consciousness of problems raised by East Asian discourses that have emerged in the domestic intellectual world since the 1980s. Therefore, whether or not the Northeast Asian marine humanities pursued by th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K+ project group can ultimately be established depends on the degree of alternative possibility to solve the problems that marine research in various humanities fields including maritime history has tried to solve so far. . Focusing on this point, we reviewed the humanities research related to the sea area of Korean academia,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for three years, and explor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후보

        자료포락분석(DEA)과 토빗분석(Tobit)을 활용한 대학의 효율성 분석

        이건남(Lee, Gun-nam)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EA) 모형과 초효율성(Super-Efficiency DEA) 모형을 이용하여 4년제 대학교간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 2011년도의 공시된 대학정보공시자료 중, 184개 대학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토빗모형을 활용하여 상대적 효율성의 차이를 학교의 내적요인, 외부요인에 따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CR모형을 통한 상대적 효율성 값을 보면, 비교적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이 약 25%정도이며, 그 나머지인 약 75% 정도가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취업률이 각종 정부재정지원사업 및 대학평가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초효율성 분석결과에 따라 효율적인 대학교(효율성 값 1.0이상)는 초효율성 값이 높은 대학을 벤치마킹하거나 혹은 자체적인 평가나 점검을 통해서, 반면에 비효율성을 보인 대학교(효율성 값 1.0 미만)는 벤치마킹 및 면밀한 평가를 통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 전체 대학 모두에서 투입-산출의 구조에 대한 조정이나 최적생산규모의 확보를 위한 지구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준거집단으로 출연한 횟수가 많은 DMU일수록 효율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을 하는데, 상대적 효율성 분석결과를 보면, 설립별로는 사립대, 대학특성별로는 일반대학, 규모별로는 중소규모대학이 많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을 가진 대학이 더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토빗분석 결과에서도 설립유형에서 사립대학, 규모면에서는 중소규모 대학이 취업률이 높아지도록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의 상대적 효율성 값이 대학의 규모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대학들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투입요소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넷째, 비효율적인 대학교는 효율적인 대학이 되기 각각 대학교에 적합한 효율화 전략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비효율적으로 나타난 대학들은 효율성 수준, 통일한 지역, 통일한 설립유형, 비슷한 학과 구성 등을 고려하여 비슷한 형태의 생산구조를 가진 대학을 벤치마킹 대상을 규명하고, 그들 중에서도 더 적합한 최종 벤치마킹 대상을 선택해야 한다. 이는 양자 간의 규모나 생산성 격차가 현저하게 나타날 경우 당장의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는 것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고, 그 실효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비효율적으로 나타난 대학교는 투입요소 및 산출요소의 조정을 포함한 중점개선방향에 맞게 효율성 제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efficiency of universities in Korea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Super DEA which is useful non-parametric method to evaluate the relative efficiency. In addition this study explains the differences in relative efficiency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 using censored tobit model. This study has evaluated 184 Korean universities by utilizing the national data of 2011 which has been provided on website (www.academyinfo.go.kr).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ig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fficient and inefficient universities by CCR model in Korea. About 75% of inefficient universities(less than 0.9 in relative efficiency scor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by bench-making and careful evaluation. Also about 25% of efficient Universities(more than 0.9 in relative efficiency scor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by self-evaluation and check.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efficiency scor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such as establishment type, university type, and university size by DEA analysis and Tobit analysis. Third, relative efficiency scores of university were most affected by university size. Each universities should control input-factors for greater efficiency. Fourth, considering level of efficiency, location, establishment type, university type, organization of department, each inefficient universities have to benchmark similar production structures of universities. If the scale and the productivity gap between the two universities appear significantly, the benchmarking have been tougher realistically, and its effectiveness is degraded. Fifth, inefficient universities should prepare a strategy for greater efficiency by adjusting input and output factors.

      • KCI등재
      • KCI등재

        1960~70년대 영국의 대한(對韓)기술지원: 울산공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권의석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4

        This article examines the United Kingdom's technical assistance to South Korea in the 1960s and 1970s through the foundation of the Ulsan Institute of Technology. It aims to understand the United Kingdom's interest in its technical assistance to South Korea and its impact on the Ulsan area. The United States was the leading power in providing foreign aid to South Korea in the 1950s. However, as the 1960s entered, the trend of international assistance changed. Western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Kingdom, started providing international aid after recovering from the war devastation. South Korea and the United Kingdom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bilateral cooperation through such multilateral organisations as the Colombo Plan and the International Economic Consultive Organization for Korea.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the United Kingdom declined to offer a large-scale loan to South Korea. However, with its advanced technology, the United Kingdom provided technical education in the middle of Ulsan, whose industrial areas desperately needed a new influx of skilled workers. Thanks to the continuing support from the United Kingdom, the Ulsan Institute of Technology expanded over time. Eventually, the aid programme ended in 1979, when the partnership betwee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lsan Institute of Technology turned into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British institutions. However, the Ulsan Institute of Technology served the region and the state's development and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South Korean-British relations. 본 논문은 1960년대 후반 울산공과대학이 영국의 원조를 통해 설립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영국과 한국이 영국의 기술 원조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이해관계를 분석하고, 울산공과대학의 설립과 운영을 위한 양국의 협상 과정을 분석하였다. 1950년대를 거치면서 한국에 대한 원조를 주도하는 국가는 미국이었지만,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국제원조의 경향이 변화하고 영국을 비롯한 서유럽 국가들이 전후 재건에 성공한 뒤 국제원조에 참여하기 시작하면서 영국의 대외원조 가능성도 열리게 되었다. 한국과 영국은 다자간 국제 협력 기구인 콜롬보 플랜을 통해 기술교류 및 협력사업을 수행하였고, 1960년대 한국에 대한 경제지원을 위해 설립된 대한국제경제협의체를 통하여 원조를 논의할 수 있게 되었다. 1960년대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영국은 한국에 대한 대규모 차관 제공에 난색을 표했지만, 기술협력 방식을 통해 한국에 영국 원조를 통해 초급대학을 설립하는 방안에 대해 양측이 동의하였다. 한국은 당시 산업단지가 들어서고 중화학 공업단지를 위한 인력이 부족하던 울산에 기술대학을 세운다면 기술자 양성을 기대할 수 있었고, 영국 입장에서는 비록 무상원조라 하더라도 대규모 차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아시아 반공진영 국가인 한국의 경제 성장과 우호 증진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이후 울산공과대학 설립 협정은 1972년 개정되어 영국 측의 지원 액수를 늘렸고, 1975년에는 4년을 추가 연장하여 협력을 이어나갔다. 이와 같은 물적 원조뿐만 아니라, 영국 대학과의 연구 교류를 통해 대학 체제 또한 성공적으로 발전시켰다. 이후 1979년에 이르러 울산공과대학이 안정적으로 기반을 닦고 추가 전공을 개설하며 양적으로 팽창하자, 영국은 물적, 인적 원조를 중단하고 양교 간 교류를 문화, 학술 차원으로 전환하였다. 이후 한동안 울산 지역 유일한 4년제 종합대학으로 자리 잡은 울산공과대학교는 이후 지역과 국가 경제 성장에 이바지하고, 성공적인 영국과 한국의 협력사례가 되어 양국의 관계를 더욱 강화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지방소멸이 지역대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명애(Myeong Ae L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1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30년 이후 급격하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현재에도 지방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심각한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인구감소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년째 초저출산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고, 사망자수는 출생아수를 넘어서서 실질적인 인구감소시대에 접어들었다. 따라서 인구감소로 인해 언론보도에서 흔히 접하는 단어가 ‘지방소멸’, ‘인구절벽’, ‘소멸위험지역’, ‘소멸위험지수’ 등이다. 또한 인구감소로 학령인구도 따라서 감소해 대학마다 신입생 충원율 미달 사태가 발생한다. 특히 지방의 사립대는 그 여파가 상당하다. 이상호(2015)가 개발한 소멸위험지수와 허문구 외(2022)가 한국 실정에 맞게 새로 개발한 한국형 지방소멸지수(k-지방소멸지수)로 경남의 지역소멸위험도를 알아보고, 출생아수 , 인구이동 등 지표로 경남지역의 학령인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지역대학 현황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대안으로 성인학습자 확대 및 그에 따른 대학의 역할 및 지자체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지방대학은 지역의 내생적 발전을 유도하기 위한 핵심주체로서 인재육성, 지역혁신, 지역산업 발전 등을 주도할 것을 요청받고 있고, 지역의 인재들이 수도권 대학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구노력이 필요하다. 지역 대학이 사라지면, 지역경제와 일자리, 주민복지 등 모든 것이 황폐해진다. 정부와 지자체, 대학과 기업의 절대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청년들의 취업이 지속될 수 있는 여건들이 마련이 되어 경남으로 다시 돌아와서 생활터전을 잡고 결혼하고 출산을 하게 된다면 인구감소도 줄일 수 있을뿐더러 수도권으로 인구이동도 자연스럽게 줄어들어 지역은 물론 지역대학도 살아남을 수 있게 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population of Korea is expected to decrease rapidly after 2030, and even now, the phenomenon of population decline due to severe low birth rate and aging is accelerating, centering on small and medium-sized local cities. Korea has been struggling with ultra-low birth rates for 20 years, and the number of deaths has exceeded the number of births, entering an era of substantial population decline. Therefore, words commonly encountered in media reports due to population decline are ‘local extinction’, ‘population cliff’, ‘area at risk of extinction’, and ‘extinction risk index’. In addition, as the population declines, the school age population also decreases, resulting in a shortage of new students at each university. In particular, private universities in the provinces have a considerable impact. With the extinction risk index developed by Lee Sang-ho (2015) and the Korean-style local extinction index (k-local extinction index) newly developed by Ha Mun-gu et al. The current status of local universities was investigated from the population, and as an alternative, plans to expand adult learners and utilize multicultural families were presented. Universities are the main agents that lead the development of regional talent, regional innovation, and regional industries. From the local point of view, universities cannot simply be regarded as institutions that can be eliminated. This is because if universities disappear, the local economy, jobs, residents' welfare, and even the quality of life can be devastated.If the conditions for young people to continue their employment are prepared and they return to Gyeongnam, find a place to live, get married, and give birth, not only can the population decline be reduced, but also the population movement to the metropolitan area will naturally decrease, so that the region as well as local universities can survive. It will be.

      • KCI등재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지원(Kim Jiwon),박영신(Park Youngshin),양길석(Yang Kilseok),김경이(Kim Kyungy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관 및 대학생들이 대학생 인문역량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문항 개발 단계에 앞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대학생 핵심역량들의 개념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대학생 인문역량과 그 하위요인들을 정의하고, 이를 기초로 62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C대학교를 중심으로 학부 재학생 426명이 참여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 수정 과정을 통해 30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예비조사에서 구성된 30개 문항에 대한 타당화를 위해 64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다음,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합치도를 통한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확정된 문항의 양호도를 확인하였다. 공인타당도 확보를 위해 추가적으로 1,237명에게 대학생 역량평가를 실시한 뒤, 학생들의 대학생 핵심역량 평가 점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문역량 평가도구의 학생 전공별 점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도구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인문역량 평가도구에서 정의된 총 3개 요인인 성찰역량, 심미역량, 리터러시역량의 구성 요인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3개 요인으로 구성된 30개 문항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양호하며 구성타당도는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뢰도 계수는 .96으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모든 부합도 지수들이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스스로 본인의 인문역량 수준을 스스로 측정해볼 수 있도록 개발된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는 분석 결과를 통해 타당한 평가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타당화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가 지니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assessment tools for self-evaluating Humanities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Prior to the questionnaires development stage, 62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humanities competencies and their sub-factors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concepts of the core competencies already in use.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involving 426 undergraduate students at C University, 30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odifying proces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640 people to make the 30 question items constructed from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final questionnaires were final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rinsic consistency coefficients(Cronbach s α),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the final survey with 30 items was administered to 1,237 undergraduates and correl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Evidence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valid constructs with acceptable every fit indices. Results from reliabilities test were satisfactory. Also, good concurrent validity was shown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developed self-evaluating humanities competency and core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A total of three factors defined in the humanities competency assessment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ere found to be reasonable: reflection competence, aesthetic competence, and literacy competence. The reliability of the 30 statements was very good and the construct validity was satisfactory. The overall reliability coefficient was .96, and the conformit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fit indices were very good. The self-evaluating humanities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to allow students to measure their level of humanities on their own, was proved to be a valid evaluation tool for assessmen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김아람,양도연,천성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diated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that comes from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 and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ifficul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in four cities and they were asked about rejection sensi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with questionnair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so as to examine interrelations of variables by using SPSS 22.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s directly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students has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mediating experiential avoidance. Third,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has an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mediating emotional clarity. Fourth, rejection sensitiv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by successively mediating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These findings show that if a university student has high level of rejection sensitivity, the student will avoid the experience due to anxiety about rejection and have low level of emotional clarity, and in turn, it can give an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Thu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practical measures for reducing interpersonal relations difficulti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discussed and if a university student client who reports interpersonal relations problems and is sensitive to rejection is faced in practical counseling,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the student to adjust to interpersonal relations soundly through proper intervention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emotional clarit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 중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서울, 경기도, 4개 시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359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대인관계문제, 경험회피, 정서인식명확성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무성의하게 응답한 12부를 제외한 347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SPSS 25.0을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Hayes(2013)가 제안한 매개모형의 절차에 따라 경로를 분석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감성이 높은 사람은 대인관계 속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호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경험회피를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과도한 불안을 느껴 회피반응을 보여 대인관계가 여려워 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정서인식명확성을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민간성이 높을수록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파악하는 능력이 떨어져 대인관계에서도 부적절한 반응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은 경험회피와 정서인식명확성을 순차적 매개하여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이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타인의 거부반응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경험을 회피하고 이로인해 고통스러운 정서나 생각을 지속적으로 피하게 되어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 내담자의 대인관계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과 전위공격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최성경,김은석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전위공격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 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3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무응답 및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27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거부민감성, 전위공격성, 우울 간 상관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제외하고 내현적 자기애, 거부민감성, 전위공격성, 우울 간의 직접 경로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전위공격성을 통해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가 대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전위공격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 상담 장면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으로 인해 촉발된 우울 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에게 어떻게 개입해야 할지 임상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들이 타인의 의도를 왜곡하지 않고 적절하게 해석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음을 드러내며, 특히 거부 단서에 대한 과민성으로 인해 유발된 공격성을 전치시키지 않고 직접적인 소통 과정을 통해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implicit narcissism affects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whether rejection sensitivity and displaced aggression sequentially mediate in the process. To this en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39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among the collected data, data from 276 students, excluding non-response and insincere responses, were used for anlaysis. To confirm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AMO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implicit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displaced aggression, and depression were all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direct paths between implicit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displaced aggression, and depression were all found to be significant, except for the path through which rejection sensitivity affects depression. Third, the simple mediation effect of implicit narcissism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through displaced aggres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displaced aggression was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implicit narcissism affecting the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se results provide clinical implications on how to intervene in university counseling settings with the students who complain of depressive problems caused by implicit narcissism. It reveals that there is a need to help them properly interpret the intentions of others without distorting them, and in particular, it suggests that a process is needed to help resolve conflicts through a direct communication process with the object without predisposing the aggression caused by hypersensitivity to the rejection clue. Finally, based 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limitation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