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농업 수용의 경제적 저해 요인

        한재환,김선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4

        집약적 농업시스템으로 특징되는 관행농업은 생산성 증대를 이루었으나, 토질과 수질의 악화 등 농업환경을 오염시키며 농업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지속가능농업에 대한 관점과 태도를 파악하고, 새로운 영농방식 실천에 장애가 되는 경제적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아울러 농업인들이 인식하는 경제적 장애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실증적으로 추적하는 데 연구의 추가적인 목적이 있다. 농업인들은 지속가능농업이 당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로 수익성 유지를 지적하면서 이를 최우선적으로 중점을 두고 해결할 것을 주문하였다. 지속가능농업 채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제적 동기와 인센티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과거에 비해 향후 지속가능성을 높게 전망했다. 관행농업인이거나 관행농업에서 지속가능농업으로 전환중인 농업인, 그리고 과거에 지속가능농업을 들어 본 적이 있는 농업인이 주목하는 경제적 장애요인은 관행농업에서 지속가능농업으로 전환 시 초래되는 비용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농업 시스템이 구축되었을 때,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농업인이 주도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농업인에게는 새로운 영농방식의 불확실성은 큰 장애가 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n intensive agricultural system has achieved productivity increases, but it adversely affects the agricultural ecosystem.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viewpoint and attitude of farmers about sustainable agriculture as well as to analyze economic factors impeding a new farming method. Farmers indicate profit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issue that sustainable agriculture faces. They emphasize both economic motives and incentives for enhancing the adoption rate of sustainable agriculture. The results display that traditional farmers, farmers converting to sustainable agriculture from conventional agriculture and farmers who have heard about it are more likely to indicate transition cost as a major economic obstacle. Lastly, the uncertainty of a new farming method is not a big issue for farmers who think that they should take lead for efficient operation as a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 is established.

      • KCI등재

        농업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경상북도 농업인을 중심으로 -

        구준회,최돈우,권지혜,김태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4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농업인들의 직업에 대한 만족은 필수조건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경상북도농업기술원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실시한 생산자 패널 농업경영성과와 농촌생활만족도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모형은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패널 순위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농업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농업소득, 가격경쟁력, 정책만족도, 영농기술만족도 등으로 나타났다. 농업소득이 높을수록, 가격경쟁력, 정책만족도, 영농기술만족도가 높을 수록 농업인의 직업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농업인 직업만족도 제고 방안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atisfaction with farmers' jobs is a prerequisite to ensure sustainability in agri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farmers. For the analysis, the agricultural management performance and rural life satisfaction survey data of producer panels conducted by the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rom 2016 to 2018 were utilized. The panel ordered probit model was estimated by the nature of the data. The results indicate that factors that affect farmers' job satisfaction are agricultural income, price competitiveness, policy satisfaction, and agricultural technology satisfaction. The higher the agricultural income, price competitiveness, policy satisfaction or agricultural technology satisfaction wa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w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measure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for farmers.

      • KCI등재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참여 요인 분석

        정학균,임영아,강경수,한재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5 No.5

        정부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함에 따라 농업 분야도 많은 양의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참여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빗모형을 이용하여 저탄소농업 지원정책 참여요인을 분석하였다. 2019년 기준 농업분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률을 평가한 결과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프로빗 모형분석 결과, 경지 규모가 클수록, 농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도가 높을수록, 저탄소농업 지원정책에 참여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 필요성과 2030 감축로드맵에 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영농경력이 많을수록, 지원정책 참여 확률이 높았다. 따라서 저탄소농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저탄소농업 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차별화 전략과 타켓팅 전략이 필요하다. As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a carbon-neutral target by 2050, the agricultural sector also must try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sharp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tatus of low-carbon agriculture and to identify factors participating in the low-carbon agriculture policy. A survey was conducted to quantitatively analyze factors that participate in the low-carbon agriculture policy. Probit model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performance of greenhouse reduction was very low as of 2019 when the achievement of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in the agricultural sector was assessed. In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armers who have larger acreage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business. As they participate in the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ey recognize the necessity of greenhouse gas reduction in agriculture and the government’s greenhouse reduction roadmap by 2030, and their agricultural careers increase, they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low-carbon agriculture policy. Therefore, to activate low-carbon agriculture,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policy should be enhanced. Furthermore, differentiation and targeting strategies are needed.

      • KCI등재

        저회가 고추 생육과 토양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조한나,윤진주,박재혁,이승규,김소희,조주식,강세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5

        본 연구는 고추 재배 시험을 통해서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저회 (BA, bottom ash)의 농업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저회의 시용수준은 5 (BA5), 10 (BA10), 15 (BA15) 및 20 (BA20) ton ha-1으로 조절하였으며, 대조구는 퇴비를 일반 기비로 사용한 관행처리 방법으로 하였다. 고추의 생육 특성은 퇴비 처리구가 저회 처리구에 비해 생육이 증가되었고, 저회 사용수준에 따른 고추의 생육은 전반적으로 BA15 ≓ BA10 > BA20 > BA5 처리구 순으로 증가되었다. 고추 재배 후 조사된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저회의 시용수준이 증가될수록 pH, EC, SOC, 그리고 CEC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작물의 생육과 관련이 깊은 pH, SOC 및 CEC의 지표는 저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각각 0.20~0.82, 1.16~8.92 g kg-1 및 0.29~0.74 cmolc kg-1 범위로 증가되어 저회가 토양 탄소 함량 증진을 포함한 토양 비옥도 개선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저회의 시용은 관행처리에 비해 고추의 수확량은 적지만 토양환경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어 토양개량제로서 저회의 농업적 활용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A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cultivation in an upland a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ttom ash (BA) on crop production and soil fertility. BA was applied at rates of 5, 10, 15, and 20 ton ha-1 (BA5, BA10, BA15, and BA20, respectively), and a compost (20 ton ha-1) treatment was used as a control. Hot pepper growth results were best under 10 and 15 ton ha-1 application conditions. BA-treated soil had improved soil pH, SOC, and CEC than those in Compost treatment. In particular, the pH, SOC, and CEC in BA-treated soil increased by ranges of 0.20~0.82, 1.16~8.92 g kg-1 and 0.29~0.74 cmolc kg-1, compared with Compost treatment,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sults gathered from these studies is a key tool to suggest agricultural utilization of BA as soil amendment for benefits of agriculture and environment.

      • KCI등재

        산지, 평지 및 간척지 농경지 용배수로의 퇴적 토사 특성

        박정구,송창섭,유찬,임성윤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elected sediment reduction methods to reduce sediment discharges from drain and irrigation of different land types(Mountain, Flatten, Reclaimed l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for the soil loss and sediment of drain and irrigation by comparing RUSLE method and amount of sediment from amount of dredging data of Korea Rural Corporation. The results of study were analysised and summerized as follow. Size of soil sediment from the upper region of drain and irrigation of mountains bigger than lower region. But in case of flatten and reclaimed land, size of soil sediment from the upper and lower region of drain and irrigation did not classified. In case of comparion drain and irrigation without classifying of land type, size of soil sediment from irrigation is bigger than drain. Organic content of drain is much more than irrigation.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최근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지금까지 개발된 저류시설 및 도수로, 용배수로를 통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농업용수 또한 같은 실정이므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농업용수의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용배수로의 퇴적토사에 대한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이를 제거하거나 저감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별 즉, 산지, 평지, 간척지에 따른 용배수로를 분류하고 각 지형별 용배수로의 상류, 중류, 하류에 퇴적된 토사의 분포현황을 조사하고, 시료를 채취하여 퇴적된 토사의 특성을 분석하여 토사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거나 저감시키는 기술을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충북지역의 산지와 평지, 그리고 그 외의 간척지의 용배수로에 퇴적된 토사에 대하여 유입량은 RUSLE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퇴적량은 한국농어촌공사의 준설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지에 위치한 용수로 및 배수로의 퇴적된 토사의 경우 상류부에 퇴적된 토사가 입자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하류부로 내려갈수록 입자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지와 간척지에 퇴적된 토사의 경우 상류부, 중류부, 하류부 구분이 없이 입자의 크기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을 구분하지 않고 용수로와 배수로에 퇴적된 토사의 입자를 비교해 본 결과는 용수로에 퇴적된 토사가 배수로에 퇴적된 토사보다 입자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함량의 경우는 지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지만, 배수로보다 용수로에서 유기물함량이 많은 토사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트랙터 장착형 일관작업 둥근두둑 복합작업기의 적정 운용조건 선택

        구영모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5

        밭농업의 일관화를 위해 개발된 복합작업기의 효율적인 운영전략은 연료절감의 목표와 함께 저속 로터리작업의 품질에도 중점을 두어야 한다. 본 연구는 둥근 두둑 복합작업기의 작업품질을 유지하는 적정조건에서 동력과 연료소비를 계상하고 비교하여 집약적 밭농업에서의 효율적인 작업기 운용전략을 제안하려 하였다. PTO 표준 시험성적을 이용한 Kim 모델은 임의의 부분 부하 상태에서 연료소비량(FC), 비체적 연료소비율(SVFC) 및 단위면적당 연료소비율(FCA)를 구하고 셀선도(shell diagram)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복합작업기에 적용할 카테고리 1 트랙터(DK450)와 카테고리 2 트랙터(PX800)를 선정하고 적정운용 조건에서의 연료소비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인 목표 작업속도는 3.0<SPDth<4.0km/h와 로터리 피치(p)가 35<p<47cm/rev인 범위를 적정한 작업 기준(criteria)으로 하여 운용조건을 선택하였다. 각 트랙터에서 적정한 운용조건의 사례들을 비교하면 작은 트랙터(DK 450)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연료소비 절약율은 FC가 19.4%, SVFC가 21.1% 그리고 FCA가 29.9% 정도로 평가된다. The efficient operating strategy of the integrated implement developed for the sequential upland farming should focus on the quality of low-speed rotary work, as well as a goal of fuel saving.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proper strategy for operating integrated implement in intensive upland farming by calculating and comparing power and fuel consumptions under optimal conditions of the round-ridge implement. The Kim model using standard PTO test results can determine the fuel consumption (FC), specific volumetric fuel consumption ratio (SVFC), and areal fuel consumption (FCA) under arbitrary partial load conditions and construct a shell diagram. Therefore, category I tractor (DK450) and category II tractor (PX800) to mount the developed integrated implement were selected and compared in thei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under proper operating conditions. Tractor performances were compared at appropriate operating criteria, such as the theoretical working speed (SPDth) ranged in 3.0<SPDth<4.0 km/h and the rotary pitch (p) ranged in 35<p<47 cm/rev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Comparing cases at proper operating conditions, the fuel consumption savings are 19.4% for FC, 21.1% for SVFC, and 29.9% for FCA achieved by using a small tractor (DK 450).

      • KCI등재

        ASE 및 SPE 복합정제법을 이용한 친환경농업토양의 다성분잔류농약 분석

        문경미,박진우,이영근,최영환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5

        Fifty substances of pesticide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rough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f pesticides detected from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soil, and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soils in Gyeongnam area were collected and then were accepted Anve (accelerated solvent extraction) and SPve (solid-phase extraction) as multiresidue extraction and clean up methods suitable to the soils. The pesticide residues were analyzed by using GC/vCD/NPD, HPLC/UV/FL, GC/MSD, or HPLC/MSD. 50 kinds of pesticides for the soils were an average of 95.5% from retrieval ratio of the 72 to 118% range, and the average of 3.0% for CV (%). Among 40 samples of soil, 20 components were detected from pesticide residues of 21 samples, and average amounts detected for these components were 0.035 for endosulfan, 0.043 for ethoprophos, 0.020 for chlorpyrifos, 0.023 for chlorfenapyr, 0.047 for flufenoxuron, 0.070 for fenvalerate, 0.266 for cypermethrin, 0.016 for lufenuron, 0.022 for bifenthrin, 0.025 for fenobucarb/BPMC, 0.043 for difenoconazole, 0.059 for fenarimol, 0.020 for kresoxim-methyl, 0.026 for tetraconazole, 0.039 for isoprothiolane, 0.017 for iprobenfos, 0.014 for nolrimol, 0.156 for fluquinconazole, 0.047 for tebuconazole, and 0.045 mg/kg for oxadiazon. Therefore it is infered that the establishment of pesticide residues limit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soil is needed as soon as possible. 국내의 친환경농산물과 토양에서 자주 검출되는 농약 50성분을 선정하고, 경남지역의 친환경농산물 재배농지의 토양시료 40점을 대상으로, 가속용매추출법(accelerated solvent extraction)과 고상추출법(solid-phase extraction)의 복합처리법으로 정제하고 GC/ECD/NPD, HPLC/UV/FL, GC/MSD 및 HPLC/MSD를 이용한 분석법을 적용하여 잔류농약의 잔류실태를 조사하였다. 적용한 분석법에 의한 농약 회수율은 72~118%의 범위로 평균 95.5%이었고, CV(%)값 평균은 3.0%로 나타났다. 토양 40점 중 잔류농약 검출은 21점에서 20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검출토양의 농약별 평균 검출량은 endosulfan 0.035, ethoprophos 0.043, chlorpyrifos 0.020, chlorfenapyr 0.023, flufenoxuron 0.047, fenvalerate 0.070, cypermethrin 0.266, lufenuron 0.016, bifenthrin 0.022, fenobucarb/BPMC 0.025, difenoconazole 0.043, fenarimol 0.059, kresoxim-methyl 0.020, tetraconazole 0.026, isoprothiolane 0.039, iprobenfos 0.017, nuarimol 0.014, fluquinconazole 0.156, tebuconazole 0.047 및 oxadiazon이 0.045 mg/kg으로 나타나서 친환경재배농지의 토양환경기준에 잔류농약의 설정이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 KCI등재

        전기 방열기가 국화재배온실의 난방에 미치는 영향

        서원명 ( Won Myung Suh ),임재운 ( Jae Woon Leem ),김영주 ( Young Ju Kim ),민영봉 ( Young Bong Min ),김현태 ( Hyeon Tae Kim ),허무룡 ( Moo Ryong Huh ),윤용철 ( Yong Cheol Yoon )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경상대학교 농업자원이용연구소) 2010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4 No.4

        경상대학교 교내에 설치되어 있는 1-2W형 온실을 대상으로 전기 방열기를 이용하여 국화 재배온실의 난방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동안 최고, 평균 및 최저 외기온은 각각 -3.8~21.3℃, -5.2~16.1℃ 및 -12.5~14.4℃ 정도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온실 내외의 평균상대습도 각각 43.5~98.6% 및 35.2~100%로 나타났다. 12월 중순부터 2월 상순까지 최저 외기온은 대략 -5.0~-10.0℃ 전후로 나타나 진주기상대의 최근 자료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최저기온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야간의 경우, 방열기 직하부의 엽온이 방열기 중간 지점에서 측정한 엽온 보다 크게 2~3℃정도 높게 나타나거나 또는 미미하지만 약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근권부의 경우, 직하부나 중간 지점에서의 온도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근권부의 최고온도와 기타 최고 온도의 발생 시점을 보면, 약 2시간정도의 지체현상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기간동안 난방에 소요된 총 소비전력량, 공급에너지 및 총 난방비는 각각 2,800kWh, 2,408,000kcal 및 112,000won 정도였다. 화석연료인 경유로 난방할 경우, 총 난방비는 224,500won 정도였다. 방열기를 이용하여 난방할 경우, 난방비를 약 50%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n analysis in heating effects of an electric radiator located in a 1-2W type chrysanthemum (3 cultivars) cultivation greenhouse installed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the highest, average, and the lowest outside temperatures were in the ranges of -3.8~21.3℃, -5.2~16.1℃ and -12.5~14.4℃,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inside and outside the greenhouses were in the ranges of 43.5~98.6% and 35.2~100%, respectively. From mid-December to early February, the lowest outside temperature was recorded as approximately -5.0~-10.0℃, which showed that it tend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temperatures recorded at the Jinju Meteorological Observatory. During the night, the leaf temperature measured directly under the radiator tended to be higher by 2~3℃ than that those at the middle point of the radiator, or higher by anegligible amount. In the case of root zone temperatur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between temperatures of the part directly under and the middle point, and the time when the highest temperature of root zone and other highest temperatures took place showed that there was about a 2-hour delay phenomenon. The total electricity consumption, energy supply and total heating cost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ere 2,800 kWh, 2,408,000 kcal and 112,000 won, respectively. When diesel, a kind of fossil fuel, was used as heating oil, the total heating cost was around 224,500 won. It was estimated that the total heating cost could be reduced by around 50% if a radiator was used.

      • KCI등재

        국내 밀 신품종 판별을 위한 마커 조합과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마커의 개발 및 검정

        서다원,박상용,정하영,김재윤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5

        밀은 세계 3대 주요 작물이지만 우리나라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자급률이 1%도 도달하지 못한 실정이다. 국내 밀 품종은 40여 종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품종마다 용도와 농업적 특성이 달라 목표 형질에 맞는 적절한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품종을 정확하고 빠르게 판별하기 위해선 분자 마커 기술이 필요하다. 분자 마커는 생육 환경과 시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품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어 유전적 변이성, 농업 형질 등을 분석하기에 유용하다. 본 연구는 기존에 보고된 국내 밀 32품종에 대한 SCAR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판별 마커를 재검정하여 재현성이 높은 마커를 선별하였으며, 기존에 검정되지 않은 국내 밀 9품종에 추가 적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15개의 마커 세트 중 6개의 마커가 재현성과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최종적으로 국내 41품종 중 4, 7, 8, 10, 11, 12번 마커를 이용하여 다홍, 금강, 밀성, 조은, 수강, 한백, 조광, 영광을 판별할 수 있었다. 또한, 4번 마커를 통한 증폭산물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를 발굴하여 ‘올밀’에 대한 새로운 품종 판별 마커인 SdHRM1과 SdHRM2를 개발하여 HRM (High Resolution Melts) 분석을 시행하여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SNP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품종간의 SNP를 활용한 품종 마커 기술은 다양한 농업형질에 적용할 수 있으며, 분자 육종 프로그램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heat (Triticum aestivum L.) is one of the world's three major crops and is the second most produced crop in the world after maize. However,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extreme weather are affecting wheat price fluctuations. In addition, production of domestic wheat is not able to meet the consumption, so it is dependent on imported wheat. Korean wheat breeding of new cultivars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to improve quality and increase productivity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abilizing the self-sufficiency of wheat in Korea. A total of 40 domestic wheat cultivar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ft, medium, and low amylose are different between cultivars, so it was important to select and cultivate an appropriate cultivars according to the intended purpose. Molecular markers are useful for analyzing genetic variability and agricultural traits because they can quickly distinguish various varieties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growing environment or growth period of crop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producibility of previously reported SCAR cultivars specific markers for 32 Korean cultivars and compared and analyzed additional 9 cultivars. A total of 6 markers were selected from 15 marker sets with high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Finally, using 6 markers (KWSM- 4, 7, 8, 10, 11, 12), it was possible to identify Dahong, Keumgang, Milseong, Joeun, Joeun, Hanbaek, Chokwang, and Youngkwang among all 41 Korean wheat cultivars. In addition, a new cultivars identification marker of 'Ol', SdHRM1, and SdHRM2, was developed as SNP by sequencing information with KWSM 4. In addition, the discrimination of varieties through HRMs (High-Resolution Melts) was able to accurately determine SNPs that were difficult to judge with agarose electrophoresis. Molecular marker technology utilizing SNP can be applied to various agricultural traits and is expected to offer molecular breeding programs practical assistance.

      • KCI등재

        새만금 간척농업용지 전작화 계획변경에 따른 오염부하량 영향분석

        황세운,나채인,김시호,성충현,오찬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8 No.2

        국내 최대 간척지인 새만금 방조제 내부에는 간척토지 28,300ha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 중 30% 용지를 농업용지로 활용하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농업용지의 토지이용 계획이 당초 수도작 운영계획에서 전작 위주 토지이용 계획으로 변경되면서 논과 밭은 영농 및 용수체계가 다르므로 이에 대한 용수체계 및 유입 부하량 변화에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작화에 따라 새만금 농업용지 특성에 부합하는 작부체계를 고려하여 수도작 대비 오염부하 배출량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새만금 농생명용지 토지이용계획 및 이에 따른 작부·용수체계를 반영하기 위해 농업용지의 특성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작부시나리오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최신 구축된 HSPF 모델링시스템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전작운영 여건을 고려하여 새만금 지역의 기상조건에 적합한 작부체계 시나리오를 고안하여 채소작물, 사료작물, 식량작물로 구성된 이모작 작부체계 를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작부체계를 반영하여 새만금 농생명 용지 전작화에 따른 수도작 대비 오염부하 배출량을 비교한 결과 BOD와 TN 농도는 증가하지만 배출부하량은 감소하고, TP의 경우 농도와 부하량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새만금 농생명용지 토지이용 구상에 따른 오염부하량 산정을 통한 새만금호 수질환경문제와 경제성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새만금호 수질보전을 위한 유역관리대책의 정밀한 평가 보완필요성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ternal area of the Saemangeum Reservoir, the largest reclamation site in South Korea, encompasses 28,300 ha of reclaimed land, with plans to utilize 30% of this area for agricultural purposes. Originally, the land use plan focused on paddy, but it has since shifted to upland, necessitating research on the corresponding changes in agricultural and water management systems and the associated pollutant load variations. Therefore, we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pollutant discharge quantities in the Saemangeum agricultural land, considering changes in land use plans due to land reclama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pollution load emissions compared to paddy in consideration of the cropping system that meets the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agricultural land according to the upland. In order to reflect the Saemangeum agricultural life land use plan and the resulting cropping and water system, a reasonable cropping scenario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land was proposed, and the latest HSPF modeling system was applied and evaluated. As a main result, a cropping system scenario suitable for the weather conditions in the Saemangeum area was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upland operation conditions, and a cropping system consisting of vegetable crops, forage crops, and food crops was propos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ollution load emissions compared to the paddy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aemangeum agricultural life site by reflecting the proposed cropping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BOD and TN concentration increased, but the emission load decreased, and in the case of TP, both the concentration and the load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for the precise assessment of watershed management measures for Saemangeum Lake's water quality con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