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과정의 비판적 검토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교육과정은 교과의 시작이자 종결이지만 최근 우리의 교육과정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된 지 2년만에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었고, 다시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이라는 명목하에 교육과정이 개편되었다. 그런데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교육과정이 특정 기관이나 단체에 의해서 개발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국어 교육 관련 학회에서는 학회 연합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공정하며 합리적이라는 판단 하에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과정 공모에 참여하기로 하였고, 그 결과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고는 학회 연합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던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주로 선택과목 중심으로 개발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먼저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에 의해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 체계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세 가지를 지적한 바 있다. 하나는 ``국어``에 대한 세부 성취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점. 둘째는 총론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 셋째는 국어과 내용 영역 간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토대로 하여 재구조화안은 고등학교 보통교과 선택과목은 ``국어Ⅰ``, ``국어Ⅱ``, ``국어사고와 표현``, ``국어탐구와 이해``, ``국어문화와 창의``, ``고전``의 총 6과목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맡은 학회 연합의 연구진은 과목 명칭에 대한 논의,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 설정 문제에 대한 논의, 셋째, ``고전``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다. 이 결과 과목명은 ``국어Ⅰ/ 국어Ⅱ /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 / 문학 / 고전과 교양``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국어Ⅰ``의 기본 성격은 교양(일반)으로 하고, ``국어Ⅱ``의 기본 성격은 교양(전문)으로 하고, 국어과의 다섯 개 영역 중 핵심이 되는 성취 기준을 국어Ⅰ과 국어Ⅱ의 중핵적 성취 기준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고전``의 성격은 교과목명을 ``고전과 교양``으로 하고 국어과 다섯 영역의 현대 및 고대의 명문 중심으로 통합적 이해와 표현 활동을 목표로 하는 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최종 심의 과정에서 약간의 변이는 있었으나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의 핵심이 되었다. 교육과정 개발은 누가 하는가 보다도 어떻게 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교육과정은 주체의 문제가 아니라 공유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교과별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기록하는 것은 어쩌면 영역별 그릇싸움의 적나라한 기록일 수도 있다. 또한 교과목의 나눠먹기식 배분의 흔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문적 영역이 중등학교 교과목에 여하히 설정되느냐 하는 것은 학문의 존재 가치와도 관계된다. 교과 교육은 어차피 교단에서 완성되기 때문이다. 교단에 설 자리가 없는 교과교육은 학자들의 선문답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curriculum is the beginning of subject. Also is a terminated point of it. However the curriculum of Korea is not like that. The curriculum is reorganized after 2 years. For fairness and rationality, I think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academic society is responsible for the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This writing will review a development process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According to ``elective restructurization plan, high school elective course name was ``Korean language I(국어Ⅰ)`` and ``Korean language II(국어Ⅱ), ``Korean thinking and expression``, ``Korean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Korean culture and the Creative``, ``The canon`` . First of all, the research team of academic society union processed intensively the discussion of subject name and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language I, Ⅱ`` and ``character of The Canon``. Discussed, the names of subjects has been determined as ``Korean language Ⅰ / Korean languages Ⅱ / speech and writing / reading and grammar / literature / Canons and the liberal`` And the research team decided the basic character of Korean I`` with culture (the public) and Korean II with culture(specialty). Also, they decided the main accomplishing standard of reading, writing, speech listening, the grammar, the literature with core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I, II. They also changed the name of ``Canons`` with the ``Canons and liberal arts.`` And they decided this subject with intergrated understanding and expressive activities for students in five areas of Korean subjects. Although there was few variations in last review process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uch discussion result was became the core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초등국어과 기초학력 교육 방향 탐색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0 No.-

        초등학교 국어과 기초학력은 제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국가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가 실시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국어과 기초학력은 기본학력이나 심화학력 못지않게 중요함에도 교육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성적부진학생 지도나 학습문제학생 교정 지도의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는 기초학력 개념의 부재와 가치에 대한 인식의 소홀에서 비롯된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기초학력의 개념을 탐구하고 교육적 접근 방향을 탐구하였다. 먼저 기초학력의 개념을 ‘국어’와 ‘기초학력’의 의미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심성을 바탕으로 국어생활을 할 수 있는 국어문식력’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국어과 기초학력의 교육 목표를 ‘국어생활인’ 교육으로 제시하였다.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생각하여 보았다. 국어과 기초학력 교육 향상 방향은 본질 규정, 내용 구조, 교육 원리로 구분하여 보았다. 첫째 국어과 기초학력의 본질은 국어심성과 국어정체성 및 국어문식력을 갖춘 국어생활인 교육이다. 둘째, 기초학력 교육 내용은 국어심성개발, 국어정체성확립, 국어문식력향상의 범주로 구분하였다. 셋째, 국어과 기초학력 교육 원리로는 미분성과 종합성, 구체성과 상황성, 직접성과 경험성을 제시하였다. 국어과 기초학력 교육은 바른 개념정의에 기반을 두고, 체계적인 계획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목표와 내용도 없이 비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큰 의미가 없다. The basic learning is very important to the korean-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t is a foundation of another learning. It is emphasized in the seven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national basic learning achievement test. But there is upon to question what is the basis learning. Because of there is no an agreement among the korean-language educator for the basic learning in the elementary korean-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oncept and the direction of the basic learning in the elementary korean-language education. I define the concept of basic learning as 'korean-language literacy for the life of korean based on korean-language humanity'. And I take the educational goal of the basic learning at that is to educate the person who have korean-language life. The direction of the basic learning in korean-language education are divided three fields. The first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 of the person who have korean-language life. The second is to select the contents of instruction; those are the mentality, the identity and the literacy. The third is to choose the principles of teaching: those are the unity-integration, the concrete-situation, and the direct-experience.

      • KCI등재

        국어과 수준별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학습흥미,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오은순,황경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9 No.-

        본 연구는 국어과 수준별 수업이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학업 성취와 학습 흥미 그리고 다중 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 문제는 국어과 수준별 수업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 국어과 학습 흥미, 다중지능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묻는 질문으로 설정되었다. 연구방법은 동일 집단 사전·사후 실험 설계이며, 연구 대상은 경기도 00초등학교 5학년 42명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국어과 수준별 수업은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업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어과 수준별 수업은 초등학생의 국어과 학습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어과 수준별 수업은 다중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on achievement, interest, and multiple intelligence of students in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room. The research method is pre-post experimental design with one group. The subjects are 42 students of 5th grade at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differentiat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 effects positively on elementary student's achievement. Secondly, differentiat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 effects positively on elementary student's interest. Thirdly, differentiat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 effects positively on elementary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 In conclusion, differentiat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 effects positively on elementary student's achievement. interest, and multiple intelligence,

      • KCI등재

        제1차 국제학술대회 ;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의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에 대한 시론

        오현아 ( Hyeon Ah Oh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 미군정 당시에 이루어진 국어과 교육 중 문법 교육에 한정하여 검인정을 통해 발행되었던 문법 교과서를 사(史)적으로 고찰하여 교과서에 서술된 문법 지식의 체계를 구조화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광복 이후 국어과 교육은 일본어 보급과 조선어과 위축 및 폐지라는 일제강점기의 교육의 영향 아래 교육과정, 학제, 교과서, 교수법 등의 제반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었다. 따라서 광복 이후의 국어 교과서 연구는 국어 교과의 확립 및 국어 교육의 기틀 확립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시기 국어과 교육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1)국어교육사의 (1)종적인 차원에서는 ①국어 교과의 형성 및 교과 성격 획득 과정 관련한 연구(박영목·민현식·김종철 외, 2005; 윤여탁 외, 2006; 오현아, 2011), ②국어 교과서의 수록 제재 변천 양상에 관한 연구(조희정, 2005a; 조희정, 2005b; 조희정, 2005c; 서명희·조희정, 2006a; 조희정·서명희, 2006b; 이명찬, 2008), ③교과서 서지사항 및 단원 체계 및 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조희정, 2011), 국어과의 개별 내용 영역 변천에 대한 연구(유옥순, 1995; 고영근, 2001; 최호철 편, 2008)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그리고 (2)횡적인 차원에서는 미군정기에 한정한 검인정교과서의 소설 제재를 다룬 연구로는 최현섭(1990), 미군정기부터 1차 교육과정 고시(1956년) 전까지인 건국기에 한정한 중등 국어 교과서분석에 관한 연구로는 허재영(2005), 교수요목기를 중심으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전래동화의 유형과 양상을 다룬 정진헌(2005)가 있다. 이상을 통해 우리는 국어교육사에 대한 심화된 논의가 전반적으로 충분하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횡적인 차원에서의 국어교육사 논의가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광복 이후 국어 교과서 연구가 이후 정부 주도의 교육과정 아래 이루어진 국어 교과 정체성 및 기틀 확립에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는 문제의식 아래 국어교육사의 횡적인 차원에서 미군정기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까지로 시기를 한정해 문법 교과서에 기술된 문법 지식의 체계를 구조화하는 연구를 본격화하기 전에 시론으로서 이러한 연구가 국어교육 그리고 문법교육 안에서 어떠한 지정학적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문법 지식 체계의 구조화는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할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historically grammar textbooks published through authorization by the government and to show the necessity for research to structure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presented in textbooks, focusing on grammatic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under the rul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an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it was difficult to solve at once all problems relat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school system, textbooks, teaching methods, etc. establish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had promoted the spread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the shrinkage and removal of the Korean language. Accordingly,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after the Libera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is closely connec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evious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is pe국어교육학연구45_riod can be divided into the longitudinal dimension and the horizontal dim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Studies in the longitudinal dimension include: ①studies o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its curricular characteristics(Park Yeong mok, Min Hyeon sik, Kim Jong cheol et al., 2005; Yoon Yeo tak et al., 2006; Oh Hyeon ah, 2011); ② studies on changes in materials 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Jo Hee jeong, 2005a; Jo Hee jeong, 2005b; Jo Hee jeong, 2005c; Seo Myeong hee & Jo Hee jeong, 2006a; Jo Hee jeong & Seo Myeong hee, 2006b; Lee Myeong chan, 2008) and ③studies on changes in the bibliography, unit system and contents of textbooks(Jo Hee jeong, 2011) and on changes in the content areas of the Korean language(Yoo Ok soon, 1995; Ko Yeong geun, 2001; Choi Ho cheol, 2008). Among studies in the horizontal dimension, Choi Hyeon seop(1990) analyzed the materials of novels in textbooks authorized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eo Jae yeong(2005) analyzed second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until the announcement of the 1st National Curriculum in 1956, and Jeong Jin heon(2005) studied the types and patterns of traditional fairytales in elementary textbooks focusing on the period of syllabu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advanced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not been sufficient and,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horizontal dimension have been quite insufficient. Thus, recognizing the problem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since the Liberation became crucial foundation for the es국어교육학연구45_tablishment of the identity and framework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under the government l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s preliminary research before full scale studies to restructure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described in grammar textbooks,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horizontal dim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and discussed the geopolitical position of such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tical education and how the grammatical knowledge system can be structured.

      • KCI등재

        국어 수업의 교사 자기 평가 원리 탐색-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이호형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4

        Korean language class is a dynamic ecological phenomenon to improve learners’ language skill with teachers interacting with learners, teaching materials, and the environment in and out of the classroom. In this research, I’m going to probe into teachers’ role of considering learners to improve their own teaching skills and the quality of lessons depending on the changing perspectives of language lesson. For this, I proved that Korean language lesson is an ecological phenomenon and the expertis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be reconceptualized and include ecological literacy. Besides, developing the principles of teachers’ self-assessment, I showed to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caring is reflexive acts for educational evolution. And I developed specific evaluation principles through ecological quality. For instance, it includes empathic communication, cooperative learning, connection with communities, restructuring of curriculum, provision of texts, and support of scaffolding. When these self-assessment principles of class are realized, Korean language teachers as an expert will spare no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ers’ language ability in harmony with the various teaching elements. 국어 수업은 국어 교사가 학습자, 교재, 교실 내외 환경들과 상호작용하며 학습자의 국어 능력 향상을 꾀하는 역동적인 생태 현상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어 수업의 관점 변화에 따라 국어 교사는 자신의 교수역량을 스스로 개선하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자를 배려하는 교사가 되어야 함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어 수업이 생태 현상임을 드러내고 국어 교사의 전문성이 재개념화되어 생태학적 문해력을 포함해야 함을 증명하였다. 또한 교사 자기 평가의 원리를 구안하면서 국어 교사에게 배려가 교육적 진화를 위한 성찰적 행위임을 보였다. 그리고 생태학적 특성을 통해 구체적인 평가 원리를 구안하였다. 예를 들어 공감적 소통의 원리, 모둠 협동 학습의 원리, 지역 공동체와 연계의 원리,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원리, 학습자의 언어 발달에 적절한 텍스트 제공의 원리, 학습 지원의 원리가 있다. 이러한 국어 수업 자기평가 원리가 실현되면 전문가로서의 국어 교사는 수업의 여러 요소들과 상호작용하며 수업의 질을 개선하고 학습자의 국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려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 연구

        김혜영 국어교과교육학회 2010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7 No.-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고급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하거나 혹은 대학의 외국인 입학 전형에서 요구하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고급 정도의 상위 급수에 합격했다 하더라도 대학에 진학하여 다른 한국인 학습자들과 경쟁하며 공부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이것은 그들이 공부해온 일상생활의 회화가 아닌 생소한 전공 어휘와 내용이 대학수업의 주 내용인데다가 관련 배경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정착 비율을 높이고 그들이 성공적으로 유학생활을 마칠 수 있도록 기존 한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어생활 ·국어문화·국어교육

        김대행 한국어교육학회 2006 국어교육 Vol.0 No.119

        For the planning and practice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the nature of language living might serve as an proposition. Language is a system of sounds, meaning and structures with which we make sense of the world around us. Language is also a behaviour to perform many tasks we face in everyday life. And, in a view of common codes, language is a kind of culture we live by. The functional definition of language might be summarized as a tool of thinking, a mean of communication, and a material of art. It is helpful to begin to plan and practice for language education. Because recent curriculum and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tended to stress just behavioral aspects of language, cultural aspects of language have been igno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ractical sense. In order to discuss and plan for the education of language culture, it is better to have the complex view about the aspects of achievement culture and behaviour culture, and living culture and art culture. To neglect about the historicity of language living and culture in Korean is serious defec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t is necessary to put the weight on the complex and diachronic aspects of language for gaining the totality and solidit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국어생활’은 국어로 영위되는 언어활동의 총체로 정의되며, 그러기에 ‘국어교육’은 국어생활의 교육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국어교육은 언어활동의 총체성을 지향하는 교육을 기획하고 실천하는 것이 당연하다. 국어생활의 총체성이라는 관점에서 국어교육을 논의하려면 최소한 체계, 행동, 문화, 사고, 소통, 문학의 여섯 요소를 기본으로 삼아야 한다. 그런데 국어교육은 이 가운데 상당 부분에 대하여 등한함으로써 총체성을 결여한 데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그 원인으로 국어국문학의 과도한 영향, 문학에 대한 편견, 과도한 기능중심적 기획의 오류, 국어생활의 역사성에 대한 통찰의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국어문화에 대한 무관심이나 무지는 이러한 원인들과 맥을 같이한다. 국어문화는 국어생활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매우 중요함에도 그에 대한 국어교육적 관심은 소홀하였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문화의 개념을 재정의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성취문화와 행동문화라는 두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고, 생활문화와 예술문화의 두 분야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국어문화를 국어교육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그 연구가 수행적 이론의 개발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국어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내용으로는 지식, 경험, 수행, 태도의 네 가지 요소가 균형 있게 도입되어야 한다. 또 입체적 국어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을 공학적 개념으로만 바라보는 좁은 시각에서 벗어나 합리적 이성의 계발이나 사회화라는 교육의 본질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고, 이런 문제점이 교육과정의 개정 등 실천적 경험들을 통하여 반성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국어 의식의 개념화와 교육적 해석

        고춘화 ( Chun Hwa Ko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7 No.-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 의식``의 개념화 및 해석을 통해 교육적 실현 방향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국어 의식``은 화자의 국어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태도라는 일반적 의미에 언어에 대한 인식적 사고 작용을 강조하는 언어 인식의 의미가 융합되어 개념화되었다. ``국어 의식``은 문법 교육에서 인지적 가치와 정의적 가치를 연계·통합하는 지점으로 작용한다. ``국어 의식``은 언어에 대한 호기심과 민감성 촉진, 언어에 대한 인식적 사고와 탐구, 화자 자신의 국어 의식에 대한 반성적 고찰과 메타적 인식, 국어에 대한 가치와 얼의 형성에 이어지는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이는 문법 교육의 이상적 학습자의 모습을 상정한다. 기존 연구와 문법 교육과정의 검토를 통해 ``국어 의식``에 대한 의미를 다음과 같이 개념화하였다. 1. 인간의 본질적 특성인 언어 자체, 즉 ``국어``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 2. 개인의 국어사용에 대한 반성적 고찰 : 언어 메타 의식과 논리적 사고 3. ``국어``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 : 얼의 형성 문법 교육과정에서 ``국어 의식``은 단어의 형성과 국어사 관련 내용 기준에서 명시되어 제시되었다. 단어의 형성 부분은 새로운 말의 형성 과정을 탐구하여 인지적 측면에서의 국어 의식의 형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국어사 관련 내용에서는 국어의 역사, 특히 국어 수호의 역사와 선인들의 국어 연구 및 수호 활동을 통해 정의적 측면에서의 가치(얼)를 형성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국어 의식``을 중층적 구조로 해석할 때 교육적 가치를 따져 기준을 세우고, 논리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올바른 ``국어 의식``의 형성은 국어를 통한 민족의 ``얼``을 형성하고 국어 문화를 창조하는 바탕이 된다. 또한 이는 문법 교육의 한 지향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irection for educational realization through conceptualiz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nd its educational interpretation. Through reviewing existing study and grammar education process, a meaning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was conceptualized as follows. 1. Curiosity and inquiry spirit about language itself which is human essential characteristic, that is, ``national language`` 2. Reflective study about use of national language by individual : language meta consciousness and logical thinking 3. Attitude and view of value about ``national language`` : formation of spirit In the educational process of grammar,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was clearly shown and suggested on formation of words and criteria of content related to Korean language history. Part of formation of words emphasizes form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in the cognitive aspect through exploration of formation process of new words. The content related to Korean language history focuses on formation of spirit in the emotional aspect through history of Korean language, especially, history of guarding Korean language, study of Korean language and activity to guard Korean language by predecessors. When interpreting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s twofold struc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criteria based on educational value and to logically organize educational process. For qualitative development of grammar edu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properly include value of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into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focusing on language unit. Formation of right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forms ``spirit`` of national people through Korean language and becomes basis of creating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his could be a goal for gramma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