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왕조의 ‘백제략유료서(百濟略有遼西)’ 기사(記事) 서술과 인식 - 백제군(百濟郡) 설치를 중심으로 -

        백길남 ( Baek Kil-nam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5

        이 글에서는 『梁書』 백제전의 ‘自置百濟郡’ 구절을 중심으로, 中國史書의 편찬시기에 따라 ‘百濟略有遼西’ 기사 서술에 차이가 있음을 주목했다. 이런 현상은 중국왕조의 사서 서술방식과 백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이해된다. 北朝와 대립했던 南朝는 周邊諸國에 대한 실질적인 규제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상태였다. 남조는 주변제국과 朝貢·冊封관계 속에서 형식적이나마 자국의 대외적 위상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宋書』 등 남조 시기에 편찬된 사서의 외국전은 조공·책봉관계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외교기사 위주로 서술됐다. ‘백제약유요서’ 정보는 남조의 결핍을 채워줄 만한 흥미로운 소재였다. 백제가 晉朝 국명과 결합된 晉平郡縣을 설치했다는 것은 남조의 충실한 ‘藩國’임을 상징할 만한 사건으로서 해석될 수 있었다. 반면, ‘백제군’은 진평군을 대신하여 설치된 지명이었고 특히 ‘스스로 설치했다’는 표현은 ‘私假制’가 활발히 운영된 남조와 백제의 조공·책봉관계 양상과 충돌한다. 따라서 ‘자치백제군’ 정보를 인지했다하더라도, 『송서』에는 최종적으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唐朝는 南北朝의 자료와 인식을 계승하여 남북조 各國史를 편찬했다. 『梁書』는 남조의 자료와 대외인식을 바탕으로 저술됐다. 그리고 『양서』에는 당 시기까지 축적된 백제에 대한 정보가 반영됐고 「梁職貢圖」와 같은 南朝人의 견문 내용이 적극 인용됐다. 그리하여 『양서』에는 백제 국력의 추이와 백제 사회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반영될 수 있었다. 이는 7세기 전반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정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보하고자 했던 당조의 대외인식과 무관하지 않았다. ‘東夷强國’으로의 백제의 성장과 ‘백제’ 국호의 유래에 대한 唐人의 이해가 증대되는 가운데, 『양서』에 ‘자치백제군’ 구절이 採錄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description of the ‘Baekje Occupies Liaoxi’(‘百濟略有遼西’)’ article based on the time period of when the history books was produced in Chinese Dynasties. The situation of Southern Dynasties(南朝) which was in conflict with Northern Dynasties(北朝) sought to secure an international status in formality within the tributary appointment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us, the volumes on foreign countries in Song Shu(宋書) and other compilations of Southern Dynasties were written focused on the articles on diplomacy that revealed the tributary appointment relationship. The fact that Baekje installed a Jinpyeong-gunhyeong(晉平郡縣) that is related to the Jin Dynasty could be interpreted as an account that symbolized a faithful tributary country(藩國) of Southern Dynasties. However, the passage that ‘Bakeje-gun’ was installed in Jinpyeong-gun and especially the line that states that it was ‘established on their own’ disputed with the conditions of the tributary appointment relationship. As such, it is assumed that even though they were aware that ‘they established Baekje-gun’ it would not be reflected in Song Shu. Liang Shu(梁書), information gathered about Baekje until the Tang period was reflected, and contents of experience of the Southern Dynasties people such as the Liang chih-kung-tu(梁職貢圖) were actively cited. This is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Tang Dynasty which wanted to secur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ircumstances of the three dynasties of Goguryeo, Baekje, and Shilla in the early seventh century. The Tang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growth of Baekje and the origin of the country name ‘Baekje’ increased, the passage stated ‘They established Baekje-gun’ in Liang Shu was recorded.

      • KCI등재후보

        백제 국제관계사 연구동향과 시기구분 시론

        박윤선 ( Youn Sun Park ) 백제학회 2015 백제학보 Vol.0 No.13

        백제의 대외관계, 즉 국제관계 관련 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상당 수준에 올라 있다. 그러나 아직 어떤 내용을 백제의 국제관계 연구라 해야 할지 보편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검토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는데 어려움을 느꼈다. 이에 본고는 백제의 국제관계사를 관계사의 주체인 백제와 객체인 상대국가의 변화를 기준으로 시기 구분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백제 국제관계 관련 연구의 범위와 백제국제관계사에서 획기가 되는 중요 사건들을 확인하고, 그 중요 사건들과 관련된 연구성과로 검토대상을 한정하였다. 백제의 국제관계사는 우선 주체인 백제가 어떠한 상태였는지 즉 국가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고대국가 완비이전단계와 고대국가단계 그리고 멸망이후 등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교류주체인 백제의 국가단계의 확인과 의식은 시기적 구분의 기준이 됨과 동시에, 동일시기 안에서 국가적(공적) 주체뿐 아니라 개인적(사적)주체의 구분에 의해 백제 국제관계사 전체를 보다 구조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하였다. 다음으로 핵심단계인 고대국가단계 전체 시기는 관계의 객체인 상대국에 따라 양분하였다. 백제가 가장 중시했던 국가가 그 기준이 되는데, 백제의 국제관계에서 고구려를 가장 중시했던 관산성전투 이전시기(제Ⅰ기)와 신라를 가장 중시했던 그 이후 시기(제Ⅱ기)가 그것이다. 그리고 Ⅰ, Ⅱ기는 각각의 시기에서 그 다음으로 중시되었던 신라나 고구려와의 연맹 혹은 연합 관계를 기준으로 양분되었고, 다시 그 하부의 시기구분기준으로는 각각 가야와 중국의 통일왕조 수 당이 작용했다. 이렇게 획기의 기준이 되는 연구내용으로 한정하여 연구동향을 약술하고자 하였으나, 그 외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뤄졌던 남조와의 관계 등의 관련성과에 일정하게 지면을 할애하지 않을 수 없었다. 대분기의 기준이 되었던 국가부터 소분기의 기준국가의 순서대로, 즉 Ⅰ기의 경우 고구려, 신라, 가야의 백제국제관계에서의 비중이 차례로 낮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기준으로 작용했던 국가와의 관계범위와 그렇지 않았던 국가와의관계는 그 성격이 본질적으로 달랐다고 생각된다. Research on Baekje’s foreign relations (international relations) has reached both a considerab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evel. However the lack of a general standard to determine whether a certain material is research on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 or not causes hardships in confining the range of examinable material. This article therefore attempts to chronologically classify Baekje’s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the change of the subject Baekje and object, the corresponding nation’s relationship. In this process, I have ascertained the main events that act as milestones in Baekje’s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range of research on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 and limited the range of examinable material to research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mian events. Baekje’s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tes according to the subject Baekje’s status as a country. Thus I have divided the history into before Baekje was an ancient country, when it was an ancient country, and after its demise. Next, I divided the main state, when Baekje was an ancient country, into two according to the object, the corresponding nation. The standard is which country Baekje most concentrated on, Koguryeo before the Kwansanseong-battle era (Era 1) and Shilla(Era 2) after that. Era 1 and 2 are respectively divided according to the alliance or league like relationship with the next most important Koguryeo or Shilla, and the standard of division for that substructure is Gaya and the united Chinese dynasty Sui and Tang. I attempted to provide a brief account of the trend of research by limiting it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milestones, but I couldn’t overlook the relationship with the Southern Chinese dynasties that had been the topic of previous research several times. The importance of a country in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 declines from the standard country of the big division to the standard country of the small division, thus in Era 1 from Koguryeo, Shilla, and Gaya. Also the relationship of a country that acted as a standard and one that did not is deemed to be intrinsically different.

      • KCI등재

        2017년 웅진·사비기 백제사 연구 성과와 과제

        박지현 ( Park Ji-hyun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4

        이 글은 2017년에 발표된 웅진·사비기 백제에 관한 문헌사 분야의 연구 성과를 정리한 글이다. 연구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논문들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각 논문의 주요 논지를 간단히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연구 경향에서 보이는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언제나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정치·정치제도 외에 대외관계, 멸망기 분야의 연구가 많이 제출되고 있다. 백제 멸망기에 대해서 박사학위논문 1편을 포함하여 총 10편의 연구가 제출되는 등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최근 중국에서 계속 발견되고 있는 백제인 묘지 자료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외관계사는 2016년과 마찬가지로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으며, 백제사 연구의 외연 확장과 함께 앞으로도 이러한 경향성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외연 확장의 측면에서 중국계 백제인과 왜계 백제인에 대한 연구도 주목된다. 대외관계사가 백제라는 정치체의 활동상을 고대세계 속에서 폭넓게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이들 중국계·왜계 백제인에 대한 연구는 ‘백제인’의 개념을 확장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개념 규정과 백제인의 범위를 설정하는 기준에 관하여 충분한 논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문화사 분야 중 국가제사를 다룬 연구가 단행본을 포함하여 모두 6편이나 제출되어 국가제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특징적이다. 이는 2015~2016년에 걸쳐 한국 고대 국가제사에 관한 박사학위논문이 3편 제출되면서, 이 분야 연구자들이 활발하게 연구활동을 하고 있는 것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ture on Baekje history in the period of Woongjin and Sabi, analyzing the articles and reports published in 2017. To effectively explore the current research trend, the sample studies have been classified by their subjects and main findings. Political history has been the most popular subject, followed by the era of Baekje’s fall. The recent discoveries of Baekje refugees’epitaphs contribute to this trend.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as been significantly highlighted in the field since 2016. Given that the scope of the literature on Baekje history has been expanded, scholars would continue to shed light on this topic in the following years. Regarding expanding the scope, scholars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immigrant group-Chinese Baekje people (中國系 百濟人) and Japanese Baekje people(倭系 百濟人). The research on these immigrant groups expands the range of Baekje people, while the studies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im to explore the international activities of Baekje state in the ancient times. However, scholars should further discuss the issues including a clear definition of ‘Baekje people’ and the boundaries of this group. It is a current problem that both ethnicity and territory are used to regard someone as Baekje people.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six articles or studies on the state ritual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cultural history during the year. Researchers have actively engaged in this field, as shown in the three doctoral dissertations that focused on the ritual of Korean ancient states.

      • KCI등재

        백제 지역 출토 월요청자 및 관련 문제

        李軍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4

        본문은 한국 백제 유적에서 출토된 중국 조기 월요 청자를 통해, 그 연대와 분포지역, 기종, 용도 등 여러 방면을 고찰하였고, 중국 조기 월요 청자가 백제로 유입하게 된 방식과 해상 노선 등 기초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시에 변산반도와 죽막동 유적을 둘러싸는 해항노선상의 주요 위치와 그 역할에 대해 상세히 논하였다. 한국 백제지역에서 중국 六朝시기 100여 점의 도자기가 출토되었다. 그 중 중국 조기 월요 청자에 속하는 개체를 총 합한 수는 24점(편)이고, 주로 백제 한성시대의 수도 한성(현 서울), 그리고 웅진(현 공주), 사비(현 부여)의 세 수도를 중심으로 한 주변 지역의 토성유적, 생활유적, 고분과 제사유적 등에서 출토되었다. 그 중 한성에서 가장 출토가 많이 되었고, 월요 청자는 대부분 東晉의 것이며, 수도가 존재한 시기와 부합한다. 백제 지역에서 출토된 조기 월요 청자는 주로 浙江宁绍平原, 上虞曹娥江 중류 지역과 慈溪上林湖, 古银锭湖区域의 것이다. 조기 월요 청자의 종류를 살펴보면, 완, 발, 관, 호, 호기, 벼루, 양 형기 등이고, 출토 기물의 기능으로 말하자면, 주로 식기, 盛贮器(불교그릇), 차구, 문방용구, 위생기구와 장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출토 기물의 다양성은 당시 漢문화를 특징으로 한 중국 생활 방식과 풍습이 백제로 전파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문화 전파의 가장 두드러지는 현상은 한자와 서예 예술을 주 내용으로 하는 漢문화 전파와 중국 차 문화의 전파이다. 백제로 유입된 조기 월요 청자는 반드시 해외 교역 상품과 조공품으로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해야 하고, 당시 양국 관방과 민간의 왕래와 연관이 있다.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조기 월요 청자는 아래 4가지 방식으로 백제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 관방 교역이 양국 교류의 주도적 역할을 하여 양국 사신과 수행원의 왕래가 빈번하였다. 조공기간에 수도 建康에서 지낸 백제 사신들이 청자 그릇을 구입해 돌아갔을 가능성이 굉장히 크다. 또한 동진의 권세 가문이 백제의 사신을 응대 했을 때 준 선물일 가능성이 있다. 한편으로는 東晉 사신이 백제로 갔을 때, 최신 유행하는 예물로서 백제의 관련 인사에게 선물로 주었을 가능성도 있다동진시기 백제 승려들이 중국으로 가서 구법을 하였다. 또한, 중국 남방 도성 建康과 백제로 승려들이 빈번하게 오고 갔으며, 동시에 중국 일상 용품의 도자기를 몸에 지니고 백제로 들어왔을 것이다. 한국에서 발견된 중국도자기 중 제사용품이 이를 증명한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한국에 현존하는 백제 사찰과 무령왕, 성왕왕릉 등의 유적들은 南朝 형식과 비슷한데, 이는 중국에서 여러 번 능숙한 공인들을 파견하여 기술을 전파하였고 장인 기술자들이 백제를 왕래할 때 일상생활 용품 자기를 휴대하였다. 낙랑, 대방군의 유민과 당시 중국 遼東 등 내지에서 남하한 漢人 유민들이 한반도로 유입되었고, 황해남도 신천군과 주변을 중심지역으로 漢人 거주구역이 형성되었다. 이 지역에 중국 三國時期부터 東晉 전기까지 속하는 월요 청자가 발견되었는데, 유민들이 정착하며 남긴 물건이다. 東晉-南朝시기 기존의 해상 노선이 막혀 백제와 중국 남방 사이에 한성, 웅진과 사비 등 지역을 출발지로 하는 새로운 노선을 개척했다. 한강 혹은 금강 하류를 지나면 강화만과 군산만에 다다른다. 이어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항해하고 황해를 건... By analyzing the dynasties, geographical presence, types of ware and functions, as well as the historical records of both China and South Korea,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dium, approaches and shipping routes of Yue Kiln Celadon Porcelain into Baekje, meanwhile illustrating the important role of Beonsan Peninsula and Jumakdong site on the shipping routes. More than 100 pieces of porcelain wares have been unearthed in Baekje, of which 24 are Yue Kiln Celadon Porcelain. Most of the porcelain is found in the then capital Seoul (today’s Seoul), and the city walls, residence sites, ancient tombs and worshiping sites in the neighborhood of Seoul, Woongjin (today’s Kongju), and Sabi (today’s Buyeo). Seoul witnessed the largest amount of porcelain unearthed. The dynasties of the Yue Kiln Celadon Porcelain roughly coincide with the existence of dynasties in history. The Yue Kiln Celadon Porcelain unearthed in Baekjae are mainly produced in Ningshao Plain of Zhejiang Province, in the middle reaches of Cao’e River of Shangyu City, Shanglin Lake and Guyindian Lake in Cixi City. A variety of different wares are found, including bowls, jars, pots, urinals, ink stones, sheep-shaped containers, etc. As regard to functions, there are table wares, storage containers, tea sets, stationeries, sanitary wares, decorative wares, etc. The diversity of the wares shows that the Chinese culture, living style and customs had get across to Baekje at that time, in particular the Chinese characters, calligraphy and the Chinese tea culture. The import of Yue Kiln Celadon Porcelain into Baekje should be a result of the frequent people-to-people exchanges between the two sides, both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instead of via trade or as gifts from the Chinese government.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there might be four approaches. The period has witnessed frequently two-way flows of diplomatic envoys and attaches. The envoys from Baekje might have bought celadon porcelain wares or received as gifts from their Chinese counterparts during their visit in China and brought them back home. Likewise, Chinese envoys in East Jin Dynasty might have brought porcelain wares to Baekje as gifts to local people. In East Jin Dynasty, a lot of monks from Baekje travelled to China to learn Buddhist doctrines. During their journeys, they also brought the porcelain wares they used in China back to Baekje. This view is evidenced by some Chinese porcelain unearthed in South Korea proven to be worshiping wares. The existing Baekje Temple and the tombs of King Muryeong and Seong in South Korea are similar with the tomb styles in the southern part of China. The above-mentioned fact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indicate that China had sent skilled craftsmen for many times to Baekje to teach local counterparts, and they might have taken porcelain wares and other daily necessities with them. The former residents in Lelang and Daifang Commanderies and in East and West Liao Kingdom migr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us formed a Han neighborhood with HwangHaeNamDo Shincheon Gun at its core. The Yue Kiln Celadon Porcelain dating to Three Kingdoms Period till early East Jin Dynasty discovered in this area could be left by those immigrants. In East Jin Dynasty, as the traditional shipping route was blocked, a new shipping route between Baekje and the southern part of China was explored, starting from Seoul, Woongjin and Sabi, traveling along Han River and Geum River and then flowing into Ganghwa Bay or Kunsan Bay, and all the way southward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and across the Yellow Sea to reach the mouth of Yangtze River to Jiankang. In the late East Jin Dynasty, another “North-to-South” route was established via Shandong Peninsula, across the Yellow Sea, to the Ganghwa Bay i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its unique maritime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location, Beonsan Peninsula had become an ideal stop-over and transfer s...

      • KCI등재후보

        최근 백제사 연구 성과와 동향 -2013년도 연구 성과를 대상으로-

        문동석 ( Dong Seok Moon ) 백제학회 2015 백제학보 Vol.0 No.13

        2013년도 백제사의 연구 성과와 동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연구휘보』제161호(2013. 6. 10)~제164호(2014. 6. 10)를 대상으로 2013년 백제사 연구 성과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 대략 140편이 넘는 논문을 찾을 수 있었다. 그 가운데 전문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것들과 학위논문들, 그리고 고고학 분야를 제외한 문헌사 중심의 논문 연구 성과와 동향을 다루었다. 2013년도 백제사 연구 동향은 고고학적인 성과를 바탕으로 문헌 자료를 해석하고 있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문헌 연구자들이 고고학 자료를 어떻게 수용하고 해석할 것인가가 앞으로 백제사 연구의 큰 과제라 하겠다. 한편 2013년도 백제사 연구 성과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현혜에 의해 3세기 후반 백제 고이왕대의 정치·사회적통합 수준이 연맹왕국 단계에 이르렀다는 기존의 통설에 대한 새로운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그 동안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졌던 백제 고대국가 형성사를 새롭게 만들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고이왕대부터 근초고왕대까지 새롭게 볼 연구 방법론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한편 2013년도에 소개된 백제사 연구 성과 중 40대 이상의 기존 연구자들의 논문이 90% 이상을 차지고 하고있다. 이는 20~30대 젊은 연구 인력이 백제사로 확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백제사로 신진 연구 인력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각 세대와 백제학회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해졌다고 할 수 있다. I have examined studies on History of Baekje published in 2013. In order to examine the studies, I looked in a bulletin for Korean Historical Studies(『한국사연구휘보』) Vol. 161(2013.6.10.)~Vol. 164(2014.6.10.) and found articles over 140 pieces. I excluded unprofessional articles, graduate theses, and studies based on Archeology from the articles and focused on historical articles. Most of studies published in 2013 not only analyze literature materials but also refer to archeology materials. A future challenge in studies on History of Baekje is how researchers utilize archeology materials. The most notable article is a study published by Lee, hyun hye. She argued that a common theory about the level of socio-political integr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Koi should be reconsidered. This study allows us to rebuild a history of the state formation process in ancient Baekje coutrny. Meanwhil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by over 40’s age research group. It means that an age 20~30 young research group has not made up in the study field of History of Baekje. I think that it is in nee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young researchers on the field.

      • KCI등재

        문헌사료로 본 백제의 마한 통합과정

        정동준 백제학회 2019 백제학보 Vol.0 No.29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Mahan, this paper reviewed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relat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which was problematic in the prevailing theory, and examined literature materials and related studies on the south of Geum River and north of Noryeong Mountains, Yeo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 The summary is as follows. This paper reviewed the article of King Onjo of Baekjebongi(百濟本紀) in Samguksaki (三國史記) and literature material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Byeokgolje which were materials on Baekje’s annexation of Mahan before the reign of King Geunchogo, and also reviewed the Jinguki(神功紀) of Nihonshoki(日本書紀) which was material on annex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The results of the review showed that all three materials lack of evidence that Baekje’s annexation was completed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be convinced that the prevailing theory before the 1990s was a theory proven through literature material. This paper also reviewed Baekjejeon(百濟傳) of Chinese official history and Oujinki(應神紀) of Nihonshoki which were literature materials on the trends in southern area of Geum River after the 5th century. Both materials showed that Baekje did not carry out the territorialization of the area until the 5th century. This article examined various literature materials on the trends of You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s after the 5th century, including the Samguksaki, Nihonshoki, Baekjejeon of Chinese official history. Through these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the Yeongsan River basin became a part of Baekje's territory at some point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and that the small states of Yeo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 which had remained in the state of ‘subjugation’ until the reign of King Muryeong, were territorializ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Seomjin River basin, such as Gimun(己汶) and Daesa(帶沙), was incorporated into Gun(郡: county) which was a territory of Baekje no later than 600, and that the Dam-ro system(擔魯制) was implemented in the 530’s and the five Bang(方: province) system in 540s. 이 글에서는 백제와 마한의 관계에 대하여 먼저 통설에서 문제가 되었던 근초고왕대 백제와 마한의 관계에 대한 사료와 관련연구를 재검토하고, 금강 이남 노령산맥 이북, 영산강 및 섬진강 유역의 순서로 사료와 관련연구를 검토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근초고왕 이전 백제의 마한 통합에 대한 사료로서 『三國史記』 百濟本紀 溫祚王조와 벽골제 축조 관련 사료, 근초고왕대 백제의 마한 통합에 대한 사료로서 『日本書紀』 神功紀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3개 사료 모두 근초고왕대에 백제의 마한 통합이 완료되었다는 근거로 부족한 점이 있어서, 1990년대 이전의 통설은 적어도 문헌사료로 입증된 학설이라고는 하기 어려웠다. 5세기 이후 금강 이남 지역의 동향에 대한 사료로서 中國正史 百濟傳, 『日本書紀』 應神紀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두 종류의 사료 모두 5세기까지 백제가 금강 이남 지역에 대한 영역화를 관철하지 못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었다. 5세기 이후 영산강 및 섬진강 유역의 동향에 대한 사료로서 여러 사료 『三國史記』·『日本書紀』, 中國正史 百濟傳 등 여러 사료를 검토하였다. 이들 사료를 통하여 영산강 유역이 6세기 중반의 어느 시점에 백제의 영역이 되었고, 무령왕대까지 ‘복속’에 머물렀던 영산강 및 섬진강 유역의 소국들이 성왕대에 영역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己汶·帶沙 등 섬진강 유역이 늦어도 600년을 전후한 시점에는 백제의 영역으로서 郡으로 편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530년대에 담로제가, 540년대에 5방제가 실시되었을 가능성도 엿볼 수 있었다.

      • 『일본서기(日本書紀)』 편찬과 백제계(百濟系) 사관(史官)

        박재용 백제학회 2011 백제학보 Vol.0 No.6

        720년에 완성된 『日本書紀』는 수십 년 동안 백제계 사관의 역사서술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였다. 推古朝에 최초의 백제계 사관이 등장하여 「國記」를 편찬하였다. 그 「國記」는 『일본서기』 편찬의 시작을 알리를 天武朝의 ``記定`` 사업의 근간이 되었다. 天武·持統朝에 천황과 씨족의 근원을 밝히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각 씨족들은 백제계 사관이 작성한 대외관계기사를 바탕으로 조상들의 활약상을 과대 포장하였다. 이후 율령 국가의 시작인 文武朝를 거치면서 체재 등의 골격이 완성되고, 『일본서기』 편찬의 최종단계언 元正·元明朝에도 많은 백제계 사관이 투입되었다. 그들은 당대 유명한 문인들로 『일본서기』의 문장이나 체재를 정비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백제계 사관은 일찍이 백제왕이 보냈거나, 망명 백제인들의 후손들을 일컫는다. 백제계 사관들이 『일본서기』 편찬에 가담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집안의 내력이나 개인적인 능력도 있었겠지만, 당대 가장 큰 세력가인 藤原氏와의 관계를 무시할 수 없다. 여러 자료를 검토한 결과 백제계 사관들은 藤原氏와의 관계가 매우 밀접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이 머물고 있던 곳은 공통적으로 畿內, 그 가운데에서도 河內 지역에 대부분 거주하였다. 이들은 서로 동족관계를 맺고 기내의 유력씨족들과 결탁함으로써 계속해서 사관집안 혹은 유명한 문인집안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동시에 이것은 『일본서기』 편찬에 계속 투입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게 되었고, 『일본서기』 이후의 사서 편찬에도 참여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720年に完成した『日本書紀』は, 數十年の間, 百濟系史官の歷史敍述に多くの部分を依存した. 推古朝に最初の百濟系史官が登場し, 「國記」が編纂された. その「國記」は, 「日本書紀」編纂の開始を告げる天武朝「記定」事業の根幹となった. 天武, 持統朝に天皇と氏族の根源を明らかにする作業がなされる過程においては, 各氏族は百濟系史官が作成した對外關係記事を土台に, 自身の氏族の活躍像を誇大表現した. 以後, 律令國家の開始である文武朝を經る中で, 體制などの骨格が完成され, 『日本書紀』編纂の最終段階である元正, 元明朝にも多くの百濟系史官が投入された. 彼らは當時著名な文人であり, 『日本書紀』の文章や體制整備を擔っていたのであろう. 百濟系史官が『日本書紀』編纂に加わることができたのは, その一族の來歷や個人的な能力もあったが, 當時最も大きい勢力家であった藤原氏との關係を無視することはできない. 樣樣な資料を檢討した結果, 百濟系史官は藤原氏との關係が非常に密接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 百濟系史官は, かつて百濟王に派遣された者や, 亡命した百濟人の子孫であるが, 彼らが留まっていた地域は決まって畿內であり, その中でも河內地域に大部分が居住した. これらは互いに同族關係を結び, 畿內の他の有力氏族らと結託することによって, 引き績き史官家あるいは著名な文人家に成長することができた. 同時に, これは『日本書紀』編纂に繼續して投入される資格を得ることとなり, 『日本書紀』以後の史書編纂に加わる基礎となった.

      • KCI등재

        전북지역 마한·백제묘제의 양상과 그 의미

        최완규 ( Choi Wan-kyu ) 백제학회 2016 백제학보 Vol.0 No.18

        전북지역의 지형은 동고서저로서 금강하구·만경강·동진강 등 세 하천이 서해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 이들 세 하천을 중심으로 선사시대부터 끊임없는 문화 활동이 이루어져 왔고, 마한에서 백제시대에 걸쳐 각기 다른 분묘 축조양상을 보이고 있다. 금강하구역은 백제 한성기부터 사비기에 이르기까지 대외관문으로서 교통의 요충지였을 것으로 백제 중앙으로부터 꾸준한 관리대상 지역이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기층문화라 할 수 있는 마한 분구묘가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다른 지역과 달리 5세기 중엽부터 백제 석축묘가 축조되었음이 확인된다. 만경강을 중심으로 남과 북의 익산이나 완주·전주지역에서는 점토대토기와 흑도장경호가 부장되는 토광묘가 제의유적과 더불어 집중적으로 발견되고 있는데, 마한 정치체 성립의 주체세력으로 상정된다. 따라서 이 지역에는 마한문화의 전통이 다른 곳보다 강하게 유지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곧 백제 영역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마한 분구묘 축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전주 혁신도시의 발굴조사 결과, 백제 석축묘의 축조과정에서도 마한 분구묘의 주구굴착 전통이 횡혈식석실분에도 지속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동진강유역의 정읍 고부지역에는 운학리나 지사리와 같이 마한 분구묘가 제법 규모를 갖추고 있어 지배자 계층의 분묘로 추정된다. 이들 유적과 동일한 시간축에 있는 김제 벽골제는 강력한 경제적 기반이 되었고, 부안 백산성은 물류 거점과 같은 역할을 했을 것으로 발굴결과 확인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비시대에 지방통치의 거점이 되는 백제 중방 고사부리성이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중방성의 치소는 고사부리성이며, 은선리 고분군을 비롯한 백제 횡혈식석실분이 집중적으로 축조되고 있는 점은 백제 중앙세력의 진출을 증명하고 있다. 특히 고창 오호리 3호 석실분에서 출토된 청동인장은 백제 지방행정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결국 전북지역의 백제문화는 강력한 마한문화 전통 위에서 금강하구·만경강·동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각 각의 정치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전개되어 간 것으로 살필 수 있다. The geographical terrain of the Jeonbuk area is characterized by high elevation in the east and low elevation in the west, which allows for the flow of the Geumgang River, Mangyunggang River, and Dongjingang River into the Yellow Sea. Since prehistoric times, the area around the three rivers has been the center of cultural activities and from the Mahan Period until the Baekje Period, tomb construction methods went through varied degrees of changes. The estuary of the Geumgang River, serving as the external gate of the region was a strategic traffic point from the Hansung Baekje Period to the Sabi Baekje Period. Hence, the region must have been constantly under surveillance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Baekje Kingdom. Consequently, Mahan mound tomb, which can be regarded as representative of the region`s basic culture, ceased to evolve and gave way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to the stone chamber tombs of the Baekje Period. This wasn`t the case in other regions where Mahan mound tombs continued to be used. A series of pit tombs were discovered along with ritual relics in the areas south of the Mangyunggang River, north of this river in Iksan, and in Wanju and Jeonju areas. Inside these pit tombs were clay stripe potteries and black neck earthenwares and it is hypothesized that these tombs belonged to the ruling class that founded the Mahan Kingdom.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in these regions, Mahan traditions were maintained better than in other places. In fact, even after the Baekje domination of the region, Mahan tombs continued to be constructed. Furthermore, archaeological excavations carried out in the Jeonju Innovation City revealed that the Mahan tradition of digging ditches around the tombs continued well into the Baekje tomb construction process for tunnel style stone chamber tombs. The Mahan mound tombs that could be found in the Jeongeup Gobu region of the Dongjin River basin are speculated to be the tombs of the ruling class because of their considerable sizes. The Gimje Byeokgolje Reservoir, which belongs to the same historical period as these remains, was a strong economic base for the region. Excavations confirm that the Baeksan Fortress in Buan played the role of a distribution point. This served as the foundation on which the Baekje Kingdom`s Gosaburi Fortress was built - a site that would become the hub of regional rule in the Sabi Period. The main seat of power in the central castle was the Gosaburi Fortress. The concentration of Baekje tunnel style stone chamber tombs that have been excavated here and in Gobun-gun, Eunseon-ri, prove that the region was occupied by the main forces of Baekje. Particularly, the bronze seal found in the stone chamber excavated in Gochang, Oho-ri, provides a snapshot of regional administration during the Baekje Period. It can be said in conclusion that the Baekje culture of the Jeonbuk region was built on the foundations of Mahan cultural traditions and inspired separate polit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long the Geumgang River, the Mangyunggang River, and the Dongjingang River basins.

      • KCI등재

        백제의 고창·영광지역 지배 과정과 그 추이

        최영은 ( Choi Young Eun ) 백제학회 2023 백제학보 Vol.- No.44

        본고는 고창·영광지역을 대상으로 백제 중앙과 지역 정치체 간의 관계 변화 및 백제 지방지배 과정의 시기별 추이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백제 지방지배 연구의 주요 쟁점인 백제의 영역확장 과정과 지배방식 포착이라는 문제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5세기 중엽 이후 이 지역 정치체와 백제 중앙의 정치적 관계는 고창 봉덕리 고분군의 축조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봉덕리 고분군의 축조세력은 고대한 분구에 백제 중앙의 신 묘제인 횡혈식석실을 수용하였으며, 금동신발로 대표되는 백제 중앙의 위세품을 부장하였다. 이러한 고총 축조와 위세품 사여는 지역 정치체의 내적 성장과 백제 중앙의 지배력 강화가 결합한 산물이다. 백제 중앙은 지역 유력 세력과의 우호적 관계를 바탕으로, 노령산맥 이북에 대한 지배를 안정화하고 영산강 하류로의 수륙 교통로, 왜와의 연안항로 확보의 이점을 취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성기 후반은 백제와 고구려의 대결을 중심으로 주변국들이 관여되면서, 환서해권을 둘러싼 긴장감이 고조되고 서해 연안항로의 중요성이 제고되던 시기였다. 고창·영광지역에 축조되는 전방후원형 고분 역시 서해 연안의 지정학적 중요성이 높아지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의 전방후원형 고분은 백제 중앙과 현지 지역 집단, 그리고 왜가 서남해안 연안항로를 통해 연결되며 관계를 맺는 과정의 산물로 이해해야 할 것이며, 고분의 입지나 칠암리 1호분의 조사 성과를 통해 이러한 연결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웅진기 백제는 지방지배의 적용 대상을 남쪽의 영산강유역권으로 본격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지방지배 방식의 전환·정비를 모색하였다. 고창·영광지역 내에서도 기존에 백제 중앙과의 관계가 뚜렷하지 않던 지역에 백제 중앙과 관련된 유구, 유물이 나타난다. 이는 한성기 후반까지 봉덕리 고분군과 같은 특정 거점과의 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역을 지배하던 방식에서, 점차 전 지역을 획일적인 통치 시스템 내에 편제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어감을 보여주는 고고학적 자료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고창 흥덕면 오호리의 석실에서 출토된 청동 인장은 중앙과 밀접하게 관계되며 그 일대와 교통로를 관장했던 지방관적 성격의 인물이 존재하였음을 시사한다. 사비기가 되면, 백제는 방-군-성 체제를 통해 전 영역을 지방통치제도 내에 편제하는데, 이때 고창·영광지역은 고부를 중심으로 하는 중방의 관할에 속하게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중앙의 통치력은 중방을 매개로 각 지역 사회에 전달되었으며 분묘와 생산체제의 규격화가 수반되었다. 이로써 고창·영광지역은 백제의 완전한 ‘지방’으로 편제되었다. Baekje’s regional expansion process and strategy change of domination is the main issue of Baekje’s local governance stud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nge in relations between central Baekje and local polities and the trend of Baekje’s local governance focusing on Gochang and Yeonggwang region. Toward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ancient tombs in Bongdeok-ri were built in the Gochang regions, which reflect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local polities and Baekje. The group who built the Bongdeok-ri tombs accommodated a new graveyard, stone chamber and received prestige goods from Baekje such as gilt-bronze shoes which were found buried inside. This became possible by combining the internal growth of local polities and the strengthening of political influence of the Baekje Kingdom. The Baekje Kingdom sought to take advantage of stabilizing its control over the north of the Noryeong Mountains and securing transportation routes to the Wa(倭) of Japanese archipelago and Yeongsan River basin. During the late Hanseong-period, the confrontation between Baekje and Gogureyo raised international conflict surround the West sea. The role of Gochang and Yeonggwang regions as the port of the West Sea coastal route became highlighted. The key-hole shaped tombs built near the Beopseongpo because of increasing geopolitical importance on the West Sea coastal route. After moving its capital to Ungjin, Baekje sought to reorganize its control over the southern provinces. The aim was to organize the entire region through a uniform system, not by preferential treatment to particular local forces. The bronze seal of the Oho-ri tomb suggests the existence of local officials that dominated the area and traffic route. In the Sabi-period, Baekje implemented a prefecture system for all provinces. Gochang and Yeonggwang regions were under the control of Jungbang that was centered on Gobu. The tombs and the production system became standardized in this period. In this respect, the Gochang and Yeonggwang regions became organized as complete ‘provinces’ of Baekje.

      • KCI등재

        대방군왕 작호에 대한 고찰 - 중국과 백제의 관계로부터 -

        馮 立 君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19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title of Baekje King, ‘Daifang Dukes/ Daifang King’(帶方郡公/帶方郡王), which was canonized by Chinese emperor. Through research on the origin meaning and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title, we found several details of political relations between China and Baekje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8th century. Direct source of the ‘Daifang King’ in Tang Dynasty is ‘Daifang Dukes’ of the Northern Qi and Sui for Baekje King. ‘Daifang King’ that Former Yan and Later Yan two dynasties of Murong Xianbei(慕容鮮卑)canonized its domestic nobleman and Northern Wei dynasty canonized its domestic military generals are the source of the Northern Qi Dynasty earlier origin. Baekje have set a new Daifang Prefecture (帶方郡) after China’s Daifang Prefecture was annihilated in 314. Former Yan, Later Yan and Northern Yan are also set new Daifang Prefecture (帶方郡) in their respective kingdom, so the four countries, Baekje and the ‘Three-Yan’(三燕), all have a official named Daifang Prefecture (帶方太守). The Northern Wei and Eastern Wei also have set Daifang County(帶方縣) in their country. In a word, the term ‘Daifang’ as a place name had been a long heritage, evolving into a feature-rich politic word. It reflects the influence of the political legacy of the Chinese Empire in those various countries. In 570, Northern Qi Dynasty had canonized the vassal Baekje King(Wideok King) the title ‘Daifang Dukes’ creatively, which was continued in 581 when Emperor of Sui canonized Baekje King(Wideok King). The Baekje King was canonized by the Tang Dynasty in 624, because of Chershing Men from Afar’s(懷柔遠人) needs, the Baekje, Koguryo and Silla monarch was upgraded from the Duke to King by the First Emperor of Empire Li Yuan at the same time. When the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ang and Baekje changed, the canonized title was always unchanged simultaneously. After the demise of Baekje, Tang briefly abandoned the use of ‘Daifang King’. However, Tang restore this title very soon on account of the situation of Baekje: They put the title of Daifang King on the former prince Buyeo Yung’s head and later on his grandson Buyeo Gyeong s head. In 724, in the Fengshan Ceremony(封禪大典) of Emperor Xuanzong era of the Tang Dynasty, ‘Baekje Daifang King’(百濟帶方王) and ‘Koryo Chosun King’(高麗朝鮮王) were sitting in the first row of the vassal, indicating that the Baekje and Koguryo people have a high position in Tang’s family. As a special region in the former-Baekje territory under Tang, Daifang Prefecture (帶方州), embodies the rule of the Tang Empire. The geographical name, ‘Daifang’, show that the Tang Dynasty put former-Baekje territory and ancient Daifang Prefecture/Daifang County(帶方郡/縣) together, which is a historical imagination. 본고는 당나라가 백제를 대방군왕 작호로 책봉한 것으로부터 대방군왕의 유래 및 정치적 의의에 대한 연구에 근거하여 6세기 말부터 8세기까지 중국과 백제의 정치적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북제와 수조시기에는 백제왕을 대방군공으로 책봉하였고, 전연과 후연에서는 모용씨 귀족을 대방왕으로 책봉하였다. 그리고 북위에서는 무신을 대방공으로 책봉하였으며, 당나라에서는 대방군왕에게 작호를 하사하였다. 314년, 백제는 대방군을 점령하고 그 체제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전연, 후연, 북연은 모두 관할 경내에 대방군이라는 지명을 쓰고 「삼연」과 백제는 모두 「대방태수」라는 관직을 설립하였다. 북위, 동위에서도 대방현을 설치하였으며, 이로써 「대방」이라는 단어는 여러 가지 기능을 지닌 작호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한진제국의 정치제도가 후기 조대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체현하기도 하였다. 북제는 무평 원년(570)에 번신인 백제왕 (위덕왕)을 대방군공으로 책봉하였고 이는 개황 원년(581) 수문제가 위덕왕에 대한 책봉까지 이어졌다. 당나라 초기(624) 국내·외 형세의 제한으로 백제왕을 책봉할 때 고구려와 신라의 군주들과 함께 군왕으로 책봉하였다. 당과 백제의 책봉은 정치적 관계에 따라 변하였다. 백제가 멸망한 뒤 당나라는 잠시 대방군왕의 작호를 폐지하였지만 백제의 안정국세의 수요로 대방군왕의 작호를 다시 부여융에게 책봉하였고 손자인 부여경에게도 책봉하였다. 당 현종은 개원 23년(724) 봉선대전에서 「백제대방왕」과 「고려조선왕」을 「內蕃之臣」의 수석으로 배열하였다. 이는 당에 귀속한 백제와 고구려인들이 당조 번족 속에서의 숭고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대방주는 당나라가 백제 통치지역에서의 특수한 지리적 위치로 인하여 당의 통치자가 백제고지에 대하여 지배의식을 가졌다는 것을 찾아 볼 수 있고, 당은 「대방」이라는 지명을 백제 지역과 고대 대방군현을 연계시키려는 역사적 상상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