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DM 방식 3D 프린터에 대한 딥러닝 기반 물성 추정

        임주현(Joo Hyeon Im),김원곤(Wongon Kim),안성훈(Sung-Hoon Ahn),윤병동(Byeng Dong Youn)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2 No.11

        Additive manufacturing (AM) is playing a major role in Industry 4.0. AM can simplify the fabrication of complex shapes while minimizing manufacturing time and cost. However, the poor surface quality and weak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output hinder the broad application of AM.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method for estimating the mechanical property in a fused deposition modeling-type 3D printer. Acceleration signals were acquired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a tensile specimen through construction of a test-bed. In addition, a tensile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ecimen to collect informa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After that, features were extracted from the divided signals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mechanical properties. Finally, the quality of highly correlated property was estimated through deep neural network. We confirmed that deep learning-based method is good at estimating property through mean square error loss and root mean square error.

      • KCI등재

        서울특별시 행정동 수준의 범죄발생등급에 대한 공간분석 : 강남과 강북의 이질성을 고려한 공간체제모형을 활용하여

        홍명기 ( Myeonggi Hong ),김은혜 ( Eunhye Kim ),신지희 ( Jihui Shin ),이다영 ( Dayeong Lee ),장현석 ( Hyunseok Jang ) 대한범죄학회 2021 한국범죄학 Vol.15 No.3

        본 연구는 범죄 현상의 공간적 종속성을 고려하는 공간모형을 통해 사회해체이론의 관점에서 한국의 범죄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한 생활안전지도의 범죄발생 등급을 수집 및 가공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서울특별시의 424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살인 등 6가지 범죄에 대한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서울특별시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고유한 특징인 강북과 강남의 분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강남과 강북의 이질적인 차이에 의해 사회해체 요인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으며, 공간체제모형을 통하여 실증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외국인 비율이 높을수록 강북 지역의 살인범죄 발생등급은 감소하였으나, 강남 지역의 폭력범죄 발생등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출입율이 높을수록 강북 지역의 성폭력범죄 발생등급은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사회해체이론의 주장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으며, 강남과 강북의 지역적 특징이 사회해체 요인과 범죄의 관계에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들에 대한 한계점과 시사점을 논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Korea’s crime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through spatial model considering the spatial dependence of crime. To this end,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Security collected and processed data on the crime level of safety map. Six crimes, including murder, were investigated in 424 administrative dongs in Seoul. In particular, the heterogeneity of Gangbuk and Gangnam, which are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ment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focused on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social disorganization factors on crim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foreigners, the lower the level of homicide crimes in Gangbuk, but the higher the level of violent crimes in Gangnam. In addition, the higher the transfer rate, the higher the level of sexual crimes in Gangbuk. This is partly true of the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angnam and Gangbuk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issolution and crime.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의 형사사법제도와 지역범죄예방활동에 대한 인식이 범죄피해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창훈,( David R. Montague ) 대한범죄학회 2011 한국범죄학 Vol.5 No.2

        노령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노령인구를 위한 형사사법정책에 대한 이해가 매우 절실해 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 전체인구도 급속도로 노령화되어 가고 있는데, 노령층의 범죄피해두려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특히, 노인들이 형사사법제도와지역범죄예방활동에 대한 인식이 그들의 범죄피해 두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미흡한 선행연구 분야를 탐구하고, 노인의 범죄피해 두려움을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미국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 실용적인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노인들의 범죄피해 두려움은 노령인구를 위한 형사사법정책의 필요성과 지역범죄 안전도에 대한 인식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계기로 한국에서도이와 유사한 연구가 진행되어, 노령인구 증가에 대비한 형사사법제도를 준비하는 발판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Since senior citizens are one of the fastest-growing demographic group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ir views on crimein preparing criminal justice policy for the senior population. South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in which the population of senior citizens is rapidly growing, but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on their fear of crime. Particularly, there is no empirical study focusing on relationships between senior citizens’ perceptions of criminal justice resource allocationfor them and neighborhood crime prevention activity and their fear of crime victimization. To add the literature, and to better understand fear of crime among the senior citizens, this study examines data collected from the U.S., and provides relevant academic informa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South Korea. One major finding is that the necessity for increased criminal justice resources to impact senior citizens i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levels of fear of crime victimization and levels of the perceived safety in neighborhoo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park repli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한국 성인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 -정서 조절 및 대처 능력을 중심으로-

        정민철 ( Minchul Jung ),조영일 ( Youngil Cho ) 대한범죄학회 2016 한국범죄학 Vol.10 No.3

        본 연구는 일반인, 일반범죄자, 성범죄자의 집단 간 비교연구를 통해 한국 성인 성범죄자의 정서 조절 및 대처 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범죄자 123명, 일반범죄자 102명, 일반인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기존 연구와 이론들을 토대로 선정한 정서 조절 및 대처 능력 관련 변인들을 세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범죄자는 일반범죄자보다 인지정서조절전략으로 자기비난, 수용을 더 많이 하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환상을 사용하였다. 성범죄자들은 일반인에 비해서는 인지정서조절전략으로 자기비난을 하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성을 통해 해소하며 특히 환상, 자위, 포르노그래피를 많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일반범죄자들은 일반인에 비해 인지정서조절전략으로 자기비난, 파국 화를 더 많이 하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환상, 성행위를 통해 해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인들은 일반범죄자에 비해 인지정서 조절전략으로 타인비난을 많이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motional regulation and coping ability of adult sex offenders in Korea by comparing the general public, general offenders and sex offenders. The subjects were 123 sex offenders, 102 general offenders, and 162 general public.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e emotional adjustment and coping ability - related variables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exual offenders were more self blame and acceptance than general offenders. Sexual offenders have more sexual fantasies in stress situations than general offenders. Sexual offenders were more self-blame than general public. In addition, sexual offenders are more likely to use fantasy, masturbation, and pornography than general public in the stress situation. General offenders were more likely to self-blame and catastrophizing than the general public. General offenders showed a tendency to relieve stress through fantasy and sexual activity compared with the general public. The general public had more blaming others than general criminal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우리나라 국민과 국내거주 중국인의 한국 경찰에 대한 신뢰도 비교 연구

        장현석 ( Jang Hyunseok )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1

        경찰에 대한 신뢰도는 경찰활동의 정당성 부여와 더불어 경찰업무에 대한 협조를 얻어내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어 경찰학 연구에서 하나의 중요한 줄기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하지만, 현재까지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 중에서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대하여 우리국민과 외국인들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 국적을 가진 사람들과 우리나라 국민들이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은 이중 참조기준 이론을 사용하였고, 2016년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내·외국인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설명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인과 중국인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평균 비교에서 중국인이 한국인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고, 회귀분석에서 역시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중국인들이 한국인 보다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이중 참조기준 이론의 가설이 지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국인들에 대한 회귀분석 모형에서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또한 이중 참조기준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였다. 그리고 일상생활긴장, 사회유대 그리고 체류신분이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 변화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들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Research o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has become an important area of study because the confidence from the citizen not only provides the justification for the police existence, but also is required in order to obtain support among citizens. Until now, however, there is no study which compares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between Korean citizens and foreigners in South Korea. Since Chinese people are recorded as the number one in the statistics regarding foreigners,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on the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people.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was utilized. The survey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both Korean people and foreigners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16, was analyzed to examine confidence in the pol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hinese peopl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than Korean people. The same result was confirm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while controlling other factors. This finding supported the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Also, as the length of residence in South Korea became longer, Chinese people’s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became smaller. This finding also supported the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Strain, social cohesion, and legal status were other significant factors for the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among Chinese people.

      • KCI등재

        범죄에 대한 집단의 차별적 효과-불평등 구조와 연고주의 문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신동준 ( Shin Dong-joon ) 대한범죄학회 2016 한국범죄학 Vol.10 No.2

        범죄학에서 집단은 이론적 시각에 따라 범죄 유발 요인으로 간주될 수도 있고 범죄 통제 요인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비행친구 집단의 효과에 대한 차별접촉이론의 예측에 대해 가족집단의 효과를 강조하는 사회통제이론의 반론이 이러한 집단의 이중적 효과를 둘러싼 이론적 쟁점을 잘 보여주는 예이다. 뒤르케임은 전통적 통합의 원천이 되는 집단인 가족은 자살을 예방하는 반면 살인은 조장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근대적 통합의 원천이 되는 시민적 제도는 전통적 집단만큼은 아닐지라도 자살을 역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범죄도 통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집단의 유형과 일탈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관계가 발견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집단의 구체적 효과는 그 집단이 속한 전체 사회의 사회구조와 문화적 특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집단과 범죄의 복잡한 관계를 이론적으로 풀어보고, 사회의 불평등 구조와 연고주의 문화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어떻게 범죄에 대한 집단의 효과에 차별적인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를 연결망 개념을 동원하여 화이트칼라 범죄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이를 통해서 불평등과 범죄 사이의 이론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한다. Group can be seen as either crime-producing or crime-controlling factor from theoretical perspectives in criminology. This double effect of group is well illustrated in the debate between 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and social control theory on the effect of delinquent peer group. As a matter of fact, the differential effects of group had been argued in Durkheim`s deviance theory. Durkheim suggested that family, the locus of traditional integration, prevents suicide yet may promote homicide while civic groups, the institution of modern integration, may prevent not only suicide but homicide. So we should look into the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types of groups and crimes. This paper disentangles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group and crime and discusses how inequality structure and nepotism in society interacts for the crime-producing effect of group, especially in the case of white-collar crime, using the concept of social networks and opportunity structure.

      • KCI등재

        기초질서사범의 지속적 단속을 통한 강력범죄 감소 대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미국의 Zero Tolerance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정덕,주성빈 대한범죄학회 2014 한국범죄학 Vol.8 No.2

        Today, the number of serious crimes cases is increasing. In order to prevent serious crimes from occurring again, such criminal restrictions as the probation system, the community service order, the probation office order, the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the electronic monitoring system for the positioning of sex offenders, and the anti-sexual drug treatment are currently being applied. However, Those policies may not help to cut crime. Therefore, we give an eye to zero tolerance policing. Zero tolerance policing is defined being tough on crimes, non-discretionary law enforcement. Zero tolerance policing based on the broken window theory. If minor incivilities are ignored, an atmosphere of lawlessness and social decay develops. This is a broken window theory. Zero-tolerance policing is based on three ideas. One is the simple principle, ‘nip things in the bud’. Prevent anti-social elements developing the feeling that they are in charge. Prevent a broken-down and ugly environment of neglect becoming a breeding ground for crime and disorder. The second idea is that, in comparison with serious offences, low-intensity, humane, good-natured control—in those senses 'tolerant’ control—of these smaller challenges to the give-and take of decent social intercourse is a tactic open to the police officer. The third follows from the first two. At this low level of control,Zero-tolerance policing can make a distinct difference, directly by reducing petty crime, vandalism, graffiti and low-level disorder, and indirectly by creating an environment less hospitable to more serious criminals. This study describes the approaches to the minor infractions focused on the broken window theory. Actually, NYPD has adopted zero tolerance policing on the basis of broken window theory in 1990s. So, we examine zero tolerance policing in the United Stated and look for suggestion about zero tolerance or zero tolerance policing. In other words,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the main issues relevant to a consideration of zero tolerance policing is an appropriate strategy for the South Korea. In so doing a clear definition of zero tolerance policing is outlined and the evidence for its effectiveness or otherwise in reducing crime is presented. 최근 우리사회는 강력범죄의 발생이 잦았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법적으로는 형법상 유기징역형의 상한기준을 올려 강력하게 처벌하고 있고, 제도적으로는 성범죄자에 대한 위치추적전자장치 부착제도, 성범죄자 신상정보공개 등 다양한 형사법적인 대응책이 마련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인 개선노력에도 불구하고 매년 심각한 범죄(serious crime)라 불리는 강력범죄의 발생율이 전체범죄의 약 1.5%, 발생건수가 약 25,000건으로 감소하지 않고 일정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근본적인 관점에서 대응방안을 다시 마련할 수 있도록 형사사법체계 내에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상기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강력범죄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방법을 간접적이면서 근원적인 시각에서 다시 접근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이루어진 미국의 Zero Tolerance(이하 ‘무관용 원칙’)에 대하여 살펴보고 정책적 효과성을 되새겨보고자 한다. 즉, 강력범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발생하고 있는 강력범죄 자체에만 집중해서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 외에 사소한 범법행위에도 관용을 베풀지 않고 엄격히 법집행을 하는 경찰활동을 통해 강력범죄 예방효과가 확산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범죄예방 및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물론 다양한 선행연구에서도 언급되고 있듯이 미국의 무관용 원칙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 우리의 현실에 접목한다면 어떠한 방향으로 융화될 수 있는지 또한 범죄예방에 있어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의 타당성과 효과성, 그리고 배경에 대하여: 미국과 우리나라의 경우를 비교하여

        정은경 ( Eun Kyung Jeong ) 대한범죄학회 2011 한국범죄학 Vol.5 No.2

        성범죄자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2001년 처음 성범죄자 등록 및 열람제도가 시행되어 성범죄자의 신상이 공개되고 있고 2010년 9월부터는 인터넷을 통한 성범죄자 신상이 공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에서 처음 시행된 성범죄자 등록 및 고지법의 제정과정과 타당성, 효과성을 살펴보고 한국의 경우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성범죄자 신상공개법 제정의 가정으로 삼고 있는 성범죄자의 폭력성과 재범성에 대해 미국과 한국의 경우 모두 그 타당성을 밝힐 수 없음을 살피고 그법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아직까지는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음을 알아본다. 그 후 본 논문에서는 긍정적 경험적 연구결과 없이 왜 이 법이 전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가에 대한 성범죄자 신상공개법 제정의 배경에 대해 Jenkins(1998)의 도덕적 공황개념과 Garland(2001)의 후기현대문화의 특성을 살고 있는 대중의 합의라는 관점에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경험적 결과 없이 확대 시행되고 있는 성범죄자 신상공개법이 효과적인 정책이 되기 위해서는 아는 사람에 의한 성범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연구되어져야 성범죄를 줄일 수 있음을 지적한다. Sex Offender Registration and Notification Acts (SORNA), which were legislated in the U.S.A. in 1993, were adopted by South Korea in 2001. After the acts were legislated in 2001 in South Korea, the information of sex offenders is being notified through internet from 2011. This paper investigates if the acts`` validity and effectiveness are supported in the U.S.A. as well as in South Korea. It is pointed out that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criminal statistics do not support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acts not only in the U.S.A. also in South Korea. After the investigation of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SORNA, the backgrounds of the legislation of the acts were debated. It was proposed that SORNA were legislated by morally panicked citizens, who were raged through media``s exaggerated broadcasting of child sexual abuse.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late modernity culture proposed by Garland(2001) sets the backgrounds of the legislation. Finally, It was pointed out that to make the acts more effective, considerations for sex crimes committed by acquaintances are required.

      • KCI등재

        외국어논문 : 성범죄자 재범 위험성 평가의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

        박지선 ( Ji Sun Park ) 대한범죄학회 2011 한국범죄학 Vol.5 No.1

        날로 심각해져 가는 성범죄와 관련하여 성범죄자의 재범 위험성 평가는 그 중요성이 점차로 강조되고 있다. 과거 성범죄자의 재범 위험성 평가를 위해 다양한 위험 요인들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 정적(static) 위험 요인에만 그 초점이 맞추어졌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성범죄자의 재범 위험성의 변화나 치료 가능성을 가늠하는 데에는 상당한 한계점을 드러내 왔다. 따라서, 성범죄자의 치료적 재활 가능성을 높이고 재범위험을 낮출 수 있는 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역동적(dynamic) 위험 요인들에 관한 연구가 시급하다. 또한, 성범죄자들은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보유하고 있는 이질적인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성범죄자의 재범 위험성 평가에 있어서는 이러한 성범죄자의 다양한 유형에 대한 고려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유형별 성범죄자 집단에 대한 보다 전문적이고 개별화된 위험성 평가가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그 동안 재범 위험성 평가에 있어 성범죄자의 범행 당시의 행동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았다. 그러나 범죄자가 피해자를 대하는 방식이나 범행 수법 등은 성범죄자 각각의 중요한 특성이나 행동 양식을 보여주고, 시간에 따른 범죄자의 변화를 파악하는 데에도 중요하므로, 앞으로 재범 위험성 평가에 있어 성범죄자의 범행당시의 행동 또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determination of the likelihood of future sexual offense has become of vital importance. In determining the likelihood of sexual recidivism,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risk factors that can assist practitioners in reducing the likelihood for future offense.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found in the application of dynamic factors in risk assessment. First, as sexual assault is multidimensional behavior displayed by a heterogeneous group of offenders, failure to identify all relevant risk factors and their limited influence on intervention leads into unsuccessful reduction of future offense. Second, as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subtypes of offenders have been identified, there is an urgent need of incorporating consideration of different types of sex offenders in risk assessment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cisions on sex offenders. Third, current behavioral measures in risk assessment fail to cover extensive range of offending behaviors that may be useful for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each offender. Assessing risk of recidivism is important as it can help practitioners making decisions on trials and sentencing, institutional placement, offender supervision, offender treatments, and prison classification.

      • KCI등재

        외국어논문 : 아동대상 성범죄와 성인대상 강간 범행에서 나타나는 범죄자-피해자 상호작용의 차이점 연구

        박지선 ( Ji Sun Park ) 대한범죄학회 2010 한국범죄학 Vol.4 No.2

        아동대상 성범죄와 성인대상 강간 범행에서 나타나는 범죄자와 피해자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고 그 행동적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42건의 아동대상 성범죄 사건과 44건의 성인대상 강간 사건을 범죄 현장에서 나타난 행동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동대상 성범죄와 성인대상 강간 범행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세 가지 유형의 행동 주제가 드러났다(적대성, 통제성, 몰입성). 이 세 가지 유형의 행동 주제를 중심으로 아동대상 성범죄와 성인대상 강간 범행의 차이점을 살펴본 결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강간 범행에서는 피해자에 대한 적대적인 폭력과 적극적인 통제를 위한 시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반면, 아동대상 성범죄에서는 피해자에 대한 범죄자의 성적, 대인관계적 몰입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In order to develop a single behavioral framework that would encompass both adult rape and child sexual abuse and differentiate child sexual abuse from adult rape based on crime-scene behaviors, 44 adult rape cases and 42 child sexual abuse cases were examined. As a result, a three-way common thematic structure of offender-victim interaction that encompasses both adult rape and child sexual abuse was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namely Hostility, Control, and Involve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offenders involved in adult rapes were more likely to display violence toward the victim and try to control the victim than offenders involved in child sexual abuse.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