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3차 의료기관의 소화기 전문의에게 의뢰된 기능서 위장질환의 양상

        함기백,김종수,이광재,김진홍,조성원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2

        목적: 위장관 증상으로 3차 의료기관에 의뢰된 환자에서 위장관 증상의 빈도, 로마기준 II에 의해 진단된 기능성 위장질환의 종류 및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동년 3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에 위장관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초진 환자 4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간담췌질환이 원인인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고, 로마기준 II에 따른 기능성 위장질환의 분류가 가능하도록 고안된 설문지를 통하여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중 기질적 질환이 90명(19%), 기능성 위장질환으로 진단된 경우가 332명(70%) 이었으며, 54명(11%)의 환자에서는 기질적 원인을 찾을 수 없었으나 로마기준 II를 만족시키지 못 하는 환자였다. 기능성 위장질환은 기질적인 질환에 비해 여자에서 더 흔하게 나타났다.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으로 상부 위장관에서는 소화불량(33%)이, 하부 위장관에서는 복통/복부 불쾌감(27%)이 가장 많았다. 기능성 위장질환 중에는 기능성 소화불량증(37%)과 과민성 장 증후군(18%)이 가장 많았으나 그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위장질환이 관찰되었다. 기능성 위장질환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 20%에서 2가지 종류 이상의 기능성 위장질환을 갖고 있었으며,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과민성 장 증후군이 중복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결론: 기능성 위장질환은 3차 의료기관의 소화기 전문의에게 의뢰되는 가장 흔한 질환이며, 특히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과민성 장 증후군이 가장 많은 군을 차지한다. 여러 부위의 다양한 기능성 위장질환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신뢰성 있는 분류가 필요하다.

      • SCIESCOPUSKCI등재

        식도운동질환과 위식도역류의 연관성

        김지향 ( Ji Hyang Kim ),이풍렬 ( Poong Lyul Rhee ),홍성노 ( Sung Noh Hong ),이준행 ( Joon Haeng Lee ),김영호 ( Young Ho Kim ),손희정 ( Hee Jung Son ),김재준 ( Jae Jun Kim ),백승운 ( Seung Woon Paik ),이종철 ( Jong Chul Rhee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5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1 No.1

        목적: 식도운동질환과 위식도역류질환과의 연관성을 시사하는 여러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이 중 새로이 분류된 비효과적 식도운동은 위식도역류질환의 주요 식도내압검사 소견으로 일부 연구에서는 위식도역류질환의 표지라고 주장되기도 하지만 논란이 되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다른 식도운동질환에서 위식도역류질환의 빈도와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저자 등은 새로운 진단 기준을 적용하여 식도운동질환과 위식도역류질환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Background/Aims: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on whether IEM is the marker for pathologic acid exposu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motility disorders and pathologic acid exposure has been studied only rarely.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 SCIESCOPUSKCI등재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에서 신경성 산화질소-합성효소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연구

        이태희 ( Tae Hee Lee ),이준성 ( Joon Seong Lee ),김연수 ( Yun Soo Kim ),이종은 ( Jong Eun Lee ),조은영 ( Eun Young Cho ),정인섭 ( In Seop Jung ),고봉민 ( Bong Min Ko ),홍수진 ( Su Jin Hong ),유창범 ( Chang Beom You ),김진오 ( Jin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8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4 No.2

        목적: 일차성 식도운동장애는 내인성 억제신경의 기능의 문제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억제신경에 가장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로 NO 합성효소(NO synthase)에 의해 합성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nNOS 유전자 다형성과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체 168명(남자 76명, 여자 92명; 중앙 연령 49세) 중 36명의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를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 환자군 129명(식도이완불능증 25명, 미만성식도경련 6명, 호두까기 식도 37명, 비특이적 식도운동장애 17명, 고압성하부식도조임근 3명, 저압성하부식도조임근 5명)과 건강한 39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전자 다형성을 보였던 세 nNOS 유전자 SNP (rs374147, rs2682826, rs3782218)를 이용하여 위식도역류질환을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nNOS의 유전자 다형성(rs374147, rs2682826, rs3782218)은 위식도역류질환을 포함한 일차성 식도운동장애군과 대조군 간에 유전자형, 대립유전자 빈도 분포 및 일배체형 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nNOS 유전자 다형성은 일차성 식도운동장애의 병태생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Aims: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PEMDs) are caused by different degrees of inhibitory dysfunction. Nitric oxide (NO) is a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Some studies have shown that NO production is regulated by NO synthase (NOS) polymorphis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whether neuronal NOS (nNOS) gene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a susceptibility of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Methods: Total 168 persons (76 men and 92 women; median age 49 year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PEMD group and control group. PEMD group was composed of 25 achalasia, 6 diffuse esophageal spasm, 37 nutcracker esophagus, 3 hypertonic 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 5 hypotonic LES, 17 nonspecific esophageal motility disorder and 36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The comparisons of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of NOS gen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rs374147, rs2682826, and rs3782218) were made between PEMD and control group.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lele frequencies and genotype among the groups. Haplotypic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functional polymorphisms of neuronal NOS (nNOS) gene are not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primary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8;14:108-114)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위식도역류질환 진단에 Bernstein 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의 비교

        양성욱 ( Seong Wook Yang ),허규찬 ( Kyu Chan Huh ),김용석 ( Yong Seok Kim ),김선문 ( Sun Moon Kim ),이태희 ( Tae Hee Lee ),임의혁 ( Euyi Hyeog Im ),최용우 ( Young Woo Choi ),강영우 ( Young Woo Kang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9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5 No.1

        목적: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에 산에 대한 민감도를 알아보는 Bernstein검사는 최근 그 사용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Bernstein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비심장성흉통, 속쓰림 혹은 역류증상을 호소하는 198명의(남자 60명, 여자 138명, 평균나이 53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Bernstein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를 실시 하였으며,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에서 역류 증상이 없던 환자는 제외하였다. 결과: 198명의 환자 중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양성은 28.3% (56/198)이었고, Bernstein검사 양성은 43.4% (86/198)로 더 높았다. Bernstein검사 양성 환자 86명 중 29명(33.7%)이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양성이었다.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에 Bernstein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 검사 간에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에 Bernstein검사와 24시간 식도 산도검사법의 비교에서 어느것이 더 우월하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Bernstein검사가 서구인과 다르게 비정상적인 증상이 많은 한국인에게는 한번 고려해 볼 만한 검사이다. Background/Aims: Use of Bernstein test for the diagnosis of GERD has been decreasing gradually over the time, although the test is relatively simple and easy to perfor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agnostic usefulness of Bernstein test for GERD in comparison with 24-hr esophageal pH monitoring. Methods: A total of 198 patients (60 men and 138 women; mean age: 53) with non-cardiac chest pain, heartburn or regurgitation were enrolled. They underwent both Bernstein test and 24-hr pH monitoring and the patients who did not have any reflux symptom during 24-hr pH monitoring were excluded. Results: Among 198 patients, 28.3% (56/198) were positive by 24-hr pH monitoring whereas 43.4% (86/198) were positive by Bernstein test Out of eighty six patients with positive Bernstein test, 29 patients (33.7%) present with positive finding also by 24-hr pH monitoring.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Bernstein test and 24-hr pH monitoring in diagnosing for GERD. Conclusions: Although neither test was superior for making the diagnosis of GERD, Bernstein test could be useful for Asian patients with different clinical features or pathophysiologic mechanisms from western patient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9;15:45-51)

      • SCIESCOPUSKCI등재

        카할세포와 위장관 운동

        박규주 ( Kyu Joo Park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4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0 No.2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ICC는 위장관의 pacemaker 역할을 하는 중요한 세포로서, 최근 들어 신경전달에도 관여하는 바가 알려졌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ICC는 위장관 운동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세포라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ICC의 활성화 기전 및 서파의 propagation 기전 등의 연구에 있어서 획기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ICC의 수적 및 기능적 변화와 소화관 운동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는

      • SCIESCOPUSKCI등재

        삼킴곤란과 위식도 역류 증상을 가진 환자에서 호산구 식도염의 유병률

        유연화 ( Yeon Hwa Yu ),조윤주 ( Yun Ju Jo ),정미연 ( Mi Yeon Jung ),손병관 ( Byoung Kwan Son ),전대원 ( Dae Won Jun ),김성환 ( Seong Hwan Kim ),박영숙 ( Young Sook Park ),이원미 ( Won Mi Lee ),김은경 ( Eun Kyoung Kim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9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5 No.1

        목적: 성인에서의 호산구 식도염은 삼킴곤란과 음식 막힘, 치료가 잘되지 않는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에서는 반드시 고려해야 할 질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삼킴곤란과 위식도 역류질환과 관련된 증상에서 호산구 식도염의 빈도를 고찰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을지의과대학 을지병원에서 2007년 7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삼킴곤란, 음식 막힘, 양자펌프 억제제에 반응없는 위식도역류질환이 의심이 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중부식도를 포함하여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108명이었으며, 호산구 식도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2명(1.8%)이었다. 그 외, 호산구 위장관염 2예, 약제 의인성 호산구 위장관염 1예가 있었다. 주된 증상은 삼킴곤란(37.9%), 상복부 통증(25.9%), 역류(23.1%) 순이었다. 대상 환자의 내시경 소견은 Z-line blurring (28.7%), 정상(17.5%), 발적(16.6%) 등 이었으나, 호산구 침착을 보이는 경우는 동심원 주름, 종축 방향의 골, 다수의 점막 결절 혹은 흰색 반점 등이 보였다. 조직 소견은 경한 만성 염증(33.3%), 상피 세포 증식(16.6%), 호산구 침착(3.7%) 등이었다. 결론: 국내에서 삼킴곤란과 역류 관련 식도 증상을 환자에서 호산구 식도염의 유병률은 1.8%였으며, 증상과 내시경 소견을 염두에 두고, 호산구 관련 위장 질환진단에 생검을 적극 활용하여야겠다. Background/Aims: In adult patients with dysphagia, food impaction and non-responsiveness to proton pump inhibitor, eosinophilic esophagitis (EoE) should be considered.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EoE in Korean patients. Methods: From July 2007-February 2009, 108 patients presenting with dysphagia and reflux related symptoms were enrolled. The mid-esophageal region was randomly biopsied. Results: Of the 108 patients, two cases of EoE, two cases of eosinophilic enterocolitis and one case of drug-induced eosinophilic enterocolitis were diagnosed.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dysphagia (37.9%), followed by epigastric pain (25.9%) and regurgitation (23.1%). Endoscopic findings of eosinophilic infiltration in the esophagus were ring esophagus, linear furrow, nodularities and whitish patches. Histologic findings showed chronic inflammation (33.3%), epithelial cell hyperplasia (16.6%), eosinophilic infiltration (3.7%) and a few eosinophil infiltration (1.8%). Conclusions: EoE was detected in 1.8% in Korean patients with dysphagia and reflux related symptoms. Esophageal random biopsy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in young patients with a history of allergic disease and esophageal symptom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9;15:15-22)

      • SCIESCOPUSKCI등재

        유동식 부하 포만감 검사의 임상 적용

        조윤경 ( Yu Kyung Cho ),최명규 ( Myung Gyu Choi ),백창렬 ( Chang Nyol Paik ),박재명 ( Jae Myung Park ),이인석 ( In Seok Lee ),김상우 ( Sang Woo Kim ),정인식 ( In Sik Chung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2

        목적: 유동식 부하검사(포만감 검사)는 위적응을 평가하는 단순하고 비침습적 검사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동식 부하검사의 임상 적용가능성과 위적응의 저하가 예상되는 질환에서 이 검사의 의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인 20명(남:여=12:8, 평균 24세),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21명(남:여=10:11, 평균 58세), 위절제술 후 환자 36명(남:여=19:17, 평균 55세)에서 포만감 검사를 시행하였다. 피험자들에게 고칼로리 유동식(1 ㎉/㎖) 을 최대한 먹을 수 있을 때까지 3분 마다 67.5 ㎖씩 마시도록 하였다. 3분 간격으로 오심, 포만감, 상복부불쾌감/ 통증의 세 증상을 시각적 선형척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건강인의 최대섭취량은 886.5±306.1 ㎖로 위 절제군의 최대섭취량(558.1±252.1 ㎖)보다 높았다(p<0.01)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의 최대섭취량은 681.4±391.2 ㎖로 건강인과 차이가 없었으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p=0.10). 위절제술 후 환자군 61%와 소화불량증군의 45%는 건강인 최대섭취량의 10% 미만에 해당하는 540 ㎖ 마만의 최대섭취량을 보였다. BMI는 최대섭취량과 중간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2=0.35, p<0.01), 각 군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섭취량이 많았다. 건강인에서 유동식의 섭취중단은 포만감 이외에도 오심 증상이 중요하였다. 이에 비해 소화불량증 환자군은 포만감이 가장 중요한 중단 요인이었으며 위절제환자들은 상대적으로 포만감 외의 다른 증상에 의해 중단되었다. 결론: 유동식 부하검사는 식후 증상을 정량화 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며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위절제술후 환자군의 일부에서는 최대 섭취량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다. 성별, BMI가 최대 섭취량과 식후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섭취량의 결정시 포만감 외의 증상이 관여하므로 위적응 외의 다른 운동생리도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Aims: The liquid meal loading test (satiety test) is known to be a simple, non-invasive test for evaluating gastric accommod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tility of the satiety test in those healthy volunteers and patients who were expected to have impaired gastric accommodation. Methods: Twenty healthy volunteers (M:F=12:8, 25 years), 21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M:F=10:11, 58 years) and 36 postgastrectomy patients (M:F=19:17, 56 years) underwent the satiety test. The subjects drank the liquid meal (1 ㎉/㎖) as much as possible till they could not drink any more. Results: The maximum tolerated volume (MTV) of the healthy volunteers was higher than the MTV of the postgastrectomy patients (886.5±306.1 ㎖ vs. 558.1±252.1 ㎖, respectively, p<0.01). The MTV of the dyspepsia group (681.4±391.2 ㎖) tende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healthy volunteers (p=0.10). Forty five percent of the dyspeptic patients and 61% of the postgastrectomy patients had an abnormal MTV, which was defined as lower than the 10 percentile of the MTV in the healthy groups (540 ㎖). BMI had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MTV (r2=0.35, p<0.01) The MTV of the male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females in all groups. Nausea was also the cause to stop ingestion of the meal in 25% of the healthy volunteers, whereas fullness was the exclusive cause in 90% of the dyspepsia group. Symptoms other than fullness caused to stoppage of ingestion in 60% of the postgastrectomy group. Conclusions: The MTVs of the postgastrectomy patients and some of the patients with dyspepsia were lower than the MTVs of the healthy volunteers. The liquid loading test provides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postprandial symptoms. However, there are gender-and BMI-related differences for the MTV and postprandial symptoms. As symptoms other than fullness may determine the quantity of liquid ingestion, this suggests that a gastric sensorymotor function other than gastric accommodation may have an influence on MTV.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144-150)

      • SCIESCOPUSKCI등재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증상과 위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식이 성분의 영향

        명보현 ( Bo Heon Meong ),이광재 ( Kwang Jae Lee ),심성준 ( Sung Jun Shim ),김진홍 ( Jin Hong Kim ),함기백 ( Ki Baik Hahm ),조성원 ( Sung Won Ch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5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1 No.2

        목적: 고지방식이 기능성 소화불량증에서 소화불량의 증상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지만 칼로리 농도와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구성과 같은 식이 요소들이 소화불량 증상 및 위의 운동이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도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군과 건강한 지원자군에서 비영양 유동식(물)과 영양 유동식, 그리고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구성비가 다른 두 영양 유동식 간에 소화불량 증상과 위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첫 번째 연구에서는 27명의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와 10명의 건강 지원자를 대상으로 비영양식인 물과 칼로리 영양 유동식의 효과를 비교하였고, 두 번째 연구에서는 21명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와 10명의 건강 지원자를 대상으로 고탄수화물 유동식과 고단백 유동식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위전도(electrogastrography; EGG)와 증상의 정도를 처음 15분동안 기록하고, 음식을 섭취한 후에 30분 동안 측정을 계속하였다. 결과: 2-4 cpm 범위에서 식사전후의 power ratio는 환자군과 건강 대조군 모두에서 물과 칼로리 유동식간에, 또한 고탄수화물과 고단백 유동식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후에 2-4 cpm 서파의 평균비율은 물과 칼로리 유동식 간에, 그리고 고탄수화물과 고단백질 유동식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강 대조군과 달리 소화불량 환자들은 물보다 칼로리 유동식 섭취 후에 증상의 정도가 더 심하였으나 고탄수화물과 고단백질 유동식 후의 증상의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는 칼로리 영양식이 비영양식보다 더 증상유발과 관련되어 있지만 탄수화물과 단백질 구성의 변화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소화불량 증상과 비정상적인 위의 전기적 활동의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 같지는 않다. Background/Aims: Only Limited information has been provided on the effects of dietary factors in functional dyspepsia (F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liquid meals on the symptoms and gastric electrical activities in FD patients. Methods: In the first study, comparisons between water and a caloric nutrient drink were performed in twenty-seven FD patients and ten healthy volunteers. In the second study, a high carbohydrate liquid meal was compared with a high protein meal with the same calories, volume and fat component for the twenty-one FD patients and the ten healthy volunteers. Recording of the electrogastrography with symptom assessment was performed. Results: The power ratio, the postprandial dominant frequency instability coefficient and the postprandial percentage of time with normogastric slow wav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water and a caloric nutrient drink, and also between the high carbohydrate and high protein meals. Unlike the healthy controls, the FD patients had more severe symptoms after a caloric nutrient drink as compared to water. No difference in the symptom scores was observed between the high carbohydrate and high protein meals. Conclusions: The caloric nutrient drink is more associated with symptoms than is a non-nutrient meal for FD patients. Variations in the carbohydrate and protein composition are of no importance in the genesis of dyspeptic symptoms and gastric electrical abnormalitie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5;11:123-12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