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베넷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의 이해와 적용

        권덕원 미래음악교육학회 2018 미래음악교육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ennett Reimer's Experience-based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its application. Reimer published the third edition in 2003 after publishing the second edition in 1989, which was revised since the publication of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in 1970. In the first and second editions, he described his own philosophy in the name of "aesthetic music education," but in his third edition, which made many revisions, he proposed his revised philosophy under the name of "Experience-based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This study mainly tried to extract contents related to our music education by mainly analyzing his philosophy explained in the third edition, focusing on his main themes.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on the theme of synergy, postmodernism, education of feeling, music theory, musical creativity, musical intelligence, and changes in the aesthetic music education. The topics that Reimer deals with in his book include contents that music educators are always encountering and thinking about. When music educators think seriously about philosophically important topics and discuss them together with mutual cooperation, the philosophy and belief in their music education become stronger and the musical experience of students who learn music to them becomes more meaningful and useful. In this study, I focus on Reimer's discussion on the above topics, and suggested some philosophical discourses that we need and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in our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베넷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리머는 1970년에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을 출간한 이후 그 내용을 수정한 제2판을 1989년에 펴내고, 2003년에 제3판을 출간하였다. 1판과 2판에서는 심미적 교육론의 이름으로 자신의 철학을 설명하였으나, 많은 수정을 가한 제3판에서는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수정된 철학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제3판에서 설명하고 있는 그의 철학을, 그가 주로 다룬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의 음악교육에 관련되는 내용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 내용은 시너지즘(상호협력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느낌의 교육, 음악론, 음악적 창의성, 음악적 지능, 심미적 교육론의 변화 등을 주제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주제들이 학생들이 가져야 하는 바람직한 ‘음악적 경험’과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 제시하였다. 리머가 그의 책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음악교육자들이 항상 부딪히고, 고민하고 있는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음악교육자들이 철학적으로 중요한 주제들에 대하여 진지하게 사고하고, 상생의 협력으로 함께 논의해 나갈 때, 음악교육에 대한 철학과 신념이 견고해지고, 음악을 배우는 학생들의 음악적 경험 역시 보다 의미 있고 유용한 모습으로 형성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주제들에 관한 리머의 논의를 중심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철학적 담론과, 그 결과 중에 우리의 교육에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평생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실제

        김선미 미래음악교육학회 2024 미래음악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 실제 평생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최근 지속적인 학령인구의 감소와 늘어나는 노령인구로 인 하여 평생음악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현대사회의 구성원들은 그들의 삶 속에서 웰빙과 행복을 추구하며 늘어나는 기대수명과 함께 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려고 한다. 또한 음악을 비롯한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늘어나면서 평생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더 커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 요구와는 달리 학교음 악교육에 비해 평생음악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 로 부족하고 실제 운영되고 있는 평생음악교육기관에서의 음악프로그램은 그 영역과 내용에 있어서 다양성이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데이비드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 교육이 추구하는 가치와 지향점을 조명하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등을 통해 평생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방향과 방법을 도출하여 구체적인 내용 영역과 교수학습방법을 고안하고 6개의 주제영역을 가지고 12세션으로 이루어진 ‘음악과 함께’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삶 속에서 음악을 즐기고 음악을 통한 삶의 가 치를 실현할 수 있는 평생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길 기대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methods of music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and to develop a specific program. Recently, interest in and need for lifelong music education is in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increasing aging population. Members of modern society pursue well-being and happiness in their lives and actively prepare for life in old age as life expectancy increases. In addition, as interest in and expectations for enjoying music and other cultural arts grow, the need for lifelong music education is growing. However, contrary to these expectations and demands, there is a relative lack of research on the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ograms of lifelong music education compared to school music education, and the scope and content of music programs in actually operated lifelong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are limited.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lack of diversity.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values and goals pursued by David Elliott's ‘Praxial music education’, and derived the direction and method of a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e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designed specific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provided 12-session ‘With Music’ program with 6 topic area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a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 that more people can enjoy music in their lives and realize the values of life through music.

      • KCI등재

        우리나라 음악 교육과정의 창작 내용 고찰과 외국 음악 교육과정과의 창작 내용 및 성취기준 비교 연구

        함성규,승윤희 미래음악교육학회 2023 미래음악교육연구 Vol.8 No.2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dramatically influences the direction of class and research. One of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in 2022 is that "creating" is introduced as an independent a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creative content of the Korean music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ion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reative content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 music curriculum in foreign countries. This study reviewed the social background of each revision, from the first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22, and also examined and analyzed the creative content introduced in each revision.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in 2022 was then compared with the music curricula in foreign countries (Germany,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Canada), focusing on creative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of the changes in the music curriculum content showed that creative activity was introduced first by concentrating on important points, then in the form of achievement standards. Moreover, regarding core capacity,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emphasized creativity and self-directed competencies in creative activities. The foreign music curricula were then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Korean curriculum in regard to their contents, levels, and methods of creative activitie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reative activities in schools in the future and serve as a foundation for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creative activities by spotlighting the specification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of "creating" as an independent area. 국가 교육과정의 개정은 교과의 수업 및 연구 방향에 큰 영향을 끼친다. 2022 개정 음악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중 하나는 ‘창작’이 독립 영역으로 제시된 점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우리나라 음악 교육과정 창작 내용의 변화 양상을 초등학교 3~6학년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2022 개정 음악 교육과정과 외국 음악 교육과정을 ‘창작’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1차 교육과정부터 개정 시기마다 주요하게 작용해 온 사회적 배경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변천에 따라 음악 교육과정에 제시된 창작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2022 개정 음악 교육과정과 외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창작 내용 및 성취기준 중심으로 비교하 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제시 방식의 변화에 따라 창작활동에 서도 내용이 요목 중심, 성취기준 중심의 순서로 제시되어왔으며 핵심역량과 관련하여 2022 개정 음악 교육과정에서는 창작활동에서 창의성 역량과 자기주도성 역량이 강조된 것으로 나 타났다. 외국 음악 교육과정으로는 독일, 미국, 싱가포르, 캐나다의 음악 교육과정을 선정하여 우리나라와 각 나라의 음악 교육과정 내 창작활동의 내용, 수준, 방법 등의 비교 결과를 기술 하였다. 본 연구는 창작을 중심으로 2022 개정 음악 교육과정을 조명함으로써 향후 학교 현 장에서 창작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창작 관련 후속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토대가 될 것으 로 기대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음악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장근주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iculum cont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o prepare a curriculum improvement plan to enhance the appropriateness of the music educational content. To this end,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s were conducted. The result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ion of music educational content in the current curriculum were mostly appropriate. Second, an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suggested that the expression area contained the largest proportion. Third, the amount of the current curriculum were all based on the "expression area" so that modifications were needed.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level of the current curriculum were answered to be difficult for each school year according to each regulation and it needed to be reviewed. 본 논문의 목적은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특성을 고려하여 음악과 교육내용의 적정성에 기반한 분석 준거를 설정하여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초·중학교 음악과 교육내용의 적정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음악과 교육내용의 선정에 대한 분석 결과는 모든 준거별로 적정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음악과 교육내용의 조직에 대한 분석 결과 현재 교육과정의 구조는 표현 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차기 교육과정에서는 영역의 재구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셋쨰, 음악과 교육내용의 분량은 모두 ‘표현 영역’에 교육내용의 학습 내용이 치중되었다는 결과가 도출되어 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넷째, 음악과 교육내용의 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는 음악과 교육내용의 분량과 관련된 분석 결과와는 달리 학년별로 어렵다는 의견이 준거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검토가 요청되었다.

      • KCI등재

        말레이시아 음악교육에서의 다문화주의 : 도전과 기회

        ( Shahanum Md Shah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3

        말레이시아 음악교육자들은 인종과 문화의 다양성을 중요시하면서 다양한 스타일의 음악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인식을 넓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말레이시아 사회에서도 문화적으로 다양한 사회를 장려한다는 생각이 명백하다. 그 결과, 학교와 대학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스타일, 시대들의 음악에 대해 배우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1957년 이전까지 말레이시아는 400년 넘게 유럽의 지배를 받아왔으며, 그 지배의 마지막은 영국이었다. 영국의 통치하에서, 말레이시아 대중은 영국적인 것이 우월하다는 사상이 깃든 교육을 받았다. 또한 음악교육에서도 영국적인 것 외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 결과 말레이시아 전통음악과 다른 비유럽 문화권의 음악은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1957년 독립 이후, 말레이시아의 교육은 자체 문화를 찾고 확립하는데 힘을 쏟았다. 음악 프로그램은 말레이시아, 중국, 인도 그리고 기타 원주민 그룹 등 다양한 민족의 대표적인 음악 스타일을 포함한 다문화적, 간문화적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다문화 음악교육과정의 목표는 각각의 다양한 문화 공동체가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서로 함께 살 수 있는 국가 통합을 이루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초등 음악교육과정과 중등 음악교육과정에서 다문화 음악교육과 관련된 도전과 기회를 검토할 것이다. With the recognition of the diversity of ethnicity and cultures in Malaysia, there is concern among music educators to expand students’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many styles of music. The idea of encouraging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is also evident in Malaysia. As a result, there is an emphasis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in the school and university curricula, in which music from different cultures, styles, and periods has been included in the curriculum. Prior to 1957, Malaysia experienced over 400 years of European domination, the last of which was the British. Under the British rule, the Malaysian populace was systematically instructed with the idea that English ideas were preeminent. Likewise, non-English ideas regarding music education have been considered unsuitable. As a result, Malaysian traditional music and the music of other non-European cultures,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educators and the general public. Since gaining independence in 1957, Malaysia has been involved in finding and establishing its own culture. The music programs in Malaysia take on a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approach in that the programs are based on the inclusion of representative musical styles of the various ethnic groups in Malaysia, such as the Malays, Chinese, Indians, and other indigenous groups. The aim of a multicultural music curriculum in Malaysia is to maintain national integration in which all these various cultural communities could live alongside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their own original identities. This paper will examine multiculturalism in the Malaysian school music curriculum at both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volved in having a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 KCI등재

        음악영재 부모교육에 대한 타당성 연구

        김성혜,신지혜,김수진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2

        This research aimed to validate the contents and goals of parent education of the musically gifted by conducting delphi survey for experts in gifted education in music. To do so, two delphic surveys for 32 exper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s acknowledged that ‘understanding gifted education in music,’ ‘understanding musically gifted children,’ ‘career guidance,’ and ‘parent support’ are valid domains for parent education. Second, the experts showed that ‘appropriate action and support to the cognitive, emotional, functional, and social particularity of the musically gifted,’ ‘significance and value of character education and life guidance for the musically gifted,’ and ‘information and support for parenting through exchange and mutual cooperation with experts’ are valid domain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xperts emphasized the personality education and life guidance as part of education at home as well as parents understanding of children’s giftedness.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영재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부모교육의 목적 및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들은 ‘음악영재교육에 대한 이해’, ‘음악영재 자녀에 대한 이해’, ‘진로지도’, ‘부모지원’의 영역을 모두 타당한 부모교육의 영역이라고 답변하였고, 이 중에서도 특히 ‘음악영재 자녀에 대한 이해’가음악영재 부모교육의 가장 타당한 목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전문가들은 음악영재 부모교육 내용으로 ‘음악영재 자녀의 영재성으로 인한 인지적, 정서적, 기능적, 사회적 특이성에대한 적절한 대응 및 지원’, ‘음악영재를 위한 인성교육 및 생활지도 의의와 가치’, ‘전문가와의 교류 및 상호협력을 통해 자녀 양육에 필요한 정보 및 지원 방법 공유’ 등을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가들이 부모들의 자녀의 영재성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음악영재의 인성교육과 생활지도가 가정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는것을 나타낸 것이다.

      • KCI등재

        IB PYP 음악 교육과정의 분석적 고찰

        최미영 ( Choi Mi Youn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1

        현재 세계 각국은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여 국제적인 소양을 갖추기 위한 학습자의 역량이나 세계적인 기준에 충족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International Baccalaureate(이하 IB)는 국제인증 교육과정으로, PYP, MYP, DP, CP의 4개 프로그램으로 나누어진다. PYP는 유·초등교육과정으로, 본 연구는 IB의 PYP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와 내용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음악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YP 음악 교육과정은 국제적 소양 계발을 목표로 하여 예술 교과 영역의 공통 내용 구조에 따라 반응하기와 창작하기 요소로 나누어 요소별로 네 단계의 전반적 기대수준과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학습결과에 대한 도달 여부는 음악학습 탐구 활동의 과정과 결과를 보여주는 프로젝트나 발표회를 통해 평가된다. PYP 음악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교육과정 문서 방식의 방안, 교육과정의 설계에 있어 학교와 교사의 자기 주도성, 탐구 기반의 학습과 평가, 초등학교 1-2학년에서의 음악 교과 도입, 독보 및 기보 능력의 강조를 제시하였다. IB의 국제 통용성이 높다고 해도 국가마다 사회적 필요와 학습자의 요구가 달라 이를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반영했을 때 본래의 의도를 온전하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PYP 음악 교육과정을 그대로 수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실 있는 음악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의 시각과 관점 전환과 함께 우리나라 상황에 적절한 음악 교육과정의 설계 방식과 운영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와 노력을 통해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a that meets global standards and fosters learners' competencies to acquire international mindset in the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is an international accreditation curriculum and is divided into four programs: PYP, MYP, DP and CP. PYP is a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music scope and sequence of IB's PYP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Korean music curriculum. PYP's music scope and sequence aims to develop international mindness. It is divided into the elements of reacting and creating according to the common content structure of arts subject. Each element presents learning outcomes based on four phases of overall expectation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Achievement of the learning outcomes is assessed through projects or exhibitions that show the process and results of inquiry activities in musical learning. The implications include curriculum documentary method, schools and teachers' agency in curriculum design, inquiry-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and the introduction of music curriculum in grades 1-2, and emphasis on notation. Although the international compatibility of IB is high, it is not possible to adopt PYP's music scope and sequence as it is. This is because each country has different social necessities and learners' needs. When PYP's music scope and sequence is reflected in Korean music curriculum, its original intention cannot be fully achieved.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qual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can be improved through in-depth research and efforts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music curriculum appropriate to the Korean situation, along with changing the persp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substantial music curriculum.

      • KCI등재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선택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탐색

        이수진,정재은,오지향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2

        The foundational curriculum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is currently being revised, and the biggest issue in secondary education i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emphasizes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here is no exception to this interest in the music department,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establis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hat allows students to choose subjects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and needs. In order for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o be operated according to it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xamine various cases of elective-centered curricula and elective course operations provided by the music department and discuss possible next step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of music and elective-centered curricula from the 7th curriculum up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examined, as well as the cases of music and elective-centered curricula and elective courses overseas (Canada,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in detail, a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scope and objectives of the course according to the music department’s ideals. Secon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nd opportunities for various paths need to be provided through connections with universities. Third, considering students' musical interests and tal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tensive music programs for students to choose from. Fourt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sic teachers and institutional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to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intensive music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현재 개정 중에 있으며, 중등교육에서의 가장 큰 이슈는 선택중심교육과정을 강조하고 있는 고교학점제라 볼 수 있다. 음악교과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은 예외일 수 없으며, 고교학점제를 학교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한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교학점제의 운영 원리 중 학생 스스로의 흥미와 필요에 기초하여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그 초점을 두었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그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서 음악교과에서 제공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 및 선택 교과목 운영의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음악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고, 해외(캐나다, 싱가포르, 미국)의 음악과 선택중심 교육과정및 선택 교과목 운영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와 자료가 상세하게 제공되어야 하며, 총론에서 제시하는 역량을 음악교과 고유의 방식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 및 직업교육이 체계화되어야 하며, 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선택의 기회가 제공될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들의 음악적 흥미와 재능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프로그램 및 심화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들에게 제공된 다양한 음악프로그램과 심화 프로그램 운영하기 위한 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국가차원의 제도적지원이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생태전환교육으로서 실천적 음악교육의 가능성과 의미 탐색

        최진경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전환교육으로서 실천적 음악교육의 가능성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생태전환교육은 생태와 연결되고, 공존하고, 일치하는 ‘확대된 자아실현’을 지향함으로써, 근대적 개념의 인간 중심주의 탈피를 핵심으로 한다. 이에 연구자는 체화인지에 토대를 둔 실천적 음악교육이 세계와 연결되고, 관계를 맺고, 참여하는 음악적 자아를 통해 세계로의 ‘확장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으므로, 생태전환교육으로서의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실천적 음악교육은 몸과 행위로 체화하고, 실연하는 자율적인‘음악적 자아’를 통해 인간이 자연과 생태에 속하는 존재임을 일깨워주며, 음악적 상상력과 공감으로 생태계의 다양한 존재들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자연과 생태를 음악적 풍경으로 바라보게 함으로써 음악적 감수성과 음악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인류적 공동선에 생태 문제를 포함함으로써 예술적 시민성을 확장할 수 있다. 덧붙여, 몸, 행위, 상상력과 공감으로 세계와 연결되는 실천적 음악교육의 음악적 자아는 인간을 중심으로 세계와 관계 맺음으로써, 생태와 인간의 기계적 평등으로 오도될 수 있는 생태전환교육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 가치 있다.

      • KCI등재

        서울 소재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일반 과정 음악프로그램 현황 및 향후 과제

        김선미 미래음악교육학회 2023 미래음악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the general course music program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Seoul, and to present the tasks and direction of the music education program as lifelong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94 music programs in 34 lifelong education center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in Seoul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40.9%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Seoul had music programs, and 50% of them were general courses for the general public.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music program in the general course, music practice was predominantly centered (88.2%), and Western music genres were the most common (70.2%), and performance activities were the most common (86.1%). As for the type of lecture, one-on-one lessons were the most common (53.2%). Based on this, the future task of the music program of the university-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center is to go beyond uniform function-oriented programs, develop various program contents, operate integrated activities for comprehensive musicality development, and deal with various genres of music that fit the trend of the modern era. And also it should be connected to the learner's personal life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active social particip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소재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일반과정 음악프로그램의 현황과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평생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의 총 34개의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안의 94개의 음악 프로그램을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서울 소재 평생교육원의 40.9%의 비중으로 음악프로그램이 개설되어있 었고 그 중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과정이 50%였다. 일반과정 음악프로그램의 내용분석 결과 성악, 기악 등의 음악 연주중심이 압도적으로 많았고(88.2%), 다루는 음악장르는 서양음 악장르의 비중이 가장 많았으며(70.2%) 프로그램 활동으로는 연주활동이 가장 많았고(86.1%) 강의유형으로 일대일 레슨 유형이 많았다(53.2%). 이를 토대로 향후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음악프로그램의 과제는 무엇보다 일률적이고 전통적인 연주 기능 중심의 음악 프로그램에서 나아가 보다 다양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음악적 활동과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대 시대의 흐름에 맞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다루어야하며 또한 학습자의 개인 삶과 연결되고 능동적인 사회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 그램으로 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