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 사회경제적 지위 개선 가능성에 대한 주관적 평가의 변화

        김대환(Daehwan Kim),한상용(Sangyong, Ha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3

        현재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평가보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개선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희망적인 평가가 개인, 나아가 한 나라의 행복수준을 결정하는데 더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들이 사회경제적 지위의 개선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장기의 한국노동 패널자료를 순위로짓이원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 신분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는 4점 만점 중 2.52점 정도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분상승에 대한 기대가 점차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전 정부에 비해 현 정부에서 그리고 최근으로 갈수록 신분상승 가능성에 대해 더 비관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소득계층별로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 신분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점차 악화되는 현상은 특정 계층이 아닌 모든 계층에서 발견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한국인들이 왜 신분상승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지 그리고 왜 최근 들어 이러한 가능성이 악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고 신분상승 가능성과 국민 행복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It is known that a hopeful evaluation of whether socioeconomic status can be improved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an evaluation of the current socioeconomic status in determining the level of happiness of individuals and of a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s evaluate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ir socioeconomic statu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of long-term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using a ordered logit two-way fixed effect model, we find that the expectation for the possibility of a rise in status is not as high as 2.52 out of 4, and more importantly, our evidence shows that the expectation gradually gets worse. In particular, we find that Koreans are much more negative about the possibility of a rise in socioeconomic status under the current regime than the previous regime. In addition, the results of subdivided analyses by income class provide evidence that the expectation for the possibility of a rise in status gradually deteriorates in all classes, not in specific classes. For future research, it will be an important task to find out why Koreans negatively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ising class and why it is getting worse in recent years as well 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sibility of rising class and the level of happiness.

      • KCI등재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 사후반추사고와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양난미,김대경,김예주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2 연구방법논총 Vol.7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사후반추사고,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사후반추사고, 사회불안을 측정하였고, 최종 43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후반추사고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후반추사고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을수록 사회반추사고 수준이 높아졌는데 여성의 경우 그 관련성이 남성보다 강했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와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남녀 성별이 변인들의 관계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과학은 어떻게 정치가 되는가: 코로나 바이러스 진원지 논쟁과 미중 관계에의 함의

        은진석(Jinseok Eun),이정태(Jung Tae Lee)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3

        믿음이란 특정한 정치적 목적의 달성에 도움을 주기도 하는 바, 정치는 이를 의도적으로 생산하기도 한다. 역사적 사례들은 이러한 믿음의 생산이 매우 오래된 정치 전략임을 시사한다. 코로나 진원지에 대한 세간의 논쟁은 팬데믹 사태 이래 지속적인 부침을 거듭하며 오늘까지 이르고 있다. 이러한 논쟁은 자연 기원설과 연구소 유출설을 지지하는 두 진영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강한 증거의 부재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실재들이 난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과학적 논쟁은 다양한 요소들 사이에 숨겨진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정상 과학의 위상을 차지하기 위한 여정이며, 국가가 패권과 같은 특정한 위신을 얻기 위해 주변국들과 우호적 관계를 수립해 나가는 과정과 유사성을 보인다. 코로나 논쟁이 지니는 과학적·정치적 담론으로서 성격은 논쟁을 주도하는 미·중의 이해가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한 탐구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에 우려를 제기하는 한편, 논쟁이 가지는 국제정치적 함의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의 시각에서 고찰한다. As cases in history suggest, political interest played a role in formulation of public belief. Controversy on the origin of COVID-19 has continued to date, between believers of natural origin and the ‘lab-leak’ hypothesis. The two groups promote their own realities but evidence to support them are weak. Scientific process is a journey to obtain the status of normal science which requires relaions with human and non-human supporters, and such characteristics closely resembles political process of hegemonic status-seeking in international political arena. We argue for the possibility of the U.S. and China engagement into the scientific process due to the political nature of COVID-19’s origin controversy which may cause distortion of the scientific process. With concern for such, we explore an implication of COVID-19 controversy in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n Actor-Network Theory’s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공공부문 프로그램평가에서 사회네트워크분석(SNA)의 적용 가능성

        제갈돈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9 연구방법논총 Vol.4 No.3

        By introducing social network analysis(SNA) and it's applicability in evaluation practic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pplication and discussion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ology and provide directions for the use of SNA for program evaluation in public sector. SNA have a long and complex history and have extremely quantitative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One of the criticisms of the field of SNA is that the bulk of the work is academic and does not bring forth simple or practical appl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provide both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directions and processes for clear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In particular, there are currently no known studies that specially apply SNA to program evalu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is methodology in specific areas, such as program assessment. SNA is based on a way of viewing evaluation through the lens of relationships, compared to traditional methodologies that can be catagorized as attribute focused. The use of SNA is determined by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s of networks relative to a specifis project, program, or initiative, whether the relationship is between people, organizations, events, or ideas. SNAs can provide evaluators with tools for identifying and exploring the structures that form or are formed by networks, whether they are formal or informal, static or changing.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on highlighting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differentiating SNA from traditional methods. SNA has the potential for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evalu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evaluators with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SNA and will catalyze the use of this methodology in the practice of continuous interest and evalu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more in-depth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of SNA and facilitate their use in the evaluation. 본 연구는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과 평가실무에의 적용가능성을 소개함으로써 데이터수집과 분석방법론의 논의와 적용에 기여하고, 공공부문 평가실무를 위한 SNA 사용의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SNA는 길고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극도로 계량적이고 기술적인 특성을 가진다. SNA분야에 대한 비판들 중 하나는 너무 학문적이어서 단순하고 실무적인 적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방법론의 명확한 적용을 위해서는 개념, 방향 및 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프로그램평가에 SNA를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결과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평가와 같은 특수한 분야에서 이 방법론의 개발과 적용 사이의 괴리를 연결시켜 줄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NA는 속성(attribute)에 초점을 둔 것으로 분류될 수 있는 전통적 방법론들과 비교하여 관계(relationships)의 시각을 통하여 평가를 검토하는 방법에 기초한다. SNA의 사용은 그 관계가 사람, 조직, 사건 또는 아이디어 사이인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특정 프로젝트, 프로그램 혹은 계획과 관련된 네트워크 관계의 본질에 관한 질문들에 의해 결정된다. SNA는 공식적 혹은 비공식적이거나 정적 혹은 동적인지에 상관없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거나 혹은 네트워크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들을 식별하고 탐구하기 위한 도구들을 평가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안점은 개념적 틀을 강조하고 전통적 방법으로부터 SNA를 차별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평가자들에게 SNA의 기본적 이해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평가 실재에 이 방법론의 사용에 촉매가 되기를 기대하며, 또한 향후 본 연구가 SNA 수행에 보다 심도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평가에서 활용을 촉진할 것이다.

      • KCI등재

        뇌병변장애인의 근로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분야에 종사하는 뇌성마비장애인을 중심으로-

        임상욱(Sangwook Lim),전지혜(Jihye Jeo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1

        뇌병변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에서 정하는 15개 장애유형 중 지체장애인 다음으로 출현율이 높지만, 고용을 비롯한 사회참여는 활발하지 못하다. 그 원인으로는 중증과 중복장애의 비율이 다른 장애유형보다 높은 특성과 일반고용에서의 뇌병변장애인 적합직종의 부재가 지적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오면서 자립생활운동의 확산과 장애인일자리사업추진으로 사회복지 분야에서 뇌병변장애인의 고용이 다소 늘어난 측면도 있으나, 그들의 역할과 근로환경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 분야에 종사하는 뇌병변장애인 사례를 바탕으로 조직에서의 역할, 근무환경, 근로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향후 뇌병변장애인의 고용촉진 및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한 정책 대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0년 이상 사회복지 분야 종사 경험이 있는 뇌병변장애인의 9명의 사례를 조사였으며, 개별심층면접을 통해 질적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뇌병변장애인의 근로경험은 취업전후로 구분되었는데, 중분류는 6개, 소분류 범주는 13개로 나타났다. 취업 전에는 ‘차별경험’, ‘복지분야 취업기회경험’으로, 취업 후에는 ‘개인특성과 조직특성의 부조화로 인한 어려움’, ‘근로환경과 직무에 대한 적응’, ‘자립경험’, ‘고용정책 변화에 대한 요구’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뇌병변장애인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공공부분 장애인일자리사업의 체계화와 특성화, 이들의 고용안정과 효율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전문적인 인력 양성과 배치, 장애특성을 살릴 수 있는 직무부여, 뇌병변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및 심리상담 지원체계 등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Among the 15 types of disabilities prescribed by the Disability Welfare Act, people with brain lesions have the highest incidence after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but are not active in social participation including employment. The reasons for this are the characteristics of having a higher ratio of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an other disability types, and the absence of suitable occupations for brain lesion disorders in general employment. In the 2000s, the spread of independence movements and the promotion of job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led to a slight increase in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in the social welfare field, but interest in their roles and working environment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working environment, and meaning of work in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case of the brain lesion disorder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nd discusses policy alternatives to promote employ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brain lesion disorder in the future. I wanted to. For this study, 9 cases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social welfare were surveyed, and subject word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work experience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was classified into before and after employment, with 6 in the middle category and 13 in the small category. The results of the middle classification are"Experience of discrimination" before employment and"Experience of employment opportunities in the welfare field", and after employment,"Difficulties due to disparity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Adaptation to the working environment and job", "Experience of independence", It was categorized as a"requirement for change in employment policy".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of the work experience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include systemat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job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public sector, training and placement of professional human support for their employment stability and efficient job performance, and work that can utilize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It was discussed the need to assign roles, improve awareness of people with brain lesions, and prepare a psychological counseling support system.

      • KCI등재

        빅데이터 시대에 맞춘 국회 사용법: 자동화된 국회 데이터베이스

        엄기홍(Kihong Eom),김대식(Daesik Kim),서대원(Daewon Seo),강원식(Wonsik Kang),육태훈(Taehun Yuk)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2 연구방법논총 Vol.7 No.1

        국회 자료의 풍부함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국회 자료를 사용하는 데에는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요구된다. 이러한 한계로 말미암아 국회 연구는 시간적으로 단발적인 그리고 공간적으로 제한되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계 등과 공유할 수 있는 자동화된 국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국회 자료 사용의 시간적·공간적 한계를 극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소개한 자료 수집 및 정제 방식,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식, 그리고 자동화 방식은 선거관리위원회, 통계청 등과 같이 다량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관에 적용할 수 있는 논리로써 데이터베이스의 확장성을 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도는 국회를 시작으로 사회과학 전반으로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궁극적으로 이와 같은 시도는 언론 및 시민단체 등에 의해 활용되어 한국 민주주의 운용의 투명성과 건전성 확보에 이바지하리라 기대한다. The National Assembly of South Korea continuously generates various data, which facilitates social science studies.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is information is asymmetric to its utility and necessity. Researchers have to invest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and capital when handling even a small portion of National Assembly data. In addition, studies of the National Assembly possess time and spatial curbs due to the difficulty of manageability.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se constraints by introducing automated management of the National Assembly database. Furthermore, the automation logic is also suitable for other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nd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study expects expansion of the database beyond the National Assembly to embrace general social sciences. Civic groups, the mass media, and social science researchers benefit from the well-established database of basic social science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transparency and integrity of democracy in South Korea.

      • KCI등재

        대학생의 죽음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 분석

        김은숙,조항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0 연구방법논총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college students about death and death education. For thi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based on some previous studies, and collected the data from 224 college students in Gyeongnam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 Our results found that female students usually think more about death, speak more comfortably, and feel more anxiety about death than male students, and most of the participants(84.4%) had no awareness of death education. Regarding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for death education, our results shows that they want the education on reflecting on the value of their lives, living more vigorously, and appropriately coping with the sadness of losing family or relatives, which implies that they are looking forward to the future-oriented educational content. Finally, for the teaching method for death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reported to prefer the direct participation that can have mutual sympathy, as well as the way of discussing together with audiovisual materials. 본 연구는 죽음과 죽음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교육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경남지역 대학생 22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평소에 죽음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고, 더 편하게 이야기하고, 죽음에 대한 불안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대학생들의 대부분(84.4%)이 죽음교육에 대한 인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요구와 관련해서는 단순히 죽음의 불안을 해소하기보다, 자신의 삶의 가치를 성찰하고, 보다 활기차게 살고, 가족이나 친척의 상실의 슬픔을 적절히 대처함으로써 더 나은 삶을 실현하고자 하는 미래 지향적인 교육내용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죽음교육 방법은 상호 교감을 가질 수 있는 직접참여 방식과, 함께 토론하며, 시청각 자료를 이용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휴대폰 사용은 조현병 환자에게 지각된 사회지지를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나?

        우리님,최성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9 연구방법논총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mobile phone on mental health and perception of social supports. 27 patients with schizophrenia visiting community mental health and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performed self-report surveys, and 27 normal adults went through the same procedure. The surveys included Questionnaire on Mobile Phone Use, Korean Version of General Mental Health Questionnaire-30(KGHQ-30), and The Scale of Social Support. Testing mean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ed worse mental health condition, lower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less use of mobile phones compared with normal adults. Despite unfavorable mental health conditio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ould perceive more social supports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s of mobile phone use.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mobile phone use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cial supports, but the instrumental function didn’t. The preference for sending text message had better effects on social supports than the preference for phone conversation. The use of mobile phone could increase social interactions and emotional supports, and play a role as a moderator of psychosocial stress. The original function of mobile phone, communication, especially sending text message, would help increase higher level of perception of social supports than using mobile phone as an instrumental function. 본 연구는 정신건강과 휴대폰 사용양상이 사회지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27명의 조현병 환자와 27명의 정상 성인이 자기 보고형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측정은 휴대폰 사용 질문지,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질문지, 그리고 사회지지 척도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였고,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현병 환자는 정상 성인에 비해 정신건강 상태가 양호하지 못했고, 사회지지를 덜 지각하였으며, 휴대폰을 덜 사용하였다. 또한 정신건강 상태가 좋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휴대폰 사용의 조절효과를 통해 사회지지를 보다 많이 지각할 수 있었다. 휴대폰 사용의 의사소통 기능은 사회지지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지만, 도구적 기능은 그렇지 못했다. 문자 메시지를 선호하는 사람은 음성 통화 선호보다 사회지지 효과가 컸다. 휴대폰 사용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정서적 지지를 증가시키고, 심리사회 스트레스의 조절 역할을 했다. 그리고 의사소통 기능을 가지고 있는 문자 메시지는 도구적 기능으로서의 휴대폰 사용보다 사회지지의 지각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었다.

      • KCI등재

        북한 이탈주민의 북한 내 계층인식과 남한 사회 만족도 간의 관계

        이유정(Youjeong Lee),Cesar Echevarria,황태희(Taehee Wha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6 연구방법논총 Vol.1 No.2

        본 논문은 남한 거주 북한 이탈주민의 북한에서의 사회적 계층과 남한사회에서의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 대해 분석한다. 이는 북한 이탈주민의 북한에서의 계층에 따라 탈북 전의 삶의 여건이 크게 대별되며, 이로 인해 당시 형성된 세계관 또는 사회적 행동규범이 이후 남한 정착 이후에도 사회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에서 비롯된다. 탈북주민의 만족도를 탈북 전 북한에서의 계층인식으로 설명하는 시도는 기존 연구가 남한에서의 생활여건과 관련된 변수들에 편중되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계층인식이라는 추상적, 주관적 관념이 실제 개인의 생활양식과 세계관에 어떻게 투영되는지 밝힘으로써 탈북주민의 만족도를 경험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먼저 북한 사회계층과 남한 내 만족도 간 두 가지 상반된 이론적 가설을 설명하고,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의 경기도 북한 이탈주민 실태조사(2010) 자료를 근거로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한다. 그 결과 많은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북한에서의 사회계층과 남한사회 만족도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밝히고 그 인과적 기제와 원인에 대해 분석한다. We explain how the class perception of the refugees that they had back in North Korea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using two mechanisms, i.e., freedom experience effect and relative deprivation effect, which lead to opposite predictions. Using the KOSSDA survey data (2010), we conduct multivariate regressions to test the two effects. Our finding lends strong and robust support for the freedom experience effect support. The refugees who identify themselves as high class back in North Korea tend to be more satisfied in South Korea than the refugees who identify themselves as low class in North Korea,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that have been used in previous studies.

      • KCI등재

        완벽주의 성향이 대학생의 강점인식 및 자기계발 유형에 미치는 영향

        김동건(Donggeon Kim),김한슬(Hanseul Kim),김규태(Gyutae Kim),박은정(Eunjeong Park),채민호(Minho Chae),허창구(Changgoo Heo)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계발 유형과 기질적 및 인지적 선행요인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다차원 완벽주의와 강점인식이 자기계발 유형(향상적, 예방적, 강박적)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 지향 완벽주의는 강점인식 수준을 높이지만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강점인식 수준을 낮추었고, 자기지향 완벽주의에 비해 사회부과 완벽주의의 영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모든 자기계발 유형의 수준을 높였으나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강박적 자기계발 수준만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점인식은 향상적 및 예방적 자기계발 수준을 높였지만, 강박적 자기계발과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강점인식은 다차원 완벽주의가 향상적 및 예방적 자기계발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향상적 및 예방적 자기계발은 강점인식에 기반한 적응적 자기계발로 볼 수 있으며, 강박적 자기계발은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발생시킨 불안에 기초한 부적응적 자기계발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주요 제한점은 연구모형에 정서적 요인을 포함시키지 않아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계발 유형에 미칠 수 있는 간접효과를 확인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및 취업을 위해 자기계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인지적 개입 뿐 아니라 정서적 개입을 제공함으로써 적응적 자기계발을 유도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ir temperamental factors and cognitive factors on university students" self-development efforts. For this purpos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strength knowledge on various types of self-development (promotive, preventive, obsessive) were examin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creased strength knowledge, whil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lowered strength knowledge. Seco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creased all types of self-development, bu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d obsessive self-development. Third, strength knowledge increased promotive and preventive self-development, but it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with obsessive self-development. Fourth, the strength knowledge mediated 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on promotive and preventive self-development. In conclusion, promotive and preventive self-development based on strength knowledge can be seen as adaptive self-development, and obsessive self-development based on anxiety caused by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can be seen as maladaptive self-development. The main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did not include emotional factors along with temperamental factors and cognitive factors, so it does not confirm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self-development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