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영재 부모교육에 대한 타당성 연구

        김성혜,신지혜,김수진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2

        This research aimed to validate the contents and goals of parent education of the musically gifted by conducting delphi survey for experts in gifted education in music. To do so, two delphic surveys for 32 exper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s acknowledged that ‘understanding gifted education in music,’ ‘understanding musically gifted children,’ ‘career guidance,’ and ‘parent support’ are valid domains for parent education. Second, the experts showed that ‘appropriate action and support to the cognitive, emotional, functional, and social particularity of the musically gifted,’ ‘significance and value of character education and life guidance for the musically gifted,’ and ‘information and support for parenting through exchange and mutual cooperation with experts’ are valid domain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xperts emphasized the personality education and life guidance as part of education at home as well as parents understanding of children’s giftedness.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영재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부모교육의 목적 및 내용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2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두 차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들은 ‘음악영재교육에 대한 이해’, ‘음악영재 자녀에 대한 이해’, ‘진로지도’, ‘부모지원’의 영역을 모두 타당한 부모교육의 영역이라고 답변하였고, 이 중에서도 특히 ‘음악영재 자녀에 대한 이해’가음악영재 부모교육의 가장 타당한 목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전문가들은 음악영재 부모교육 내용으로 ‘음악영재 자녀의 영재성으로 인한 인지적, 정서적, 기능적, 사회적 특이성에대한 적절한 대응 및 지원’, ‘음악영재를 위한 인성교육 및 생활지도 의의와 가치’, ‘전문가와의 교류 및 상호협력을 통해 자녀 양육에 필요한 정보 및 지원 방법 공유’ 등을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가들이 부모들의 자녀의 영재성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음악영재의 인성교육과 생활지도가 가정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는것을 나타낸 것이다.

      • KCI등재후보

        독일 학교 음악교육에서 실용음악 실태 연구

        함희주 미래음악교육학회 2019 미래음악교육연구 Vol.4 No.3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ractical music is applied in German school music education. The study mainly focuses on the educational policy for practical music learning in German school music education and the content analysis of popular music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d music textbook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ationale for teaching practical music by examining German school music education as an exa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 of German schools provide guidelines for the education of practical music. Practical music-related sections of music textbooks contain various materials and reflect the expertise and historicity in organizing the learning contents. In conclusion, this paper could be a case study for expanding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Korean school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독일 학교 음악교육에서 실용음악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중점은 독일 학교 음악교육에서 실용음악 학습을 위한 교육정책, 교육과정과 음악교과서에 예시된 실용음악 내용 분석이다.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실용음악에 대한 아동, 청소년들의 관심과 요구가 높은 점을 인식하여 학교 음악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이유를 독일 학교음악교육을 예로 들어 논하고자 함이다. 연구내용은 독일 음악교유과정에서 실용음악교육 근거로서 바덴-뷔르템베르그 주와 와 바이에른 주의 음악교육정책을 제시하였고, 실제내용을 위해서는 음악교과서[MusiX]에 제시된 실용음악관련 제재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독일 학교교육에서 실용음악교육을 위한 지침은 교육정책,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다. 음악 교과서의 실용음악관련 단원은 제재가 다양하고 학습내용 구성에서 전문성과 역사성을 반영하고 있다. 학습활동도 실용음악 이해에 필요한 중점요소 중심으로 구성되어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한국 학교 음악교육에서 실용음악 교육 확대를 위한 연구사례로 들 수 있

      • KCI등재후보

        베넷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의 이해와 적용

        권덕원 미래음악교육학회 2018 미래음악교육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ennett Reimer's Experience-based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its application. Reimer published the third edition in 2003 after publishing the second edition in 1989, which was revised since the publication of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in 1970. In the first and second editions, he described his own philosophy in the name of "aesthetic music education," but in his third edition, which made many revisions, he proposed his revised philosophy under the name of "Experience-based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This study mainly tried to extract contents related to our music education by mainly analyzing his philosophy explained in the third edition, focusing on his main themes.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on the theme of synergy, postmodernism, education of feeling, music theory, musical creativity, musical intelligence, and changes in the aesthetic music education. The topics that Reimer deals with in his book include contents that music educators are always encountering and thinking about. When music educators think seriously about philosophically important topics and discuss them together with mutual cooperation, the philosophy and belief in their music education become stronger and the musical experience of students who learn music to them becomes more meaningful and useful. In this study, I focus on Reimer's discussion on the above topics, and suggested some philosophical discourses that we need and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in our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베넷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리머는 1970년에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을 출간한 이후 그 내용을 수정한 제2판을 1989년에 펴내고, 2003년에 제3판을 출간하였다. 1판과 2판에서는 심미적 교육론의 이름으로 자신의 철학을 설명하였으나, 많은 수정을 가한 제3판에서는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수정된 철학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제3판에서 설명하고 있는 그의 철학을, 그가 주로 다룬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우리의 음악교육에 관련되는 내용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 내용은 시너지즘(상호협력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느낌의 교육, 음악론, 음악적 창의성, 음악적 지능, 심미적 교육론의 변화 등을 주제로 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주제들이 학생들이 가져야 하는 바람직한 ‘음악적 경험’과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 제시하였다. 리머가 그의 책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음악교육자들이 항상 부딪히고, 고민하고 있는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음악교육자들이 철학적으로 중요한 주제들에 대하여 진지하게 사고하고, 상생의 협력으로 함께 논의해 나갈 때, 음악교육에 대한 철학과 신념이 견고해지고, 음악을 배우는 학생들의 음악적 경험 역시 보다 의미 있고 유용한 모습으로 형성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주제들에 관한 리머의 논의를 중심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철학적 담론과, 그 결과 중에 우리의 교육에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국 국가핵심음악기준(National Core Music Standards)의 주별 적용사례 비교 분석

        정재은 미래음악교육학회 2018 미래음악교육연구 Vol.3 No.2

        The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a basis for what students should know and do. South Korea is currently applying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to education sites. Music and education courses have also been revised several times and have applied the current curriculum that emphasizes the convergence of capabilities and creativity. In the U.S., the National Core Music Standards were revised in 2014, and they are being appli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t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weekly applications of American music and educational processes that adopt decentralized system unlike Korea, and derive implications for revising the nation's music and education processes. In response, music and education courses in New York, South Carolina, Washington, Indiana, Montana and Florida were analyzed and brought up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m with the system of Korean music and curriculu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the revised National Core Music Standards and that New York State approached the most critical music standards. The conclusion was drawn as it follows: First, a sufficient research, discussion, and consultation proces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the schoolwook proces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te are reflected as much as possible. Third, overall, the scope of students who are subject to music and education courses has expanded. Fourth, each state's music and education curriculum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s the school year went up, and was structured according to a certain system.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the times and societies presented the capabilities required.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알아야 할 것과 해야 할 것에 관한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현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교육의 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음악과 교육과정 역시 여러 번의 개정을 거쳐 역량과 창의융합을 강조하고 있는 현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국가핵심음악기준이 2014년 개정되었으며, 이를 각 주별 특성에 적합하도록 적용하고 있는 과정 중에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와는 달리 지방분권제를 채택하고 있는 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의 주별 적용사례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에 뉴욕 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워싱턴 주, 인디아나 주, 몬태나 주, 플로리다 주 음악과 교육과정을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의 체제와 비교하여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개정된 국가핵심음악기준의 적용 정도에 있어 차이가 있었으며 뉴욕 주가 가장 국가핵심음악기준에 근접하였다. 첫째, 충분한 연구와 논의 및 협의 과정을 거쳐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둘째, 각 주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셋째, 전체적으로 음악과 교육과정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넷째, 각 주의 음악과 교육과정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그 구조가 현저하게 변하지 않고 일정한 체계에 따라 구조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 KCI등재

        생태전환교육으로서 실천적 음악교육의 가능성과 의미 탐색

        최진경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전환교육으로서 실천적 음악교육의 가능성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생태전환교육은 생태와 연결되고, 공존하고, 일치하는 ‘확대된 자아실현’을 지향함으로써, 근대적 개념의 인간 중심주의 탈피를 핵심으로 한다. 이에 연구자는 체화인지에 토대를 둔 실천적 음악교육이 세계와 연결되고, 관계를 맺고, 참여하는 음악적 자아를 통해 세계로의 ‘확장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으므로, 생태전환교육으로서의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결론적으로 실천적 음악교육은 몸과 행위로 체화하고, 실연하는 자율적인‘음악적 자아’를 통해 인간이 자연과 생태에 속하는 존재임을 일깨워주며, 음악적 상상력과 공감으로 생태계의 다양한 존재들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자연과 생태를 음악적 풍경으로 바라보게 함으로써 음악적 감수성과 음악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인류적 공동선에 생태 문제를 포함함으로써 예술적 시민성을 확장할 수 있다. 덧붙여, 몸, 행위, 상상력과 공감으로 세계와 연결되는 실천적 음악교육의 음악적 자아는 인간을 중심으로 세계와 관계 맺음으로써, 생태와 인간의 기계적 평등으로 오도될 수 있는 생태전환교육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 가치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음악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장근주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iculum cont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o prepare a curriculum improvement plan to enhance the appropriateness of the music educational content. To this end,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s were conducted. The result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ion of music educational content in the current curriculum were mostly appropriate. Second, an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suggested that the expression area contained the largest proportion. Third, the amount of the current curriculum were all based on the "expression area" so that modifications were needed.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level of the current curriculum were answered to be difficult for each school year according to each regulation and it needed to be reviewed. 본 논문의 목적은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특성을 고려하여 음악과 교육내용의 적정성에 기반한 분석 준거를 설정하여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초·중학교 음악과 교육내용의 적정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음악과 교육내용의 선정에 대한 분석 결과는 모든 준거별로 적정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음악과 교육내용의 조직에 대한 분석 결과 현재 교육과정의 구조는 표현 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 따라, 차기 교육과정에서는 영역의 재구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셋쨰, 음악과 교육내용의 분량은 모두 ‘표현 영역’에 교육내용의 학습 내용이 치중되었다는 결과가 도출되어 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 넷째, 음악과 교육내용의 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는 음악과 교육내용의 분량과 관련된 분석 결과와는 달리 학년별로 어렵다는 의견이 준거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검토가 요청되었다.

      • KCI등재

        서울 소재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일반 과정 음악프로그램 현황 및 향후 과제

        김선미 미래음악교육학회 2023 미래음악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the general course music program at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Seoul, and to present the tasks and direction of the music education program as lifelong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94 music programs in 34 lifelong education center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in Seoul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40.9% of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Seoul had music programs, and 50% of them were general courses for the general public.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of the music program in the general course, music practice was predominantly centered (88.2%), and Western music genres were the most common (70.2%), and performance activities were the most common (86.1%). As for the type of lecture, one-on-one lessons were the most common (53.2%). Based on this, the future task of the music program of the university-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center is to go beyond uniform function-oriented programs, develop various program contents, operate integrated activities for comprehensive musicality development, and deal with various genres of music that fit the trend of the modern era. And also it should be connected to the learner's personal life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active social particip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소재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일반과정 음악프로그램의 현황과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평생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의 총 34개의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안의 94개의 음악 프로그램을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서울 소재 평생교육원의 40.9%의 비중으로 음악프로그램이 개설되어있 었고 그 중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과정이 50%였다. 일반과정 음악프로그램의 내용분석 결과 성악, 기악 등의 음악 연주중심이 압도적으로 많았고(88.2%), 다루는 음악장르는 서양음 악장르의 비중이 가장 많았으며(70.2%) 프로그램 활동으로는 연주활동이 가장 많았고(86.1%) 강의유형으로 일대일 레슨 유형이 많았다(53.2%). 이를 토대로 향후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음악프로그램의 과제는 무엇보다 일률적이고 전통적인 연주 기능 중심의 음악 프로그램에서 나아가 보다 다양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음악적 활동과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대 시대의 흐름에 맞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다루어야하며 또한 학습자의 개인 삶과 연결되고 능동적인 사회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 그램으로 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선택중심 음악과 교육과정 탐색

        이수진,정재은,오지향 미래음악교육학회 2022 미래음악교육연구 Vol.7 No.2

        The foundational curriculum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is currently being revised, and the biggest issue in secondary education i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emphasizes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here is no exception to this interest in the music department, 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establis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hat allows students to choose subjects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and needs. In order for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to be operated according to it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xamine various cases of elective-centered curricula and elective course operations provided by the music department and discuss possible next step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of music and elective-centered curricula from the 7th curriculum up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examined, as well as the cases of music and elective-centered curricula and elective courses overseas (Canada,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materials should be provided in detail, a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scope and objectives of the course according to the music department’s ideals. Secon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nd opportunities for various paths need to be provided through connections with universities. Third, considering students' musical interests and tal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tensive music programs for students to choose from. Fourt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sic teachers and institutional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to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intensive music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현재 개정 중에 있으며, 중등교육에서의 가장 큰 이슈는 선택중심교육과정을 강조하고 있는 고교학점제라 볼 수 있다. 음악교과에서도 이에 대한 관심은 예외일 수 없으며, 고교학점제를 학교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한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교학점제의 운영 원리 중 학생 스스로의 흥미와 필요에 기초하여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에 그 초점을 두었다.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그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서 음악교과에서 제공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 및 선택 교과목 운영의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음악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고, 해외(캐나다, 싱가포르, 미국)의 음악과 선택중심 교육과정및 선택 교과목 운영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와 자료가 상세하게 제공되어야 하며, 총론에서 제시하는 역량을 음악교과 고유의 방식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 및 직업교육이 체계화되어야 하며, 대학과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선택의 기회가 제공될필요가 있다. 셋째, 학생들의 음악적 흥미와 재능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프로그램 및 심화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들에게 제공된 다양한 음악프로그램과 심화 프로그램 운영하기 위한 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국가차원의 제도적지원이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평생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실제

        김선미 미래음악교육학회 2024 미래음악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 실제 평생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최근 지속적인 학령인구의 감소와 늘어나는 노령인구로 인 하여 평생음악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현대사회의 구성원들은 그들의 삶 속에서 웰빙과 행복을 추구하며 늘어나는 기대수명과 함께 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려고 한다. 또한 음악을 비롯한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늘어나면서 평생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더 커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 요구와는 달리 학교음 악교육에 비해 평생음악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 로 부족하고 실제 운영되고 있는 평생음악교육기관에서의 음악프로그램은 그 영역과 내용에 있어서 다양성이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데이비드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 교육이 추구하는 가치와 지향점을 조명하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등을 통해 평생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방향과 방법을 도출하여 구체적인 내용 영역과 교수학습방법을 고안하고 6개의 주제영역을 가지고 12세션으로 이루어진 ‘음악과 함께’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삶 속에서 음악을 즐기고 음악을 통한 삶의 가 치를 실현할 수 있는 평생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길 기대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methods of music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and to develop a specific program. Recently, interest in and need for lifelong music education is in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increasing aging population. Members of modern society pursue well-being and happiness in their lives and actively prepare for life in old age as life expectancy increases. In addition, as interest in and expectations for enjoying music and other cultural arts grow, the need for lifelong music education is growing. However, contrary to these expectations and demands, there is a relative lack of research on the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ograms of lifelong music education compared to school music education, and the scope and content of music programs in actually operated lifelong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are limited.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lack of diversity.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values and goals pursued by David Elliott's ‘Praxial music education’, and derived the direction and method of a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e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designed specific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provided 12-session ‘With Music’ program with 6 topic area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a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 that more people can enjoy music in their lives and realize the values of life through music.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 역량 강화를 위한 교재분석 및 시사점 도출: ‘음악교육론’을 중심으로

        정재은,박영주 미래음악교육학회 2024 미래음악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에서 음악교육의 개론적 성격을 띠고 있는 ‘음악교육론’수업에서 사용되는 음악교육의 기초 와 음악교육학 개론 을 중심으로 교재를 비교ㆍ분석하여 다문화 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형식적인 측면’과 ‘내용적인 측면’을 바탕으로 두 교재 비교ㆍ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학적 측면에서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내용 상세화가 필요하였다. 특히 다문화 이론을 바탕으로 다문화 음악교육의 개념 및 정의, 다문화 교육에서의 음악교육의 역할에 대한 내용 강화가 제기되었다. 둘째,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실제적이고 실천적인 교수ㆍ방법 안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체화된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와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to propose strategic framework for advancing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main textbooks used in ‘Introduction to Music Education’, a core course offered at teacher education colleges for pre-service music teachers. Specifically, the research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Foundations of Music Education and Introduction to Music Education to identify potential areas for improvement in promoting multicultural perspectives. Employing a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the study investigates both the “structural” and “content-based” elements of these texts. The findings indicated several areas for development: first, an expanded sociological perspective was essential, including comprehensive theories and definitions alongside an exploration of music education’s role within a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there was a need for more practical content, specifically guidance on instructional methods tailored to multicultural contexts. Third, the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programs that cultivate an embodied and attitudinal commitment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creasingly recogniz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as a foundational resource in enhancing awareness and promoting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