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업치료사 직무에 대한 작업치료학과 신입생들의 인식 조사

        조미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o investigate recognition of freshmen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bout occupational therapist’s job. Method : At the beginning of march 2019,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freshmen of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t H university in Gwangju. 5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 : The level of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duties of freshmen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was the highest i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the case of ‘Education & Management’, the recognition level is low.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level of ‘Education & Management’ duty according to ‘ag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level of ‘Intervention’ duty according to ‘occupational therapists who knows’. The recognition of tasks was high in order of ‘performance area evaluation’, ‘activity of daily living test’, and ‘improve activity of daily living skill.’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recognition was low in ‘environmental elements evaluation’, ‘provide splint & orthosis’, ‘providing education’ and ‘managing’. Conclusion :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primary data on the recognition of freshmen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about occupational therapist’s job. It will help clarify and improve the recognition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job.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 직무에 대한 작업치료학과 신입생들의 인식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9년 3월초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H대학교에 재학 중인 작업치료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53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 작업치료학과 신입생의 작업치료사 책무에 대한 인식수준은 평가와 중재가 가장 높았으며, 교육 및 관 리의 경우 인식수준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작업치료사 책무에 대한 인식수준 은 ‘연령’에 따른 ‘교육 및 관리’ 책무와 ‘알고지내는 작업치료사의 유무’에 따른 ‘중재’ 책무에 대한 인식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작업과제에 대한 인식수준은 ‘작업수행영역 평가하기’, ‘일상생활 활동 평가하기’, ‘일상생활능력 훈련하기’ 순으로 높았던 반면, ‘환경요소 평가하기’, ‘보조기 의수족 제 공하기’, ‘관리하기’, ‘교육하기’ 는 인식수준이 낮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신입생들의 작업치료사 직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 작 업치료사 직무에 대한 명확성 확립과 인식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작업치료: 2007-2018년

        조민석,백순형,박엄지,박수희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8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n long -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using text mining,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Method : For the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Long -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ly” was collected after the period from 2007 to 208. Naver, which has a high share of the domestic search engine, utilized the database of Naver News by utilizing Textom, a web crawling tool. After collecting the article title and original text of 510 news data from the collection of the elderly long term care insurance + occupational therapy search, we analyzed the article frequency and key words by year. Result :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articles published by year,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in 2015 and 2017 was the highest with 70 articles (13.7%), and the top 10 terms of the key word analysi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dementia' (344) In terms of key words, dementia, treatment, hospital, health, service, rehabilitation, facilities, institution, grade, elderly, professional, salary, industrial complex and people are related. Conclusion :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textual mining technique was used to more objectively confirm the social needs and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for the dementia and rehabilitation in the related key keywords based on the media reporting trend of the elderly long - term care insurance for 11 yea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research field and period and supplement the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various analysis methods according to the year.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이라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 중 하나를 활용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작업치료의 역할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신문기사 분석을 위해 2007~208년까지 기간 설정 후 “노인장기요양보험+작업치료”를 주제어로 수집하였다. Textom이라는 웹 크롤링(Web Crawling)을 활용해 국내 검색엔진 네이버에서 <네이버뉴스>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수집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작업치료 검색에서 510편의 뉴스 데이터의 기사제목과 원문을 수집한 후 연도별 기사 빈도, 핵심어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연도별 기사 발행 빈도를 살펴보면 2015년과 2017년 발행한 기사 수가 70편(13.7%)으로 가장 많았고, 핵심어 분석 상위 10개의 용어는 ‘치매’(344)가 가장 많았으며, 작업과 핵심어의 관례를 알아보면, 치매, 치료, 병원, 건강, 서비스, 재활, 시설, 제도, 등급, 어르신, 전문, 급여, 공단, 국민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11년간의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언론 보도 동향을 토대로관련 핵심 키워드에서 치매와 재활에 대해 사회적 요구와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보다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연도에 따른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연구방법론을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치매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작업치료에 관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 체계적 고찰

        정남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ystematically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tudies about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 : Eight studies was searched by key words ‘Community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dementia’ in PubMed database in January 2019. The quality of the literature was analyzed by Pedro scale, and the contents were summarized by PICO. Result : The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showed that the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and simplification of daily life activities, multifaceted intervention, activity adjustment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In the evaluation, the tool of language ability, physical ability, cognition, ADL, quality of life, neuropsychiatric symptom and emotion for dementia elderly was used. The results tha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ll results were higher than those that were not. Conclusion :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be helpful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protocols for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목적 :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작업치료의 효과를 알아본 무작위대조군 연구에 관한 체계 적 고찰이다. 연구방법 : 2019년 1월에 PubMed 데이터베이스에서 ‘Community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dementia’ 검 색용어로 검색하여 총 8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문헌의 질은 Pedro scale로 분석하고, PICO로 정리하 고 연구 대상자, 중재, 대조군,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8편의 중재 내용을 분석하면 보조도구 사용에 대한 교육 및 훈련, ADL의 단순화에 대한 교육, 다 학문적 중재, 활동 맞춤, 인지재활이었다. 평가영역은 치매노인의 언어능력, 신체능력, 인지, ADL, 삶의 질, 신경정신학적 증상과 정서이었고, 그 중 ADL에 관한 평가가 가장 많았고, 평가도구 중에 는 IDDD를 가장 많이 실시하였다. 전체 결과값 중 유의한 향상을 보인 결과값이 그렇지 않은 결 과값보다 많았다. 결론 : 추후 치매 노인을 위한 국내 지역사회작업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요양병원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연구

        박주영,배원진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urvey was to investigate assessment tools commonly us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 Method :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were extracted by convenience extraction. Survey was 19 items compo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n practical task and assessment. The participants were 69 occupational therapists.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SPSS 20.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Result : The most used assessment in hand function was Manual Function Test(68.1%). Cognitive and perceptual assessment was MMSE-K(94.2%) and activities in daily living assessment was Modified Barthel Index(95.7%). The most used physical test was sensory test(75.4%). The number of using assessment was different according age, salary, the number of patients and the number of bed in the hospital. Conclusion : Trends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long care hospital was different with all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n. The number of using assessment was related to working conditio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research on the actual situatio 목적 :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에 대한 사용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편의추출법으로 추출하였고, 연구에 동의한 80명에게 설문지를 배 포하였고, 최종적으로 69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총 19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업무 관련 정보, 임 상에서 사용되는 평가도구에 관한 정보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 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증으로 Duncan's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요양병원에서 사용하는 상지 및 소근육 기능 평가에서는 Manual Function Test(MFT)가 68.1%로, 인 지 및 지각 평가에서는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MMSE)가 94.2%, 일상생활동작 및 작업수행 검사는 Modified Barthel Index(MBI)가 95.7%, 이학적 검사에서는 감각검사가 75.4%로 각 영역별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평가도구 사용수의 차이에서 평가도구 사용수는 연령, 월급여, 1일 치료 환자수, 병원 병상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성별, 교육 수준, 근무형태, 임상경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국내 작업치료사 평가도구 사용과 요양병원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경향은 다소 차이가 있으며, 근무조건과 평가도구 사용수는 서로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추후 요양병원 작업치료사들의 실태파 악 및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장우혁,손효성,서예지,윤수정,김현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8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using mind map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index, quality of life for old woman with dementia. Method : The study were 1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woman suspected of dementia.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Study group(N=7) and control group(N=7). All patients received only to Study groups. reminiscence therapy using mind map was composed to 10 sessions, 40 minutes per sessions, 2 times a week, for 5 weeks. For result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he evaluation tools wer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MMSE-K), 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K-BDI),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Result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index, and quality of life in the within group after interven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in the between group comparison.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an easing effect was confirmed regarding reminiscence therapy using mind map for an old woman with dementia. using reminiscence therapy using mind map when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index, quality of life. 목적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여성 치매 의심 노인으로실험군 7명, 대조군 7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대상자는 중재 기간 동안 동일하게 20분간 그리기 활동에 참여하였고, 실험군은 추가로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를 적용하였다. 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는 5주간, 주 2회, 1회당 40분씩 총 10회기로 구성하였다. 중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로 인지기능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한국판(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 MMSE-K), 우울 지수는 벡 우울증 척도 한국판(Korean Versi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 K-BDI), 삶의 질은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은 기술 통계와 맨-휘트니 검정(Mann-Whitney U test),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중재 후 집단 내에서 인지기능, 우울 지수,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집단 간 에서는 인지기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마인드맵을 활용한 회상치료가 여성 치매 의심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지수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뇌병변장애에서 인지평가도구의 사용현황과 향후 방향: 성인 작업치료사 대상으로

        강지선,김시은,양영애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about the status of use of cognitive assessment tools according to the approach is investigated in patients with brain lesions and the future direction is presented.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or two weeks from April 11 to April 25, 2019 to investigate cognitive assessment tools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approaches used by adult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Result :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was the most popular cognitive tool for brain lesions, it was followed by MVPT and LOTCA. The most commonly used post-evaluation intervention approach from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was found to have an adaptive approach of 22 and a remedial approach of 20. The question most frequently answer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as the reason for choosing cognitive assessment tools was "because they are typically used a lot," followed by "restrictions on assessment tools equipped in hospitals."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question as a limitation of the assessment tool used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level of cognition." Conclusion : The study found that due to limited assessment time and limitations of assessment tools in the clinical environment, it was difficult to select the appropriate cognitive assessment tool suitable for the approach to be applied in practice. In future studies, the use and suitability of cognitive assessment tools by disease and age,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ill be beneficial to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area.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뇌병변 환자에서 중재접근법에 따른 인지평가도구의 사용현황을 조사하고 향후 방향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부산⋅경남 지역에 근무하는 성인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인지평가도구와 인지재활 접근법을 조사하기 위해 2019년 4월 11일부터 4월 25일까지 2주 동안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뇌병변 환자에게 주로 사용하는 인지평가도구는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이 가장 많았 고, 그 다음은 MVPT, LOTCA 순이었다. MMSE 평가도구 사용에 따른 접근법은 적응적 접근 22명, 교정적 접근 20명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사들이 인지평가도구를 선택하는 이유로 가장 많은 응답을 보 인 문항은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었고, 그 다음은 “병원에 구비된 평가도구의 제한”이었다.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제한점으로 가장 많이 응답한 문항은 “정확한 인지수준을 파악하기 어렵다”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제한된 평가시간 및 임상 환경 내 평가도구의 제한 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적용하고 자 하는 중재접근법에 적합한 인지평가도구의 선택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질환별 및 연령별 인지평가도구의 사용 및 적합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다 면 인지재활 영역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고령자의 시지각 기능 향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사용성 평가

        김두리,정유진,김경룡,김영민,김지우,박성경,양영애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3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목적: 본 연구는 고령자의 시지각 기능 향상을 위한 “내 반쪽을 찾아라” 애플리케이션(이하 시지각 앱)을개발하고 고령자와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사용성 및 애플리케이션 만족도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시지각 앱은 그림의 반쪽을 보고 전체 모습을 찾아 시지각 훈련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개발된애플리케이션은 2023년 7월 ~ 2023년 9월까지 총 2개월 동안 사용성 및 만족도 평가가 진행되었다. 평가의 참여한 대상은 총 22명(작업치료사 12명과 고령자 10명)으로 시지각 앱을 사용한 후 타당성및 편의성, 조작 및 기능성, 학습 용이성에 대한 사용성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제품의 개선사항및 만족도 평가가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사용성 평가는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 고령자에서는 총점 4.57±0.29점으로나타났으며, 치료사에서는 총점 3.53±0.20점으로 나타났다. 애플리케이션 제품 사용 후 개선사항을도출하였으며, 만족도는 고령자에게서 평균 4.30±1.25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만족도점수는 평균 3.17±0.72점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고령자의 시지각 기능 향상을 위한 시지각 앱은 고령자와 작업치료사에게서 사용성 및 만족도에 긍정적 결과를 나타내었고, 향후 음성 안내와 사용 설명의 보완을 통해 더 발전되어 고령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적용되어 시지각 저하로 인한 일상생활활동 수행에서의 어려움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Find My Half'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visual perception app, for improving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elderly. The research verified its usability and application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and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The visual perception app was developed to enable visual perception training by identifying the whole form from viewing half of an image. The developed application underwent a two-month period of usability and satisfaction evaluation from July to September 2023. A total of 22 participants (including 12 occupational therapists and 10 elderly individuals) were involved in the assessment after using the visual perception app, evaluating its validity, convenience, usability, functionality, and ease of learning, as well as assessing improvement points and overall satisfaction. Results : The usability assessment employed a Likert 5-point scale. According to the usability evaluation, the elderly participants scored an average of 4.57±0.29 points, whereas the therapists scored an average of 3.53±0.20 points.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derived from the use of the application, and the satisfaction rating among the elderly averaged 4.30±1.25 points. Furthermore, the therapists' satisfaction scores averaged 3.17±0.72 points. Conclusion : The visual perceptual applic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for improving the visual perception of the elderly showed positive results in terms of usability and satisfaction among both the elderly user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It is anticipated that further advancements, particularly in terms of enhancing audio guidance and usage instructions, will lead to more active application among the elderly, aiding in preventing difficulties in performing daily activities due to visual perceptual impairments.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노인과 경증치매노인 대상 목공프로그램의 인지기능에 대한 효과성 검증

        반시우,이현주,신혜리,정하윤,전명옥,김계연,김하율,최돈하,황의도,김영선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2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6 No.2

        목적본 연구는 비약물적 중재의 하나로써 목공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경도인지장애노인과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서울시 Y 치매센터를 이용하는 경도인지장애노인 32명, 경증치매노인 28명을 실험군, 통제군으로모집하여, 실험군은 5주간 주 2회씩 약 120분 동안 목공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MoCA-K를 통해 인지기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목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통제군의 집단간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증치매 실험군의인지기능 평균점수가 사전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p<.05), 사전-사후 인지기능의 평균 변화를살펴보았을 때, 경증치매 실험군의 인지기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본 연구는 노인의 목공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인지기능 향상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경도인지장애와 경증치매노인으로 집단을 세분화하여 치매 전 단계와 초기 단계 노인의 목공프로그램 참여에대한 인지기능의 변화 차이를 검증하여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로서 목공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 KCI등재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노인부양의식 간 상관관계 연구: 부산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시은,장철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3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노인부양의식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차후 노인세대를 부양할 청년세대의 치매에 대한 인식개선 및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부산 지역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목적 및 방법에 대해서 충분히 설명을 듣고 동의한 383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 방법은 종이 설문지를 이용하여 2개 대학교 각 학과 학생들에게 배포하여 수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논문을 참고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25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은 16점 만점에 8.65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9점으로 나타났다. 노인부양의식은 5점 만점에 3.91점이었으며, 치매에 대한 지식 총점, 태도 총점과노인부양의식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치매지식이 높을수록, 또한 치매에 대한 태도가긍정적일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가 높을수록 노인부양의식이 높은 것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앞으로 미래의 부양 예비세대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많은 교육과 홍보 및 인식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지역의 확대, 생산인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대상 연령의 범위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nowledge of dementia,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on 383 students at K University and D University in Busan. Each student received a full explanation of the study’s purpose and methods and agreed to participate. A paper-bas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students in each department of the two universities and their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questionnaire used here was revised and improv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papers and consisted of 56 questions: 12 questions on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16 questions on the knowledge of dementia, 10 questions on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18 questions on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urvey were organized and analyzed. Results : The participants’ knowledge of dementia showed a relatively high score at 8.65 out of 16 points. Their attitudes toward dementia also scored relatively highly, at 3.99 out of 5 points. Thier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also scored relatively highly, at 3.91 out of 5 points. The subjects’ knowledge of dementia,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exhibi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Conclusion :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tudy findings, a higher level of knowledge of dementia or attitudes toward dementia led to a correspondingly higher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elderly. This result indicates a need for various activities to provide sufficient education about dementia and to enhance awareness of dementia among university students as they present the generation that will support the elderly in the future.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nvolving dementia-related occupational groups and university majors will be useful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우울과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수정,김정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8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Method :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selected based on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MMSE-DS). The group occupatinal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various cognitive domains and was performed 12 times for 6 weeks.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K) and Quality of Life(QOL) were used to ass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 : The elderly with MCI improved significantly on the SGDS-K and QOL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p<0.05). Particularly, in some items of the QO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results of the SGDS-K and QOL did not show any correlation(p>0.05). Conclusion : In the case of the elderly with MCI, the QOL scale and the depressive symptom 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was applied for 6 weeks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MCI)를 가진 노인의 우울증과 삶의 질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경도인지장애 노인은 간이정신상태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MMSEDS) 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은 다양한 인지 영역으로 구성되어6주 동안 12회 수행되었다. 노인우울증 척도 (SGDS-K)와 삶의 질 (QOL)을 사용하여 중재 전・후의 대상자의 우울증과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경도인지장애(MCI) 노인은 집단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 후 노인우울증 척도 (SGDS-K)와 삶의 질(QOL)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특히 삶의 질 평가 (QOL)중 일부 항목은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SGDS-K와 QOL의 결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경도인지장애(MCI)를 가진 노인의 경우,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을 6주 동안 시행했을 때 삶의 질(QOL)과 우울 증상은 중재 전․후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