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스웨덴 교육사학 연구의 현황과 쟁점: 주요 학회 및 대학별 연구현황을 중심으로
이윤미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3
This paper examined the current trends in the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in Sweden, focusing on the publications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Föreningen fö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and the dissertations and research projects conducted by the researchers in major universities. Some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it has been criticized by professional historians that the so-called “pedagogikhistoria” approach of the Swedish Association for Educational History (Föreningen för svensk undervisningshistoria) was less scientific and lacked the rigor in its methodology, the works of the Association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The Association has a wide collection of various historical sources including books, personal memories, records, etc., crucial to the historical research on education. Second, the inventory study led by the group of cultural and economic historians of education (who have called for the “New History of Education Research [Ny Utbildninghistorisk forskning]”) provides a systematic basis for diagnosing the strength and weaknesses of the research orientation of the field. The forming of the social network among the historians of education and the professional programs offered by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History of Education seems to be an innovative way of promoting collaboration in research and teaching within the community of history of education. Third, an effort by the Swedish “new historians of education” to bring the expertise of the “historical science” into the educational domain sheds light on the ongoing controversy over the “disciplinary/professional identity” of the historians of education, positioned ambiguously between educational studies and historical studies. 이 글은 스웨덴에서의 교육사연구동향을 주요 학회에서의 연구와 주요 대학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는 1920년대 스웨덴교육사학회 설립 이래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지역교육사 및 학교사 등과 관련한 기초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주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사학 연구주제들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여러 분야에 걸친 주제사적인 접근이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스웨덴에서 교육사학 연구는 현재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교육사학을 독자적 학문분야로 세우고자 하는 소장학자들의 입장에서는 2003년 북유럽교육학회에서의 제언이 의미있는 기폭제가 되었다고 본다. 이들은 교육사학이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강화되어야 한다고 보면서, 교육학 내부에서 고립되지 않고 역사학 및 타학문영역과 협력적으로 소통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스웨덴 교육사학계의 이러한 쟁점은 교육학과 역사학의 경계에 있는 교육사학계의 보편적 문제의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주목된다. 또한, 스웨덴에서의 교육사학 연구자간 학문적 연계체제와 신진 연구자양성을 위한 대학간 협동프로그램(국립교육사학대학원) 운영사례가 한국의 제도적 현실에 주는 시사점도 크다.
류춘매,김병욱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2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and the current state of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and what its characteristics are. It also searches for alternative ways of studying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by reflectively reviewing its development since little critiques and reflection have been made so far. In addition, it tries to introduce research trends of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to Korean academic society and to facilitate academic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societies.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had already begun in 1890s. However, the real starting point was in 1922, which was almost 40 years earlier than Korean educational sociology. Despite this early start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suffered from Chinese political dynamics, namely, the communism between 1949 and 1978. With the new open policy in 1978 Chinese academic societies accepted Western social sciences and since then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met its reviving era by discussing its identity as an appropriate and useful academic discipline for China. It mainly shows theory-oriented approaches, and thus, it lacks practical explorations and suggestions to solve Chinese educational problems. Interestingly enough, it takes structural functionalism in socialistic China different from 1980s Korean educational sociology. The academic society of Chinese educational sociology has weakness in research manpower and journal publication. It also faces the demand to provide more appropriate research perspectives and methods to solve Chinese educational problems such as action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life history methods. Through these approaches it can develop Chinese theory for Chinese educational problems. 중국 교육사회학은 잉태․창건 시기(1922∼1949년), 정체․침몰 시기(1949∼1979년), 재건설․발전 시기(1979∼2001년)의 3단계를 거쳐 발달해왔다고 할 수 있으며. 각 발달 시기는 해당 시기 중국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맥락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구국강병을 위해 서양에서 도입한 여러 학문 중의 하나인 중국 교육사회학은 1922년 토우멍허(陶孟和)의 『사회와 교육』이 출판되면서 그 기초를 마련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한국에서 교육사회학이 출발한 시기보다 무려 40여 년 앞선 것이다. 그렇지만 중국 교육사회학은 중국의 정치적 상황 때문에 부침(浮沈)의 과정을 거쳐 왔다. 특히 좌파 계획경제시기(1949~1979년)의 중국 교육사회학은 소멸의 위기를 겪었고, 1979년 이후의 개혁개방시기를 맞으면서 부활하여 비로소 학문적 체계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1992년부터 시작된 시장경제시기 이후 중국 교육사회학은 활성화 되고 있다. 현재의 중국 교육사회학은 기능주의적 패러다임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1980~90년대에 비판적 이론들이 팽대했던 한국의 교육사회학과는 대조를 이룬다. 주로 거시적, 이론적, 사변적, 문헌중심적 연구들이 대부분이고, 중국 교육의 당면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나 미시적 연구는 드물다. 한편, 학회와 학회지 그리고 연구 인력 등의 측면에서 중국 교육사회학은 취약함을 보이고 있다. 중국 교육사회학에 관한 자체 평가나 반성적 논의는 그동안의 중국의 정치적 현실 때문에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중국 교육사회학의 발달과 각 발달 단계에서의 특징 그리고 현재의 학문적 상황과 연구 동향을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한국 교육사회학계에 소개하여 중국 교육사회학에 관한 관심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명실(李明實) 교육사학회 2011 교육사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교육사연구자들이 분석하고 정리한 자료를 재구성하는 방법으로 일본의 교육사연구 동향을 검토한다. 교육사연구는 과거의 교육이 어떤 지역적·시대적 상황으로 말미암아 왜 그렇게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밝히는데 초점을 둔다. 이러한 논의가 가질 수 있는 위험성은 특수성을 강조한 나머지 자기중심적 역사관으로 흐를 수 있다는 가능성과 역사서술이 군국주의, 제국주의, 배타주의적 성격을 띨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편견에 치우지지 않는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지고 과거의 교육을 제대로 검토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들의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의 눈에 비친 시대정신을 파악할 수 있고, 우리의 눈으로 본 것과 어디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근거를 갖게 된다. 우리의 교육사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의 방향이 제대로 설정되고 있는지, 다른 관점으로 볼 수 있는 여지는 없는지, 우리가 모르는 사료는 없는지 둥을 검토함으로써 우리 교육사연구의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교수·학습사회학에의 초대: 교육사회학의 심화와 확산을 위하여
오욱환 한국교육사회학회 2019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9 No.-
2019년 한국교육사회학회 추계학술대회가 선정한 주제의 핵심 개념은 ‘교사’이지만, 교사는 학생과 관련짓지 않고는 의미가 없으므로 실제로는 ‘교사와 학생’이 핵심 개념이 된다. 더욱이 교육학자는 교사와 학생이라는 명칭(名稱)보다는 그들의 활동(活動)을 탐구해야 하므로 교수(teaching)와 학습(learning)에 초점을 맞추고 통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3) 한국교육사회학회는 학습에 관해서는 관심을 조금 가졌지만, 교수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간과하고 외면하였다.4) 나는 오늘 그 이유를 살펴보고 교육사회학의 심화와 확산을 위해서‘교수·학습사회학’의 복귀(復歸)를 촉구하고자 한다.
한국교육사상학회 학술지 『교육사상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강기수(Gi-Su Kang),이승형(Seung-Hyeong Lee),최은주(Eun-Ju Choi)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사상학회의 학술지인 『교육사상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사상연구』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992년 창간호부터 2021년 12월까지의 『교육사상연구』에 게재된 총 680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연역적, 귀납적 분석틀에 근거한 분석방법과 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교육사상연구』의 전체적인 동향은 교육(학)의 체계 정립, 교육사상 및 관련 교육이론, 교육 실제에 관한 연구가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육(학)의 본질과 체계정립에 있어서는 지식, 지성, 진리, 경험, 마음, 감성, 몸 등 인간 이해 및 인간 특징에 관한 연구와 교육의 주체와 교육적 관계, 교육의 목적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다. 교육사상 및 관련 교육이론에 관한 연구 동향은 주제·영역별 교육과 사상가 및 인물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교육 실제에 관한 동향은 수업 및 교육과정과 교권 및 교사론 등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입시)제도 및 교육정책, 교육기관 및 교육공간에 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텍스트마이닝에 기반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통한 『교육사상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결과 핵심 키워드는 ‘교사’, ‘철학’, ‘인간’, ‘사회’로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역시 분석틀에 근거한 동향 분석과 마찬가지로 교육사상 및 이와 관련한 교육이론의 연구 및 인간과 교육에 대한 본질 이해, 그리고 교육현장에 관계되는 학생, 교사, 학교, 사회에 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This study aims to 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by analyzing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an academic journal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al Thought Associa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680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from 1992 when its first issue was released to December 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nalysis target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e studies was analyzed using a method based on the existing deductive and inductive analysis framework and a text mining-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to compensate for its shortcomings. The analysis, the overall research trend of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of educati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and educational purposes. Research trends 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mainly focused on education, thinkers, and people, by subject and area, and mainly studies on education (admission) systems, and educational policies, institutions, and spaces were conducted. Analysis of the trends in Educational Thought Research using a text mining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technique showed the network to be composed of “teacher”, “philosophy”, “human”, and “social”.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results, like the trend analysis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revealed tha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educational ideas and related educational theories, the nature of humans and education, and students, teachers, schools, and society, as related to the educational field.
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1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publication patterns i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a peer-reviewed academic journal founded in 1990 b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The study provides the first longitudinal overview of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contributing to a broader discussion of the Journal's role in advancing the scholarship of sociology of education in Korea. A total of 461 article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from 1990 to 2010 of the Journal were analyzed for authorship, research method, and article content, using content analysis. In general, publishing patterns witnessed for the first twenty years of the Journal are characterized by gender imbalance of authors, decline in the number of authors publishing articles regularly over time, increase in collaborative work and quantitative research over time, and shifting emphases of subject matter. Meanwhile, the Journal is regarded as highly selective and accepts only high quality articles, obtaining the highest level of impact factor(IF) among the social sciences journals published in Korea. Taken together, it is imperative to expand and broaden the researcher base for the advancement of the scholarship of sociology of education in Korea. With this in mind, several measures to address the issue are suggested. 본 연구는 한국교육사회학회의 공식 학술지인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의 저자 특성 및 내용을 종단적으로 개관하고자 수행되었다. 1990년에 창간된 이후에 처음으로 시도되는 교육사회학연구에 대한 이러한 포괄적인 범위의 종단적 추이 분석은 한국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발전 및 저변 확대를 위한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연구자는 1990년부터 2010년 사이에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되었던 총 461편의 논문에 대해 저자 특성, 연구방법, 연구주제 등을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지난 20여 년 동안에 교육사회학연구에 게재되었던 논문들에서 드러난 특성을 시기별로 나누어 고찰한 결과, 저자 성비의 불균형, 논문을 안정적으로 게재하는 저자의 감소, 공동 연구 및 양적 연구의 증가, 연구주제의 빠른 변화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교육사회학연구는 완성도가 높은 논문들만을 엄선하여 게재함으로써 국내 사회과학 영역의 학술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인용도 지수(IF)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한국 교육사회학계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학문적 발전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연구자 저변을 확대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오욱환 한국교육사회학회 2003 교육사회학연구 Vol.13 No.1
The Meaning and Scope of Sociology of Education >교육사회학을 소개하고, 이해시키고, 연구하기 위해서 교육사회학의 의미와 범위 그리고 정체성에 대해 심도 있게 재고해볼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교육사회학의 의미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 멀리서부터 가까이로 접근하는 방식을 취했다. 첫째, 교육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유사 용어부터 비교정리하고 학문으로서의 교육학을 논의하였다. 둘째, 교육학의 하위 영역들을 망라한 후 기초영역(교육역사학, 교육철학, 교육심리학, 교육사회학)을 설명하였다. 셋째, 교육사회학의 인접 영역(교육과정학, 교육행정학, 비교교육학, 교육사회심리학)을 비교기술함으로써 교육사회학의 고유성을 밝히는 한편 인접 영역과의 교류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넷째, 영미 교육사회학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소개한 후 한국 교육사회학의 발전을 다룸으로써 교육사회학의 변천과정을 설명하였다. 끝으로, 교육사회학의 필요성을 몇 가지 사례들을 통해 설명하고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를 촉구하였다.
강창동 한국교육사회학회 2014 교육사회학연구 Vol.24 No.1
The examination on Smith's ideological background is needed to understand his educational thought. In his ideological background, there are liberalism respecting human life and the Stoic school. He pursuits the balancing welfare between a person and society. At the same time, he limits personal gains to be no better than social gains. His principle of market competition is not the artificial competition to repress human but the natural competition to consider human and society. His principle for human i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rules, that is naturality, fairness, propriety and publicness. These ideological background play important connection parts to understand Smith's educational thought. In his educational thought, he seeks education omnipotence, altruistic human, social fairness and naturalism education and suggests public education, common education and compulsory education and emphasizes educational meritocracy competition and teachers' free competition based on abilities. His educational thought pursuits the education for human and the education for public virtue. But his educational thought is so sensitive that may be understood against his intention. In other words, his thoughts tend to misinterpret a educational natural competition principle as a artificial limitless competition principle, pure meritocracy as formal meritocracy and education providers, teachers' competition as education consumers, students' competition. These erroneous interpretations changes the natural competition for human into the artificial competition to repress human. These points result from depending excessively on the external logics without the close examination on Smith's thought. So, it is required the careful concern and prudent approach to understand precisely Smith's educational thought. Smith의 교육사상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의 사상적 기반에는 인간 존중의 자유주의와 공동체 중심의 스토아학파가 있다. 그는 개인과 사회의 균형적 행복을 추구하면서, 개인의 이익은 사회의 이익을 침해하지 않은 범위 내에 한정하고 있다. 그의 시장경쟁원리는 인간을 억압하는 인위적 경쟁이 아니라, 인간과 사회를 위한 자연적 경쟁을 추구한다. 인간을 위한 시장경쟁원리는 자연성, 공정성, 적정성, 공공성이라는 네 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사상적 배경은 Smith의 교육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논리적 연결고리의 역할을 한다. Smith의 교육사상은 교육적 만능주의, 이타적 인간관, 사회적 공정성, 자연주의 교육을 추구하며, 공교육, 서민교육, 의무교육 등을 제안하고 있으며 그리고 교육적 능력주의 경쟁, 교사의 능력급별 자유경쟁을 강조하였다. 그의 교육사상은 인간을 위한 교육, 공공선을 위한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Smith의 교육사상은 매우 예민하여, 그의 의도와 달리 역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즉 교육의 자연적 경쟁원리를 인위적 무한경쟁원리로, 순수 능력의 경쟁(능력주의)을 형식적 능력의 경쟁(학력주의)으로, 공급자인 교사의 경쟁을 수요자인 학생의 경쟁으로 논리적으로 잘못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잘못된 해석은 인간을 위한 자연적 경쟁을 인간을 억압하는 인위적 경쟁으로 변모시킨다. 이 점은 Smith 사상에 대한 철저한 검토 없이, 외형적 논리에 지나치게 의존한 결과다. Smith의 교육사상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배려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최광만(Choi Kwang Man) 교육사학회 2010 교육사학연구 Vol.20 No.2
본고는 ?敎選攷說?을 중심으로 유형원의 敎育史觀을 살펴보는 내용이다. 여기에서 교육사관이란 儒敎文化圈에서 교육과 선발제도의 역사에 대해서 그가 가지고 있었던 견해를 의미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敎選攷說?상권과 하권은 교육사관의 원론, 본론, 결론으로 구성되는 체제로 재해석될 수 있다. 상권의 <三代敎人取士之法>과 <後賢所論術>은 덕행과 재예의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제도와 지방에서부터 심층적인 관찰과 추천이 이루어지는 선발제도의 이상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교육사관의 원론에 해당된다. 하권의 <漢代以下至今取士之法>과 <本國選擧制附>는 선거제도를 중심으로 하여 역사적 변화양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론을 구성하고, 마지막의 <選擧論議附>는 제도변화의 요인과 의미에 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결론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그의 교육사관에서 역대 制度의 變化樣相은 삼대, 한대, 위진시대, 수당 이후로 구분된다. 우선 삼대는 교육제도와 선거제도가 완비된 이상적 시대로 제시된다. 漢代는 교육제도는 미비하지만 察擧制라는 선거방식을 통해 고대의 향거리선의 정신을 계승했다고 보고 있으며, 魏晉時代는 한대 찰거제의 한 변형인 九品中正制를 시행한 시기로서 후한말의 병폐가 심화된 시기로 이해된다. 隨唐以後는 선거제도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변화한 科擧制를 시행함으로써, 가장 문제가 많은 시기로 규정된다. 셋째 그의 制度變化要因에 대한 인식은 특정 개인의 욕심과 무지 그리고 인습적 태도를 강조하고, 역사변화에 대한 맥락적 설명을 간과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그는 역사의 진행과정을 고대의 이상적 상태가 점차 타락하는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제도변화의 의미를 하나의 방향으로 규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넷째 ?교선고설?은 近代以後의 敎育史學에 비하여 실증성, 맥락적 분석 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나, 前近代시기에 이루어진 중요한 교육사 연구물로서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Yu Hyoung Won was a preeminet thinker in the 17th century in Korea. Usually, modern Korean historians regard him as the father of the new school "Sil Hak(實學)", so his masterpiece 『Ban Gye Su Rok(磻溪隨錄)』has been spotlighted since 1950"s. Especially ?Gyo Seon Ji Je(敎選之制)?in 『Ban Gye Su Rok(磻溪隨錄) 』which suggested his educational reform project was accepted as the key part by Korea educational historians. But ?Gyo Seon Go Seol(敎選攷說)? which is coupled with ?Gyo Seon Ji Je(敎選之制)?has not been considered as a important thesis. It shows me that the researches on the『Ban Gye Su Rok(磻溪隨錄) 』are not sufficient. ?Gyo Seon Go Seol(敎選攷說)?is not only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his educational reform project, but also the gate into hi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Confucian education. So this study aims at extracting his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history by analysing the content of ?Gyo Seon Go Seol(敎選攷說)?.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Gyo Seon Go Seol(敎選攷說)?contains the ideal paradigm of the confucian education, the historiography of the selection system form BC 3th century to AD 17th century and the explanation of the causes and the meaning of the historical change. It means that ?Gyo Seon Go Seol(敎選攷說)?was a sort of the educational history and Yu Houng Won was a historian of education in the 17th century. Second, ?Gyo Seon Go Seol(敎選攷說)?can be regarded as a sort of educational history, but has some shortcomings as a modern history of education. Yu Hyoung Won did not try historical analysis and did not focus on the historical context. But these shortcomings are not his own. The other historians in those days had common point of view. So his understanding of history of education can be evaluated as a pre modern history of education. Nevertheless, his case sheds light on the way of the research in the pre modern history of the confucia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