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회전근 개 질환에서 초음파 검사와 관절 조영 컴퓨터 단층 촬영의 진단적 가치 비교

        박태수,윤종필,김형섭,정원주,Park, Tae Soo,Yoon, Jong Pil,Kim, Hyung Sup,Jeong, Won-Ju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6 No.2

        목적: 회전근 개 환자의 진단에 사용되는 관절 조영술 후 컴퓨터 단층 촬영 (CT arthrography, CTA)과 초음파 검사의 소견을 관절경에서 확인된 결과와 비교하여 두 검사의 진단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질환으로 의심된 57명에서 CTA를 시행하였고, 이 중 28명에서는 초음파 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였다. 관절경 소견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근 개의 전 층 및 부분 층 파열에 대한 두 검사의 진단적 가치와 파열 크기에 대한 예측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CTA는 전 층 파열에 대한 민감도가 86.2%, 특이도가 100%, 부분 층 파열에 있어서 민감도는 58.3%, 특이도 87.8%의 결과를 보였다. 초음파 검사는 전 층 파열에 있어서는 민감도 84.6%, 특이도 86.7% 부분 층 파열에 대해서는 민감도 84.6%, 특이도 73.3%의 고른 결과를 보였지만, 파열의 크기를 예측하는 데는 CTA보다 낮은 정확성을 보였다. 결론: 두 검사 모두 회전근 개 질환에서 우수한 진단적 가치를 보였으며, CTA는 동일 환자에서 시행한 초음파 검사와 비교할 때, 부분 층 파열에 대한 정확성은 떨어지나, 파열의 크기를 예측하는 데는 더 높은 효용성을 보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to evaluate the comparison of CT arthrography and ultrasonography, confirmed by the arthroscopic finding in patients with rotator cuff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fifty seven patients with rotator cuff disease underwent CTA and arthroscopy, and twenty eight patients had taken ultrasonographyadditionally. The diagnostic value and prediction for tear size between CTA and ultrasonography were evaluated, as compared to arthroscopic findings. Results: CTA showed a sensitivity of 86.2% and a specificity of 100% in full thickness tear ofsupraspinatus, a sensitivity of 58.3% and a specificity of 87.8% in partial-thickness tear. CTA demonstrated good diagnostic value for full thickness tear, but there was relatively lower value for partial-thickness tear. Ultrasonography showed a sensitivity of 84.6% and a specificity of 86.7% for diagnosing in full thickness tear, a sensitivity of 84.6% and a specificity of 73.3% in partial-thickness tear. Ultrasonography provided good diagnostic value, but, there is lesser accurate result for prediction of tear size. Conclusion: CTA showedgood diagnostic tool of detection full-thickness tear of rotator cuff disease and predicting of tear size. Comparing with ultrasonography, CTA was inferior for detection of partial-thickness tear, but, provided better estimation for tear size.

      • 슬관절 골관절염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대퇴 내과 관절 연골의 두께 측정

        김정만,김태형,임동선,강민구,이규조,Kim, Jung-Man,Kim, Tae-Hyung,Im, Dong-Sun,Kang, Min-Gu,Lee, Kyu-Jo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4 No.1

        목적: 체중 부하 엑스선 상의 관절 간격과 초음파 검사상의 대퇴 연골 두께를 비교, 상관 관계를 조사하여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6월에서 2010년 9월까지 체중 부하 엑스선 검사와 함께 초음파 검사로 관절 연골의 두께를 측정한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측 35예, 좌측 20예, 양측 18예로 전체 91예였다. 엑스선 상 내측 관절 간격은 완전 신전 전후면 상과 $45^{\circ}$도 후전면 상(Rosenberg view)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초음파 검사는 앙와위에서 $30^{\circ}$ 굴곡 및 $130^{\circ}$ 굴곡 상태에서 관상 스캔을 실시하여 전방 1/3과 중간 1/3 사이 지점 및 중간 1/3과 후방 1/3 사이의 체중 부하부위에 해당되는 지점의 내측 대퇴 연골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엑스선 검사와 초음파 검사상의 각각의 측정값을 Pearson correlation test과 Bland-Altman plot 통계학적 검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완전 신전 전후면 상에서 관찰된 전방부의 관절 간격과 초음파 상 30도 굴곡 위치에서 측정한 전방 1/3과 중간 1/3 사이 지점의 관절 연골 두께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가졌고, 엑스선 상 $45^{\circ}$도 후전면 상에서 관찰된 후방부 관절 간격과 초음파 검사 상 $130^{\circ}$ 굴곡 위치에서 측정한 중간 1/3과 후방 1/3 사이 지점의 관절 연골 두께 측정치 사이에서도 유의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SD{\pm}2$). 결론: 기립이나 체중 부하를 할 수 없는 골관절염 환자에서도 초음파 검사는 외래에서 손쉽게 슬관절 대퇴 관절 연골의 두께를 측정하고 연골 손상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어 진단 및 경과 관찰의 도구로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dial joint space on weight bearing simple X-ray and the ultrasonographic articular cartilage thickness. Materials and Methods: The articular cartilage thickness of 91 osteoarthritic knees of 73 patients were measured with weight bearing simple X-ray and ultrasonography between June 2010 and September 2010. Male were 13 and female were 60. Right knees were 35, left knees were 20 and bilateral involvements were 18. Medial joint spaces on X-ray were measured in full extension view and $45^{\circ}$ PA(Rosenberg) view. Femoral cartilage thicknesses at and those at the point between the middle 1/3 and posterior 1/3 area were measured by ultrasonography, that were scanned coronally at $30^{\circ}$ flexion and $130^{\circ}$ flexion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Pearson correlation test and Bland-Altman plot test. Results: Medial joint spaces measured in full extension view and femoral articular cartilage thicknesses at the point between the anterior 1/3 and middle 1/3 area measured with sonography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and medial joint spaces measured in $45^{\circ}$ PA view and those at the point between the middle 1/3 and posterior 1/3 area measured with sonography were also correlated (P<0.05, $SD{\pm}2$). Conclusion: The measurement of articular cartilage thicknesses by the ultrasonography was easy even in the patient who are unable to take weight bearing view and was thought to be a useful diagnostic and follow up method to examine the degenerative change in addition to simple radiographic examination in the knee osteoarthritis.

      • 주관절의 초음파 소견 및 이용

        배정연,이승준,이건우,Bae, Jung Yun,Lee, Seung-Jun,Lee, Kun Woo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6 No.2

        근골격계 초음파는 방사선 노출에서 자유로우며, MRI 에 비해 저렴한 가격, 외래에서 쉽게 시술할 수 있는 접근성, 또한, 이학적 검사와 함께 병행하면서 검사의 정확성을 더 높일 수도 있는 독특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트레스 검사와 함께 동적으로 시행하는 초음파 검사는 건, 인대, 신경 등의 숨은 병변을 확인하는 데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관절 초음파는 관절면, 활액막 공간에 대한 검사, 외측 상과염, 내측 상과염 등의 건 관련 질환이나 말초 신경의 병적 상태에 대한 진단 및 초음파 유도하 전, 후방 점액낭 및 관절내 주사를 위해 외래에서 손쉽게 사용될 수 있다. Musculoskeletal ultrasound has unique advantages that may be free from exposure to radiation, low price compared to MRI, outpatient procedure that can be easily accessible, and better accuracy combined with physical examination. Dynamic ultrasound performed with stress tests are known to be useful for detecting the hidden lesions in the tendons, ligaments, nerves. Ultrasound in the elbow can be used easily in the outpatient for evaluation of the joint surface and synovial space; diagnosis for tendon diseases such as lateral epicondylitis, medial epicondylitis and morbidity of peripheral nerves; guide for anterior-posterior bursal and intra-articular injections.

      • 회전근 개 파열의 수술적 치료시 초음파 연속 검사의 유용성

        박재현,최원기,최창혁,Park, Jae-Hyun,Choi, Won-Ki,Choi, Chang-Hyu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1 No.2

        목적: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수술 전의 자기 공명 영상 검사와 초음파 검사에 따른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고, 수술 후 2주, 6주 및 3개월의 회전근 개의 건재 상태를 초음파로 확인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2월부터 5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회전근 개 파열로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29명을 대상으로 초음파 검사와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후 관절경적 시술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수술 후 2주, 6주 및 3 개월에 회전근 개의 건재 상태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회전근 개 파열을 확인할 수 있는 초음파 검사와 자기 공명 영상 검사의 예민도는 각각 100%였다.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초음파 검사와 자기 공명 영상 검사의 예민도는 각각 95%, 82%였으며, 부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초음파 검사는 50%, 자기 공명 영상 검사는 33%의 예민도를 나타내었다. 전체 환자에 대한 초음파 검사의 정확도는 86%, 자기 공명 영상 검사의 정확도는 69%이었다. 전층 회전근 개 파열로 복원술을 시행한 22예 중 수술 후 2주에 시행한 추시 관찰 초음파 검사상 11예(50%, 소 및 중 파열 2예, 대 및 광범위 파열 9예)에서 회전근 개의 봉합 부위에서 수술 소견과 일치하는 틈새로 진단되는 저에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동적 신장 운동을 시행한 후 수술 6주의 추시 관찰 초음파 검사상 5예(23%, 소 및 중 파열 1예, 대 및 광범위 파열 4예)에서 재파열 소견을, 능동적 운동을 시행한 후 수술 3개월의 추시 관찰 초음파 검사상 7예(32%, 소 및 중파열 2예, 대 및 광범위 파열 5예)에서 재파열 소견을 보였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후 초음파 연속 검사는 술 후 틈새와 술 후 재파열을 구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며, 수술 후 6주에 23%, 3개월에 32%의 재파열 소견을 보인 바 재활 치료시 추가 치료의 방침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The findings of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ultrasonography (US) examination in the diagnosis of rotator cuff tear were then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arthroscopic examination, and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integrity of rotator cuff using serial US examination. Methods: Between February and May 2008, 29 patients with rotator cuff tear had undergone preoperative US and MRI examination and subsequent arthroscopic examination. And the results of MRI and US were compared with intra-operative results of the arthroscopic examination. We observed the postoperative integrity of rotator cuff using serial (postoperative 2 weeks, 6 weeks, 3 months) US examination. Results: The sensitivity of US and MRI for identifying rotator cuff tear were 100% and 100%. The sensitivity of US and MRI were 95% and 82% in full thickness tear, and 50%, 33% in partial thickness tear, respectively. Overall accuracy of US and MRI were 86%, 69%. Among 22 patients were operated for full thickness tear, intra-operative gap formation was identified in 11 patients (50%, small to medium 2 cases, large to massive 9 cases) which were identified at 2 weeks postoperative US. We could find 5 re-tears (23%, small to medium 1 case, large to massive 4 cases) on 6 weeks postoperative US after passive range of motion (ROM) exercise, and could also find 7 re-tears (32%, small to medium 2 cases, large to massive 5 cases)on 3 months postoperative US after active ROM exercise. Conclusion: Serial US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was useful to differentiate intra-operative gap formation from postoperative re-tear. We found 5 retears (23%) at 6 weeks and 7 retears (32%) at 3 months postoperative US, it was useful to make treatment plan during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초음파 유도하 1회 주사요법에 의한 방사선학적 조기 소멸 정도에 대한 예비보고

        유재철,손민수,고경환,임태강,이영석,Yoo, Jae-Chul,Shon, Min-Soo,Koh, Kyoung-Hwan,Lim, Tae-Kang,Lee, Yeong-Seo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5 No.1

        목적: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그 석회화의 크기, 시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초음파를 이용한 1회 주사요법(needling)에 의한 석회 침착에 대한 방사선학적 조기 소멸 정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3월부터 9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증상이 있는 석회화 건염으로 진단받은 모든 환자에서 1회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을 시행 받은, 총 46명(47 견관절) 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사요법을 시행하기 전 초음파를 이용하여 석회 침착물의 정확한 위치와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였으며 초음파 유도하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침착된 석회에 대하여 가능한 예에서는 흡입을 시도하였고 흡입 실패 시 다발성 천공을 시행하였고 모든 예에서 견봉하-삼각근하 점액낭에 1 ml 리도케인과 1 ml 스테로이드의 혼합액을 주입하여 주었다.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에 의한 침착된 석회의 조기 소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주사요법 시행 전과 시술 후 첫 외래 방문시기인 4주째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석회 침착물의 크기, 음영 및 형태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임상적 평가로는 통증과 기능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 (VAS)와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점수를 시술 전과 후에 평가하였다. 결과: 남자가 11명, 여자가 35명이었고, 시술 당시 평균 연령은 53.8세(28~71세)이었다. 우측 35예, 좌측 견관절에서 12예로 관찰되었고, 우세 상지측에 발생된 경우는 37예 (78.7%)에서 해당되었다. 주사요법 시행 전 시행한 방사선학적 검사 상 석회 침착의 형태는 31예에서 A형, 16예에서 B형으로 관찰되었고 평균 크기는 $2.9{\pm}6.7$ mm이었다. 초음파 유도하 주사요법 시행 후 4주째 시행한 방사선학적 검사 상 크기나 음영이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10예, 변화를 보였던 경우가 37예에서 관찰되었다. 변화를 보였던 37예 중 크기는 유지되나 음영이 감소되거나 경계가 불분명해진 경우가 14예, 크기가 감소된 경우 13예(50%이상 감소한 경우 4예, 50%미만 감소된 경우 9예), 흔적만 남은 경우 8예, 그리고 완전한 소실을 보인 경우가 2예에서 관찰되었다. 방사선학적 변화를 보였던 군과 보이지 않았던 군의 시술 후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두 군 간 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는 않았으며 시술 전 FAS 분류에 있어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1). 결론: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그 석회화의 크기, 시기나 형태와 관계없이 초음파를 이용한 1회 주사요법(needling) 이후 조기(4주째)에 방사선학적으로 크기나 음영에서 변화를 보이는 예는 79%에서 보였으나 거의 없어지거나 완전한 소멸을 보이는 예는 21%에서만 관찰되었다. 향후 장기적인 추시 관찰을 통하여 석회 침착물의 소멸 여부를 비교해 봄으로써 1회 시술의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preliminarily result of the radiologic disappearance of the calcific material, regardless of the size, type or location, on one-time ultrasonographic (US) assisted needling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to August 2011, 46 patients (47 shoulders) with symptomatic calcific tendinitis were treated by one-time US assisted needling. Initially, a diagnostic US was performed with patient to determine the locations, numbers and sizes of calcific deposits. After 1% lidocaine local anesthesia, the calcific material was punctured with an 18-gauge needle under US monitoring. If no calcific material was aspirated after 2 or 3 additional attempts, the deposits was performed multiple puncture to achieve decompression. And then all patients were performed subacromial corticosteroid injection.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4 weeks after procedure. To assess the radiologic disappearance after one-time US assisted needling, simple radiographs of the treated shoulder were performed and size, dense, and morphology of the calcific deposit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baseline radiographs. For clinical evaluations, visual analogue scale for pain and function (PVAS and FVAS), and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were assessed. Results: There were 11 male and 35 female patients with the mean age of 53.8 years (28-71). The morphology of the calcific deposits were 31 type A and 16 type B by French Arthroscopic Society classification and mean size was $2.9{\pm}6.7$ mm before the procedure. At 4 weeks after the index procedure, the radiographic unchanged group was included in 10 cases and changed group was 37 cases. No intergroup difference for the clinical results after the procedure was evident, but group FAS classification before the proced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11). Conclusion: At 4 weeks after one-time US assisted needling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the radiographic size- or dense-changed cases were showed in 79%, regardless of the size, type or location of the calcific material. But the radiographic nearly or complete disappearance were showed in only 21%.

      • 베이커 낭종에 대한 초음파 검사의 진단적 유용성

        김정만,라기항,남호진,박범용,최승균,Kim, Jung-Man,Ra, Ki-Hang,Nam, Ho-Jin,Park, Bum-Yong,Choi, Seung-Kyu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3 No.1

        목적: 베이커 낭종에 대한 진단 방법으로 초음파 검사와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비교하여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본원 정형외과 외래에 내원하여 슬와부의 종물 증상을 호소하는 41명, 42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전례에서 초음파 검사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여 종물의 형태와 위치, 격막 유무, 다발성 유무, 관절과의 교통성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에서 40예의 베이커 낭종과 2예의 지방종이 관찰되었고, 40예의 낭종은 모두 내측에 위치하고 있었고, 단발성이면서 격막이 존재하는 경우는 11예, 다발성 낭종인 경우는 3예 였으며, 단발성 낭종으로 교통성은 26예에서 추정되었다.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는 40예의 베이커 낭종과 2예의 지방종이 관찰되었으며, 낭종 모두 내측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격막이 존재하는 경우는 13예, 다발성 낭종인 경우는 3예 였고, 교통성은 15예에서 추정되었다. 결론: 초음파 검사는 베이커 낭종의 관절내로의 교통성을 명확히 알수는 없었으나, 감별진단, 낭종의 위치와 형태 등을 적은 비용으로 알아보기 위한 유용한 검사로 생각된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in diagnosis of Baker's cyst. Materials and Methods: 42 cases of popliteal mass in 41 patients were reviewed between August 2006 and April 2009. All patients were evaluated with both MR imaging and ultrasonography. We investigated the comparison of a morphology, location, septation, and communication of mass between MR imaging and ultrasonography. Results: On ultrasonography, 40 Baker's cysts and 2 lipomas were detected, and all cysts were located at the medial side. 11 simple septated masses and 3 multiple cysts were detected, and 26 simple communicated cysts were suspected. On MR imaging, 40 Baker's cysts and 2 lipomas were detected, and all cysts were located at the medial side. 13 simple septated masses and 3 multiple cysts were detected, and 15 simple communicated cysts were suspected. Conclusion: Ultrasonography didn't give the definite information of Baker's cyst about communication with joint, but ultrasonography was a cost-effective useful tool for evaluation of a morphology, location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Baker's cyst.

      • 견관절 석회화 건염의 초음파 감시하 다발성 천공술

        정웅교,박정호,문준규,김호중,이순혁,Jeong, Woong-Kyo,Park, Jung-Ho,Moon, Joon-Gyu,Kim, Ho-Joong,Lee, Soon-Hyuc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2 No.2

        목적: 견관절에 발생한 석회화 건염에 대해 초음파 감시하 다발성 천공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어깨 통증으로 내원하여 견관절 석회화 건염을 진단받은 환자 중 초음파 감시하에 다발성 천공술을 시행받은 18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17주 였다. 시술은 초음파 감시 하에 침착된 석회에 대한 흡인 혹은 다발성 천공을 시행하였고 인접 점액낭에 국소마취제와 스테로이드를 주입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시술 전과 최종 추시 시의 통증에 대한 시각점수척도(visual analogue scale), UCLA 점수(UCLA score)와 한국견관절 점수(KSS score)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초음파상 평가는 석회 침착의 크기와 상태를 비교하였다. 결과: 시술 후 통증에 대한 시각척도점수와 UCLA 점수 및 한국견관절 점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호전되었고(p<0.05), 침착 된 석회는 39%에서 거의 대부분 혹은 완전하게 소실되었으며, 61%에서는 크기가 감소하였다. 결론: 초음파를 이용한 다발성 천공술은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서 즉각적인 통증 조절과 임상 증상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으며 침착 된 석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ultrasonography-guided multiple needling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Materials and Methods: We included 18 symptomatic calcific tendinitis patients who underwent ultrasonography-guided multiple needling and followed for average 17 weeks. The procedures were multiple needling or aspiration of the calcific deposit and injection of local anesthetics and steroid into the subacromial bursa under the ultrasound control. Clinical improvements were evaluated using pain VAS, UCLA score and KSS score. The size and status of calcific deposits were compared. Results: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een in pain VAS, UCLA score and KSS score (p<0.05). At the final follow up, the calcific deposits had resolved completely of nearly completely in 39%, and the size was decreased in 61%. Conclusion: Ultrasound-guided multiple needling is considered as a useful method which could provide prompt pain relief and reduce calcific deposit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 견관절의 석회화 건염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다발성 천공술 및 고에너지 체외 충격파 병합치료

        정태완,송동익,이순혁,정웅교,Jung, Tae Wan,Song, Dong Ik,Lee, Soon Hyuck,Jeoung, Woong Kyo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1

        목적: 견관절에 발생한 석회화 건염에 대해 초음파 유도하 다발성 천공술 및 고에너지 충격파 병합 치료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어깨 통증으로 내원하여 견관절 석회화 건염을 진단받은 환자 중 초음파 유도 하 다발성 천공술 및 고에너지 충격파 병합 치료를 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45주였다. 임상적 평가는 시술 전과 시술 12주 후의 통증에 대한 시각 점수 척도(pain visual analogue scale, P-VAS), ASES 점수(ASES score)와 UCLA 점수(UCLA score)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초음파상 평가는 석회 침착의 크기와 상태를 비교하였다. 결과: 시술 후 통증에 대한 시각 점수 척도와 ASES 점수 및 UCLA 점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호전되었으며(p<0.05), 침착된 석회는 61%에서 크기가 감소하였고, 27%에서 완전 혹은 거의 완전한 소실이 관찰되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 하 다발성 천공술 및 고에너지 충격파 병합 치료는 견관절 석회화 건염에서 통증 및 임상 기능의 호전과 침착된 석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ultrasonography-guided combined multiple needling and high-energy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Materials and Methods: We included 42 calcific tendinitis patients who underwent ultrasonograpy-guided multiple needling followed by high-energy ESWT who visited the clinic from January 2010 to June 2013.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45 weeks.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before and after 12 weeks from treatment, in clinical terms using pain visual analogue scale (P-VAS), ASES, UCLA scores reflecting performance and symptom improvement, and in sonographic terms by studying the changes in size of the calcific nodules.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seen in P-VAS, ASES, UCLA scores and decreased calcification size on sonographic evaluation. Conclusion: Ultrasonography-guided combined multiple needling and high-energy ESWT is considered as a useful method which could provide clinical function improvement and reduction of calcification deposit.

      • 비확공성 전향적 상완골 금속정 고정술후 견관절 기능에 대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 초음파를 이용한 회전근 개 추시관찰

        백승훈,최창혁,Baek, Seung-Hoon,Choi, Chang-Hyu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6 No.1

        목적: 상완골 골절에 대한 비확공성 전향적 금속정 내고정술 시행 후, 초음파을 이용하여 회전근 개 상태 및 영향 인자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골절로 골수강 내 금속정 내고정술을 시행받고 견관절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17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5.7{\pm}18.6$세였으며, 최초 수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43.5{\pm}32.2$개월이었다. 전 례에서 술중 회전근개 상태를 확인하였고, 4례(24%)에서 피부절개 후 회전근 개의 파열이 관찰되어 금속 봉합나사못을 이용하여 단열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visual analogue scale (VAS), 운동범위,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및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ASES) 점수를 측정하였다. 회전근개의 상태에 대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견관절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사선학적 유합 시기, 금속정 근위 첨부 돌출 및 근위 교합 나사의 이동을 평가하였다. 금속정 근위 첨부 돌출에 대해서는 방사선학적 검사와 함께 초음파적 검사도 병행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시 VAS는 평균 $1.65{\pm}1.84$, 운동 범위는 전방 굴곡 평균 $137.0{\pm}33.5^{\circ}$, 외회전 평균 $43.5{\pm}12.7^{\circ}$, 내회전 평균 $16.4{\pm}2.0^{\circ}$이었다. KSS점수는 평균 $79.6{\pm}20.7$점이었으며, ASES점수는 평균 $83.7{\pm}17.0$점이었다. 방사선학적 평가상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골유합 기간은 평균 $3.4{\pm}1.3$개월이었으며, 근위 교합 나사의 이동이 6례(35%) 관찰되었다. 견관절 초음파 검사상 회전근 개는 정상 8례(47%), 굴곡변화 4례(24%) 및 부분파열 5례(29%)가 관찰되었으나 완전파열은 관찰되지 않았다. 금속정 첨부 돌출은 방사선 검사상 8례(47%), 초음파 검사상 총 11례(65%)에서 관찰되었고, 고령의 환자에서 호발하였다(p=0.038). 회전근 개의 굴곡 변화 및 부분파열은 첨부 돌출과 관련이 있었으나(p=006), 술전 파열의 봉합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p>0.05). 결론: 금속정 삽입술시 회전근 개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금속정 첨부의 연골하골 내 적절한 함입을 요하며, 초음파를 이용한 경과 관찰은 단순 방사선 검사상 파악하기 곤란한 금속정 첨부의 돌출 및 회전근 개 손상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 및 평가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is to perform objective evaluation for rotator cuff using ultrasonography and validate factors influencing cuff integrity as well as efficacy of follow-up ultrasonography after unreamed antegrade intramedullary nailing for humer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55.7{\pm}18.6$ years underwent antegrade intramedullary nailing for humerus fracture and follow-up ultrasonography of shoulder joint. Mean follow-up period was $43.5{\pm}32.2$ months. Intraoperative evaluation for preoperative cuff tear was performed, of which four cuffs were repaired by single row repair technique. Clinical evaluation included visual analogue scale (VAS), range of motion,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and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ASES) score. Ultrasonographic evaluation was performed on cuff integrity and protrusion of proximal nail tip as well. Radiographic evaluation included time to union, protrusion of proximal nail tip and migration of proximal interlocking screw which could affect shoulder joint function. Results: Mean VAS at last follow-up was $1.65{\pm}1.84$ points. Range of motion showed forward flexion of $137.0{\pm}33.5^{\circ}$, external rotation of $43.5{\pm}12.7^{\circ}$ and internal rotation of $16.4{\pm}2.0^{\circ}$ while KSS score and ASES score were $79.6{\pm}20.7$ and $83.7{\pm}17.0$ points, respectively. Bone union was demonstrated in all cases and average time to union was $3.4{\pm}1.3$ months. Migration of proximal interlocking screw was shown in 6 cases (35%). On ultrasonographic evaluation, there were normal in 8 (47%), weaving in 4 (24%), partial tear in 5 cases (29%), but no complete tear. Protrusion of proximal nail tip was demonstrated in 8 cases (47%) on plain radiographs whereas in 11 cases (65%) on ultrasonography and was associated with increasing age (p=0.038). Ultrasonographic weaving and partial tear was associated with protrusion of proximal nail tip (p=006), but not with repair of preoperative tear (p>0.05). Conclusion: Because weaving and partial tear on ultrasonography originated from protrusion of proximal nail tip, careful insertion of nail and meticulous repair of cuff during operation lead to stable fixation with satisfactory recovery of shoulder function follow-up ultrasonography can be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protrusion of nail tip and rotator cuff tear, of which diagnosis is difficult on plain X-ray after antegrade intramedullary nailing for humerus fracture.

      • 중수지 관절부 신전건 탈구에서 실시간 표시 초음파의 진단적 가치

        문은선,박용철,김명선,Moon, Eun-Sun,Park, Yong-Cheol,Kim, Myung-Sun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1 No.1

        Purpose: We studied the diagnostic value of dynamic US in the extensor tendon dislocation at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7 to October, we studied 6 cases that had been diagnosed and followed over 5 months (2-10) in average. US examination using a 10-MHz linear transducer were performed in three cases. The causes of dislocations were traumatic in 5 cases and congenital in one case. Results: In only 3 cases which could not be diagnosed clinically, we performed US. In dynamic US, all three cases showed the extensor tendon dislocation evidently. Operative findings were sagittal band rupture in 4 cases, capsular loosening in one case and sagittal band thinning in one case. Sagittal band repair was performed in 4 cases and capsular augmentation in one case. In case of congenital dislocation showing 4 digital extensor tendon dislocations in right hand, we operated only the second extensor by sagittal band repair with augmentation by looping. At last follow-up, no case showed recurrence or limitation of motion. Conclusion: In case of extensor tendon dislocation without apparent clinical finding, US with dynamic study has so great value that it can detect the dislocation in real time, which is superior to MRI. 목적: 중수지 관절부 신전건 탈구에서 동적 초음파의 진단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10월까지 본원에서 중수지 관절부 신전건 탈구로 진단받은 6예에 대해 평균 5개월(2~10개월)간 추시하였다. 3예에서 10-MHz 선형 진동자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시행하였으며, 동적 초음파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원인은 5예가 외상에 의한 발생이었고, 1예는 선천적 발병이었다. 결과: 임상적으로 진단이 불가능했던 3예에 대해서만 초음파 검사와 동적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모두에서 신전건 탈구를 관찰하였다. 수술 소견상 4예는 시상대 파열 소견을 보였고, 1예에서는 관절낭의 이완 소견, 나머지 1예에서는 시상대가 얇아진 소견을 보였다. 4예에서 시상대 봉합술을 시행하였고, 1예에서는 관절낭 보강술 시행하였다. 선천적 발병으로 생각된 1예에서는 우측 2, 3, 4, 5 수지 신전건 탈구 가운데 증상을 동반한 제 2수지에 대해서만 시상대 봉합술 및 시상대를 이용한 고리 보강술을 시행하였다. 최종 추시상 모든 예에서 탈구의 재발은 없었고 관절 운동범위는 정상이었다. 결론: 중수지 관절부에서 신전건 탈구에서 초음파 검사는 임상적으로 저명한 탈구가 없는 경우에 의의가 크며, 특히 동적 초음파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에 비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