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대학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과 다문화교육역량의 관계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상호작용효과

        김선화,현영섭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4

        다문화배경학생의 증가는 중등교사에게 다문화교육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도 다문화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정규과목 운영, 비형식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교육이 실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이 다문화교육역량에 주는 영향과 이 영향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상호작용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K대학에서 교직 수강생과 사범대 학부생이다. 분석을 위하여 조사대상자에게 다문화교육경험 횟수(GTU사업 관련/비관련, 수업/세미나/체험형태), 다문화교육역량, 진로결정수준을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조사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 총 횟수와 다문화교육역량의 정적 관계는 진로결정수준에 의해 조절되었다. 둘째, GTU사업 관련/비관련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진로결정수준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수업형태와 체험형태의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진로결정수준에 의해 조절되었다. 그러나 세미나형태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호작용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세계화와 지식기반경제시대에서의 경제교육 담당교사들의 경제인식 능력 및 경제의식 조사 연구

        허인숙,최병모,김정호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2

        세계화와 지식기반경제 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경제교육의 주체라 할 수 있는 경제교육 담당교사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조사가 무엇보다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현행 학교교육에서 경제교육 담당교사들에 대한 경제인식 능력과 경제의식을 파악하여 교사들의 세계화와 지식기반경제시대에 대한 현 좌표를 살펴보고, 교사훈련기관인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의 교육과정과 교사교육 연수프로그램에 있어서의 개선점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 세계화와 지식기반경제시대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경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경제교육 담당교사들의 경제인식 능력 및 경제의식에 대한 조사는 네 가지 영역, 즉 '대학시절과 연수과정에서 이수한 경제관련 과목에 대한 내용', '세계화와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우리 경제현안에 관련된 내용',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정보소양 능력에 관련된 내용', 그리고 '세계화시대에서의 경제소양에 관련된 내용'으로 이루어졌고, 이 네 가지 영역에 대한 조사는 전국 초 · 중 · 고등학교 경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조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우선 직전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의 교육과정뿐 아니라 교사들에게 새로운 경제 환경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대비시키는 연수과정이 매우 불충분 한 것 같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economic recognition and awareness of economic teachers in the present school education field, to inspect the present aspects of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knowledge-based economy, to seek the suggestion of the improvements in the curriculum and training program of the institute of teacher training,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good economic education to be demanded at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knowledge-based econom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rvey of the economic recognition and awareness of economic teachers was implemented through the four areas, that is, the content of the economic curriculum to complete in the college course and training program, the content of the outstanding questions of our economy at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knowledge-based economy, the content of information literacy at the age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content of economy literacy at the age of globalization. These four areas was investigated through survey as the subjects of the economic teache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 KCI등재후보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문화기호학적 방법론

        임지룡,김영순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학교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론을 제시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미디어교육 개념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고, 학교 미디어 교육으로서 특히 중등 국어과의 미디어교육적 요소를 검토하게 된다. 나아가 현행 국어과에서 적용되는 미디어교육의 방법론을 개괄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게 된다. 아직까지 미디어교육이 ‘미디어를 통한 교육’ 즉 미디어를 통해 특정 교육 요소를 이해시키는데 활용하는 도구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육적 대안을 마련하게 된다. 그것이 바로 문화기호학적 교수학습방법론이다. 일찍이 기호학은 구조주의를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교육적 영역에 도입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레마스에 의해 시도되었던 행동자 모형과 내러티브 분석 기법을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에 도입한다. 이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은 멀티 리더러시를 가능케 하는 데, 이는 미디어 수용자 혹은 잠재적인 미디어 학습자가 특정 미디어 텍스트를 통해 문화적 차원의 의미 해석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수용자나 학습자가 처한 사회문화적 콘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성찰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research explores acceptance of medi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cept of media education extends to teach communication skills as 'new language'. Using internet is not only the technology but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For the new generation, media education valu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like the constructivism paradigm. Media education have to be get through via the idea of literacy. For going forward expansion of communication ability, the purpose and contents of media education need to be re-established. Results of this article were as follow: First, the idea of media education was reflected on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some Korean teachers group developed series of textbooks for media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Second, the teaching methodologies based cultural semiotics, multi-literacy methodology and narrative scheme methodology play an important role for secondary Korean class.

      • KCI등재

        학교 교육행정서비스와 대학생의 인성 및 학교생활만족 간의 영향관계

        김익형,김창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3

        본 연구는 대학교육수요자의 감소와 교육시장의 개방, 대학환경의 변화 속에서 대학의 생존전략을 위한 대학 교육행정서비스 질을 어떻게 제고할 것인가를 모색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교육행정서비스, 학생들의 교육행정서비스만족과 학교생활만족, 인성에 대한이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교육행정서비스 대상인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북도의 4년제 대학 4개소와 전문대학 4개소 총 8개 대학의 대학생 10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대학 교육 행정 서비스와 인성의 영향력이 부분적으로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는 인성과 학교생활에서 대학생들의 만족감 사이의영향력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 교육 행정 서비스와 학교생활에서 대학생들의 만족도 간에 영향력이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지원 선호도가 떨어지는 지방대학, 또는 지역적, 환경적여건으로 신입생 확보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 곧 신입생 감소와 학교재정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대학의 부실화를 불러올 수 있다. 이에 대학은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에 만족하고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질 높은 교육행정서비스와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학교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실행의 변화: 교원양성기관의 부설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영,강남희,하헌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4

        본 연구는 IB 학교 교사가 실천하는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 실행의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IB 교육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IB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특징, IB MYP Unit Plan(템플릿의 구조)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구조와 지향점을 백워드 설계와의 연계성 속에서 밝혔다. 그리고 중등교사양성기관인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IB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안을 사례를 통해 수업과 평가상의 실행 변화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구성주의 관점에서 백워드 설계와 IB 교육과정의 탐구 사이클의 공통적 지향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IB MYP 수업 실행의 변화를 수업과 평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탐구중심 수업, 학습자 주도성의 강화, 현행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IB 평가 목표의 연결, 교육과정 혁신가의 관점에서 설계, 일반화와 전이 가능한 학습 실행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B 교육과정의 공교육 도입 사례를 통해, 향후 IB 학교 단계별 지원 강화, 이해를 통한 전이를 추구하는 IBEC 프로그램을 통한 IB 교사 교육 강화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of IB school teachers and t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IB education based on this.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B curriculum and the IB MYP Unit Plan (structure of the template) were analyzed, and these structures and directions were linked to the Backward Design. In addition, focusing on the case of schools affiliated with KNU's Teachers College, the reconstruction plan of the IB Curriculum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mmon direction of the backward design and the inquiry cycle of the IB Curriculum was confirm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In addition, through case analysis, changes in IB MYP instructional implementa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class and evaluation. It emphasized inquiry-oriented classes, strengthening learner initiative, linking current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ith IB evaluation goals, and designing, generalizing, and transferabl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curriculum innovators. Therefore, through the ca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IB curriculum into public education, we have presented the implications of strengthening support at each level of the IB school in the future, and strengthening IB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IBEC program, which seeks transfer through understanding.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교육현장실습을 통한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 : 학습자 특성, 교육과정 특성, 상황적 특성, 학습을 중심으로

        현영섭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1

        예비중등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교육현장실습은 ‘필수적’이지만, ‘형식적’이라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형식적’이라는 비판은 교육현장실습이 현장성 높은 지식 획득과 활용이라는 목적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현장실습을 통하여 학습한 것을 활용하는 학습전이에 예비중등교사의 교육현장실습 후 학습자 특성(자기효능감, 학습동기), 교육과정 특성(동일구성요소, 자극변산성), 상황적 특성(교육현장실습 교사의 지원, 동료예비중등교사의 지원), 학습이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현장실습에 참가한 대구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427부의 설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현장실습교사의 지원과 동료예비중등교사의 지원은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직‧간접 영향을 가장 강하게 주는 변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도 예비중등교사의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였다. 셋째, 교육과정 특성 중 동일구성요소는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직‧간접 영향을 준 반면, 학습전이에 대한 자극변산성의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사회문화 교과서의 가족문화 영역에 대한 연구

        이현지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사회문화』 교과서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개인들에게 사회구성원으로써의 임무와 역할을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동시에 변화하는 사회구조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사회문화』 교과서를 분석하고,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사회 구성원의 교육에 적합한지에 대한 논의는 사회과 교육에 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 교과서의 가족문화 영역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먼저, 제7차 교과과정의 『사회문화』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가족문화 영역에 대한 분석을 한다. 다음으로 교과서의 내용이 현실의 가족을 얼마나 잘 설명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평가해 본다. 그리고 오늘날의 『사회문화』 교과서가 사회 구성원들에게 건강한 가족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지에 대해서 살펴 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족문화 영역에 대한 가족사회학적인 교육내용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한 가족문화를 영위할 사회 구성원의 양성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extbook 『Society and Culture』 should provide to individual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roles as a member of society. At the same time, it should cultivate to individual the ability to adapt the changing social structur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textbook 『Society and Culture』 and to discuss the adaptability of the contents in the socio-educational sense. This study focuses the family culture field of the text. Firstly,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family culture. Secondly, this study evaluates how much the text explains the real family culture. Thirdly, this study will investigate how much the text cultivates the ability to manage the healthy family life. Finally, this study proposes new educational contents in the family culture field. This study will help to cultivate healthy civilian who can manage family culture well.

      • KCI등재후보

        근대계몽기 국어교과의 성립 과정 연구

        허재영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이 글은 근대계몽기(1880~1910)의 국어교과 성립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여진 글이다. 교과교육이 성립된 시기는 1895년 소학령과 1899년 중학교령에서부터이다. 그러나 1880년대 『한성주보』 및 개화사상가들의 상소문 등에서는 근대식 교육 제도의 도입과 교과교육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체계적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었고, 갑오경장 이후로는 근대식 학제가 공식적으로 확립되었다. 근대식 학제 아래에서의 교과목은 주로 실용과목 중심이었다. 이는 각종 논설류나 학교 시행규칙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개화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가 실용주의에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학제의 도입을 뒷받침할 만한 경험적 토대도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학제 도입, 학교 설립, 교과목 설치 등이 체계적일 수 없었고, 따라서 교육 내용과 교수 학습 방법 등도 초기의 상태를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러나 1900년대를 지나면서, 근대식 교육 이론의 도입이나 교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새로운 교육의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 시기는 통감시대의 학정잠식이라는 시대적 한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고려한다 할지라도 국어교과가 공식적으로 등장하는 과정은 국어교과교육의 발전 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일로 평가된다. 이는 국문에 대한 인식의 변화 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 이 글은 ‘교과의 필요성과 국문의 실용성을 인식했던 시기(1880~1895)’, ‘독서 · 작문 · 습자라는 교과목이 존재했던 시기(1895~1905)’, ‘국어교과가 등장했던 시기(1906~1910)’,으로 시대를 세분하고, 그 과정에서 교과론의 전개 양상, 국문 인식의 변화, 국어교과의 변천을 살폈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ed the history of established to Korean Subject in Enlightenment of Modern Recent Time(EMRT). In this time, civilization thinkers recognized the needs of educational system and the course of study. For example, PARK YOUNG HYO(박영효) appealed the needs of Korean education in school. But in this time, Korean government couldn't established school system. In 1895, Korean government promulgated to the rules of Educational Principles, so called ‘Kyo-Yuk Ip-Kuk Jo-Sed(교육입국조사)’ and the law of elementary school system(So-Hakgyo Ryeong : 소학교령). In 1899, the government promulgated the law of middle school system(Jung-Hakgyo Ryeong : 중학교령). The government promulgated these management principles of these school system, so called ‘So-Hakgyo Si-Haeng Gyu-Chik(중학교 시행 규칙)’. In these management principle, Korean subject was not founded, but we founded Dok-Seo(독서 : reading), Jak-Mun(작문 : writing), Se-Beop(서법 : the study of letters). But in this time, Korean enlightenment thinkers wrote many articles of importance of Korean. In 1906, Government promulgated Bo-Thong Hak-Gyo Ryeong(보통학교령) and Go-Dung Hak-Gyo Ryeong(고등학교령). The Subject of Korean established in these management of two Hak-Gyo Ryeong. The field of Korean constructed of Dok-Beop(독법 : the method of reading), Cheol-Beop(철법 : the method of writing) Se-Beop(서법 : the method of letters). In this time, Korean thinkers introduced scientific pedagogy, linguistics and the course study. For example, RYU GUN(류근, 1906), JANG EUNG-JIN(장웅진, 1907), JEONG YOUNG THAK(정영택, 1908) introduced these science. In 1910, Hak-Bu(the ministry of education) published the textbook of educational subject. The name of this textbooks was Bo-Thong Gyo-Yuk-Hak(보통교육학). We could found the changing shape of subject, and teaching method. But these changing were not meaned development, because in this time we were interfered by colonial power, so called Thong-Gam Bu(통감부).

      • KCI등재

        김수영의 시 「사랑」의 교육적 가치 연구_‘삶의 이해와 성찰’의 측면에서

        조은영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3

        The first big meaning of the inclusion of "Love" in the revised textbook introduced since 2018 is that the date of the presentation of the work was revised to the Dong-A Ilbo's presentation on January 31, 1960. The interpretation of the "cracked face" frustrated by the failure of the "April 19 Revolution" is no longer valid. Interpreting works centered on historical events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rich interpretation of poetry, but it will remain an example of the problem of excessive reliance on historical events published by poetry. Among Kim Soo-young's many poems, the question of whether "Love" can be a representative work will be raised, but it will also have educational meaning in that it presents problems that arise when the year of publication changes and relies on the existing "reflective interpretation." Kim Soo-young's poem is not interpreted dichotomically, and it is difficult to teach by setting a single explanation. Since the nature of "love" does not have the right answer, these difficulties seem to be natural, but in order to reach a meaningful point in "educational," a guide to interpretation must be provided. How much a poem can be extended to the realm of life depends on 'what-how to teach'.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amine "love" as a sanction for literary education and to broadly examine the meaning of "love" covered throughout Kim Soo-young's poem to present a rich interpretation of sanctions and a meaningful direction for education. I hope this will be a meaningful study in selecting and writing sanctions for future revised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