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글로벌육성축제의 한류화 전략 제언

        김남희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고에서 살펴본 글로벌육성축제의 해외 진출 사례는 축제가 한류의 한 영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준다. 이처럼 글로벌육성축제는 한류화의 가능성이 있는 매력적인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정책적 지원의 부재로 인해 글로벌축제로 활성화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글로벌육성축제의 한류화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지원기간 한도 정책인 일몰제를 개선하여 한류화의 가능성이 있는 글로벌육성축제를 선택, 집중하여 지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축제의 팬덤문화(Fandom Culture)가 형성되고 확산되어야 한다. 셋째, 축제 지원의 효율성 증대와 전문성 강화를 위해 축제 전담조직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축제를 네트워크화하여 ‘글로벌 축제도시’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 게임의 글로벌 비즈니스 성공요인 분석 : ‘메이플스토리’사례를 중심으로

        김진규(Kim, Jin Kyu)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6

        This study, conceived by there were scanty researches about global business success factors by detailed analysis, even though game industry as key areas of contents industry that endures international exports overall contents industry of Korea, proposes to extract success factors of global market and analyze each leveled procedure of planning, producing, international marketing and one source multi use (OSMU) commercialization by make a selection of typical examples that achieved great performance on Global business. Online game has selected as the case study subject in variety genre of games, the reason why is that game industry possession 47.6% (1,240,850,000 U.S. Dollars) of overall contents industry amount of exports (2,604,240,000 U.S. Dollars), moreover in field of game, online game posses over 80% of game exports, in Korea. ‘Maple Story’ by MMORPG of ‘Nexon’, where is the number 1 online game company of Korea, has selected field of Online games. The ‘Maple Story’is the typical Global contents of Korea that advanced into nearly 70 countries including Asia to Americas and services target on 100 millions of users with 80% of users are overseas users in 2011 after that advanced 8 years. On this research, based on interview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service officer, the ‘Maple Story’ that succeeded on Global markets, focus on ‘Which procedure has planned?’, ‘How was the production process?’, ‘For international marketing, which strategy had planned and how it had specifically executed to capturing overseas markets’ and the last ‘How realized OSMU?’. The results that ‘Maple Story’ has succeeded on Global business by analyzing overall process are following. Firstly, it has honest on S.T.P. (Segmentation, targeting, and Positioning) strategy which is basic elements of marketing. In particular, they promoted customization of non-customers by establishing women and children as target customers who other existing companies had neglected, and through reverse thinking that preexistence online games that focused on technological and colorful graphic heavy (that operates on high performance computers with huge memory capacity), planned Online game, contrary, based on soberly characters with easy to play with light (operates on low performance computers with small memory capacity) and had created new Global Market. Secondly, they promoted differentiation and localization based on customers and present conditions of international markets by approaching 4Ps (Product, Price, Promotion and Place) of marketing, in other words, based on Global mind in fields of product strategy, price strategy, promotion strategy, and distribution strategy. Especially, different from previous Online games, it has established microtransaction-based revenue model, and planned and developed game concepts to meet it. Also for overseas expansion, they chose direct or advanced cooperation by considering internal capabilities. As well, not only game design, but also the way to playing game has localize completely that reflects on the character of overseas countries, also for promotion, they promoted strategically by applying culture code of local countries. Thirdly, they have promoted OSMU from the early stage, which preexisted games scarcely promoted, and have released over 1,000 derivatives such as comics and mobile games. Fourthly, they have recognized Online game as service items, devoted basic customer services such as stable operating server, supporting user community activities. Finally, the creative organization culture was very important factor that available free communication based on Global mind for whole procedures from planning, producing, international marketing and OSMU. These 5 success factors would implicates greatly not only game companies that plan to promote Global business but also other genre of contents companies. 본 연구는 콘텐츠산업의 핵심 분야로서 게임 산업이 콘텐츠산업 전반의 해외 수출을 견인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비즈니스 성공사례에 대한 세밀한 분석과 이를 통한 글로벌 비즈니스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글로벌 비즈니스에 큰 성과를 이룩한 대표적인 사례를 선정하여 기획, 개발(제작), 해외마케팅, 서비스 각 단계별 과정을 분석하고 글로벌 성공요인을 추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분석 대상으로는 여러 장르의 게임 중에서 온라인게임을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콘텐츠산업 수출액(2009년 26억 424만 달러) 중 게임산업이 전체의 47.6%(12억 4,085만 달러)를 차지하고 있으며 게임중에서는 온라인 게임이 게임 수출의 80%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온라인 게임중에서는 우리나라 온라인 게임업체 중 1위인 넥슨의 MMORPG 게임인 ‘메이플스토리’를 선정하였다. 메이플스토리는 아시아를 비롯하여 미주지역까지 약 70개국에 진출하여 8주년이 되는 2011년 현재, 세계 1억명을 대상으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이 사용자중 80%는 해외 사용자인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글로벌 콘텐츠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플스토리의 국내외 서비스 책임자와의 인터뷰를 기반으로 이렇게 글로벌시장 진출에 성공한 메이플스토리가 어떤 과정을 거쳐 기획되었는지? 제작과정은 어떠했는지? 그리고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해외마케팅은 어떤 전략을 가지고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행하였는지? 마지막으로 서비스는 어떻게 구현하였는지에 대해 전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글로벌 비즈니스에 성공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케팅의 기본요소인 S.T.P.(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전략에 충실하였다. 특히 기존 업체들이 외면하던 여성과 어린이를 타겟 고객으로 설정하여 비고객의 고객화를 추진하였고, 역발상을 통해 기술 중심이고 화려한 그래픽의 무거운(메모리 용량이 크고 고사양의 컴퓨터에서 작동) 기존 온라인 게임과는 완전히 다른 밝고, 아기자기 한 캐릭터를 기반으로 쉽게 게임할 수 있는 가벼운(메모리 용량이 적고 저사양의 컴퓨터에서도 작동) 형태의 온라인게임을 기획하여 기존에 없던 새로운 글로벌 시장을 창출하였다. 둘째, 마케팅의 4P (Product, Price, Promotion, Place) 즉 제품전략, 가격전략, 프로모션전략, 유통전략 측면에서도 글로벌 마인드를 기반으로 내부역량, 고객과 해외시장 현황을 바탕으로 차별화, 현지화를 추진하였다. 특히 기획 단계에서부터 기존 온라인 게임과는 다르게 부분 유료화를 목표로 설정하고 이에 맞도록 게임 컨셉을 기획, 개발하였으며, 해외 진출에 있어서는 내부 역량을 고려하여 직접 또는 협력진출을 선택하였다. 또한 게임 디자인은 물론 게임하는 방식까지 해외 진출 국가의 특성에 맞추어 철저하게 현지화(Localization)하였으며 프로모션도 현지 국가의 문화코드(Culture Code)를 활용하여 전략적으로 추진하였다. 셋째, 기존 게임에서는 거의 추진하지 않던 OSMU를 초기 단계에서부터 적극 추진하여 만화, 모바일 게임 등 1,000여 가지 파생상품을 출시하였다. 넷째, 온라인게임이 서비스상품으로 인식하고 안정적인 서버운영, 유저 커뮤니티 활동 지원 등 기본적인 대고객 서비스에 충실하였으며, 다섯째로 기획부터, 제작, 해외마케팅, OSMU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글로벌 마인드를 기반으로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했던 창의적인 조직문화가 매우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러한 다섯가지 성공요인은 글로벌 비즈니스를 추진하려는 게임기업은 물론 타 장르의 콘텐츠기업에게도 사사하는 바가 매우 클 것이다.

      • KCI등재

        글로컬 마케팅의 두 얼굴 : 지역 서사를 활용한 한류 마케팅의 정체성 확보

        임동욱(IM, Dong Uk)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0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

        ‘글로컬(glocal)’ 즉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은 세계화를 뜻 하는 ‘글로벌(global)’과 지역화를 뜻하는 ‘로컬(1ocal)’이 합쳐져 만들어진 용어이다. 처음에는 글로벌 기업이 ‘목표 시장의 지역적 특성이나 현지 풍토를 제품이나 서비스에 적용시키는’ 마케팅 개념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글로컬 개념은 ‘세계화(globalization)’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쓰여 왔다. 자국 시장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한 거대 자본이 해외로 눈을 돌리면서, 전 세계에서 거대한 판매고를 기록하는 글로벌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수많은 기업들이 ‘세계화’를 부르짖었던 것이다. 그와 반대로 지역적인 특색을 살려 세계 시장을 공략하려는 지역 기업이나 지역문화의 확산 또한 ‘글로컬 마케팅’이라 부른다. 지금 ‘한류’는 문화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오히려 ‘글로컬 문화 전략’이라는 이름으로 한류의 성공을 계획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한류는 온전히 한국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인가, 아니면 글로벌문화 자본을 흉내내어 그 장점을 가미한 일종의 전략 상품에 가까운가. 한류의 문화 전략이 그저 글로벌 기업들의 성공 사례를 본받기 위한 목적이라면, 과거 미국문화가 한국 시장을 지배했던 문화제국주의 시대의 재현에 가까울지도 모른다. 글로컬 콘덴츠들은 판매 대상 지역이 지닌 사회적, 문화적 특색을 콘텐츠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특색을 ‘지역 서사(local narrative)’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까르푸와 월마트가 한국 시장에서 철수한 것도, 마이크로소프트가 한글과 컴퓨터를 인수하려다 실패한 것도 한국 특유의 지역 서사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역 서사를 읽어내고 반영한 대표적인 콘텐츠로는 프랑스의 만화 시리즈 ‘아스테릭스’가 있다. 고유의 전통을 지키려는 움직임은 대다수 국가에 상존한다. 아스테릭스는 로마 제국에 대항한 골족 영웅들을 미화시키되 다른 문화권을 비하하지 않고 모혐의 배경과 소재로 삼는 등, 지역 서사를 활용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이다. 글로컬라이제이션은 ‘글로벌 기업의 마케팅 전략’과 ‘지역 콘텐츠의 세계 시장공략’이라는 두 가지 얼굴을 지니고 있다. 한류의 성공을 위해서는 두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고 이해해서 새로운 문화콘텐츠 제작과 판매 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 The term glocal , or glocalization , is composed of two word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 This term originated from the marketing concept that global companies adapted the local or actual features of the target market and applied them to their products and services. But glocalization has been used as the way to support the globalization. As the big capitals which have been unsatisfied with the home market turned their attention to abroad, many enterprises has emphasized the globalization to build a global brand which could mark the huge sales record. On the contrary, when the local cultures or companies attack the global market by animating the local features, it can be also called glocal marketing . Now the Korean Wave not only fights to survive among the waves of cultural globalization, but it is even confident of the success by the name of glocal cultural strategy . Is the Korean wave a content fully based on original features of Korea, or a strategic product mimicking the global capital and getting its advantages? If the cultural strategy of Korean Wave is just following the success story of the global enterprises, perhaps it can be the reappearance of the American culture which has reigned the Korean market in the past. Glocal products need to reflect the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of the target market. These features are called local narrative . The failures of Carrefour, Walmarr, and Microsoft in Korean market were due to not considering the Korea s local narrative. The excellent example that read and reflected the local narrative is the french cartoon series Asterix . In most countries, there are the movements to secure their own tradition. Asterix is a remarkable success story using the local narrative, as it beautified Gaul s heroes against the Roman Empire and used but not humbled other cultural area as the material and background of heroes adventure. Glocalization has two different faces of marketing strategy of global enterprises and attack of local content to world-wide market . It is needed to clearly understand both concepts and to devise a new strategy of producing and marketing Korea s own culture content.

      • KCI등재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인스타그램 브랜드 콘텐츠 전략 연구

        서보윤,정은경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5

        The use of social media, especially Instagram as a corporate communication platform is increasing nowa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of brand contents by analyzing image types and categories, message strategies, and usage of hashtags on Instagram of global automobile brands, which have recently been intensifying competit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official Instagram accounts of five global automobile brands that have officially been doing business for domestic consumers are used as the target of content analysis, and are analysed based on content and image types, message strategies, and the use of hashtag.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mount and type of posting by brand as well as differences in consumer reac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the image types and categories of Instagram posting of 5 global automobile brands are photo-centric, and there are many corporate-oriented contents(product-focused, brand-focused) that use a simple image form using text rather than expressing only with images. Also, professionally-directed images are used mostly, and customer-pariticipated image and storytelling images aren’t. Instagram The brand contents of global automobile on Instagram don’t con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and are still posting corporate-oriented contents rather than consumers-oriented contents. The message strategies also mainly use an transformational or ritual message strategy that focuses on the ‘self’, so more consumer-oriented, consumer-generated contents are are needed in the future. In addition, since hashtags rely only on the organizing function to summarize and organize the feed, it is required to develop specific hashtag strategies and content strategies. 기업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서 소셜미디어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경쟁이 강화되고 있는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브랜드의 콘텐츠 및 이미지 유형, 메시지 전략, 해시태그 사용 현황 등을 분석하여 향후 전략적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식 진출해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비즈니스를 본격화하고 있는 5개의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을 분석대상으로 삼고 콘텐츠 및 이미지 유형, 메시지 전략, 해시태그 전략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소비자 반응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브랜드별로 게시물의 양과 유형의 차이는 물론 소비자 반응의 차이가 존재했다.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의 인스타 게시물의 이미지 유형은 사진 중심적이며, 이미지로만 피력하기보다는 텍스트를 사용한 단순 이미지 형태를 많이 사용한 기업 중심의 콘텐츠가 많았다. 또한 연출형 이미지를 많이 사용하고 고객참여형과 스토리텔링형 이미지는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의 인스타그램 콘텐츠는 플랫폼의 특징을 담아내고 소비자보다는 여전히 기업 중심적인 콘텐츠를 게시하고 있고, 메시지 전략 역시 자아 전략에 치중한 감정전이적 메시지 전략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향후 좀 더 소비자중심적 콘텐츠 개발 및 차별적 콘텐츠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해시태그는 피드의 내용을 요약해서 나타내는 구성적 기능에만 의존하고 있어 소비자 반응이 높은 참여유도형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민중의식과 변혁적 가치로의 실천방향

        김진형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1

        In traditional society, there are three major fruits of the culture in which people's consciousness is manifested: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and fruits based on people's revolution. As people's cultural contents in traditional society worked to increase the deficiency of actions based on people's consciousness when people's consciousness stayed in people's literature, th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regulated people's actions based on people's consciousness between the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and those based on people's revolution. It also reduced the excessive actions based on people's consciousness during people's revolution. Like traditional society, the culture in which people's consciousness is manifested or is in the process of coming to fruition in modern society has come to fruition in three major aspects. There are, however, differences in terms of mutual relations among the three fruits between modern and traditional societ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immediately led to the fruits based on people's revolution during Rhee Syngman's dictatorial regime. During Park Chung-hee's dictatorial regime, however, there were no fruits based on people's revolution. However, the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laid a foundation for th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During Chun Doo-hwan's dictatorial regime, the independent actions of college students led to th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between those based on people's literature and those based on people's revolution. Here, the functions of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worked to serve as a cultural movement for fruition based on people's revolution beyond those of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in traditional society. The Gwanghwamun Candlelight Culture Festival, which demanded Park Geun-hye's resignation, went beyond the patterns of mutual relations found in the three types of people's consciousness discussed so far since it solved massive social conflicts with the power of cultural contents by performing people's cultural contents faithfully while bearing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and people's cultural content freel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poses two basic directions to realize people's consciousness in cultural contents as transformative values: one is orientation toward cultural contents to keep human dignity alive rather than cultural contents to kill human dignity; the other is to push forward a cultural contents revolution to reorganize the three core bases of cultural contents, which are legal, management, and business based. When they are realized, the Ministry of Culture will certainly be able to implement a cultural contents policy based on its original duty of creating culture. 전통사회에서 민중의식이 발현된 문화가 맺은 결실은 크게 ‘민중문학적 결실’,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 ‘민중혁명적 결실’ 등 세 가지였다. 여기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은 민중문학적 결실과 민중혁명적 결실 사이에서 민중의 ‘민중의식적 행동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전통사회의 민중문화콘텐츠는 민중의 민중의식이 민중문학에 머물렀을 때 나타나는 민중의식적 행동성의 결핍을 상승시키고, 한편 민중혁명에 나타나는 민중의식적 행동성의 과잉을 하강시키는 기능도 했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에서 민중의식이 발현된 문화는 전통사회처럼 세 결실을 맺었거나 맺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세 결실의 상호관계를 보면, 전통사회와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먼저, 이승만 독재정권 때는 민중문학적 결실을 통해 바로 민중혁명적 결실을 맺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달리, 박정희 독재정권 때는 민중혁명적 결실을 맺지는 못했지만, 민중문학적 결실을 바탕으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을 맺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 작업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에 비해, 전두환 독재정권 때는 민중문학적 결실과 민중혁명적 결실 사이에 대학생들의 주체적인 행동으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을 맺었는데, 여기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의 기능은 전통사회의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의 기능을 넘어서는 ‘민중혁명적 결실맺음을 향한 문화운동’의 기능을 했던 것이다. 박근혜 퇴진 광화문 촛불문화제는 지금까지 논의한 민중의식의 세 결실의 상호관계 양상을 넘어선 것이다. 왜냐하면 민중문학적 결실과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을 자유롭게 맺어가는 가운데 민중문화콘텐츠의 충실한 연행을 통해, ‘문화콘텐츠의 힘’으로 거대한 사회갈등을 해결하는 기능을 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문화콘텐츠에 나타난 민중의식을 변혁적 가치로 실천하기 위한 두 가지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인간의 존엄성을 ‘죽이는 문화콘텐츠’가 아닌, 그것을 ‘살리는 문화콘텐츠’를 지향하는 것이다. 둘째로 문화콘텐츠의 3대 핵심기반 즉, 법률기반, 관리기반, 사업기반을 재편하는 ‘문화콘텐츠혁명’을 추진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문화창달이라는 문화부 본연의 임무로 문화콘텐츠정책이 운영될 수 있을 것이 자명하다.

      • 식물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소재의 가능성 연구

        이종호,임대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1

        각광받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서 식물문화의 특징과 활용한 사례를 알아봄으로서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문화콘텐츠의 개념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정리를 하여 식물문화의 특징과 문화콘텐츠의 요소가 또 다른 인간적인 가치의 문화콘텐츠의 원천이 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영화에 활용된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식물문화가 프랑스영화 <레옹>,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서는 인간이 서로 교감하고 소통하여 치유하는 것과 식물 관련 상품으로 활용되는 예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식물문화의 발달이 문화콘텐츠적 관점을 통해 수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한국사회의 문화콘텐츠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주초,안남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6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문화콘텐츠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사회의 문화콘텐츠 담론은 1999년 문화산업 진흥법 제정, 2001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설립과 함께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한국 사회에서 문화콘텐츠 담론은 문화산업의 관점에서 미래의 먹거리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90년대를 거치며 활발하게 논의되던 대중문화 담론은 자연스럽게 문화콘텐츠 담론이 대체하였다. 하지만 산업적 측면이 강화된 문화콘텐츠 담론은 상대적으로 대중문화 담론이 가지고 있던 비판적 속성을 약화시켰다. 2009년 공공기관 선진화 사업으로 관련 기관들이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 통합되며, ‘문화콘텐츠’라는 용어 역시 ‘콘텐츠’라는 용어로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제 콘텐츠는 모든 문화물의 총칭이자 대명사처럼 사용되게 되었다. 하지만 이로인해 ‘콘텐츠’라는 모호한 용어 속으로 모든 개별 콘텐츠들이 가지는 담론의 주체성이 사라지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 우리 ‘삶터’, 콘텐츠의 매체가 될 수 있을까?

        이재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6

        이 글은 우리의 지역·마을·거리와 같은 삶터가 문화콘텐츠의 매체로서 기능과 특성, 이것이 품고 있는 가치와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시도이다. 문화콘텐츠는 문화적 소재의 가공, 이를 담는 그릇으로서 매체와 이와 체화한 무형의 결과물로 정의될 수 있다. 문화콘텐츠가 등장할 시기 매체는 주로 디지털 영역에 국한되었으나, 최근에는 공간·건축 등 다양하게 결합하여 나타나는 경향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우리의 삶터와 체화하여 나타나는 지역문화콘텐츠의 매체로서 지역·마을·거리와 같은 공간이 품는 가치와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삶터를 세분화하여 사례를 적용하였으며, 세종특별자치시·칠곡군 인문학마을 어로리·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의 사례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역문화콘텐츠의 매체로서 우리의 삶터는 주민의 문화적 실천의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원도심의 재생을 통한 관광공간으로서 특성이 나타나면서, 지역정체성 창출과 구현 공간으로서 기능함을 밝혔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결론으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을 전제로 하고, 이를 통해 건전한 공동체성의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음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문화콘텐츠학, 어디로 가는가? : 인문학 중심의 문화콘텐츠학에 관하여

        유제상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문화콘텐츠학’이라는 명칭을 단 학과가 2002년에 처음 설립되었고, 문화콘텐츠를 연구주제로 내세운 ‘인문콘텐츠학회’가 첫 학회지를 낸 것이 2003년이므로, 문화콘텐츠학이 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지 어느덧 십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사실 ‘문화콘텐츠학은 과연 필요한가?’라는 질문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엄밀히 말해서 ‘문화콘텐츠학’이란 현재 우리에게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문화콘텐츠학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하나의 통일된 학문체계’로서의 문화콘텐츠학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물론 통일된 학문체계가 부재하더라도 문화콘텐츠학의 실체(實體)는 분명히 존재한다. 전국에 난립한 다수의 문화콘텐츠학과가 이를 증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콘텐츠학과의 융성(隆盛)’이 곧 ‘문화콘텐츠학의 융성’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인문학도 실용성을 지녀야 한다는 시대의 왜곡된 요구를 반영한 것에 다름 아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황을 감안하여 문화콘텐츠학이 처한 상황을 진단하고,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독서의 선정과 주요 콘텐츠 선정이라는 두 가지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 문화원형 디지털 자원의 활성화방안 : ‘컬처링’과 ‘문화콘텐츠닷컴’을 중심으로

        최수진,임대근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2

        문화콘텐츠는 인간중심적이고, 심미적이다. 또한 동시에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것에 특별한 가치를 둔다고 이야기 한다. 문화원형을 접목한 콘텐츠는 문화콘텐츠의 가치를 확산하는데 일조하는 분야로 판단된다. 문화원형 디지털 사업화의 목적은 순수예술 및 인문학 가운데 전통문화를 대상으로 디지털 콘텐츠화 하여 창작소재로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이를 문학적 요소가 담긴 전통문화, 문화예술, 생활방식, 이야기 등 문화원형 창작콘텐츠를 다양한 문화산업분야에서 활용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문화콘텐츠닷컴1)은 국가기관이 지원해 만든 온라인 서비스로, 콘텐츠 창작소재의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를 온라인상에서 유통시키는 디지털 콘텐츠몰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기록 보존소인 단순한 아카이브 형태를 넘어선 형태이다. 즉 저작권 보호, 각 콘텐츠에 대한 정보 제공, 과금체계 등을 구축하고 있는 시스템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다루려는 문화원형 디지털 자원의 활성방안은 다음과 같다. 문화콘텐츠닷컴에서는 문화원형을 산업적으로 즉각 활용할 수 있는 재가공 된 정보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사실정보와 복원정보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만들어진 콘텐츠들의 성공적인 성과를 사례로 콘텐츠산업에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