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과정의 비판적 검토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김중신 ( Jung Sin Kim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교육과정은 교과의 시작이자 종결이지만 최근 우리의 교육과정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된 지 2년만에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었고, 다시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이라는 명목하에 교육과정이 개편되었다. 그런데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교육과정이 특정 기관이나 단체에 의해서 개발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국어 교육 관련 학회에서는 학회 연합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공정하며 합리적이라는 판단 하에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과정 공모에 참여하기로 하였고, 그 결과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고는 학회 연합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던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주로 선택과목 중심으로 개발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먼저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에 의해 개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들은 2009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선택 과목 체계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세 가지를 지적한 바 있다. 하나는 ``국어``에 대한 세부 성취 기준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점. 둘째는 총론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 셋째는 국어과 내용 영역 간의 자연스러운 결합을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토대로 하여 재구조화안은 고등학교 보통교과 선택과목은 ``국어Ⅰ``, ``국어Ⅱ``, ``국어사고와 표현``, ``국어탐구와 이해``, ``국어문화와 창의``, ``고전``의 총 6과목으로 정하였다. 그런데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맡은 학회 연합의 연구진은 과목 명칭에 대한 논의,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 설정 문제에 대한 논의, 셋째, ``고전``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집중적으로 진행하였다. 이 결과 과목명은 ``국어Ⅰ/ 국어Ⅱ / 화법과 작문 / 독서와 문법 / 문학 / 고전과 교양``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국어Ⅰ``의 기본 성격은 교양(일반)으로 하고, ``국어Ⅱ``의 기본 성격은 교양(전문)으로 하고, 국어과의 다섯 개 영역 중 핵심이 되는 성취 기준을 국어Ⅰ과 국어Ⅱ의 중핵적 성취 기준으로 삼았다. 다음으로 ``고전``의 성격은 교과목명을 ``고전과 교양``으로 하고 국어과 다섯 영역의 현대 및 고대의 명문 중심으로 통합적 이해와 표현 활동을 목표로 하는 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최종 심의 과정에서 약간의 변이는 있었으나 2009 개정 교과교육과정의 핵심이 되었다. 교육과정 개발은 누가 하는가 보다도 어떻게 하는가가 더 중요하다. 교육과정은 주체의 문제가 아니라 공유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교과별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기록하는 것은 어쩌면 영역별 그릇싸움의 적나라한 기록일 수도 있다. 또한 교과목의 나눠먹기식 배분의 흔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학문적 영역이 중등학교 교과목에 여하히 설정되느냐 하는 것은 학문의 존재 가치와도 관계된다. 교과 교육은 어차피 교단에서 완성되기 때문이다. 교단에 설 자리가 없는 교과교육은 학자들의 선문답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 curriculum is the beginning of subject. Also is a terminated point of it. However the curriculum of Korea is not like that. The curriculum is reorganized after 2 years. For fairness and rationality, I think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academic society is responsible for the Korean curriculum development. This writing will review a development process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According to ``elective restructurization plan, high school elective course name was ``Korean language I(국어Ⅰ)`` and ``Korean language II(국어Ⅱ), ``Korean thinking and expression``, ``Korean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Korean culture and the Creative``, ``The canon`` . First of all, the research team of academic society union processed intensively the discussion of subject name and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language I, Ⅱ`` and ``character of The Canon``. Discussed, the names of subjects has been determined as ``Korean language Ⅰ / Korean languages Ⅱ / speech and writing / reading and grammar / literature / Canons and the liberal`` And the research team decided the basic character of Korean I`` with culture (the public) and Korean II with culture(specialty). Also, they decided the main accomplishing standard of reading, writing, speech listening, the grammar, the literature with core accomplishing standard of Korean I, II. They also changed the name of ``Canons`` with the ``Canons and liberal arts.`` And they decided this subject with intergrated understanding and expressive activities for students in five areas of Korean subjects. Although there was few variations in last review process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uch discussion result was became the core of 2009 Revised Korean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임형재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3

        태국 내 현지 중고등학교에서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의 시작을 태국 전역에 확대 실시된 2011년부터로 본다면 불과 2년이라는 짧은 시간이 지났다. 하지만 한국어교육의 성장과 한국어교육의 확산은 매우 빠르게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확산 뒤에는 태국정부 주도의 대단위 한국어교원 파견 요청과 이를 수용한 한국정부의 결단,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지원과 관리가 있었다. 2011년부터 실시된 태국 현지학교 한국어교원 파견 사업은 한국어교원 파견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일 뿐만 아니라 형식에 있어서도 처음 시도되는 최초의 대단위 교원 파견 사업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한국어교원의 태국 현지학교 한국어교원 파견에 대한 과정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2011년 태국 중고등학교에 파견되었던 한국어교원 54명에 대한 교육, 관리, 평가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사례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는 처음으로 시도된 관리 모델의 필요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태국 현지학교 파견교원과 관련된 관리 모델에 대한 분석은 이후 유사한 사례를 가진 다른 나라에도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이 될 것이고, 현지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의 확장과 안정적인 정착 그리고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local Thai secondary schools has been proceeding only for 3-4 years. When the cases of model schools are excluded, the education only has 2 years of short history since 2010. However, the rapid growth and prolif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expanded the scope of education. Behind such developments, there was a decision to dispatch large units of Korean teachers as well as a new form of support and management, all of which are led by the government. These factors have produc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e dispatch program to Thailand, which came into effect in 2011, was the first large-scale dispatch that was not only the greatest in size, but also ground breaking in form.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Korean teachers dispatch program to local Thai schools. Then, it will systematically analyze a case on the training,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for 54 Korean teachers dispatched to Thai secondary schools in 2011. This is to account for the necessity of the Online assistance system which was first tried during that program. The analysis on the supporting system for dispatched teachers in Thailand will provide a model which will be applicable to other countries with similar cases. It is also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suggests supporting measures for expansion, stabl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at local institutions.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 연구

        김혜영 국어교과교육학회 2010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7 No.-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고급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하거나 혹은 대학의 외국인 입학 전형에서 요구하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고급 정도의 상위 급수에 합격했다 하더라도 대학에 진학하여 다른 한국인 학습자들과 경쟁하며 공부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이것은 그들이 공부해온 일상생활의 회화가 아닌 생소한 전공 어휘와 내용이 대학수업의 주 내용인데다가 관련 배경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정착 비율을 높이고 그들이 성공적으로 유학생활을 마칠 수 있도록 기존 한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국어 교과서 계급주의 교양 교육의 ‘원쑤’의식화 교육 내용분석

        엄인영 ( Uem Inyoung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1

        북한 국어 교과서는 김일성 교시인 ‘사회주의 교육테제의 정치사상 교양 교육’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중 계급주의 교양 교육은 정치사상 교양 교육의 네 가지 요소 중 하나로, ‘원쑤’에 대한 분노와 증오, 투쟁 정신을 갖도록 의식화하는 교육을 말한다. 이 연구는 북한 국어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계급주의 교양 교육을 위한 ‘원쑤’의식화 교육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통일 시대 국어교육을 위한 전환의 관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소학교 교과서는 삽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학령기 아동에게 부적절한 그림이나 사진이 많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중·고등학교 국어, 문학 교과서는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북한 국어 교과서의 ‘원쑤’는 ‘미국, 일본, 남한, 제국주의, 지주자본가, 봉건지배자, 악독한 동물’로 표현되었다. 이들 ‘원쑤’는 당시 역사적 상황과 함께 다양한 갈래로 묘사된다. ‘원쑤’에게 고통당하는 민중은 ‘소녀, 소년, 아동단원, 인민군대, 누이동생,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등의 사회적 약자로 인식되는 대상이다. 약자를 괴롭히는 ‘원쑤’는 더욱 잔인하게 묘사되며 오랜 기간 이와 관련한 교육을 받은 북한 주민의 마음 속에는 ‘원쑤’에 대한 아브젝시옹의 감정을 가지게 된다. ‘원쑤’와 관련한 계급주의 교양 교육은 ‘동요, 동화, 우화, 실화, 단·장편 소설, 일기, 감상문, 외국소설’ 등의 다양한 갈래와 기능영역인 ‘읽기, 말하기, 글짓기’ 등의 다양한 학습 상황에서 이루어진다. 북한 국어 교과서 계급주의 교양 교육의 ‘원쑤’의식화 교육 내용분석은 통일 시대 국어교육 기반 구축을 위한 전환의 관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계급주의 교양 교육은 모두 ‘원쑤’에 대한 적개심을 의식화하기 위한 계획적인 교육이지만 내용 중에서 전환의 관점이 될 만한 요소가 있다. ‘동정심, 자비심, 인간의 도덕적 완성, 민족도 하나, 조국도 하나, 화목, 조상의 피, 하나의 지맥, 평화, 량심’과 관련한 내용이 그것이다. 계획적으로 설계된 북한 국어 교과서 교육 내용에서 이와 같은 화두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은 통일 시대 국어교육 기반 구축을 위한 희망적 요소가 될 것이다. 전환의 관점을 통해 통일 시대 국어교육을 위한 다양한 측면의 교육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North Korea’s Korean language textbooks will be organized around Kim Il-sung’s teaching style (education in political thought and culture of the socialist educational system). Dual-class liberal education is one of the four elements of liberal education in political history, a ritual education that enmeshes “Wonsu.”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how the “Wonsu” awareness education for classist culture education was appl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ns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era of unificatio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have focused on illustrations and I have seen many inappropriate pictures and pictures of school-age children. The Korean language of middle and high schools and literature textbooks have focused on the content. The “Wonsu” in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described as “the United States, Japan, South Korea, imperialism, landlord capitalists, feudal rulers, and vicious animals.” These “Wonsu” were described as various divisions due to the historical situation at that time. The people who suffer under “Wonsu” are considered “social underdogs”; for example, girls, boys, children, members of the People’s Army, sisters, mothers, grandfathers, and grandmothers. “Wensu” is described as being more cruel. Classical education related to “Wonsu” is being provided in various learning situations, such as fairy tales, fables, true stories, short and long novels, diaries, appreciation sentences, and foreign novels, as well as in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aimed at finding a point of transition by carefully reviewing them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unification era. All classical liberal education is designed to realize hostility toward “Wensu,” but there were elements of the content that could be a turning point, such as “sympathy, mercy, morality, harmony, one vein, forgiveness.” It is a hopeful el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usher in the era of unification that such topics can be found in the planned and designed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is, various a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eriod of un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외국 대학과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전공 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김재욱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2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i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certified Korean language teachers. Thus, the curriculum may have problem in that it is not fit with the curriculums offered in foreign countries because their goals ar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fered in the foreign colleges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designing an ide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undergraduate level. For this,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s of foreign colleges are analyzed, 20 of Japan and 29 of China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Kim(2009) which examined 17 depart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while the curriculums of Korea colleges focus on Korean linguistics and pedagogy in order to standardize the fundamental law for the Korean language, the curriculums of Japan focus on linguistic contrast and development of Korean proficiency and the curriculums of China do Korean linguistics and development of Korean proficiency. This research may be helpful to Korean instructors who plan to teach in Japan and China because it provides them with trends in both countries 한국어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은 국내에서의 한국어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과는 다른 목표로 마련된 해외 한국어학과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과는 맞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국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와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사ㆍ분석하여 한국어교육학과의 이상적인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토대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김재욱(2009)에서의 한국 내 17개 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일본 내 20개, 중국 내 29개의 한국어 전공 학과 교육과정을 수집하여 조사ㆍ분석하였다. 국가별로 그 특성을 비교하여 보면 한국 내의 교육과정이 국어기본법의 기준에 맞춰져 있어서 한국어학 및 한국어교육학에 초점이 놓여 있다면 일본 내에서는 언어학적인 대조 및 한국어 능력 향상에 초점을 놓고 있고, 중국 내에서의 교육과정은 한국어 능력 향상 및 한국어학에 초점을 놓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의 내용은 향후 일본 및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을 하려고 하는 예비 교사에게 그 경향을 알 수 있는 데 도움을 주는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각 국가별로 한국어학과에서 어떠한 교과목을 중요시하고 있고, 또 어떠한 교과목이 부족한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한국어교육학과의 표준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어 규범 교육의 현황과 방향

        김진희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6

        오늘날 국어 화자의 국어 사용 양상을 살펴보면, 여간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국어 규범에 대한 파괴 현상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으며 국어 규범에 대한 관심 부족으로 인하여 국어 규범의 위상조차 위태로운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국어 규범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 국어 규범 교육을 살펴본 결과, 국어 규범 교육은 문법 교육에 한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국어 규범 교육 내용은 학습자가 국어 규범의 이해를 돕는 구성과 내용 진술 부분에서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 규범 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국어 규범 교육의 위상은 국어과의 어느 한 영역에서 담당하는 것이 아닌 범 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또한 국어 규범 교육 내용은 국어 규범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보다 국어 규범에 대한 수월한 이해가 되도록 하여 학습자가 국어 규범을 내면화하고 실제 언어 생활에서 국어 규범을 적용하여 국어를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Examining Korean use aspects of current Korean native speakers, it is not hard to be surprised. Destroying situation of Standard Korean is getting serious every day and because of lacking interest in Standard Korean. This paper tries to question about the responsibility in the Standard Korean education from the school education.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s of Standard Korean education, the status and contents of native Standard Korean education were examined. Current Standard Korean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only for Grammar education. Additionally, a limit could be identified that the contents are insufficient in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description which help the learners understand Standard Korean. Therefore, the status of Standard Korean education should be treated across the entire area which is not in charge by a single area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 and the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proposed in order that the Standard Korean education contents could stimulate the intellectual curiosity of Standard Korean and could make the understanding about native language norm much easier and also that the learners could use Standard Korean correctly by internalizing Standard Korean and by applying Standard Korean in actual language.

      • KCI등재

        창의성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

        김창원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본고는 창의성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에 필요한 전제 조건들을 탐색하고, 그를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인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여덟 가지 논제를 설정하고 그에 관한 연구자의 견해를 밝혔다. 1. 국어 능력과 창의성은 어떤 관계인가? 2. '국어적 창의성'이란 무엇이며, 그 개념을 교육과정에 어떻게 끌어들일 수 있나? 3. 학생들의 국어적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해 어떠한 모델을 상정할 수 있나? 4. 국어적 창의성은 국어 활동의 어떤 영역에서, 어떻게 발현되나? 5. 교육과정 구성에 창의성을 어떤 방식으로 반영해야 하나? 6. 창의성 교육을 논의할 때에는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하나? 7. 7차 교육과정은 창의성은 어떻게 다루었나? 8. 창의성 계발을 위해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나? 연구 결과 국어적 창의성과 창의성 중심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념을 재점검하고, 국어교육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관한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 본고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원론 수준에서 논의되던 창의성 관련 논의가 한 단계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I discussed on directions and criteria of creativity 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with Korean language teaching(KLT). For these purpose, I have suggested 8 topics relating to KLT, creativity, and curriculum development. i.e.: 1.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ability and mental creativity. 2. Concept of linguistic creativity within Korean language use. 3. Ideal models of linguistic creativity in KLT. 4. Operating mechanism of linguistic creativity in KLT. 5. Methods of creativity 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with KLT. 6. Discussive topics of creativity education and KLT. 7. Relationship between the 7th curriculum of KLT and creativity education. 8. Directions and criteria of creativity 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with KLT.

      • KCI등재

        세계화와 국어교육 ; 한국어교육과 국어교육의 관계 설정 -상호 발전과 세계화를 위한 과제-

        서혁 ( Hyuk Suh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한국어교육은 기존에 국어학과 국어교육의 하위 학문 분야로 설정되었다가, 2002년에 교육부의 학문분류체계에서 독립된 영역으로 인정되고, 2004년도부터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분류에서도 독립 영역으로 설정되고 있다. 국어교육의 목표가 창의적 국어사용(활동) 능력, 국어적 사고력, 문화 창조로 요약되는 반면에 (외)한국어교육의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과 기본적인 문화 이해에 초점이 놓인다. 이는 학습 대상자의 목표 언어에 대한 능력, 문화적 지식과 경험의 차이에 기인한다. 2007년에 개정된 영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Communication), 창의성(Creativity), 문화 이해(Cultural Understanding), 비판적 이해(Critical Understanding)``의 4C를 기본 목표로 하고 있다. 반면에 미국의 외국어 교육 기준에서는 ``의사소통(Communication), 문화(Culture), 교과 연계(Connection), 비교(Comparison), 다문화 사회 참여(Communities)``의 5C를 강조하고 있다. 자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과 문화를 넘어서서 ``창의성, 비판적 이해``와 같이 사고력 부분을 훨씬 더 강조하고 있다. 기존에 한국어교육의 성격을 논의한 관점들이 대체로 국어학 중심의 제한된 접근을 보여 주고 있다. 앞으로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은 모두 한국학이라는 광의의 범주에 속한다는 점, 다문화적 접근과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고려, 문화 콘텐츠의 적극적 개발과 활용, 교원의 양성 등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상호 공조와 협력이 요구된다. 특히 기존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접근과 관련하여 다문화의 개념을 지나치게 협소하게 해석하거나 동화에 초점을 둔 열등주의 패러다임에 따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교육 정책, 연구, 현장 실천 차원에서 모두 반성이 요구된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hereafter KLF) has been classifi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ary field from 2002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rom 2004 by Korean Research Foundation. KLF was considered as a sub-field of Korean education or Korean linguistics before 2002.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hereafter KLE) are to develop abilities of creative communication, thinking skills and creating culture, while KLF focuses on the fluent communication and cultural understanding. We can see the similar characteristics comparing English National Curriculums, which is for native speakers, to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USA. Key Stage 3 and 4 of National Curriculum 2007 which was announced by QCA, DCSF(Department of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of England stress 4 key concepts, i.e. Communication, Creativity, Cultural Understanding, Critical Understanding, while the Standard for FLL of USA emphasizes 5Cs, i.e. Communication, Cultures, Connections, Comparisons, Communities. KLE and KFL hav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characteristics.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re-conceptualizing multi- cultural education,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and training teachers regarding both KLE and KSL with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