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외순환 없이 시행하는 흉강 내 이소성 심장이식의새로운 실험모델.

        신재승,선경,손호성,정재승,김형묵 대한심장학회 2004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4 No.6

        Background and Objectives:A variety of experimental heterotopic heart transplantation models have been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However most were complicated and used extracorporeal circulation.A new and simple experimental working heterotopic intrathoracic heart transplantation model has beendeveloped in dogs, which could be performed without support of extracorporeal circulation. Materials andMethods:Six mongrel dogs were used for the three heterotopic heart transplantation experiments. The heterotopichearts were transplanted in the right thoracic cavity using a right thoracotomy. The superior venacava and left atrial cuff of the donor heart was anastomosed to the superior vena cava and left atrium of therecipient heart. Consequently, the aorta and pulmonary artery were anastomosed to the ascending aorta andright atrial appendage of the recipient heart,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The electrocardiograms ofthe donor and recipient hearts were measured by electrodes placed at the ventricular apexes and on the skin.Results:The donor hearts survived for 10, 6 and 18 days after transplantation, without any immunosuppressiveagents or anticoagulants. The electrocardiograms of both hearts could be measured using the electrodes. Therewere no wave or voltage changes on electrocardiography. Conclusion:This working heart model of heterotopicintrathoracic transplantation, without cardiopulmonary bypass, may be useful in studies for various purposes,i.e., the effects of different pharmacological agents on the conduction system of the denervated heart and thehemodynamic changes of the recipient with auxiliary support of the transplanted heart. 배경 및 목적: 이소성 심장이식의 실험적 연구는 수술술기의 개발, 심장이식 후 면역거부반응현상에 대한 연구, 면역거부 Korean Circulation J 2004;34(6):593-599 598 반응에 대한 약물치료제의 개발, 심장이식 후 혈류역학 의 변화나 전기생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목적으로 시행 되고 있다. 이상적인 동물실험모델은 기술적으로 간단하 여 따라 하기 쉬워야 하며, 연구목적의 적용이 가능하 여야 한다. 더불어 이상적인 기능성 이소성 심장이식 실 험모델은 면역거부반응과 혼동을 초래할 수 있는 체외 순환으로 야기되는 염증반응이 없어야 하며, 심장이식 후 공여심장의 보조기능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저자 등은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실험모델을 개발하 고자 하였다. 방 법: 세 번의 이식실험에 총 6마리의 수컷 실험견을 사용 하였다. 공여심장을 수여견의 우측 흉강내에 위치한 후 수여견의 좌심방을 폐정맥을 포함한 채로 심방간구 뒤 를 혈관감자로 차단한다. 폐정맥의 분지는 각각 혈관조 리개를 사용하여 혈류를 차단하고 수여견의 좌심방과 공여심장의 좌심방소매와 문합한다. 수여견 상대정맥 전 방과 공여견의 상대정맥의 단단부를 문합한다. 수여견의 우심방귀와 공여견 폐동맥을 문합한다. 마지막으로 수여 견의 상행대동맥과 공여견의 대동맥을 문합을 시행하고 이식심장의 박동을 회복시킨다. 수술 중 공여심장과 수 여심장의 우심실 및 피부에 심박동 조율선을 각각 부착 시킨 후 각 심장의 심박동을 심전도로 확인하였다. 결 과: 총 3건의 이소성 흉강내 심장이식결과 수술술기에 따 른 어려움과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심장이식을 위 한 심장의 허혈 보존시간은 각각 120분, 105분, 90분 이었으며, 심전도를 통한 공여심장의 전기활동은 각각 10일, 6일, 18일간 지속되었다. 심실의 첨부와 피부전 극을 통한 각 심장의 심전도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두 개의 심실 첨부에 부착한 전극을 통하여 통합된 두 개 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심실첨부와 피부전극을 통한 심전도에서 다른 심장의 심전도는 매우 낮은 전압 으로 나타나므로, 각 심장의 QRS 파형 측정을 통한 심 실성 부정맥의 발생여부는 확인 가능하였으나 심실첨부 와 피부전극의 위치로 인해 심전도 파형에 관한 일반적 인 해석은 불가능하였다. 결 론: 본 이소성 심장이식 모델은 수술 술기가 간단하며, 인 조혈관과 체외순환이 필요 없고, 혈류역학을 보조할 수 있는 기능성모델이라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모델을 이용하여 자율신경계가 차단된 심장의 전기생리기능에 미치는 약물효과 및 기전연구, 이식심장으로서 환자의 혈류역학의 변화에 관한 연구목적 등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SCOPUSKCI등재

        이식을 위한 가토심장의 장기 보존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조형곤,김수현,김송명,Jo, Hyeong-Gon,Kim, Su-Hyeon,Kim, Song-Myeo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1

        심장이식 수술의 성공의 관건은 공여자와 수혜자의 적절한 조합과 이미 정립된 수술수기와 합께 적출된 심장의 효과적인 기능 보존에 달려있다. 심장 보존에 있어서 괄목할 만한 발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가장 진보된 방법으로 심 허 혈 상태의 최대 허용기간은 약 4~6시간정도이다 저자는 이식을 위한 적출 심장의 보존 용액 이 갖추어야 할 적정 요건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고자, 단순 저온 침적방법에 의거하여, H/S용액(I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저자가 고안한 CK용액(W군)을 기존의 MEC용액( ll군) 및 MUW용액(E군)과 비교 실험하였다. 적출된 가토의 심장을 실험 대상으로 하고 정압형 Langendorff실험모형을 사용하여, 20분간의 평형 상태, 4시간동안의 심장 저장 및 20분간의 재관류시기를 거치게 한 후, 심근 조직을 절제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실험 계획에 따라 관관류량,좌심실압, 압력 미분치를 측정하였고, 동결 심근조직내의 효소치를 정량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자의 비교 실험에서 MUW용액과 CK용액의 심근보호 능력이 우수하였고, MEC용액은 대조군에 비해 저조하였다. potassium의 농도가 MVW용액보다 낮고()4.2nM/L), 문헌상에서 \ulcorner\ulcorner보호에 유익한 것으로 보고된 각종의 substrate을 첨가하여 제작된 CK용액의 성적이 MUW용액 과 비슷한 수준으로 우수하였는데, 이는 심장보존용액의 전해질 농도의 조정과 첨가물질의 선택 및 조정에 있어서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successful cardiac transplantation depends partly on the donor heart preservation by a solution that will ensure recovery of myocardial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the evaluation of various preservation solutions and to accumulate the data on the requisites for ideal preservation solution. The experimental setup was the constant pressure Langendorffs perfusion system. Isolated rabbit hearts were perfused for 20minutes with unarm Krebs-Henseleit solution, stored for 4 hours in cold preservation solution after cardioplegia, and then were reperfused for 20minutes. The 4 experimental groups were prepared Hartmann's solution group (group 1, control), modified Euro-collins solution group(group II. MEC), modified University of Wisconsin group (group n, MUW), and CK solution(made by the author) group (group W, CK). The parameters for assessing the preservation ability were levels of enzymes in freezed myocardial tissues (lactate, creatine kinase-MB and adenosine deaminase), coronary flow. left ventricular developing pressure and dpldt. In conclusion, the ability of preservation for isolated rabbit heart was excellent in CK solution and modified University of Wisconsin solution, and poor in modified Euro-collins solution, compared with Hartmann solution. CK solution has low potassium concentrations(34.2mEq/L) and includes various substrates to be salutary on myocardial preservation. This fact may indicates the necessity of further refinements in selection or composition of electrolytes and substrates.

      • KCI등재

        저위험군의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B-Type Natriuretic Peptide와 장기 예후

        안민수,유병수,이경훈,윤영진,김성윤,김장영,이승환,윤정한,최경훈 대한심장학회 2009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9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acute coronary syndrome (ACS), the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level is a strong predictor of mortality. Most ACS patients have a history of myocardial infarction (MI) or high risk ACS, clinical entities that are anticipated to lead to elevated BNP levels. Therefore,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BNP levels and long-term prognosis in low-risk patients with unstable angina (UA). Subject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2002 and June 2004, BNP was measured in baseline samples from 137 patients referred for angiography. UA was defined as a clinical diagnosis paired with significant coronary artery narrowing. Patients had to exhibit no ST segment changes or abnormal Q waves, no elevation of cardiac enzymes, and no abnormal left ventricular diastolic or systolic function or regional wall motional abnormality on echocardiography.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s) were defined as cardiovascular death, MI, or readmission due to heart failure.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62.2±10 years, and 70 (51.1%) of the patients were men.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44.5 months. Six patients died due to cardiac causes, 4 were admitted due to heart failure, and 2 had MIs. The mean BNP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patients suffering MACEs and those not suffering MACEs. Other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between the groups. Kaplan-Meier survival curv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enefit in the BNP ≤80 pg/mL group (p=0.037). There were no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A single BNP measurement was not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but was related to event-free survival in patients with low-risk UA. 요 약배경 및 목적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생화학적지표들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BNP는 급성 관동맥증후군에서 위험도를 계층화하고 장기 사망에 대한 강력한예후인자로서 유용성을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저위험군의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 대한 예후 인자로서 BNP의 중요성에 대한 보고는 아직 없었다. 이에 저위험군의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장기 예후 지표로서 내원시에 측정한 BNP의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2002년 9월부터 2004년 6월까지 허혈성 심질환으로 내원하여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 받고 50% 이상 협착이 동반된 환자 중 저위험군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 139명을 대상으로 하여 주요 심장 사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심근경색의 재발이나 심부전으로 인한 재입원)을 추적조사하였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ACC/AHA 치료 지침에 따른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 중 관동맥 조영술상 50% 이상의 협착이 동반된 환자로 정의하였다. 저위험군의 정의는 심전도상 0.1 mV 이상의 ST 분절 하강이나 상승이 없고 비정상적인 Q파가 없으며, 심근 효소의 상승이 없는 환자로 정의하였다. 또한 심초음파상 좌심실 구혈률이 45% 미만이거나이완기 기능이 위정상 (pseudonormalized pattern), 제한형(restrictive filling)을 보인 환자와 신기능 장애를 가진 환자는 제외하였다. 결 과12명 (8.6%)의 환자에서 주요 심장 사건이 발생하였다. 주요 심장 사건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군 사이에 BNP 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BNP치가 80 pg/ mL 초과군이 event free 생존율이 낮았다. 그러나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분석에서 주요 심장 사건의event free 생존율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없었다. 결 론본 연구에서 내원시 측정한 BNP치는 저위험군 급성 관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주요 심장사건에 대한 독립적인 예후인자는 아니었지만 event free 생존율과 연관이 있었다.

      • SCOPUSKCI등재

        질식사한 흰 쥐 심장의 기능평가

        조준용,허동명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3

        The donor pool for heart transplants is severely limited and there is still a legal problem of brain death. This study assessed the function of hearts "absolute anoxic" for ten minutes after asphyxia by perfusing the hearts on a Langendorfr apparatus for 45 minutes with Krebs-Henseleit buffier at 37 t at 80 cm H2O. Forty isolated rat hear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en control hearts (group 1) were perfused on the circuit without intervening ischemia. Ten hearts (group 2) were harvested, quickly flushed with 5cc of cold University of Wisconsin solution, and stored in the same cold solution for 4 hours. Ten hearts (group 3) were excised, quickly flushed with 5 u of cold Stanford cardioplegic solution and stored in cold saline solution for 4 hours. Ten asphyxiated hearts (group 4) had warm ischemia for ten minutes and were perfused with 5u of cold Stanford cardioplegia containing 7,500 units of urokinase to dissolve intravascular clots, and stored in cold saline solution for 1.5 hours. Time of spontaneous defibrillation (TSD) after perfusion was significantly longer in group 2, group 3 and group 4 than in group 1. TSD in group 3 and group 4 was significantly longer in comparison to that of group 2. Left ventricular developed pressure(LVDP) at 15 minut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3 and group 4 than in group 1 and group 2. In group 4, LVDP at 30 minutes and 45 minutes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that in group 1 . In conclusion, asphyxiated rat hear;ts which had absolute anoxia for 10 minutes after as hyxia showed relatively satisfactory cardiac function. function. 본 연구는 횐 쥐의 적출심장을 이용한 질식사심장의 기능평가로서,기도압박에 의한 질식으로 심정 지가 일어난 후, 10분 지나서 심장을 적출하고 체외관류장치에 연결하여, 80cmH20높이에서 37C의 Krebs-Henseleit용액을 적출 심장에 관류시켜, 그 기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prague-Dawley계 흰 쥐를, 제 1군(10마리)은 대조군, 제2군(10마리)은 위스콘신대학용액 저장군, 제3 군(10마리)은 스탠포드심정 지용액-생 리식 염수 저장군, 제4군(10마리)은 질식사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시행하였다. 자연 제세동시간은, 모든 군에서 대조군보다 길었으며, 제2군에 비 해서 제3군과 제4군의 제 세동시간도 길었다(p < 0.05). 좌심실내압은, 관류 15분, 30분, 45분에서, 대조군 및 제2군에 비하여 제3 군이 모두 낮았으며,제4군은 관류 15분에, 대조군과 제2군의 15분에 비하여 낮았고, 관류 30분과45분 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다(p < 0.05). 관류 15분, 30분, 45분에 측정한 심박동수와 좌심실내압을 곱한 간은, 제3군에서 대조군과 제2군에 비하여 모두 낮았으며, 제4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낮았고, 제4군의 15분값은 제2군의 15분값에 舟漫\ulcorner\ulcorner낮았다(p<0.05).관류45분에 측정한심근의 수축예비 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제3군과 제4군이 모두 낮았으며, 제3군은 제2군에 비하여도 낮았다(p < 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질식사로 사망한 조기 적출심장의 기능은, 허혈손상이 없는 대조군과 위스콘신 대학용액에 저장한 심장의 기능에 비하여 그 성적이 불리하나,스탠포드심정지용액-생리식염수 저장군 의 심기능 평가 결과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공여심장으로서의 심기능은 비교적 만족할 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SCOPUSKCI등재

        흉부둔상환자에서 중증우측혈흉을 동반한 심장파열 -치험 2례-

        정은규,이병욱,윤용한,백완기,김광호,류송현,김혜숙,김정택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2

        흉부둔상에 의한 심장파열은 50% 이상의 치사율을 갖는 질환으로 응급실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심장압전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학적 소견이나 심장초음파 또는 흉부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그러나 저자의 경우와 같이 심장압전의 징후가 없이 중증 우측혈흉만 있는 경우 심장파열을 진단하는 것은 어렵다. 만약 고속의 자동차사고로 인한 흉부둔상을 받은 환자에서 늑골골절이 없이 우측에 중증의 혈흉이 있어 응급개흉술을 받아야 한다면 심장파열의 가능성을 염두에두고 수술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인하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흉부둔상에 의한 중증우측 혈흉과 심낭파열을 동반한 심장파열 2례를 심패바이패스와 자가수혈 장치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SCOPUSKCI등재

        류마티스성 심장판막질환의 외과적 치료에 대한 임상적 연구

        김종원,정황규,이성광,김병준,신영우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4

        심장 초음파에 의한 류마티스성의 심장판막질환은 판첨이 융합되고 건삭이 짧아져 판막운동이 제한되는데 융합이 심하면 협착이되고 퇴축이 심하면 폐쇄부전이 일어난다. 이러한 초음파적인 소견과 수술시야에 직접 관찰되는 교련융합과 판엽의 비후, 건삭의 융합과 단축 심하면 석회침착 등의 소견 및 병리조직학적인 소견으로 확인된 류마티스성 심장판막질환에 대한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440명을 대상으로 임상적성적을 분석하였다. 기간내의 총판막수술은 502명에서 시행되었으며 이중 87.3%인 440명이 류마티스성판막증으로 분류되었으며, 여자가 1.3배 많았고 평균년령은 37.8세 였다. 96.3%가 승모판을 침범하였고 대동맥판 19.8%, 삼첨판 16.3%를 침범하였으나 승모판 단독 침범례는 62.5%, 대동맥판 단독은 3.6%, 삼첨판막의 기질적 변화를 보여 외과적 치료를 가한 예는 1.8%에 불과하였다. 수술의 방법으로는 3.9%에서는 판막의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였고 96.1%인 323례에서 1개 이상의 인조판막이 사용되었다. 승모판막치환술이 275례, 대동맥판 18례, 70례의 다중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조기사망율은 보존적치료 예에서 5.9%, 판막치환례에서는 대동맥 5.9%, 승모판 6.0%, 다중판막 19.4%를 기록하였다. 생존례의 90.1%인 364명이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는데 총 2890환자년의 추적기간중 뉴욕심장협회기능적 분류상 수술로 평균 2.9도에서 1.3의 상태호전을 보였으며 합병증은 혈전전색 1.3%/환자/년, 출혈성합병증 1.8%환자/년으로 나타났다. 누적생존율은 술 후 1년에 92.7+/-2.8%, 5년에 88.0+/- 4.5%, 10년에 82.3+/-7.7%였다. 류마티스성질환은 선진국에서는 최근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고 하나 저자들의 예에서는 전체판막질환에 대한 수술례의 87.3%를 차지하고 있어 아직도 깊은 관심을 갖고 깊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heumatic valvulitis produces at least three distinct pathologic changes, the degree varying widely among the patients: fusion of the valve leaflets at the commissures; fusion and shortening of chordae tendinae: and fibrosis of the leaflets with subsequent stiffening, contraction and calcification. The most extensive changes usually are seen in patients with recurrent attacks of rheumatic fever. We studied on outcome of the surgical treatments of rheumatic valvular diseases that have been experienced for 12 years since 1982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diagnoses were made by rheumatic fever history, echocardiographic findings, gross operative findings and microscopic findings. Total 502 patients were performed surgery for valvular heart diseases and 440 patients of rheumatic origin have bene analysed. There were more female than male patients as 1.3:1, and the mean age was 37.8 years old. 96.3% of them affected to the mitral valve, 19.8% to aortic valve, 16.3% affected to the tricuspid valve. Most of them underwent valve replacement, and valve repair was done in 3.9% of patients. There were 36 hospital deaths(8.2%) mainly from low cardiac output syndrome, and 15 late deaths equally due to embolism and hemorrhage. Follow up was 90.1% completed(2890 patient- year). Linealized rates of late complication events are follows : thromboembolism 1.3% per patient year; anticoagulant related hemorrhage 0.8% per patient year. Overall actuarial survival including hospital mortality was 92.7+/-2.9% in 1 year, 88.0+/-4.5% in 5 year, 82.3+/-7.7% in 10 year. We conclude that the rheumatic disease is still the most frequent and the most important cause of heart valve disease. So more intensive study is needed in spite of the abrupt decreasing rate of rheumatic fever in U.S.A. and other industrial country.

      • SCOPUSKCI등재

        허혈 전처치가 심근보호에 미치는 영향 - 적출 쥐 심장에서 상온에서의 심근허혈과 중등도 저체온하에서 심근정지액 사용 시의 비교 연구 -

        조성준,황재준,김학제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5

        배경: 상온에서 단기간의 심근 허혈이 가해질 때 허혈 전처치가 심근기능의 보호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 증명되었지만 저온의 심근 보호액을 이용하여 심장을 정지시킨 후 $25^{\circ}C$의 중등도 저체온 상태에서 간헐적으로 심근 보호액을 주인하며 장시간 허혈 상태에 노출시키는 일반적인 심장수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허혈 전처치가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며 또한 연구결과에 따라 많은 이견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상온에서의 허혈과 중등도 저체온법을 사용하며 심근보호액의 간헐적 주입을 병행하는 일반 심장 수술에서 허혈 전처치가 심근 보호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5^{\circ}C$에서 St. Thomas hospital 심근 보호액을 사용한 경우와 상온에서 심근 보호액 없이 허혈을 받은 경우 각각에서 허혈 전처치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모든 군의 심장을 20분간 37$^{\circ}C$의 Krebs 용액으로 관류시키고, 제1군은(n=6)은 허혈 전처치로 37$^{\circ}C$에서 3분간의 허혈 및 5분간 재관류를 두 차례 받은 후, 4$^{\circ}C$의 심근 보호액을 20분마다 반복해 주입하며 120분간 $25^{\circ}C$의 중등도 저체온 상태를 유지하였다. 제2군(n=6)은 제1군에 대한 대조군으로 허혈 전처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역시 120분간 $25^{\circ}C$상태를 유지하며 20분마다 심근 보호액을 반복해 주었다. 제1, 2군 모두 허혈기가 끝난 후 37$^{\circ}C$의 Krebs 용액으로 30분간 재관류하며 결과를 측정하였다(제1, 2군:저온 심근 보호액군).상온에서의 허혈군으로 37$^{\circ}C$를 유지하며 전반적 허혈을 받은 두 군을 설정하였다. 제3군(n=6)은 3분 허혈, 5분 재관류로 허혈 전처치 후 37$^{\circ}C$에서 30분간 허혈 상태를 유지 후 30분간 재관류하였고, 제4군(n=6)은 제3군에 대한 대조군으로 허혈 전처치 엄이 30분간 허혈 후 30분간 재관류하며 결과를 측정하였다(제3, 4군: 상온 심정지군). 걸과: 저온 심근 보호액 군에서는 허혈전처치를 시행 후 심근 보호액을 주입한 군(제1군)과 허혈 전처치 없이 심근 보호액을 주입한 대조군(제2군)의 비교에서 관상동맥 관류량, 심박동수, 좌심실내압, 좌심실압과 맥박수를 곱한 값, 좌심실압순간 변화율 및 CPK, LDH의 비교 모두에서 총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p=NS). 상온 심정지 군에서는 허혈 전처치 후 37$^{\circ}C$에서 허혈을 유지한 군(제3군)과 허혈 전처치 없이 허혈을 유지한 대조군(제4군)의 비교에서 허혈 전처치를 시행한 군이 좌심실 수축기압, 좌심실압과 맥박수를 곱한 값, 좌심실 이완기압, 좌심실압 순간 변화율 등이 허혈 전처치를 시행치 않은 군보다 유의하게 호전되었고 CPK, LDH의 변화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허혈 전처치가 심근의 기능적 회복 및 심근 보호에 효과가 있음을 보았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쥐의 심장을 이용한 실험 시 허혈 전처치가 상온에서의 심근 허혈과 재관류 시에는 심근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으나 중등도 저체온법과 간헐적 심근 보호액의 주입 하에서 시행한 심장의 재관류에는 심근보호 효과가 없음을 보았다. Background: Most of the studies conducted have investigated the beneficial effect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on normothermic myocardial ischemia. However, the effect of preconditioning could be attenuated through the use of multidose cold cardioplegia as practiced in contemporary clinical heart surgical proced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reconditioning improves postischemic cardiac function in a model of $25^{\circ}C$ moderate hypothermic ischemic heart induced by cold cardioplegia in isolated rat hearts. Material and Method: The isolated Sprague-Dawley rat hear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All hearts were perfused at 37$^{\circ}C$ for 20 minutes with Krebs-Henseleit solution before the baseline hemodynamic data were obtained, Group 1 consisted of preconditioned hearts that received 3 minutes of global ischemic preconditioning at 37$^{\circ}C$, followed by 5 minutes of reperfusion before 120 minutes of cardioplegic arrest (n=6). Cold (4$^{\circ}C$) St. Thomas Hospital cardioplegia solution was infused to induce cardioplegic arrest. Maintaining the heart at $25^{\circ}C$, infusion of the cardioplegia solution was repeated every 20 minutes throughout the 120 minutes of ischemic period. Group 2 consisted of control hearts that underwent no manipulations between the periods of equilibrium and 120 minutes of cardioplegic arrest (n=6). After 2 hours of cardioplegic arrest, Krebs solution was infused and hemodynamic data were obtained for 30 minuts (group 1, 2: cold cardioplegia group). Group 3 received two episodes of ischemic preconditioning before 30 min of 37$^{\circ}C$ normothermic ischemia and 30 minutes of reperfusion (n=6) Group 4 soloed as ischemic controls for group 3 (group 3, 4: warm ischemia group). Result: Preconditioning did not influence parameters such as lef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LVSP),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 (LVEDP), rate-pressure product (RPP) and left ventricular dp/dt (LV dp/dt) in the cold cardioplegia group. (p=NS) However, preconditioning before warm ischemia attenuated the ischemia induced cardiac dysfunction, Improving the LVSP, LVEDP, RPP, and LV dp/dt. Less leakage of CPK and LDH were observed in the ischemic preconditioning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 Ischemic preconditioning improved postischemic cardiac function after warm ischemia, but did not protect cold cardioplegic hearts.

      • SCOPUSKCI등재

        흰 쥐 적출 심장에서 비작업성 관류 회로를 이용한 인삼 성분 Ginsenoside Rg1 Mixtures의 심근 보호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동원,신원선,이재영,김범식,조규석,유세영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6

        최근 심장 분야 수술의 발달로 여러 가지 고난도의 심장 수술과 심장 이식술의 시행이 증가하고 있으며, 술 후 예후에 크게 영향을 주는 심장의 심근 손상 방지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데, 수술 및 이식 전후의 허혈기와 재관류시 발생할 수 있는 심근 손상을 최소화하고, 술 후 심근 기능의 조속한 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여러 약제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오래 전 부터 만병 통치의 영약으로 전해져 오고 있는 인삼을 이용한 동물 실험 및 임상 경험을 통해 성분 효과에 대한 여러 결과가 보고되고 있고, 심장 기능에 대한 효과도 약리학적 측면에서 많은 결과가 발표되었다. 그런데 여러 분획 추출물 중 ginsenoside Rg1 mixtures에 대해서는 그 결과가 다소 미비한 상태이고 ginsenoside Rb1과의 이원 작용에 대한 결과가 흥미로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여러 저자들의 결과에 차이가 있어 ginsenoside Rg1을 이용하여 심근의 허혈 후 재관류 시행 10분 및 지속적 관류 상태에서의 심근 손상에 대한 심근 보호 정도를 혈역학적 지표 및 관상 혈류를 통한 관류액의 효소치를 측정하여 실험한 결과 심근 허혈 및 재관류 후 심근 손상 방지와 심근 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약제의 투여 용량에 따른 심근 보호 정도에 관한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고, 인삼 성분 각 분획의 복합 투여에 의한 결과도 재차 확인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anax Ginseng C.A. Meyer has been known for hundreds of years as the most valuable drug having mysterious effects among all the herbal medicines and plants in Korea. Also, many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performed recently that the various effects were identified and applied clinically. So we attempted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ginsenoside Rg1 mixtures in an isolated rat heart with the use of the Langendorff mode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is ginsenoside Rg1 mixtures would protect the myocardial injury after ischemic arrest and reperfusion. Isolated rat hearts were allowed to equilibrate for 20 minutes and were then subjected to 15 minutes of normothermic ischemia. After this ischemic period, isolated rat hearts were allowed to reperfusion for 10 minutes(Ischemic Group). In other group , isolated rat hearts were perfused for 60 minutes continuously with normothermia( Normothermic Group). Hemodynam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heart rate, left ventricular pressure, +dp/dt max, coronary blood flow and cardiac enzymes were measured during initial perfusion, ischemia, reperfusion period (Ischemic group) and 20, 40 and 60 minutes after continuous perfusion(Normothermic group). After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this data was evaluat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Heart rates showed an increase in both ischemic and normothermic experimental groups,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identified. 2. LVP(Left Ventricular Pressu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ischemic and normothermic experimental groups(p<0.005, p<0.01). 3. +dp/dt max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ischemic and normothermic experimental groups(p<0.01, p<0.01). 4.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onary blood flow and cardiac cenzymes in all groups, but experimental groups seemed to have better protection and recove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oside Rg1 mixtures has a protective effect on the myocardial injury after ischemia and reperfusion.

      • KCI등재

        우측 심장을 이환한 감염성 심내막염의 임상상에 대한 연구

        박창범,김재중,송재관,최기준,이명준,이세환,김유호 대한심장학회 2005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5 No.8

        Background and Objectives:Right-sided infective endocarditis (RtIE) occurs in about 5-10% of total infectiveendocarditis cases. In western countries, many cases of RtIE are related to drug addiction. However, there beenonly scant reports of right-sided infective endocarditis in Korea.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clinicalcharacteristics of RtIE, such as frequency, predisposing risk factors, causative organisms and in-hospital mortalityin Korea. Subjects and Methods:All episodes diagnosed as infective endocarditis, between 1989 and 2003, at theAsan Medical Cent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using Duke’s criteria. A total of 308 patients were diagnosedas infective endocarditis. Results:RtIE was found in 34 patients (11.0%), with a mean age of 44.1±15.0 years.Fifteen patients had congenital heart diseases. However, several in-hospital invasive procedures and skin injurieswere the most common predisposing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uncorrected congenital heart disease (group A),whereas unknown causes were most common in patients without uncorrected congenital heart disease (group B).The most common causative organisms in groups A and B were Streptococcus viridans (6/15, 40%) and Staphylococcusaureus (13/19, 68.4%), respectively. In group A, the location of vegetations was variable according to the turbulentflow, but was exclusively at the tricuspid valve in group B. There were 6.7% (1/15) and 26.3% (5/19) inhospitalmortalities in groups A and B, respectively (p=0.196). Conclusion:No drug addict with RtIE was seen.The most important predisposing risk factor in patients with RtIE was the presence of uncorrected congenital heartdisease. The predisposing risk factors, causative organisms and the locations of vegetation in patients with RtIEdiffered according to the patient’s uncorrected congenital heart disease. 배경 및 목적: 서구에서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은 약물중독자에게 흔히 발 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한국인에게서 이에 대한 위 험인자 및 특징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없다. 방 법: 1989년부터 2003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은 심내막 염 환자들 중 Duke criteria로 definite 또는 possible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총 308명의 환자들 중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받 은 환자는 34명(11.0%)이었다.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 단받은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44.1±15.0세였고 남자가 18명 이었다. 교정되지 않은 선천성 심질환이 15명(44%)에서 동반 되어 있었고, 19명은 없었다.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에서 교 정되지 않은 선천성 심장 질환이 가장 큰 선행 위험인자 이 었고, 선천성 심장 질환이 없는 환자들에서는 수술, 중심 정 맥관 삽입술, 내시경 등의 침습적인 시술 및 칼, 침술, 외상 등의 피부손상 등이 주요 선행 위험인자들이었다. 원인균주 는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는 환자들에서는 S. viridans가 가 장 많았고, 선천성 심장 질환이 없는 경우는 S. aureus가 가 장 많았다. 우종의 위치는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 우 심실 6명, 폐동맥판 3명, 폐동맥 3명, 삼첨판 1명 등으로 와 류의 형태에 따라서 우심실의 여러 부위에 분포를 하고 있 던 것에 비하여, 선천성 심장 질환이 없는 환자들은 19명 모 두 삼첨판에 존재하였다. 병원내 사망률은 우측 감염성 심 내막염 환자들이 좌측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들보다 높았고, 이 중 선천성 심장 질환을 가지지 않은 환자들의 사망률이 선 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들보다 높았다. 결 론: 우리나라에서는 서구와 달리 우측 감염성 심내막염의 빈 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교정되지 않은 선천성 심장질환 이 가장 큰 위험인자이었다. 선천성 심질환의 유무에 따라 심내막염 유발사건, 원인균, 우종의 위치 및 사망률이 다름 을 확인하였다.

      • SCOPUSKCI등재

        소아심장판막치환술

        김재현,이광숙,윤경찬,유영선,박창권,최세영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4

        배경: 소아에서의 심장판막치환술은 성인에서의 심장판막치환술의 제반문제 이외에도 작은 판막의 혈류역학적 문제, 신체발육에 따른 재수술, 출산 및 항응고요법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심장판막치환술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의 여러 문제점과 해결책을 규명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부터 1997년까지 15세 이하 소아 30명에서 심장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남아가 16명, 여아가 1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3세에서 15세로 평균 연령은 12.1$\pm$3.2세 였다. 판막 부위별로 보면 승모판치환술 15례, 대동맥판치환술 11례, 삼첨판치환술이 3례였으며, 승모판 및 대동맥판치환술이 1례 있었다. 판막질환의 원인을 보면 선천성이 17명, 후천성이 13명이었다. 이용한 판막으로는 조직판막 10례, 기계판막 20례였으며 1985년 이후로는 조직판막은 사용하지 않았다. 기계판막치환 환자에서는 술후 coumadin으로 항응고치료를 지속하였으며, 조직판막치환 환자에서는 술후 3개월간 coumadin을 복용하였다.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는 8명으로 엡스타인씨기형 교정술 2례, 심실중격결손증과 대동맥폐쇄부전의 교정술 2례가 있었으며, 그 외 대동맥판막하협착, 방실중격결손증, 대동맥판협착증 및 심실중격결손증 등의 교정술이 각각 1례씩 있었다. 판막치환시 동시에 시행한 술식으로는 삼첨판륜성형술 3례, 심실중격결손증 교정 2례, 동맥관개존증 결찰 2례, 대동맥판륜확장술 2례, 심실중격결손증과 동맥관개존증 교정 1례, 승모 풉낮첬括珝낵\ulcorner1례등이 있었다. 결과: 수술사망은 2례로 조기사망률은 6.7%였다. 수술생존자 28명중 4명은 장기추적관찰이 불가능하였으며, 총 2091환자.월(평균 74.7$\pm$68.4개월, 최장 187개월)동안 관찰하였다. 이 기간중 판막의 혈전, 혈전색전증 및 항응고치료에 따른 출혈등의 합병증은 없었으나, 조직판막을 이용한 10례중 8례에서 술후 평균 87.1$\pm$23.6개월에 판막기능부전으로 재수술하였으며(이중 2례는 타 병원에서 수술함), 기계판막을 치환한 1례에서 판막주위누출과 감염으로 술후 3개월째 재수술하였다. 재수술시 사망례는 없었다. 만기사망은 1례로 방실중격결손증 교정술후 잔존 승모판폐쇄부전으로 승모판치환술을 받은 7세환아로 판막치환술후 4개월에 확장성심근염으로 사망하였다. 조직판막의 경우 생명표분석에 의한 판막실패가 없는 장기누적률은 6년째 75.0%, 7년째 50.0%, 8년째 12.5%의 기록을 보여 술후 6년에서 8년에 걸쳐 격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사망 2례를 제외한 28명의 장기생존률을 Kaplan-Meiyer법에 의해 분석하였을때 4개월째 생존률이 96.0%로 그 이후로는 사망례가 없었다. 결론:이상의 결과로 보아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술후 적절한 추적관찰이 행해질 경우 항응고요법에 따른 합병증은 거의 없으나, 5세이하 소아나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한 경우는 위험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irty children ranging from 3 to 15 years of age underwent cardiac valve replacement at Dongsan Medical Center from 1982 to 1997. Material and Method: There were 16 boys and 14 girls. The mean age was 12.1. The underlying pathological cause for valve replacement was congenital heart disease in 17 children and acquired heart disease in 13. The valve replaced was mitral in 15 children, aortic in 11, tricuspid in 3, and combined aortic and mitral in 1. Twenty-one mechanical and 10 tissue valves were placed: primary mechanical valve have been utilized since 1985. Eight of ten patients with tissue valves have had successful second valve replacements 4 to 11 years after the initial operation. Result: The operative mortality was 6.7%, but mortality was higher among patients less than 5 years of age and patients who had previous cardiac operations. Of the 28 operative survivors, 4 patients were lost to follow-up: the remaining patients were observed for a total of 2091 patient/months(mean 74.7 months, maximum 187 months). There was one late death from dilated cardiomyopathy after mitral valve replacement in 7 year-old patient with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After the operation, all patients with mechanical valves were placed on a strict anticoagulant regimen with Coumadin. The actuarial survival rate was 96% at the end of the follow-up. No instance of thromboembolism or major bleeding were observed in the survivor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alve replacement can be performed with low mortality in children, and with satisfactory long-term survi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