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정량적 평가 지표를 활용한 호우피해 예측지도의 정확도 판단기준 설정

        이진영,김동균,박경운,김태웅 대한토목학회 201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9 No.3

        It is important to estimate flood overflow because adverse weather phenomena are frequently occurring in recent years. In order to cope with such abnormal floods, it is essential to perform flood inundation simulations for constructing flood inundation maps as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However, there is no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and criterion for flood inundation prediction. In this study, the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 (ROC) and Lee Sallee Shape Index (LSSI) were employ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accuracy of flood inundation maps for 10 administrative districts. Comparing predicted inundation maps with actual inundation trace maps, the ROC score was 0.631 and the LSSI was 25.16 %. Using the ROC and the LSSI, we proposed an evaluation criterion for flood inundation map. The average score was set as an intermediate score and distributed into 5 intervals.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criterion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to the XP-SWMM model, which has been verified and corrected. The ROC analysis result was 0.8496 and the LSSI was 51.92 %.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posed evaluation criteria can be applied to flood inundation maps.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홍수범람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침수범위에 대한 예측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비구조적 대책 중의 하나인 호우피해 예측지도의 작성은 필수적이며 홍수범람 해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호우피해 예측지도의 정량적 평가방법과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 (ROC) 분석과 Lee Sallee Shape Index (LSSI) 방법을 이용하여 10개 행정구역에 대한 호우피해 예측지도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ROC Curve Score는 0.631, LSSI 방법은 25.16 %로 분석되었으며, 각 행정구역에 대한 분석결과와 전체 결과를 활용하여 점수구간을 5개로 나누어 호우피해 예측지도 평가에 대한 정량적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검·보정이 완료된 XP-SWMM 모형의 ROC 분석과 LSSI 결과, 각각 0.8496, 51.92 %로 분석되어 침수피해 예측지도에 대한 평가기준의 적정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호우피해 예측지도에 대한 정략적인 평가기준은 다양한 재해지도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고속도로 터널부 속도 감소에 관한 심리적 요인분석

        이기영(Lee Ki Young),김태호(Kim Tae Ho)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0 No.2D

        고속도로의 터널구간은 일반구간과는 다른 주행특성(속도, 교통량, 밀도 등)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고속도로 일반부에서 터널진입 전과 후에 운전자 행태가 변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예가 속도의 감소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 중 현재까지 연구의 진행 추세는 도로의 용량, 속도감소 측면의 정량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 위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터널의 다양한 여건을 고려할 수 있는 구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중요도-만족도(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시행한다. 수행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실질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고속도로 터널부 속도저감의 정성적인 개선사항을 제시한다. 분석결과, 이용자의 경우, 최근 증가 추세인 장대터널과 관련된 터널 자체의 형상(길이, 내부의 곡선형태)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문가의 경우, 이용자에 비해 세부적인 기하구조(노견 및 차로폭)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이용자와 전문가 사이에는 정성적인 설계요소측면에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관점 차이를 반영하여 개선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와 전문가 모두가 공통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개선사항으로는 터널 입구 보임여부인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둘째, 관점에 대한 차이는 이용자의 경우 장대터널 자체(형상)에 대한 전반적인 부담이 존재하는 반면, 전문가의 경우 장대터널의 지속적인 보급은 유지하되 세부적 기하구조 요소(소견 및 차로폭)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터널길이와 곡선형태의 측면에서 많은 관점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unnel sections on the highway are different from rest of sections on the highway in terms of velocity, the number of passing cars, and vehicle density which, in particular, affect drivers' behavior before and after drivers pass through the tunnel. However, literature review reveals that former studies are too focused on quantitative indicator to consider qualitative aspects. Therefore, this paper conducts survey questionnaire and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o find out qualitative improvements on velocity drop on the tunnel sections.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drivers require improvements of tunnel form (length and curved form inside tunnel) which is derived from long distance tunnel. Second, experts primarily ask for amendment of geometric characteristics. With comparison of requirements of both drivers and expert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length of tunnel and form of curved tunnel. This also presents that drivers don't satisfy with both length of tunnel and form of curved tunnel that are provided as a part of highway design factors.

      • KCI등재

        3D기반 비정형 토목구조물 물량산출 알고리즘 개발

        하철석,문소영,문현석,강인석,Ha, Cheol-Seok,Moon, So-Yeong,Moon, Hyoun-Seok,Kang, Leen-Seok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2

        최근 건설공사에 디자인적 요소가 많이 강조 되면서 비정형 구조물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소프트웨어들이 BIM환경에서 3D객체의 물량산출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솔리드 모델기반 정형화된 객체의 제한된 물량산출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비정형 토목 구조물과 같이 수직적 단면형상의 변화정도가 심한 3D객체는 다수의 곡면 표현을 포함하므로 솔리드로 모델링하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해당 모델이 포함한 기하정보의 수가 방대하기 때문에 특정한 단면에 대한 기하정보를 추출하기가 용이치 않다. 이러한 이유로 비정형 구조물을 솔리드 모델의 3D객체로 표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른다. 반면 서피스 모델은 비정형 객체의 형상을 비교적 자유로이 표현할 수 있고, 점, 선, 면으로만 이루어진 모델이기 때문에 정보의 용량이 적다. 따라서 대부분이 복잡한 형태로 방대한 양의 설계작업을 필요로 하는 토목공사의 설계정보 용량을 고려한다면, 서피스 모델링은 토목구조물 설계와 물량산출에 유리한 모델링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설공사 비정형 구조물의 설계 작업에 유리한 서피스 모델기반의 3D객체를 이용한 비정형 객체의 물량산출 알고리즘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시된 방법론은 사례적용을 통하여 수계산 및 기존 솔리드방식의 물량산출결과와 비교하여 정확성을 검증하고 있다. Recently, as the appearance and exterior design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are highlighted, the irregularly shaped structures are increasing in a construction facility. Many softwares provide a quantity take-off function of 3D object under BIM environment, however, they are focused on the limited function based on the solid modeling method. Because the vast geometric information of the curved surface is difficult to extract in the 3D objects that consist of major changes in vertical section shape as the irregularly shaped structures, it is difficult to express a 3D object as a solid model. On the other hand, the irregularly shaped structures can be expressed in relatively free in the surface model because the surface model consists of points, lines and surfaces. Accordingly, the surface modeling method is suitable for the modeling of large irregularly shaped structures. This study suggests a quantity take-off algorithm for the irregularly shaped structures using the surface modeling approach that is beneficial in the design work of structures. Some case projects are used for verifying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 원전구조물의 내진설계 시 고정기초해석 판단기준에 대한 평가

        김재민(Kim Jae-Min),현창헌(Hyun Chang-Hun),김원희(Kim Won-Hee),정연석(Chung Yun-Suk)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Vol.2006 No.10

        이 연구에서는 원전구조물의 내진설계 시 지반-구조물 상호작용해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에 대해 검토하였다. 검토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제 구조물에 대한 ASCE 4-98 기준을 적용한 결과, 일반적으로 암반으로 분류하는 전단파속도가 1,100㎧인 지반에 대해서도 고정기초해석에 의한 내진설계를 할 수 없다. 2. ASCE 4-98에 따른 고정기초해석이 가능한 지반을 추정한 결과, Hualien 지진시험구조물에서는 2,000㎧, 울진 3,4호기 원전 격납구조물에서는 1,735㎧ 이상으로서 현행 국내 기준인 1,100㎧보다 값으서 ASCE 4-98 기준은 현행 국내 기준보다 강화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3. 예제 구조물에 대한 지진응답해석결과, ASCE 4-98의 SSI 해석여부에 대한 기준은 현행 실무와 비교하여 기초가 암반 상에 건설될 경우 보수적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재검토가 필요하며, 용범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국내 토목산업의 설계-시공 균형발전 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이강욱,한승헌,박형근,진경호,Lee, Kang Wook,Han, Seung Heon,Park, Hyung Keun,Chin, Kyung Ho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1

        최근 해외건설시장에서는 산업설비 분야를 중심으로 기획, 설계, 구매조달, 시공을 통합하는 EPC(Engineering, Procurement, & Construction) 형태의 발주물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토목산업 분야에서도 점차 Design-Build 발주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발주환경의 변화에 따라 프로젝트종합관리, 기본설계 등 건설엔지니어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 건설산업은 시공 위주의 산업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토목산업의 엔지니어링 역량을 제고하고, 장기적으로는 설계-시공 균형발전을 위한 산업 차원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외 건설산업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건설업체들의 인식수준 및 니즈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와 발전방안의 실효성 검토를 위한 전문가 심층면담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국내 토목산업의 설계-시공 균형발전 방안은 1) 토목설계업 관리체계 효율화, 2) 토목설계업 관련 제도 선진화, 3) 고부가가치 우수인력 육성, 4) 엔지니어링조합 및 컨소시엄 구성, 5) 해외건설 협력기구 조직 및 운영으로 구분하여 제시되었다. In the recent global construction environment, EPC contracts that integrate planning, design,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have been widely used for industrial facilities. Similarly, as the importance of the engineering capability such as project management consulting(PMC) and front end engineering design(FEED) has been increased, design-build contracts also have been gradually adopted for infrastructure projects. Whereas, the Korean infrastructure industry has fragmentary features which mainly emphasize on the construction sector.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engineering capability and for balancing the competitiveness betwee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sectors in the Korean infrastructure industry. To this end, the authors first carried out market analysis for both global and domestic market. Then, a structured survey and expert in-depth interviews were sequentially performed in order to reflect practitioners' perspectives and needs for institutional strategies. As a result, five strategie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arranging the government's roles for supporting the engineering sector; 2) establishing institutional bases being compatible with global standards; 3) fostering value-added workforce for undertaking complex tasks; 4) constructing an consortium between an engineering association and general contractors; and 5) building a nationwide collaborative networks for overseas market expa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