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東洋學硏究院 50년의 성과와 과제

        김철웅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0 No.82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succeeds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which was founded in September 28, 1970.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was reorganized into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in September 2011 and is now continuing. This year i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This paper traces back the Academy’s 50-year activities and achievements, and suggests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s. The greatest accomplishment of the Academy is the completion of th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and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At the end of the 30 some years of efforts, the Academy completed the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and the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After the completion of these dictionaries, the Academy is planning to continuously compile dictionaries, such as the Yidu Dictionary and the Korean-origin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which the academic world requires. The Academy has contributed to oriental studies’ developments by publishing the Oriental Studies that is a journal list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hosting annually the Academic Conference for Asian Studies, publishing “Asian Studies Series”, and so on. For the future, the Academy should contribute to academic advancements by consistently publishing the Oriental Studies and “Asian Studies Series”, and continuously hosting the academically highly valuable Academic Conference for Asian Studies. The Academy under itself has Institute of History & Culture, Institute of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and Institute of East Asian Interchanges as its subsidiary institutes. The Academy should search for the methodologies to invigorate its subsidiary institutes which are the bases of the academy system.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renewedly professed for Asian studies within its systemic reorganization. The Academy should establish its research areas and goals as much as it professes Asian studies. Also, the expansion of researcher pool and the budget support are necessary to back it up. In order to expand and reinvigorate research activities, stabler budget should be supported. Currently, the Humanities including Asian studies goes through the era pursuing useful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In such a circumstance, it is predictable that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shall face a lot of difficulties in its future. I hope that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will make remarkable progress so that it can become a central institution for Asian studies at home and abroad beyond Dankook University’s central research institute around the time of the next 60th or 70th anniversary. 동양학연구원의 전신은 東洋學硏究所로 1970년 9월 28일에 설립되었다. 동양학연구소는 2011년 9월에 동양학연구원으로 개편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올해로 동양학연구원은 開院 50주년을 맞이하였다. 동양학연구원 50년의 활동과 성과를 되짚어보면서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들을 제시해보았다. 동양학연구원의 가장 큰 업적은 『韓國漢字語辭典』과 『漢韓大辭典』의 완간일 것이다. 동양학연구원은 30여 년간의 노력 끝에 『한국한자어사전』과 『한한대사전』 편찬을 완성하였다. 이들 사전을 완간한 이후, 『이두사전』, 『한국고유한자자전』 등 학계가 필요로 하는 각종 사전을 지속적으로 편찬할 예정이다. 동양학연구원은 등재학 술지 『東洋學』 발간, 동양학학술회의의 개최, 동양학총서 간행 등을 통해 동양학 발전에 기여해 왔다. 앞으로 도 『東洋學』과 동양학총서의 지속적인 간행, 학술 가치가 높은 동양학학술회의 개최 등을 통해 학문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동양학연구원은 역사문화연구소, 동아시아전통문화연구소, 동아시아교류연구소 등의 산하 연구소를 두고 있다. 앞으로 동양학연구원은 연구원 체제의 근간인 산하 연구소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동양학연구원은 체제 개편과 함께 새롭게 아시아학을 표방하였다. 이제 아시아학을 표방하고 있는 만큼 이에 걸맞은 연구 영역과 목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자확충과 예산 지원도 필요하다. 연구 활동의 확장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좀 더 안정적인 예산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동양학을 비롯한 인문학은 효용성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시대와 함께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양학연구원의 앞날에는 많은 난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60년, 70주년에 즈음해서는 동양학연구원이 단국대학교의 중추 연구기관을 넘어 국내외 아시아학의 중심 기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괄목상대한 발전이있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단국대학 시절, 신동엽이 만난 고구려와 동학- 신동엽 연구(11)

        김응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0

        Poet Shin Dong-yeop(1930~1969) studied two big histories when he was a student at Dankook University. First, it is very important that Kim Gu(金九, 1876~1949) chose the first private university created by independence movement figures. Dankook University, established by Jang Hyung(張炯, 1889~ 1964) and Jang Do Bin(張道斌, 1888~1963), who campaigned for independence to Shin Dong-yeop, who already had problems with left and right wings and anarchist ideas during the Jeonju high school, would have come to go through at least once. Second, Shin Dong-yeop meets the ideas of Daegyo, represented by Jang Hyeong, at Dankook University. Shin Dong-yeop may have learned continental imagination from Jang Hyeong’s poems. Third, Shin Dong-yeop traveled to places of the Donghak(東學) Peasant War during the Dankook Dynast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ang Do-bin’s book on the Donghak Revolution may have been devoured. After that, Shin Dong-yeop studied Donghak thought and history such as “Donggyeong Daejeon( 東經大全 ),” and studied for nearly 30 years to complete the epic “Geumgang.” Shin Dong-yeop experienced war when he was in Dankook University, and he could have learned grand religion from Jang Hyung, a former independence fighter who lived history and religion through life, not ideas, and learned the secrets of Goguryeo and Jang Do-bin. After the war, Shin Dong-yeop, a graduate of Dankook University, meets In Byeong-seon and begins a new start to open his eyes to new love. It was not until August 1953 that Dankook University returned to Sindang-dong, Seoul, and it was newly opened anew. Certain periods in a person’s life can have a big impact. The days of Dankook University were definitely an important period that gave poet Shin Dong-yup a new opportunity. 시인 신동엽(1930~1969)은 단국대학교 재학 시절에 두 가지 큰 역사 공부를 한다. 첫째, 김구를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 인사들이 만든 최초의 민립대학을 선택했다는 사실은 대단히 중요하다. 전주사범 시절 이미 좌우익의 문제, 아나키스트 사상까지 섭렵한 신동엽에게 독립운동을 했던 장형과 장도빈이 세운 단국대는 한번쯤 거쳐야 할 상아탑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둘째, 신동엽은 장형으로 대표되는 대종교의 사상을 단국대에서 만난다. 장형의 시에서 대륙적 상상력을 배웠을 수도 있다. 셋째, 신동엽은 단국대 시절에 동학농민전쟁 기행을 한다. 장도빈의 동학혁명에 관한 ‘최초의 단행본’인 갑오농민란과 전봉준 (1926)를 탐독했을 가능성도 살펴 보았다. 이후 신동엽은 동경대전 등 동학사상과 역사공부를 하며, 30년에 가까운 공부를 하여 서사시 「금강」을 완성한다. 신동엽은 단국대학 시절 전쟁을 체험했고, 관념이 아니라 삶으로 역사와 종교를 살았던 독립투사 출신 장형에게 대종교, 장도빈에게 고구려와 동학혁명의 알짬을 익힐 수 있었을 것이다. 1953년 8월에야 단국대학은 서울 신당동으로 복귀하면서 새롭게 개교한다. 한 인간의 삶에 특정 시기는 큰영향을 줄 수 있다. 시인 신동엽에게 단국대 시절은 분명 새로운 눈뜸의 계기를 준 종요로운 시기였다.

      • KCI등재

        漢字辭典의 현재적 의미와 개선 방안

        심경호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8 東洋學 Vol.71 No.-

        In modern Sinosphere, comprehensive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with the function of encyclopedia were competitively compiled and published. What follows are the notable dictionaries: the Dai Kan-Wa Jiten (大漢和辞典, The Great Chinese–Japanese Dictionary) compiled by Tetsuji Morohashi in 1960, the Zhongwen Da Cidian (中文大辭典, the Encyclopaedic Dictionary of the Chinese Language)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advanced Chinese studies of Taiwan in 1962, the Hanyu Da Cidian (漢語大詞典, Comprehensive Chinese Word Dictionary) published by Hanyudacidian bianjiweiyuanhui (漢語大詞典編輯委員會) and Hanyudacidian bianzuanchu (漢語大詞 典編纂處) of China in 1993, Han-Han Dae Sajeon published by the academy of Asian studies at Dankook university of Korea in 2008. Among them, Han-Han Dae Sajeon is estimated to be the most comprehensive work at the present time. However, it also needs improvement in some respects. (1)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for modern readers should not only preserve the traditional functions they had, but also respond to the changes of environment of reading. a. each character should be explained by its meaning, form and pronunciation, and meaning with sources cited. b. the major concepts of culture, history and natural science should be dealt with. c. the function of rhyme dictionary should be included. d. the Sinic culture peculiar to Korea should be considered in selecting entries and defining the words. e. It should be designed to be a reference book as well as a reading material for pleasure for the readers of present day. (2) It should aim to be an idealistic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with its micro- and macro-structure designed reasonably. a. the selection of a radical system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b. each character should be explained by its definition not by Xun (訓) style interpretation. c. the genealogy of each character should be explained with its genealogical tree. d. the improvement of the way of citing sources should be considered with deliberation. (3) In case of revising entries,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considered. a. the entries suggested by various dictionaries in present time should be referred. b. Korean Literature in Literary Chinese including poetry and prose,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rhyme dictionaries, category books (類書), scholarly essays (雜考) should be referred. c. Saeokpyeon published by Sahoe Kwahagwŏn Kojŏn Yŏnʾguso of North Korea in 1963 should be referred while improving its standard of selection of meaning, form and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its adoption of “clerical reading” (idu, 吏讀) as entry word. (4)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newly edited for the information ag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two aspects. a. the common vocabularies in classical Chinese in Sinosphere should be researched. b. Sino-Korean vocabularies should be researched as a part of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of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It is needed to change the editorial policy of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epochally including entry selection, the content of definition, the systematization of entries etc. under highly developed internet environment. 한자문화권에서는 현대에 들어와 백과사전의 기능을 겸한 사전(辭典, 詞典)을 경쟁적으로 편찬, 간행해 왔다. 현대 거질의 한자어 사전의 편찬은 모로하시 데쓰지(諸橋轍次)가 1960년 완간한 『대한화사전(大漢和辞典)』, 중화민국(대만) 중국학술원이 1962년 간행한 『중문대사전(中文大辭典)』, 인민중국의 중국한어대사전편찬위원회와 한어대사전편찬처가 1993년 완간한 『한어대사전(漢語大詞典)』에 이어, 한국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이2008년 완간한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을 꼽을 수 있다. 현재로서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의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이 가장 방대한 규모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 사전은 개선되어야 할 점도 있다. (1) 현대 사회의 한자사전은 종래의 한자사전이 지향하던 목표를 계승하면서 독서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새로운 목표도 함께 설정해야 한다. ⓐ 형·음·의 세 방면을 모두 해설하고 자의는 출전을 제대로 밝혀야 한다. ⓑ 문화와 역사, 자연과학의 주요 개념들을 망라해야 한다. ⓒ 운서(韻書)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 한국 한자문화의 특성을 고려하여 표제항을 선정하고 훈석을 해야 한다. ⓔ 새로운 인식의 참조준거가 되면서 독서물로서 완상될 수 있게 구성해야 한다(2) 이상적 한자사전은 대구조와 소구조가 합리적이어야 한다. ⓐ 부수법(部首法)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 정의식(定義式) 훈석(訓釋)을 지향해야 한다. ⓒ 자의(字義)의 파생(派生) 내력을 망라하는 보계수(譜系樹)식 구성을 취해야 한다. ⓓ 인용 원문의 제시 방식 개선에 주의해야 한다. (3) 한자사전의 표제항을 새로 선정할 때는 다음 사안들을 검토해야 한다. ⓐ 현대의 다양한 사전들이 제시한 표제항을 참고해야 한다. ⓑ 한국의 시문, 자전, 운서, 유서(類書), 잡고(雜考)를 함께 참고해야 한다. ⓒ 북한 과학원 고전연구소의 새옥편(1963년)을 참고로 하면서 한자의 자형을 심사한 방식, 한자음을 심정한 방식, 이두자를 올림자로 채택한 방식을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4) 웹 시대 동아시아의 새로운 한자사전은 다음 두 방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공통의 고전 한자 어휘를 재정리해야 한다. ⓑ 국고(國故) 정리의 일환으로서 한국한자문화내의 독특한 용례를 지닌 어휘들을 정리해야 한다. 앞으로 한자사전을 편찬할 때에는 웹의 발달에 대응하여 항목의 선정과 서술 내용, 항목의 체계화 등과 관련하여 획기적인 전환이 요구된다.

      • KCI등재

        단국대학의 설립정신과 정체성

        한시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3 東洋學 Vol.53 No.-

        현재 한국에는 2백개가 넘는 4년제 대학들이 있다. 각 대학들마다 설립자가 다르고, 설립한 정신이나 취지도 다르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대학들이 자신의 대학이 어떠한 대학인지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단국대학은 어떠한 대학인지를 살펴보려는데 목적이 있다. 단국대학은 독립운동과 밀접한 관련속에서 설립되었다. 우선 설립자인 범정 장형이 독립운동가였다. 장형은 일제식민지시기에 서간도와 국내를 중심으로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는 한편,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만주지역의 독립군과 연계되어 활동한 인물이다. 단국대학을 설립한 것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백범 김구의 독립정신과 관련이 있다. 장형은 해방 후 환국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추진하는 대학설립에 참여하여 국민대학을 설립하고, 임시정부 내무부장 신익희와 함께 이사장으로 국민대학을 운영하였다. 이후 1947년 신익희가 임시정부를 떠나자 국민대학과 결별하였다. 신익희의 행동을 임시정부와 김구에 대한 배신으로 여겼던 것이다. 그리고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대학의 설립을 추진, 1947년 11월 단국대학을 설립하였다. 단국대학은 설립주체나 과정으로 보면, 그 설립정신은 독립정신이었다. 설립자가 독립운동가였고, 또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대학으로 설립되었다는 점에서 그렇다. 단국대학은 다른 대학에서 찾아볼 수 없는, 단국대학만이 갖고 있는 정체성이 있다. 우선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한 대학이라는 점이다. 설립자 장형은 독립운동가였고, 임시정부가 추진하는 대학설립에 참여하여 국민대학을 설립하였다. 그리고 김구가 설립한 건국실천원양성소에서 이사장을 맡는 등 김구와 각별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후 신익희가 임시정부를 떠난 것을 계기로,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국민대학과 결별하고 단국대학을 설립한 것이다. 둘째는 독립운동가가 세운 대학으로, 독립정신을 이어가고 있는 유일한 대학이라는 점이다. 독립운동과 관련하여 국민대학·국학대학·신흥대학 등이 설립되었지만, 이들 대학은 모두 없어지거나 재단이 바뀌었다. 독립운동가에 의해 설립되고 독립정신을 이어가고 있는 대학은 단국대학이 유일하다. 셋째는 민족통일을 대비하는 대학이라는 점이다. 장형은 대학을 설립하면서 남북통일과 통일정부 수립에 기여하기를 염원하였고, 학교의 이름에 그 뜻을 담고자 하였다. ‘통일국가를 수립하려면 민족의 동질성을 찾아야 하는데, 우리 민족은 단군의 자손이 아니냐’라는 생각에서 교명을 ‘단국’으로 결정하였다. ‘단국’이란 교명은남북통일과 통일정부 수립을 염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 KCI등재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의 DB구축과 온라인 사전편집기

        김지영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3 東洋學 Vol.54 No.-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은 1996년 『한국한자어사전』, 2008년 『한한대사전』을 완간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한자사전을 보유하게 되었다. 『한국한자어사전』과 『한한대사전』은 한국학을 비롯한 인문학 공구서로서 가치가 크지만, 종이사전이 지니는 한계로 말미암아 그 활용도에서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동양학연구원에서는 두 사전을 하나의 사전으로 통합하고 어휘 및 예문을 증보하여 독자들에게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자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을 기획하였다. 본고에서는 동양학연구원에서 현재 진행 중인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의 편찬 기획, DB 구축, 온라인사전 편집기 제작, 웹 폰트 정비, 『한국한자어사전』과 『한한대사전』의 통합 및 증보의 과정과 쓰임새에 대한 소개와 논의를 통하여 인문학 분야에서 『통합디지털한한대사전』의 활용 가치를 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漢韓大辭典」의 편찬과정과 향후 계획

        윤승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2 東洋學 Vol.52 No.-

        I wrote this paper to achieve twin objectives. At first, I want to share the trials and errors,know-hows, information concerned with a dictionary compilation based on the compilation process of Han-Han-Dae-Sajeon. Also I purposed to prepare the white paper of Han-Han-Dae-Sajeon compilation. According to the President Chang Chungsik’s requir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established the compilation office of the Han-Han-Dae-Sajeon and pushed ahead the great project in 1977. Since 1977, the plan for the compilation and publishing the Han-Han-Dae-Sajeon was changed twice, and the special commission on Han-Han-Dae-Sajeon compilation was organized in 2004. At last the Han-Han-Dae-Sajeon (16 volumes) was completed 28 October 2008. During the 31 years,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held several meetings for reading research papers, published a news letter Bulletin of Oriental Studies semiannually, as well as running the reference room. And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introduced the 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 and developed the Chinese character fonts. Now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is undertaking the integrating and digitalizing project of the Han-Han-Dae-Sajeon (16 volumes) and Dictionary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4 volumes). Completing this project,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will carry out the projects as following ;on-line service of Han-Han-Dae-Sajeon, compilation of the essence dictionary for student or compilation of the disciplinary expert dictionaries, research for the lexicography,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s Classics, Academy of Korean Studies etc. 본고는 30여 년에 걸친 「漢韓大辭典」 편찬 과정에서 축적한 사전 편찬에 대한 경험과 지혜를 공유하는 한편, 「≪한한대사전≫ 편찬 백서」(가칭) 발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정리하기 위하여 기필되었다. 특히 이 글에서는 「한한대사전」의 편찬과정과 향후 계획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동양학연구소에서는 1977년 漢韓辭典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던 張忠植 전 총장의 요청에 따라 편찬계획안을 수립하고 「한한대사전편찬실」을 신설하였다. 편찬실에서는 편찬위원회를 구성하고 실무를 담당할 편찬원을 선발하여 사전 편찬을 위한 지침을마련하는 한편, 어휘 채록과 주석 작업에 착수하였다. 사전 편찬 과정에서 본래 ‘전문 인력 20명에 14억 원의예산으로 15년에 걸쳐 편찬한다.’는 계획안은 2차례 수정을 거쳤고, 마침내 ‘한한대사전 편찬 특별대책위원회’까지 구성되어 사전 발간을 위한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2008년 10월 28일 「漢韓大辭典」 16책의 완간을볼 수 있었다. 이보다 앞선 1996년 11월, 동양학연구소는 우리나라 고유의 한자와 한자어를 수록한 「韓國漢字語辭典」 4책을 완간한 바 있다. 동양학연구소에서는 30여 년에 걸친 편찬 기간 동안 月例硏究討議會, 「東洋學簡報」의 발간, 동양학연구소 도서실 운영, 편찬원의 해외 시찰, 전산 조판 시스템의 도입과 한자 폰트 개발 등다양한 활동을 통해 「漢韓大辭典」 편찬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여 왔다. 아울러 ‘통합디지털 한한대사전’ 편찬작업을 진행 중인 동양학연구원에서는 향후 ‘「한한대사전」의 웹 서비스를 통한 사회 기여’, ‘학습용 한자사전및 전문 갈래 사전의 편찬’, ‘사전학의 세계적 메카를 향한 학술 연구’, 국사편찬위원회·한국고전번역원·한국학중앙연구원 등 ‘유관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사업’을 계획 추진 중에 있다.

      • KCI등재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단국대학교

        한시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0 東洋學 Vol.47 No.-

        Since 1945, many powers of Korean Independent movement including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GRK) were participated in the foundation of a university (or a college). Just after returning home from abroad, PGRK set up ‘A Group of Political Underground Activities’and ‘A Committee of Administration Research’. And PGRK, under the responsibility of Sin, Ik-hee,put the foundation of a university in charge of ‘A Committee of Administration Research’. Sin Ik-hee, under the aim for founding a people’s university, organized ‘An Association for the Realization of a Plan (ARP) to founding Kookmin University. ARP invited Kimkoo and Kim Kyu-sik as advisors, Tjo, So-yang as an honorary chairman, 40 society personages of the interior as directors, and Sin Ik-hee became Chairman of ARP. Sin Ik-hee as Chairman and Chang Hyoung as one of directors fully led Practical business affairs of early ARP. Chang Hyoung was a leader of an independence movement who was acted for collect war funds in the western Gando region. Since 1945, when he met Kim Hong-il on SimYang, Kim suggested him to help Kimkoo. Then he returned to Seoul and joined ARP. ARP had a plan for the foundation of the university with 50 million won as fund-raising, but the plan is not easy to be achieved. At that time, Cho Huijae, who was Park Ki-hong’s widow, donated 5 thousand pyeong(=6.013㎥) to ARP through Chang Hyoung who was a close friend of Park Ki-hong. By basic of this property, Kookmin University was founded on September 1946. Kookmin University was founded by PGRK and was managed by Sin Ik-hee as the president and Chan Hyoung as the chair director. However, Sin Ik-hee left PGRK an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joined to the side of Rhee Syngman and Korean Democratic Party. Chang Hyoung thought that Sin’s political movement was a betrayal against Kimkoo and Kookmin University could not success the spirit of PGRK. Chang Hyoung left from managing Kookmin University, and decided to found a new university which success Kimkoo’s spirit. At the time, Cho Huijae positively agreed and donated her property(about 80 thousand pyeong) to Chang Hyoung again. Chang Hyoung tried to set up a new university within a basis of the property, and founded Dankook University on November 1947. Therefore, the foundation of Dankook University was a proof to the contrary by failure of Kookmin University as the succession of the spirit of PGRK. 해방 후 대학을 설립한 주체의 하나는 독립운동 세력이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도 환국 후, 국내에서대학을 설립하고자 하였다. 임시정부는 환국 직후 내무부 산하에 정치공작대와 행정연구위원회를 설치하면서, 행정연구위회에 대학설립을 맡겼다. 신익희가 내무부장으로 그 책임을 맡았다. 신익희는 임시정부 요인들과 협의하여 ‘국민의 대학’을 설립한다는 취지아래 국민대학설립기성회를 조직하였다. 기성회는 주석 김구와 부주석 김규식을 고문, 외무부장 조소앙을 명예회장으로 하고, 회장은신익희가 맡았다. 국내의 각계 인사 40명이 이사진으로 참여하였다. 그리고 기성회 중심으로 대학설립을추진해 나갔다. 기성회에서 실무를 주도한 것은 회장 신익희와 이사 장형이었다. 장형은 군자금을 모집하며 서간도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로, 해방 후 심양에서 김홍일을 만나 ‘국내에 들어가 김구를 도우라’는 말을 듣고 귀국하여 이사에 참여하였다. 기성회는 5천만원의 대학설립 기금을 모집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여의치 않았다. 이때 장형이 독립운동 시기의 동지였던 박기홍의 미망인 조희재로부터 5만평의토지를 기증받았다. 그리고 이를 기본 재산으로 하여 1946년 9월 1일 국민대학을 설립하였다. 국민대학은 임시정부가 세운 대학이었다. 신익희가 학장, 장형이 이사장으로 대학을 운영하였다. 그런데 신익희가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을 떠나 이승만측과 한국민주당에 참여하는 일이 일어났다. 장형은 이를 임시정부와 김구에 대한 ‘배신’으로 여겼고, 국민대학은 임시정부의 정신을 잇기가 어렵다고 보았다. 장형은 국민대학과 결별하였다. 그리고 임시정부와 김구의 독립정신을 계승하는 대학을 별도로 설립키로 했다. 조희재가 이에 적극 찬동하고, 80만평의 토지를 기증하였다. 장형은 이를 기반으로 대학설립을추진, 1947년 11월 단국대학을 설립하였다. 단국대학을 설립하게 된 것은 국민대학이 임시정부의 정신을이을 수 없다는 데서 비롯된 것이고, 이를 계승하기 위해 설립한 것이 단국대학이었다. 여기에는 김구와의 관계도 작용하였다. 장형은 김구와 각별한 관계에 있었고, 김구의 노선을 지지하고있었다. 그리고 김구가 설립한 건국실천원양성소의 이사장을 맡아, 소장 김구와 함께 이를 운영하기도 하였다. ‘단국’이란 교명도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장형은 임시정부와 김구가 추진하는 통일국가수립을 지지하였다. 남북통일을 위해서는 민족의 동질성을 찾아야 하는데, 남북이 모두 받들 수 있는 것은 단군의 건국정신이라 보고, 교명을 ‘단국’이라고 정한 것이다.

      • KCI등재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의 성과와 전망

        진재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東洋學 Vol.0 No.8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achievements and prospects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which was expanded and reorganized from the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established in 1958.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which opened in 2000, was a research institute to present a model of collaboration and convergence betwee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integration of education and research, the strategy of combining educational functions with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the proposal of academic long-term agendas, and the presentation of practical methodologies in the academic sphere, has drawn much attention from Korean universities and has been subject to benchmarking. As a result of its efforts over the past two decades, twelve Ph.D.s from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and the Translating Pre-modern Korean Text in Classical Chinese have got a professor position at university since 2002. Furthermore, while 86 Ph.D.s who participated in a research project have become a professor position at universities or as a researcher at academic institutes. The growth of the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new research and education as a research institute at a university drove the simultaneous growth of Korean humanities studies. 이 글은 1958년에 설립한 대동문화연구원을 확대 개편한 동아시아학술원의 20년 성과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2000년에 개원한 동아시아학술원은 연구기관으로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협업과 융복합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육과 연구의 통합, 대학의 연구기관에 교육 기능을 결합한 전략, 학술 장에서 학술적인 장기 의제의 제안과 실현 방법론의 제시 등으로 한국 대학에서 연구기관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여 그동안 많은 주목을 받았으며, 벤치마킹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동아시아학술원은 지난 20여 년 노력의 결과 2002년 이후 동아시아학술원의 동아시아학과와 한문고전번역 협동과정 등에서 박사 학를 받은 12명이 대학의 교수로 진출하였고, 연구과제로 참여한 박사 86명은 국내외 대학의 교수나 학술 연구기관에 진출한 바 있다. 대학의 연구기관으로서 새로운 연구·교육의 결합 방식을 통한 성장은 한국인문학의 동반 성장을 견인하였다.

      • KCI등재

        5·4운동기 해외유학파의 서양학문 수용과 유통-신문학을 중심으로-

        이재령 ( Lee Jaeryoung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東洋學 Vol.71 No.-

        이 연구는 5·4운동기 중국의 해외유학출신들에 의해 전개된 신문화운동을 통해 서양학문의 수용 및 확산 과정을 파악하였다. 청말민초 해외유학을 통해 근대지식을 습득하고 서양문명을 경험한 지식인들이 신해혁명 이후 좌절에 빠진 중국사회에 새로운 돌파구로 신문화운동을 제기하였다. 그 가운데 문학혁명이 가장 빠르고 구체적으로 전개되었는데 구 봉건문학의 폐해로부터 벗어나 사상혁명과 문자혁명을 통한 평민문학의 건설에 맞추어졌다. 여기에 동원된 문학 도구는 백화문이었으며, 창작방법은 서양의 명저를 번역, 참조하는 것이었다. 유학파지식인들이 번역한 작품의 선정 기준이나 내용은 문학성, 오락성보다 중국인들의 각성을 촉구하는 계몽과 혁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신문학에 따른 번역이나 창작 작품은 인도주의에 의거한 ‘인간의 문학’과 사회의 모든 현상을 그대로 묘사하는 ‘사실주의문학’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개성해방과 개인주의를 강조했다. 신문학의 경향이 계몽성, 혁명성, 사실성을 바탕으로 개개인의 자유와 평등, 개성 해방을 고양시킨 방향으로 나아간 것이다. 따라서 문학혁명은 문학 자체의 내용과 형식, 표현수단, 장르 등의 변화에 그친 것이 아니라 중국인의 윤리의식, 가치체계, 물질문명 전반에 변화를 가져온 사상혁명을 병행하였다. 이렇게 볼 때 해외유학파에 의해 수용된 서양문학은 근대 학문·사상의 교두보로서 문학혁명을 폭발시키고 신문화운동과 5·4운동을 확산시킨 원동력이었다. 그 과정에서 서양으로부터 이식된 자유·평등·민주·과학 등의 개념이 중국사회 전반에 보편화되었고 근대 지식장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았다. This study examines processes of acceptances and distributions of Western sciences throughout the New Culture Movement which Chinese studying-abroad-group propelled during the May Fourth Movement period. In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Qing dynasty to the republic, intellectuals who learned modern sciences and experienced Western civilization through studying abroad brought up the New Culture Movement as a breakthrough for Chinese society disappointed after the Xinhai Revolution. The most rapid and specific one among several sub-movements was the literary revolution, which focused on building the literature of ordinary people through ideological revolution and writing revolution liberating from harms of feudal literature. For the literary revolution, its tool was baihuawen(白話文: plain speech writing) and its method was translating and referring Western classics. Those selected Western classics were neither for literary value nor for entertainment but for enlightenment and revolution urging Chinese people’s awakening.Translations and writings in accordance with New Literature focused on ‘humanist literature’ based on humanitarianism and on ‘realist literature’ describing all social events as they are, and emphasized liberat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ism. The trend of New Literature, based on enlightenment, revolution and reality, went toward liberty and equality of all individuals and liberating personality. Indeed, the literary revolution not only achieved changes in contents, formalities, expressions, and genres, but also led the ideological revolution changing Chinese people’s morality, value system, and material civilization as a whole. From this perspective, the Western literature accepted by Chinese studying-abroad-group was the bridgehead to the modern sciences and thoughts and the key motivation bursting the literary revolution and spreading the New Culture Movement and the May Fourth Movement. Throughout the process, the concepts of liberty, equality, democracy, science, and so on, which were transplanted from the West, became common in Chinese society and became the axis of modern knowledges.

      • KCI등재

        단국대 소장 연민문고 필사본의 자료적 가치

        김문식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8 東洋學 Vol.43 No.-

        This paper was written to research the value of Yeonmin-mungo handwritten book held in Dankook University. Yeonmin-mungo collection hasn’t arranged completely until now, it is impossible for me to give the entire picture of the collection. But I wanted to come to light its value roughly in this paper, so I made the catalogue of the Bak Ji-won, Bak Je-ga and Cheong Yag-yong’s handwritten book included in Yeonmin-mungo collection. And I compared minutely the text of Youngdaejeongjib with that of Bak Young–cheol version Yeonamjig. I estimated Youngdaejeongjib was the book of good quality, so I pick up the book among Yeonmin–mungo collection.23 In this paper, I could reach the conclusion as follows. 1.The title and preface of Youngdaejeongjib was written by Bak Ji-won himself. This book was written in the paper printed the character Yeonamsanbang(燕岩山房), the paper was used only by Bak Ji-won and his descendants. 2. The preface of Youngdaejeongjib is the Bak Ji-won’s prose discovered new. 3.At first, Youngdaejeongjib Gon(坤) version had been written, Youngdaejeongjib Geon(乾) version had been made on the basis of Youngdaejeongjib Gon(坤) version. Next, Jayeongyongsil verson Yeonamjig had been written, Bak Young-cheol version Yeonamjig was printed in type finally. 4. There is difference between Youngdaejeongjib text and Bak Young-cheol version Yeonamjig text. The records written between the lines of Youngdaejeongjib were disappeared completely, some of the comments written in the end of each prose was missed too. I think that Youngdaejeongjib was the fist version among the Yeonamjib scripts, if we would make the definitive version of Yeonamjib, we should consult the text of Youngdaejeongjib. 본 논문은 단국대학교에 소장된 연민문고의 필사본이 가진 자료적 가치를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연민문고는 아직 자료 정리가 완료되지 않아 그 전모를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본고에서는 연민문고 필사본의 가치를 개략적이나마 평가하기 위해 연민문고에 포함된 연암 박지원, 초정 박제가, 다산 정약용 관련 필사본의 목록을 작성했으며, 연암 관련 자료 가운데 善本으로 판단되는 『映帶亭集』의 원문을 학계에 널리 보급된 박영철본 『연암집』과 꼼꼼하게 대조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영대정집』의 표지 제목과 서문은 박지원이 직접 필사한 것이다. 『영대정집』은 판심에 “燕岩山房”이라 인쇄된 私稿紙에 필사한 것으로 박지원 집안의 家藏本이다. 2. 『영대정집』의 서문은 새로 발견된 박지원의 글이다. 3. 필사본의 계열은 『映帶亭集』 坤本이 제일 먼저 만들어지고, 그 다음에 『映帶亭集』 乾本이 만들어졌으며, 이것이 自然經室本 『연암집』을 거쳐 朴榮喆本 『연암집』이 만들어졌다. 4. 『영대정집』과 박영철본 『燕巖集』의 원문은 차이가 있는데, 『영대정집』 본문의 행간에 추가로 기록되었던 것이 모두 사라졌고, 본문 끝에 있는 評語 중에도 누락된 것이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영대정집』은 『연암집』의 저본 가운데 가장 앞선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연암집』 定本을 작성할 때에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