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대학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과 다문화교육역량의 관계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상호작용효과

        김선화,현영섭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4

        다문화배경학생의 증가는 중등교사에게 다문화교육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도 다문화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정규과목 운영, 비형식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교육이 실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이 다문화교육역량에 주는 영향과 이 영향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상호작용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K대학에서 교직 수강생과 사범대 학부생이다. 분석을 위하여 조사대상자에게 다문화교육경험 횟수(GTU사업 관련/비관련, 수업/세미나/체험형태), 다문화교육역량, 진로결정수준을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조사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 총 횟수와 다문화교육역량의 정적 관계는 진로결정수준에 의해 조절되었다. 둘째, GTU사업 관련/비관련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진로결정수준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수업형태와 체험형태의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진로결정수준에 의해 조절되었다. 그러나 세미나형태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호작용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교육현장실습을 통한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 : 학습자 특성, 교육과정 특성, 상황적 특성, 학습을 중심으로

        현영섭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1

        예비중등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교육현장실습은 ‘필수적’이지만, ‘형식적’이라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형식적’이라는 비판은 교육현장실습이 현장성 높은 지식 획득과 활용이라는 목적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현장실습을 통하여 학습한 것을 활용하는 학습전이에 예비중등교사의 교육현장실습 후 학습자 특성(자기효능감, 학습동기), 교육과정 특성(동일구성요소, 자극변산성), 상황적 특성(교육현장실습 교사의 지원, 동료예비중등교사의 지원), 학습이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현장실습에 참가한 대구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427부의 설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현장실습교사의 지원과 동료예비중등교사의 지원은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직‧간접 영향을 가장 강하게 주는 변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도 예비중등교사의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였다. 셋째, 교육과정 특성 중 동일구성요소는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직‧간접 영향을 준 반면, 학습전이에 대한 자극변산성의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문화기호학적 방법론

        임지룡,김영순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학교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론을 제시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미디어교육 개념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고, 학교 미디어 교육으로서 특히 중등 국어과의 미디어교육적 요소를 검토하게 된다. 나아가 현행 국어과에서 적용되는 미디어교육의 방법론을 개괄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게 된다. 아직까지 미디어교육이 ‘미디어를 통한 교육’ 즉 미디어를 통해 특정 교육 요소를 이해시키는데 활용하는 도구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육적 대안을 마련하게 된다. 그것이 바로 문화기호학적 교수학습방법론이다. 일찍이 기호학은 구조주의를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교육적 영역에 도입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레마스에 의해 시도되었던 행동자 모형과 내러티브 분석 기법을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에 도입한다. 이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은 멀티 리더러시를 가능케 하는 데, 이는 미디어 수용자 혹은 잠재적인 미디어 학습자가 특정 미디어 텍스트를 통해 문화적 차원의 의미 해석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수용자나 학습자가 처한 사회문화적 콘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성찰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research explores acceptance of medi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cept of media education extends to teach communication skills as 'new language'. Using internet is not only the technology but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For the new generation, media education valu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like the constructivism paradigm. Media education have to be get through via the idea of literacy. For going forward expansion of communication ability, the purpose and contents of media education need to be re-established. Results of this article were as follow: First, the idea of media education was reflected on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some Korean teachers group developed series of textbooks for media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Second, the teaching methodologies based cultural semiotics, multi-literacy methodology and narrative scheme methodology play an important role for secondary Korean class.

      • KCI등재

        학교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인성 및 학교생활만족 간의 영향관계

        김익형,김창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3

        본 연구는 대학교육수요자의 감소와 교육시장의 개방, 대학환경의 변화 속에서 대학의 생존전략을 위한 대학 교육행정서비스 질을 어떻게 제고할 것인가를 모색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교육행정서비스, 학생들의 교육행정서비스만족과 학교생활만족, 인성에 대한이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교육행정서비스 대상인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북도의 4년제 대학 4개소와 전문대학 4개소 총 8개 대학의 대학생 1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대학 교육 행정 서비스와 인성의 영향력이 부분적으로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는 인성과 학교생활에서 대학생들의 만족감 사이의영향력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 교육 행정 서비스와 학교생활에서 대학생들의 만족도 간에 영향력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지원 선호도가 떨어지는 지방대학, 또는 지역적, 환경적여건으로 신입생 확보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 곧 신입생 감소와 학교재정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대학의 부실화를 불러올 수 있다. 이에 대학은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질 높은 교육행정서비스와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실행의 변화: 교원양성기관의 부설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영,강남희,하헌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4

        본 연구는 IB 학교 교사가 실천하는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실행의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IB 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IB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특징, IB MYP Unit Plan(템플릿의 구조)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구조와 지향점을 백워드 설계와의 연계성 속에서 밝혔다. 그리고 중등교사양성기관인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IB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을 사례를 통해 수업과 평가상의 실행 변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구성주의 관점에서 백워드 설계와 IB 교육과정의 탐구 사이클의 공통적 지향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IB MYP 수업 실행의 변화를 수업과 평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탐구중심 수업, 학습자 주도성의 강화, 현행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IB 평가 목표의 연결, 교육과정 혁신가의 관점에서 설계, 일반화와 전이 가능한 학습 실행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B 교육과정의 공교육 도입 사례를 통해, 향후 IB 학교 단계별 지원 강화, 이해를 통한 전이를 추구하는 IBEC 프로그램을 통한 IB 교사 교육 강화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of IB school teachers and t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IB education based on this.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B curriculum and the IB MYP Unit Plan (structure of the template) were analyzed, and these structures and directions were linked to the Backward Design. In addition, focusing on the case of schools affiliated with KNU's Teachers College, the reconstruction plan of the IB Curriculum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mmon direction of the backward design and the inquiry cycle of the IB Curriculum was confirm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changes in IB MYP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class and evaluation. It emphasized inquiry-oriented classes, strengthening learner initiative, linking current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ith IB evaluation goals, and designing, generalizing, and transferabl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innovators. Therefore, through the ca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IB curriculum into public education, we have presented the implications of strengthening support at each level of the IB school in the future, and strengthening IB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IBEC program, which seeks transfer through understanding.

      • KCI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질적 전환과 학교교육에의 시사점 탐구: 뉴질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조인숙 ( Insook Cho ),강현석 ( Hyeonsuk Ka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65 No.3

        2018년도부터 중·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1세기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목표로 6대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교육과의 연계가 모호하고 교실수업에서의 구체적인 실천방안 또한 불분명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핵심역량이 학교교육에 유의미하게 통합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2007년 이래로 핵심역량기반의 학교교육과정을 표방하고 시행한 뉴질랜드 사례에 주목하여 특히 최근 학교교육과정에 도입하기 위해 등장한 ‘능력 접근법’과 ‘능력모형’(능력기반 수업설계모형)을 고찰하였다. 능력(뉴질랜드)은 범교과적 핵심역량과 교과내용을 통합하기 위한 도구로 ‘비판적 사고, 관점의 수용, 학문적 의미구성 및 탐구능력’으로 표상되며 교과핵심역량의 의미적 위상과 실태에 따라 첫째, 일반 핵심역량과 교과핵심역량의 가교역할로, 둘째, 교과역량의 의미규정을 명확히 하는 기능으로, 셋째, 교과핵심역량 자체로, 마지막으로 범교과 역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업 장면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이 서로 잘 맞물려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능력을 개발하도록 하는 능력모형을 토대로 수업의 목표와 내용, 방법과 평가 측면에서 역량기반 수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National Curricula revised in 2015 introduced six key competencies such as ‘managing self,'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reative thinking,' ‘aesthetic sensitivit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articipating in and contributing to the communities', which are expected to encourage students to adapt themselves to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It is not easy, however, for the teachers to embed those key competencies in schooling because they do not exactly know what the key competencies mean and how they integrate those competencies with the subject matters. This study examined ‘capabilities approach', the new approach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New Zealand. Capabilities include ‘critical thinking', ‘perspective taking', ‘disciplinary meaning making', and ‘inquiry capabilities' that have been used to integrate key competencies with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skills. We can apply those capabilities to connect general competencies with specific competencies and clarify the key competencies of subject matter. Also this study suggested how to set the goals, select meaningful contents and evaluate what students perform using the capability-based model.

      • KCI등재

        수학 교육과 심미적 판단

        유충현 ( Chung Hyun Yu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수학교육에 있어서 현대 사회의 비인간화의 문제는 인간과 인간이 가지는 진정한 교육적 관계를 전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수학교육을 어떻게 규정하든지 간에 최소한 배제될 수 없는 것은 수학을 근거로 성립하는 교육적 관계이며, 이는 수학을 배우는 학생과 수학 가르치는 교사의 수학교육적 관계로 드러난다. 수학교육적 관계는 수학적 지식과 인격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관계로서 수학교육의 실제적 경험 가운데서 빚어지는 인식의 문제이요, 존재 관계의 문제라고 볼 수 있으며, 수학교육에 있어서의 정서와 무관한 문제가 아니다. 수학교육에 있어서 정서에 대한 이론적 준거는 칸트의 판단력비판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초월적인 것을 촉발시키는 계기로서 ``정서``에 주목하여 수학교육학적으로 해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칸트의 판단력비판의 ``심미적 판단``의 의미와 관련하여 수학교육학적으로 해석하고, 수학교육의 실천적 방향에 대한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In math education, It is shown that A problem of non-manization of modern society can`t become a true Math educational relation. However at time even if it`s prescritive, it be not to exclude a math education phenomenon minimally, it`s the math education-like relation formed on the ground of mathematics, and this shows with a math education-like relation between the student who learns mathematics and the teacher who teaches mathematics. it`s possible to A recognitional problem that math education is experiencing practically composed as a relation of which a math education-like relation and consisted through the medium of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 character, second, it`s possible to judge existence as a related problem, and it isn`t the problem that I have no relation to the feelings in the math education. it theoretically based on Kant`s Critique of Judgment to the feelings in math education. we pay attention to ``the feelings`` as the opportunity which makes touch transcendental idea, and it need the work interpreted like math education. I interpret like math education science in relation to the meaning Kant`s ``aesthetic judgement`` and derive an implication to the practical direction of math education.

      • KCI등재

        다양성 교육 "평가"기준이 사회과교육에 주는 시사점

        전희옥 ( Hee Ok Ju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61 No.3

        이 논문에서는 다양성 교육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가치’ 쟁점과 교육과정 사례를 검토하고, 목표 영역별 교육과정 영역 즉 지식, 기능, 가치·태도·참여 영역 별 평가 기준을 정리하였으며, 이것이 사회과교육에 어떻게 적용되고 실행될 수 있는지 시사점을 제시하여 학교 사회과교육에서 다양성 교육의 원활한 실천을 돕고자 하였다.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과교육을 위한 다양성 교육 평가 기준 적용을 위한 시사점으로, 먼저, 다양성 교육과정 평가 기준 설정에 대하여 ‘가치’의 적용 측면에서 주류 가치와 다양한 가치가 갖는 긍정적인 측면 활용하기, 긍정적 다문화 상호작용 촉진, 편견 경계와 다양한 관점 격려하기 등이 제안되었다. 둘째로, 다양성 교육 교육과정의 평가 원리로서 ‘통일성-다양성 관계’, ‘상호 의존’, ‘인권 존중’, ‘민주주의’ 원리의 적용이, 셋째로, 교육과정 ‘지식’ 영역에서, 다양성 사회 제도·현황에 관한 기본 개념과, 사회 문제·쟁점 관련 개념에 대한 교육 내용이, 넷째로, ‘기능’영역에서, 다양한 관점 해석, 개인-집단 간 상호작용 능력이, 다섯째로, ‘가치·태도·행동’ 영역에서, 자기 및 타인 이해, 타인에 대한 배려, 정체성 등의 적용이 주요 평가 기준으로 제안되었다. This paper is about implications of diversity education assessment standard o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and meanings that assessment standard of diversity education have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my purpose, firstly, in the viewpoint of assessment standards of diversity education, essential values of society and education assessment, and a case of d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were examined. Secondly, each factor(knowledge, ability, value·participation) of d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with the main checklist of diversity education assessment, were analyzed. Thirdly, Implications of Diversity Education Assessment Standards o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were proposed. In conclusion, firstly, I suggest that positive aspects of mainstream and diverse values, promoting dynamic multicultural interaction, avoiding prejudice, encouraging diverse viewpoints, can be includ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ssessment standards. Secondly, implications of unity-diversity relationship, interdependence, respect of human right, democracy were proposed for principl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ssessment. Thirdly, basic concepts and diversity society related problems·issues were introduced as curriculum scope ‘knowledges’ assessment. Fourthly, interpretation of diverse viewpoints, interaction between social members were proposed as curriculum scope ‘ability’ assessment. Lastly, understanding of self and others, caring others, self identity, were suggested as curriculum scope ‘values·participation’ assessment in the social studies.

      • KCI등재

        정보 교육과정 내용요소와 교과서의 일치성 분석

        김자미 ( Ja Mee Kim ),윤일균 ( Il Kyu Yoon ),이원규 ( Won Gyu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2007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교과서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요소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보급율이 높은 4종의 교과서를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설명이 교과서 집필에 있어서 가이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검토 방법은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구체화된 설명과 교육과정 해설서를 근간으로 정보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표현의 명확성, 표현의 오류, 그리고 불필요한 진술의 여부에 대한 분석이다. 분석결과 교육과정 내용요소의 많은 부분이 교과서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 반영되지 못한 이유로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설명과 교육과정 해설서가 모호하게 표현되었음을 물론, 불필요한 진술과 무관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present study,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2007`` are analyzed to determine successful alignment of these concepts with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urriculum, or curriculum content topics. For this, we analyze the contents of four informatics textbooks that are the most widely adapted for use in middle school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escriptions of content topics in the curriculum to ensure that they were used as guidelines for the writing of the textbooks. Using descriptions in the curriculum content topics and curriculum manual, we examined the descriptions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content topics based on clarity, errors in description, and unnecessary descriptions. The misalignment of the content topics in the curriculum to the textbooks may be caused by unclear or unnecessary descriptions of content topics and curriculum manuals.

      • KCI등재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과 교육포부 수준과의 관계: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안우환 ( Wo Hwan A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1

        교육포부 수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본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을 상정하였다.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은 사회 구조 내에 위치한 가족 내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통하여 목적 달성 행위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으로 학생이 얻게 되는 유·무형의 자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이 학생의 교육포부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대구 시내 초등학교 7개를 무선으로 표집한 4학년, 6학년생 총 763 (남학생: 298, 여학생: 465명)명이 연구에 동원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포부 수준에 학생의 성별, 학년별 특성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면서 6학년 학생들이 보다 더 교육포부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포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배경 요인은 부모의 학력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 변수 중에서 학생의 교육포부 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적인 관심과 대화(ECC), 적극적인 지원(PS), 부모의 기대와 규범(ENP) 변수들로 나타났다. 부모-자녀 관계 사회적 자본의 교육포부 수준에 대한 전체적인 영향력은 26%로 가족배경 23%, 개인특성 13%보다 높은 영향력을 발휘하는 변수들로 나타나 학생들의 교육포부 수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강력한 변수들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hild relations social capital and educational aspiration. Social capital is measured by the density of the interaction among parents, children and school. Within the family, social capital is measured by the amount of positive parent-child interaction. Using 7 elementary schools, fourth and sixth student were sampled. The final subjects were 763(298 male, 465 female), the fourth,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cit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the PCRSCQ questionnaire and educational aspiration scor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is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he result of the full sample showed that child`s gender and grade influenced children`s educational aspirations. Specially, male and sixth students level of educational aspiration appeared high.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other appeared that it is related to a majority effects variables. The influence of family background of the child on educational aspirations was 23% and parent-child relations social capital which gives an effect was 26%. parent-child relations social capital variables that gives an effect to educational aspiration of the child are ECC(educational concern and communication), PS (positive support), ENP(expectation and norm of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