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치성 치통의 치험 증례

        윤승현,최종훈,김성택,안형준,권정승,Yoon, Seung-Hyun,Choi, Jong-Hoon,Kim, Seong-Taek,Ahn, Hyung-Joon,Kwon, Jeong-Seung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08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3 No.4

        치아의 통증은 구강안면부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통증이다. 대부분의 치아 통증은 치수 및 치주조직의 병적인 변화로 인한 치성 통증이지만, 구강안면부의 다른 구조물의 병적 변화 또는 다른 질병 등에 의한 통증이 치아의 통증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흔히 존재하며, 이러한 통증을 '비치성치통'이라고 한다. 비치성치통은 통증의 발현 부위와 통증의 원인 부위가 일치하는 원발성 통증이 아니라, 통증의 발현 부위와 통증의 원인 부위가 동일하지 않은 이소성 통증에 속하므로 통증의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만 개선될 수 있다. 비치성 치통을 유발하는 요인에는 신경병증성 통증, 부비동질환 기원의 통증, 근막통증, 신경혈관성 통증, 심장질환, 두개 및 구강안면부 종양, 중이염 등에 의한 전이통, 심인성 원인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에 의한 통증이 치아부위에 나타나는 경우 치아 및 치주조직에 대한 임상 및 방사선 사진 검사 상 병적인 소견이 관찰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치아통증과 유사한 임상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임상가들은 비치성 치통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및 관련 증상들에 대하여 잘 알고 있어야 하며, 세심한 병력 청취, 치아 관련 구조물 및 그 외의 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임상 검사를 통해 치성 통증과 감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치아 통증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비치성 치통으로 내원한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관한 증례를 통해, 비치성 치통에 대한 고찰 및 진단과 치료시의 고려 사항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성별에 따른 말초 opioid의 통증조절

        배성제,김완수,강수경,어규식,홍정표,전양현,Bae, Sung-Jae,Kim, Wan-Su,Kang, Soo-Kyung,Auh, Q-Schick,Hong, Jung-Pyo,Chun, Yang-Hyun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4

        이 연구에서는 말초 opioid 수용체를 이용한 저작근 통증 조절 시 성별 효과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RDC/TMD로 진단된 지원자 남성 20명, 여성 20명을 saline 주사군, lidocaine 주사군, morphine 1.5 mg 주사군, morphine 3 mg 주사군 각각 5명씩 배정하였다. 통증부위에 주사 전, 주사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에 각각 주관적인 통증 평가인 시각유추척도평가, 맥길통증설문지 평가, 통증부위표시평가 그리고 객관적인 통증 평가인 압력통증역치평가와 압력통증한계평가를 실시하였다. 검사 후 평가된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각유추척도평가에서는 남녀 모두가 morphine 3 mg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 (male: p<0.05, female: p<0.05) 2. 맥길통증설문지 평가에서는 남녀 모두가 morphine 1.5 mg군 보다 morphine 3 mg군에서 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 (male: p<0.001, female: p<0.01) 3. 통증부위표시평가와 압력통증역치평가에서는 남성이 morphine 3 mg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 (PD: p<0.001, PPT: 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저작근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서 morphine 3 mg을 통증부위에 주사한 경우 객관적인 통증 평가에서 여성 환자보다 남성 환자에게 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 시간에 따른 그리고 용량에 따른 남녀 치료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ex differences in the pain control effect by morphine injection to masticatory muscle pain patients. Patients with masticatory muscle pain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recruited to this study and diagnosed by RDC/TMD.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four group each from male (n=20) and female (n=20); saline injection group (n=5), lidocaine injection group (n=5), morphine 1.5 mg injection group (n=5) and morphine 3 mg injection group (n=5). Evaluation list was the subjective pain evaluation(visual analogue scale, Mc Gill pain questionnaire, pain drawing) and the objective pain evaluation(pressure pain threshold, pressure pain tolerance) and evaluation time was injection before, after 1 hour, 24 hour, 48 hour and then it was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ale and femal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morphine 3 mg group in visual analogue scale evaluation. (male: p<0.05, female: p<0.05) 2. The male and female were mo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morphine 3 mg group than morphine 1.5 mg group in McGill pain questionnaire evaluation. (male: p<0.001, female: p<0.01) 3. The mal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morphine 3 mg group in pain drawing evaluation and pressure pain threshold evaluation. (PD: p<0.001, PPT: p<0.05)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e morphine 3 mg injection for masticatory muscle pain was effective to pain control male patients and more effect than female patients in the objective pain evaluation.

      • KCI등재

        말초 opioid 수용체에 의한 저작근 통증의 조절 효과

        고석호,강수경,어규식,김은철,홍정표,전양현,Ko, Seok-Ho,Kang, Soo-Kyung,Auh, Q-Schick,Kim, Eun-Cheol,Hong, Jung-Pyo,Chun, Yang-Hyun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2

        이 연구는 저작근 통증 환자에게 Morphine을 주사하였을 때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행되었으며,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 RDC/TMD로 근막통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이 지원하였다. 실험군은 총 네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saline 주사군, lidocaine 주사군, morphine 1.5mg 주사군, morphine 3.0 mg 주사군에 각각 10명씩 배정하였다. 통증부위에 주사 전, 주사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에 각각 주관적인 통증 평가인 시각유추척도검사, 맥길통증설문지검사 그리고 통증부위표시검사와 객관적인 통증 평가인 압력통증역치검사와 압력통증한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후 평가된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관적인 통증평가에서 morphine 3 mg 군은 48시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VAS: p<0.01, MGQ: p<0.001, PD: p<0.05) 2. 객관적인 통증평가에서 morphine 1.5 mg 군은 1시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효과가 있었다.(PPT: p<0.01, PPTol: p<0.05) 3. 맥길통증설문지에서 lidocaine 군, morphine 1.5 mg 군 그리고 morphine 3 mg 군은 모두 처치 후 1시간부터 효과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morphine 3 mg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더 큰 효과가 있었다.(1h: p<0.01, 24h: p<0.01, 48h: p<0.001) 이상의 연구 결과로 저작근에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morphine 주사 시 주관적인 평가에서 48시간 후 통증 조절 효과가 있었고, morphine 3 mg이 더 효과가 있었으며, 향후 시간 연장에 따른 지속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ain control effect by morphine injection to masticatory muscle pain patients. Patients with masticatory muscle pain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recruited to this study and diagnosed by RDC/TMD. Experimental group were divided into four group; saline injection group (n=10), lidocaine injection group (n=10), morphine 1.5 mg injection group (n=10) and morphine 3 mg injection group (n=10). Evaluation list was the subjective pain evaluation(visual analogue scale, Mc Gill pain questionnaire, pain drawing) and the objective pain evaluation(pressure pain threshold, pressure pain tolerance) and evaluation time was injection before, after 1 hour, 24 hour, 48 hour and then it was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ubjective pain evalu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in morphine 3 mg group after 48 hour. (VAS: p<0.01, MGQ: p<0.001, PD: p<0.05) 2. The objective pain evalu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in morphine 1.5 mg group after 1 hour. (PPT: p<0.01, PPTol: p<0.05) 3. The morphine 3 mg group were more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lidocaine group and morphine 1.5 mg group statistically in the McGill pain questionnaire evaluation. (1h: p<0.01, 24h: p<0.01, 48h: p<0.001)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the morphine 3 mg injection was effective to pain control for masticatory muscle pain patients within 48 hours and more effect than lidocaine injection.

      • KCI등재

        사이버 치과 진료 상담을 통해 살펴본 구강내과 질환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김수범,정재용,김철,김영준,박문수,Kim, Su-Beom,Jeong, Jae-Yong,Kim, Cheul,Kim, Young-Jun,Park, Moon-Soo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08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3 No.4

        현대화 사회로 갈수록 현대인들은 대도시 중심의 생활환경의 변화와 함께 일상적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측두하악장애, 구강점막 질환, 만성 신경병변성 통증 등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환자들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강릉대학교 치과병원 홈페이지의 사이버 진료실에 게재된 질문들의 내용들을 검토해서 치과 진료과별로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구강내과 영역에 해당되는 질환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전체 2000여 개의 질문 중 구강내과 진료에 대한 상담에 속하는 질문은 20.92%이었고, 구강악안면외과 진료에 속하는 질문이 16.87%, 치과보존과 16.67%, 치과교정과 14.02%, 치과보철과 12.25%, 치주과 8.36%, 소아치과 4.93%, 예방치과 2.08%, 기타 질문이 3.90%로 나타났다. 구강내과 진료에 대한 상담에 속하는 403개의 질문 중 구강점막 질환에 대한 질문이 44.17%,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질문이 41.19%, 구취에 관한 질문이 4.47%, 구강 건조와 관련된 질문이 3.23%, 다른 구강안면통증에 관련된 질문이 2.23%, 법치의학과 관련된 질문이 1.49%, 기타 질문이 2.98%로 나타났다. 구강내과 영역 질환에 대한 질문의 비율이 타과 진료 영역 질환과 관련된 질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해 볼 때, 구강점막 질환과 측두하악장애를 포함한 구강내과 질환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구강내과에 내원한 신환에 관한 분석 연구

        고명연,허준영,옥수민,김경희,정성희,안용우,Ko, Myung-Yun,Heo, Jun-Young,Ok, Su-Min,Kim, Kyung-Hee,Jeong, Sung-Hee,Ahn, Yong-Woo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2

        구강내과는 측두하악관절장애 및 신경병성통증 등과 같은 구강안면 통증, 연조직 질환, 구취, 레이저 치료,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 법치의학적인 감정 분야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의 질환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되며 환자에게 큰 불편과 고통을 안겨주며 때로는 건강에 치명적인 위협을 초래하기도 한다. 구강내과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현대 사회로 갈수록 생활 패턴의 변화와 스트레스 증가 등의 원인으로 턱관절 장애를 포함한 구강 안면 통증 환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또한 연조직 질환,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 법치의학적인 감정 등과 같은 구강내과적인 전문성을 요구하는 분야의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치과학 중에서 구강내과의 역할과 전문성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증가되고 있다. 연간 구강내과에 내원한 신환의 질병명에 따른 분포도와 증상의 이환 기간, 내원 경로 등을 분석하는 것은 향후 구강내과의 역할과 비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환자를 위한 원활한 진단과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1년간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신환을 분석하여 향후 구강내과의 역할과 전문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구강내과에 내원하는 신환은 주로 측두하악장애, 연조직 질환, 신경병성 통증 환자로 나타났다. 2. 측두하악장애 환자는 신환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세부 진단순은 복합 장애 환자, 근육통 환 자, 관절원판 내장증 환자 순이었다. 3. 연조직 질환 환자 중 구강건조증 환자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그다음 편평태선 환자,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 순이었다. 4. 신경병성 통증 환자에서 구강 작열감 증후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Oral Medicine includes temporomandibular disorder, orofacial pains such as neuropathic pain, soft tissue diseases, halitosis, laser treatment, snoring, sleep apnea and identification through forensic dentistry etc. Such diseases are relatively common and cause great inconvenience and pain to the patients, as well as incur fatal health scare at times. In terms of oral medicine, the number of orofacial patients is growing due to a change in the life style and an increased stress as time goes in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demand of areas requiring oral medical professionalism, such as soft tissue lesions, snoring and sleep apnea, forensic dentistry evaluation and others are rapidly ascending. Consequently, among the areas in dental science, the calls for the expertism in oral medicine and its role are mounting. Analyzing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disease entity, symptoms, duration of disease, and the prehistory courses of new patients visiting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in a year provides information of the role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oral medicine in prospect and enables effective diagnosis and treatments for the patient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by analyzing new patients visiting the oral medicine clinic in our dental hospital for a year and by evaluating the role and the professionalism in future oral medicine, the authors concluded the followings: 1. It was founded that new patients to oral medicine mainly ha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soft tissue diseases, and neuropathic pains. 2. The number of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ppeared to be the highest percentage and the order within this was the patients with combined disorders, muscle disorder, and internal derangement of joint disc. 3. The number of patients with xerostomia appeared to be the highest percentage within soft tissue disease, followed by lichen planus and recurrent apthous ulcers. 4. The number of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appeared to be the highest percentage within neuropathic pain.

      • SCOPUSKCI등재

        Morphine 과 병용한 경막외 Low-dose Ketamine 의 술후 통증에 대한 효과

        김명옥(Myoung Oak Kim),주경화(Koung Hwa Joo),김운 대한통증학회 1999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12 No.2

        N/A Background: Epidural morphine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has a serious risk of respiratory depression and other side effects such as pruritus, nausea and urinary retention, In recent years, it is known that epidural administration of ketamine potentiates the effect of epidural morphine, and so decrease the side effects of epidural morphin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algesic efficacy of epidurally administered ketamine and whether this epidural administration can decrease the amount of epidural morphine. Methods: Sixty patients scheduled for the elective cesarean section were randomly selected. All patients were given subarachnoid injection of tetracaine 9 mg. Group I received epidural bolus injection of 0.15% bupivacaine 10 ml with morphine 2 mg followed by a continuous infusion of 0.125% bupivacaine 100 ml containing morphine 4 mg after peritoneum closure, and group II received the same method as group I except for the addition of epidural ketamine 30 mg. Analgesic effects were assessed using Numeric Rating Score (NRS) and Prince Henry Score (PHS). Also,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incidence of the side effects were observed. Results: Analgesic effects were significant in both groups after drug administration. But NRS and PH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t all times. The incidence of nausea and vomiting was 11 out of 30 in group I and 9 out of 30 in group II and the incidence of itching was ll out of 30 in group I and 8 out of 30 in group II, Number of patients using additional analgesics were 2 and 1 in group I and II, respectively. Conclusions: Epidural ketamine did not potentiate the analgesic effect of epidural motphine and could not decrease the side effect of epidural morphine.

      • KCI등재

        삼차신경손상의 온도역치검사에 대한 예비연구

        김미은,Kim, Mee-Eun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2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7 No.4

        임플란트 수술이나 발치 같은 침습적인 치과치료로 인한 삼차신경 손상의 증가는 최근 치과계의 가장 민감한 문제의 하나로서 향후 법적인 문제로 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신경손상에 대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 즉, 정량적 감각신경 검사(quantitative sensory testing)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온도역치 검사는 QST의 필수 항목으로 구강영역에서도 신뢰성이 입증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삼차신경손상과 관련한 온도역치 검사에 대한 보고가 아직 없기에, 본원에서 시행한 일부 증례의 온도역치 검사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1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삼차신경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중 온도역치 검사를 시행한 18명의 환자 자료를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냉인지역치(cold detection threshold, CDT)는 이환측이 비이환측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온인지역치(warm detection threshold, WDT), 냉통각역치(cold pain threshold, CPT), 열통각역치(heat pain threshold, HPT)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향후 더 많은 피검자를 대상으로 온도 자극과 관련하여 감각저하나 감각과민, 통각저하나 통각과민 같은 유형별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rigeminal nerve injuries due to invasive dental procedures such as implant surgery and extraction is one of the most serious issues in dentistry and may provoke medico-legal problems. Thus, for objective and reliable assessment of nerve injury, a need of QST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is emphasized and thermal threshold test is an essential part of QST, reported to have acceptable reliability in the orofacial region. This pilot study aimed to evaluate thermal thresholds for limited cases of trigeminal nerve injures. The study investigated 18 clinical cases with trigeminal nerve injuries who visited Department of Oral Medicine, Dankook Univeristy Dental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May 2011 to Oct 2012. Thermal thresholds was measured by Thermal Sensory Analyzer, TSA-II (Medoc, Israel). Their CDT(cold detection threshol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ffected sides compared to the unaffected sides. Other parameters such as WDT(warm detection threshold), CPT(cold pain threshold) and HPT(heat pain threshold)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s.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to compare thermal thresholds relative to types of nerve deficits such as thermal hyper- or hypoesthesia and hyper- or hypoalgesia for larger sample.

      • KCI등재

        하행성 조절계 : 만성 통증에 대한 제어 작용

        김민재,강수경,전양현,홍정표,어규식,Kim, Min-Jae,Kang, Soo-Kyung,Chun, Yang-Hyun,Hong, Jung-Pyo,Auh, Q-Schick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2013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8 No.2

        하행성 억제계란 중뇌, 연수, 뇌교에 존재하는 해부학적 유해수용 조절성 기전을 일컫는 용어이다. 이들 부위를 전기적으로 자극을 하면 진통효과가 나타나며, 하행성 억제계의 실패시 지속적인 통증이 야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우울불안 같은 질환은 만성 신경병성 통증 상태로 쉽게 진행됨이 밝혀졌다. 이러한 요인들이 만성 신경병성 통증에 영향을 주는 경로는 아마도 하행성 억제계일 가능성이 있다. 흥미롭게도, 광범위하게 하행성 억제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과민성 대장증상이 호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환자들은 높은 불안, 우울 지수가 관찰되기도 한다. 다양한 연구에서, 하행성 억제계에 관여하는 ${\alpha}2$ 아드레날린성 약물, 아편유사약물들이 만성 통증에 사용될 수 있음을 동물에서 평가 중이다. 아직 신체내에서 얼마나 하행성 억제계가 일어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임상적으로 증명하기 힘든 감이 있지만, 여러 감각 신경기전의 수정에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즉 중추신경계는 대상을 인식하기 위해 말초정보를 받아들이는 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방법으로 정보의 홍수를 조절하고 선택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descending control system is composed of a group of structures in the midbrain, medulla oblongata and pons that form a network of descending inhibitory projections. In the clinical setting, it has been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a electrical counterirritant to these structures and diminishes the pain in patients. Thus, depression and anxiety have been shown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chronic neuropathic pain state. These factors could influence pain might also involve descending controls. Interestingly, reduced descending controls are seen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theses patients had greater anxiety, depression compared to controls. And, the influence of anxiety on the chronicity of pain and on the descending control pathways should be tested in animal models, using modern techniques. Given this Knowledge, it is no wonder that pain is a highly personal experience that is susceptible to a variety of biologic, pharmacolog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