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자력발전소 제어실 설계에 대한 인간신뢰도분석 규제방향 정립에 관한 연구

        이동훈,김대일,정충희 대한인간공학회 2007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원자력발전소 제어실 설계에 있어 인적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업자에 의해 수행되는, 인간신뢰도분석(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에 대한 규제방향을 정립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원자력 인간공학 분야에 대표적으로 적용되는 기술기준과 지침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원자력발전소 제어실에 건설 시 수행되어야 할 인간신뢰도분석에 대한 규제경험은 국내?외적으로 전무하므로, 학계 및 연구계 전문가(subjective Matter Expert)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였다. 본 연구결과로서 확률론적 위험도 분석(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PSA)에서의 인간신뢰도분석 결과의 적용, 인간신뢰도분석 평가에 적용되는 수행도형성인자(Performance Shaping Factor; PSF)에 대한 개발 등을 포함하는 인간신뢰도분석 관련 세부규제방향을 정립하였다. 또한 제어실 설계 시 이행되는 다른 인간공학 활동 즉, 직무분석, 인간-시스템연계설계, 인간공학 확인 및 검증 등에서의 인간신뢰도분석 결과의 적용 및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였으며, 이상의 결과는 첨단제어실로 건설되는 신고리3?4호기 건설허가 심사 시 규제방향으로 적용된다.

      • 작업치료 중재와 환경에서 인간공학의 적용

        황정보(Jung Bo Hwang),한기찬(Ki Chan Han),윤진(Jin Yun),정화식(Hwa Shik Jung) 대한인간공학회 2012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인간 공학은 인간을 위해서 사용되는 물체, 시스템, 환경의 디자인을 위해서 인간을 고려하여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만드는 응용학문이다. 인간공학은 인간행동연구,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산업디자인 등의 분야에 연관이 깊으며 인간공학적으로 적절하게 만들어진 디자인은 단순히 효율이 높거나 편리하거나 편한 사용성의 문제뿐 아니라 반복된 긴장으로 인한 상해나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애 또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인간공학에 대한 소개와 치료사들이 알아야 할 인간공학적 접근법에 대해 기술하며 치료행위 자체에만 집중해 왔던 치료사들에게 인간공학적인 치료실 환경의 설계와 가정과 일터에서의 중재에 대한 인간공학적 작업관련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새로운 시각과 접근법으로 치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현재까지 작업치료와 인간공학의 접목을 시도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을 전공하는 학생, 임상에서 활동하는 작업치료사, 작업치료학을 가르치는 교육자들에게 새로운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보건관리자 법 개정에 따른 인간공학기사 제도개선 실태조사

        이현재(Hyunjae Lee),이재홍(Jaehong Lee),김수찬(Soochan Kim),오순영(Soonyoung Oh),김유창(Yuchang Kim) 대한인간공학회 2017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1

        Obj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공학기사 제도개선을 위한 실태조사를 통해 현황파악 및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ackground: 통계청의 산업재해현황에 따르면 연도별 직업병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인간공학 전문가 배출을 증가시키기 위한 인간공학 자격제도 활용 분야에 대한 연구 등 일부 선행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인간공학기사 제도개선을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Method: 인간공학기사 취득자와 준비자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간공학기사 제도 개선을 위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Results: 인간공학기사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인간공학기사 활용 기회가 제도적으로 마련되지 않음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인간공학기사가 보건관리자로 선임되는 자격 제도 개선안이 통과될 경우 기대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간공학 관련학과 전공자의 진로 및 고용창출에 대한 기대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Conclusion: 인간공학기사 제도개선을 위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취득 이유, 직업별, 수행하고 있는 인간공학 관련 업무별, 기사 제도의 문제점, 보건관리자 법 개정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하였다. Application: 본 연구를 통해 기사 제도의 문제점 및 현황을 파악하여 올바른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것이라 예상되며, 기사 제도 개선의 기초자료가 되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인간공학을 적용한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 지원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이명숙,박경숙,홍창우,박정화 대한인간공학회 2008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농업 국가였으며,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개발의 영향으로 농촌인구의 도시이동 증가로 농촌인구가 빠르게 감소하였고, 최근에는 고령화, 여성화로 인해 농촌 노동력의 부족이 심각한 상황에 처해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국기기틀을 유지하는 식량안보 산업의 하나로 인식되어온 현대 농업은 재래 농업에 비해 작업의 기계화와 자동화로 인해 농업생산성이 많이 증가되었고, 이로 인해 농업인들도 과중한 농업노동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증가된 농업기계만큼이나 관련 사고도 증가되어 농작업과 관련된 재해율은 전체 산업 재해율의 4.5 배에 달하고 있으며, 경제적 손실도 연간 14 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농작업 관련 재해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농업기계로 인한 사망자도 매년 120~140 명에 이르고 있으며, 농업기계의 안전성 조사결과에서도 주요장치의 편의성, 시계성, 비상 조작 장치 배치 등에 있어서 인간공학적 고려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인의 안전에 대한 철저한 대책마련과 재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이러한 사각지대에 놓인 농업인에 대한 농작업 안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작업 환경과 고령 및 여성 농작업자의 특성을 고려한 인간공학적 개념을 도입한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 지원사업을 2008 년부터 신규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의 전반적인 현황과 추진체계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적인 사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위반형 오류의 유형 및 특성에 대한 기초 조사 연구 – 원자력 분야 인적 오류 정책 수립을 위하여

        이용희(Lee Yong Hee)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ICT 및 AI 기술의 도입으로 안전에 대한 우려가 급격히 증가했다. 신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인적 오류로 인한 불확실성은 잔존 위험(residual risk)을 넘어 초연결(super-connected) 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민감한 과제이다. 특히 위반(violation)은 안전(safety)을 넘어 보안(security)을 포함한 보다 포괄적인 안녕에 최고의 취약성(vulnerability) 과제로 작용하여 내부자 위협(insider threat) 등의 제목으로 최대의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위반은 전통적인 인적 오류에 대한 인간공학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왔다. 그 결과 위반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은 물론 기초적인 이해도 미흡하여 기술적 접근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반에 대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위반의 유형 및 특성에 대한 조사연구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일상 및 직무 과정에서 경험하거나 직간접적으로 포착되는 다양한 위반 사례를 수집하여 그 유형 및 세부 특성을 분석하였다. 위반은 단순히 의도적 오류(intentional error)가 아니라 관련된 내부 및 외부 요소에 의해 구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다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기술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도출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원자력 분야에서 수행되는 사고 고장 사례의 분석과 관련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인적 오류에 대처하기 위한 인적 오류 정책의 하나로 제안할 예정이다.

      • 인간공학표준을 활용한 적합성평가절차

        이동하(Dhong Ha Lee) 대한인간공학회 2010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본 논문은 의자의 인간공학적 편의성에 대한 국제표준 적합성 평가를 받기 위한 절차를 연구하였다. KSAISO 9241-5 영상디스플레이 사용을 위한 인간공학요건-제5부: 작업장배치 및 자세요건 표준에는 의자에 대한 인간공학적 적합성 평가를 수행해야 할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ISO 20282-3 Ease of operation(사용용이성) of everyday product-Part3: Test method for consumer product 표준에는 일상 생활에서 간편하게 사용하는 소비자 제품에 대한 적합성 평가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이상의 두개의 표준을 조합하면 설계, 제조 또는 판매 대상이 되는 의자가 국제표준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국제표준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통한 인증은 인간공학전문가가 수행할 수 있는 고유 업무영역으로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Comparisons of ergonomics evaluation tools(ALLA, RULA, REBA, OWAS) for Farm Work

        Yong-Ku Kong,Kyung-Suk Lee,Sung-Yong Lee,Kyung-Hee Choi,Dae Min Kim 대한인간공학회 2015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Objective: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농작업 현실에 맞는 다양하고 세분화된 인간공학적 하지 평가도구(ALLA)를 검증하고자 한다. Background: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인간공학적 평가도구를 통해 작업의 위험성을 판별해 내고자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ALLA는 농작업에서 흔히 관찰되는 하지 자세들을 한국인 대상으로 인체 생리학적 실험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농작업, 특히 하지 부담 작업 평가를 위한 인간공학적 평가도구이다. Method: 하지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농작업에서 발생되는 자세 196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자세에 대해 인간공학전문가 평가를 실시하고, 인간공학적 평가도구인 ALLA, RULA, REBA, OWAS 평가를 실시하여, 전문가 평가 결과와 ALLA, OWAS, RULA 그리고 REBA의 결과가 일치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Hit rate analysis, quadratic weighted kappa 분석을 실시 하였다. Results: 전문가 평가결과와 ALLA 평가결과의 적중률이 타 인간공학적 평가도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The Quadratic weighted kappa 분석 또한, ALLA에서 가장 높은 0.803으로 나타났으며, 두 평가결과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one-way ANOVA, t-test 등의 통계적인 분석에서 또한 타 인간공학적 평가도구 보다 ALLA가 전문가 평가결과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clusion: 농작업에서 자주 발생하는 다양한 하지 자세를 분석 가능한 특성을 갖춘 ALLA가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농작업에서 많이 관찰되는 근골격계질환 위험 작업을 간편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인간공학적 평가도구를 검증함으로서, 농작업 수행으로 인한 근골격계질환 발생위험도를 간편하고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토록 하여 질환의 예방과 관리 및 작업환 경개선 효과를 손쉽게 평가할 수 있게 하는 평가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신호탐지이론을 활용한 네이티브 광고의 탐지 및 회피성향 분석

        Yejin Lee,Kwang Tae Jung 대한인간공학회 2018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11

        Objective: 본 연구는 신호탐지이론을 활용하여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탐지 및 회피성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Background: 네이티브광고는 콘텐츠 안에 삽입되어 제공되는 광고로 최근 SNS의 대중화와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광고기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네이티브광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디자인요소들을 활용하여 소비자들이 광고로 인식하지 않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네이티브광고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네이티브광고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Method: 본 연구에서는 네이티브광고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호탐지이론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의 광고에 대한 탐지 및 회피 성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티브광고와 신호탐지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조사 및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탐지 및 회피 성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Results: 신호탐지이론을 적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반응은 ‘광고가 삽입된 것을 올바르게 탐지’, ‘광고가 삽입된 것을 탐지 못함’, ‘광고가 없는데 광고가 삽입된 것으로 인식’, ‘광고가 없는 것을 올바르게 인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광고를 콘텐츠로부터 탐지해 내는 정도를 나타내는 민감도와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반응 성향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민감도는 삽입된 광고를 얼마나 쉽게 탐지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로 활용할 수 있는데, 민감도가 클수록 사용자들이 쉽게 광고를 탐지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광고에 대한 회피성향은 높아질 것이다. 또한 반응성향은 사용자들이 광고에 대하여 얼마나 엄격하게 회피하는지의 정도를 판단하는 척도로 활용된다. Conclusion: 신호탐지이론은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탐지 및 회피 성향을 적합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pplication: 본 연구의 결과는 네이티브광고의 효과를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고, 또한 네이티브광고 디자인 요소의 적합성을 평가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VDT 작업환경에서의 글자 글자에 대한 인간공학 지침 통합에 관한 연구

        정성해,박준용,김남철,차우창 대한인간공학회 2006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텍스트 기반의 주업무가 이루어지는 VDT 작업환경에서 글자(character)에 대한 여러 지침을 통합하여 글자 설계를 위한 지침을 개발하였다. 연구를 위해 VDT에 관한 인간공학 자료를 수집하여 글자에 대한 지침을 추출하고 비교 분석하여 일원화를 하였다. 그 결과 글자의 특성을 10개의 하위 항목으로 구성하여 통합된 지침을 개발하였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RT vs. FPD)에 따른 글자의 가이드라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는 글자에 대한 특성과 각 특성에 따른 지침 제시와 더불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따른 글자 설계를 위한 지침으로 사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20대의 보행 비대칭성의 정상 범위 수립과 과거 하지 부상 이력이 보행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

        윤우진(Woojin Yoon),권유진(Yujin Kwon),이지언(Jieon Lee),신관섭(Gwanseob Shin)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국내 20대들의 보행 비대칭성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설립함에 있다. 또한, 과거 하지 부상 이력이 보행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을 설립된 기준에 따라 확인함을 목적으로 한다. 배경: 인간의 보행은 다양한 신체 부위들의 상호작용과 좌우 움직임의 조화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행의 대칭성은 낙상 등의 부상 위험성을 판단하거나 뇌졸중 등의 질병과 부상을 진단하고 재활의 범위를 확인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성인들의 보행 비대칭성의 정상 범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러한 보행 비대칭성의 정상 범위에 대한 설립은 과거 하지 부상 이력 등으로 인해 발생한 보행 비대칭성이 얼마만큼의 이상성을 갖는지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방법: 60명의 과거 하지 질환이 없는 20대 남녀의 ‘일반 그룹’과 46명의 과거 하지 질환 이력이 있는 20대 남녀의 ‘비교 그룹’의 피험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피험자들이 pressure mat 가 매설되어 있는 10m 워크 웨이를 3분간 반복해서 보행하는 동안 보행 지표들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두 그룹의 보행 특성을 통해 그룹별 각각 보행 지표들의 좌우 대칭성 (symmetry ratio = max(좌,우)/min(좌,우))이 계산되었다. Symmetry ratio는 1.0일 경우 해당 지표의 좌우 비대칭성이 없음을, 1.0보다 값이 클수록 비대칭성이 강함을 의미한다. 보행 대칭성의 정상 범위를 정의하기 위해 일반 그룹에 대해 계산된 좌우 대칭성에 대해 95% 신뢰 구간 (Confidence Interval; CI)의 상한 경계를 계산하였고, 비교 그룹의 좌우 보행 대칭성과 비교하였다. 결과: 과거 하지 질환 이력이 없는 일반 그룹의 보행 데이터를 통해 보폭(1.05), stance phase의 비율(1.03), 전족부 최대 힘(1.03) 그리고 중족부 최대 힘(1.30) 등의 보행 지표들에 대한 좌우 대칭성의 정상 범위에 대한 상한 경계를 수립하였다. 각 보행지표의 해당 상한 경계를 벗어나는 보행 비대칭 수치는 비대칭성이 정상 범위에 있지 않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의 보행 지표들 중 과거 하지 부상 이력이 있는 그룹의 전족부 최대 힘(1.04)과 중족부 최대 힘(1.32)의 평균 좌우 대칭성이 정상 범위의 상한 경계를 벗어나는 값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연령 분포가 좁은 20대의 피험자를 모집했기 때문에, 더 넓은 연령 분포의 피험자들 통해 제시되었던 기존 연구들보다 더 작은 범위에서 정상 범위가 수립되었다. 중족부 최대 힘의 좌우 대칭성은 가장 높은 정상 범위의 상한 경계를 보였고, 비교 그룹의 평균이 그 정상 범위를 벗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중족부가 발의 부위중 가장 적은 면적이 지면에 닿는 부위이기 때문에, 중족부가 지면에 닿는 힘이 비대칭성에 민감한 지표이기 때문으로 예상된다. 적용: 수집된 정상 그룹의 좌우 대칭성에 대한 정상 범위는 기존 연구에서의 결과와 차이가 있으며, 이는 더 많은 데이터 수집을 통해 국내 성인의 나이와 성별 등에 따른 보행 비대칭성에 대한 normative data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수립된 보행 대칭성의 정상 범위와 개인의 대칭성을 비교함으로써 부상의 정도나 후유증을 진단하고 치료의 경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