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선과 개혁: 에라스무스와 루터의 종교개혁 이해 비교

        김요섭(Kim, Yo Sep)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2 No.-

        기독교 인문주의는 여러 가지 면에서 종교개혁에 기여했고 16세기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문주의를 대표하는 에라스무스와 종교개혁을 대표하는 루터가 협력적 관계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1524년 에라스무스가 발표한『자유의지에 관하여』(De Libero Arbitrio, Diatribe seu Collatio)에 맞서 루터가 이듬해『노예의지에 관하여』(De Servo Arbitrio)를 발표하자 그들의 종교 개혁에 대한 이해 차이가 명확히 드러났다. 본 연구는 자유 의지와 관련한 에라스무스와 루터의 논쟁을 검토하여 두 신학자가 다르게 생각했던 종교 개혁에 대한 이해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두 신학자의 서로 다른 결론을 말 하게 된 상이한 성경관과 해석의 방법론을 비교한다. 이어서 자유 의지의 가능성에 대한 인간론의 쟁점들을 통해 그들이 그렸던 인간 구원의 지향점 임 무엇이었는지 살핀다. 이와 같은 성경관과 인간론의 비교는 두 사람이 가지고 있던 기독교“종교”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와 당시 기독교 신앙의 개혁의 목적이 무엇이었는지 분명히 보여준다. 두 신학자는 당시 로마 가톨릭이 보여주고 있는 신앙의 행태에 대해 비판하고 성경을 최고의 권위로 삼고 개혁의 대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동일했다. 그리고 성경의 핵심 주제를 예수 그리스도로 생각했다는 점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에라스무스는“그리스도 철학”(Philosophia Christi)의 이상을 따라 인간의 가능성에 대한 긍정을 바탕으로 공동체 전체의 조화 가운데 이루어지는 영적 변화를 추구했다. 에라스무스와 같은 기독교 인문주의자들에게 종교개혁은 선한 문서로서의 성경의 탐구와 그 도덕적 실천 프로그램의 평화스러운 도입을 통한 개인의 삶과 기독교 사회의 개선이었다. 이에 반해 루터는 그의“십자가 신학”(Theologia Crucis)이 대변하는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에서 성취된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에 대한 확신과 그 확신에 근거한 종교개혁을 추구했다. 그는 성경 전체가 이 구원 진리를 명확하게 가르친다고 주장하면서 구원을 위한 어떤 가능성도 인간에게 없다고 강조했다. 루터와 같은 종교개혁자들에게 종교개혁은 성경 전체가 명확히 증거하는 구원의 진리를 재확인함으로써 이에 따라 신자들의 삶과 기독교회 전체가 회복되는 근본적인 회복이었다. In sixteenth century, Christian humanism contributed the protestant reformation in many ways. Many contemporary people regarded Erasmus and Luther shared the same vision for the religious reformation. However Erasmus’ De Libero Arbitrio (1524) and Luther’s counter publication of De Servo Arbitrio in the next year made it clear that two theologians held different views. This study analyzes the debate on the free will between Erasmus and Luther in order to manifest the different ideas of the religious reformation between Christian humanism and the protestant reformation.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Scripture and hermeneutics from which Erasmus and Luther proposed the different ideas of the reformation. Their different anthropological ideas for God’s grace of salvation will be examined in the following chapter. These comparisons of the hermeneutic and the anthropological ideas of Erasmus and Luther show their different ideas of the Christian “religion” and the reformation of the sixteenth-century Christianity. Both Erasmus and Luther took the same position in criticizing the Roman Catholic religion and pursuing the reformation of the Christian religion under the supreme authority of Scripture. They also agreed that the foremost essential theme of the bible was Jesus Christ. Yet Erasmus, with the vision of “Philosophia Christi”, affirmed the capability of human efforts in order to realize the spiritual enhancement in the harmony of the ecclesiastical authority. Erasmus and other renaissance Christian humanists considered the religious reformation as the improvement of the spiritual life and the Christian society by meditating the ethical teachings of Scripture and introducing the practical program for moral progress in a peaceful manner. On the contrary, Luther understood the religious reformation from the soteriological perspective that emphasized the conviction of God’s grace for salvation in Christ’s redemptive works. He argued that the whole Scripture, teaching this truth, denied any human ability for their salvation. For Luther and other protestant reformers, therefore, the religious reformation was the fundamental recovery of the Christian life and the religious community by reaffirming the biblical truth of salvation declared in Scripture.

      • KCI등재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역사신학적 고찰-

        임원택 ( Won Taek L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2 생명과 말씀 Vol.6 No.-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은 ‘신학’(theologia)이란 용어가 “하나님의 말씀” (Word of God)과 “하나님에 관한 말”(word concerning God) 둘 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신학이 하나님의 말씀을 의미하든 혹은 하나님에 관한 말을 의미하든, 어느 경우라도 하나님과의 인격적 만남을 경험함 없이는 신학을 올바로 할 수 없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신학의 의미를 특별히 강조한다. 우리의 신학이 하나님의 말씀이 되려면 우리 자신들이 먼저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알아야 한다. 그래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하나님과의 인격적 만남을 강조한다. 성경을 통해 우리가 만나는 하나님은 추상적인 하나님이 아니라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 즉 인격적인 하나님이시다. 신학은 대상을 추상화하고 고정하며 상대화하는 학문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 영국의 개혁신학자들은 “theology”라는 용어보다는 “divinity”라는 용어를 선호했다. 게다가 츠빙글리와 칼빈 그리고 불링거는 “theologia” 라는 용어를 정의하거나 논의하지 않았다. 그들에게 중요했던 것은“religio”라는 개념이었다. 그들은 신자들에게 하나님을 올바로 알고 예배하도록 가르치는 매우 실천적인 가르침에 관심을 가졌다.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은 종교개혁자들의 이런 실천적 관심을 계승했다. 이렇듯 신학과 관련해서 종교개혁자들과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은 신앙의 실천을 지향했음이 명백하다.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명제는 신학이 하나님에 관한 지적 앎이 아니라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앎이라는 의미다. 그렇다면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은 신앙의 실천을 매우 강조했던 종교개혁자들과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의 입장에 굳건히 서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개혁신학자들은 이론과 실천의 균형을 추구했다. 그런데 개혁파 정통주의자들 중 다수는 신학의 이론적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신학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했다. 참된 신학의 목표는 하나님께 영광돌림과 우리의 구원이기 때문이다.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은 신학이 영혼을 살리고 교회를 세우는 것이기에, 참된 신학은 단지 지적 앎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을 담은 복음이어야 함을 천명하고 있다. 멸망으로 이끄는 신학은 실천이 없는 신학인 반면, 살리는 신학은 성경의 가르침대로 실천하는 신학이다. 그러므로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은 종교개혁자들과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의 입장에 굳건히 서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 신학자들이 자성하고 현재의 교회를 다시 확고히 세우는데 마땅히 감당해야 할 역할이 있음을 다시금 환기시키는 당위적 선언이다. Justifying the use of the term theologia, the Reformed orthodox understood theology to mean both “Word of God” and “word concerning God.” Whether theology means God`s word or our word concerning God, we cannot perform the right doing of theology in either meaning without our personal encounter with God. Reformed Life Theology puts special emphasis on the meaning of theology as God`s word. A theologian should have a personal knowledge of God before his or her theology becomes God`s word. Reformed Life Theology emphasizes our personal encounter with God. For our God in the Bible is not an abstract God but God of Abraham, Isaac, and Jacob, thus being a personal God. Theology cannot be a science that makes its object abstract, fixed, and relativized. Therefore,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The English theologians expressed a decided preference for the term “divinity” over the word “theology.” In addition, Zwingli, Calvin and Bullinger neither defined nor discussed the term theologia, but the concept of religio was of primary importance to them. They were interested in the very practical teaching that showed the right way of knowing and honoring God. The Reformed orthodox inherited such a practical concern of the Reformers. Thus, with theology, both the Reformers and the Reformed orthodox evidently headed toward the praxis of religion. The statement that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means that theology is not a mere intellectual knowledge about God but a personal knowledge of God. Then, this statement can be understood as standing in the line of the Reformers and the Reformed orthodox, who paid great emphasis on the praxis of religion. The Reformed theologians pursued the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Acknowledging the speculative dimension of theology, however, a large number of Reformed orthodox emphasized its practical dimension. For the goal of true theology is the glorification of God and our salvation. The statement that “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clarifies that theology, which gives life to our soul and our church, thus a true theology, cannot be a mere intellectual knowledge, but should be a gospel containing the life of Jesus Christ. While a theology leading to perdition is a theology that does not have a praxis, a theology giving life is a theology that has a praxis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Bible. The statement that “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Therefore, not only stands in the line of the Reformed tradition, but also clarifies that today`s theology should reflect on itself and play its proper role in reestablishing the present church.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백석) 서울,경기,충북 지역 5개 노회 목회자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김태철 ( Tae Chul K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4 생명과 말씀 Vol.9 No.-

        개혁주의생명신학은 21세기 한국 개신교회와 세계 교회에 개혁주의신학을 올바르게 계승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그 실천방안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을 제시하였다. 이 실천운동은 장종현에 의해 주창되었고, 학교법인 백석대학교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백석)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정의문과 선언문에 담긴 개혁주의생명 신학의 본질과 의의를 실천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실천운동을 사역현장에서 활성화되도록 각 운동의 의미와 사역, 그리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실천적 대안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본질과 사역 방향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개혁주의신학을 바르게 계승한다. 즉, "오직 성경"에 기초한 신앙운동을 전개하여 사변화된 이론신학을 반성하여 삶과 사역현장에 예수님의 생명을 나타낸다. 둘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삶과 사역 현장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낸다. 즉, 삶과 사역 현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을 선언하고, ``하나님나라운동``을 실현한다. 셋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충만하게 한다. 즉, ``기도운동``, ``성령운동``, ``나눔운동``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세상 중에 나타나도록 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화석화된 이론신학을 극복하고 삶과 사역 현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나타나는 7대 실천운동을 전개한다. ① 신앙 운동은 성경을 최고의 권위로 세우는 운동이다. 곧, 성경을 통전적으로 이해하여 전인적인 생활과 사역이 실현되게 하는 운동이다. ② 신학회복운동은 사변화된 신학을 반성하고 신학의 본래의 의미를 회복하는 운동이다. ③ 영적생명운동은 거듭난 성도들이 변화되어 그리스도의 영으로 충만한 삶을 실현하는 새 생명 운동이다. ④ 하나님나라운동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그리스도의 주(主)되심을 실현하는 운동이다. ⑤ 기도운동은 하나님의 방법을 순종하고,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하는 운동이다. ⑥ 성령운동은 성령 하나님의 주권적 사역을 이해하고 순종하는 운동이다. ⑦ 나눔운동은 하나님의 좋은 것을 이웃에게 공급하는 사랑의 실천운동이다. 이와 같은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은 다음 일곱 단계로 전개될 수 있다. ① 사역공동체 만들기이다. 이는 개혁주의 생명신학을 표방하는 사역 기관들이 공동의 사역공동체를 만드는 과정이다. ② 개혁주의생명신학이해하기이다. 이는 삶과 사역현장에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접목시키는 과정이다. ③ 개혁주의생명신학 조정하기이다. 이는 각각의 사역기관들이 개혁주의 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을 실현하기 위해 자신들의 사역을 조정하는 과정이다. ④ 개혁주의생명신학 초청하기이다. 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사역을 확대시키는 과정이다. ⑤ 개혁주의생명신학 실천하기이다. 이는 7대 실천운동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과정이다. ⑥ 개혁주의생명신학 평가하기이다. 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사역을 냉철하게 반성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⑦ 지역교회 활성화 지도하기이다. 이는 지역교회의 동역자를 세우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은 21세기 한국 개신교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삶과 사역현장에 예수님의 생명을 나타내는 더 발전된 개혁주의신학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problems faced by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 instrument named "The Life Reformed theolog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is begins from the passion for solving the problems that the authors of this paper experienced the spiritual war, during his 17 years in the ministry field. The research method is combined literature available and survey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Dr Jang``s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commentary`` and related published papers and dissertations. Survey research depend on the analysis the data that ``pastor``s perception`` targeted under the five presbyterian pastors agencies. And it is reconstructed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Reformed Life Theology`` in view of practice. ``Reformed Life Theology`` has three essences. The first is to reflect the speculated theology and recover the essence of the reformed theology. The second is to declare Jesus`` sovereignty and being realized ``Kingdom of God`` in all areas of life. And the third is the spiritual life being practiced in life of Jesus Christ and ministry field through the ``pray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Features of ``Reformed Life Theology`` is not to remain in just theory but to practice through ``7 practical movements`` which means that Jesus`` life appears in the ministry field. The first thing is to understand the Bible as the only authority in reformed theology centered 5 ``SOLA`` slogans. The second is to recover the essential theology that means rest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ology while reflect the speculated theology. The third is that church members would live with Jesus Christ through changing their heart by the ``new life movement``. The fourth is the ``Kingdom of God movement`` as realizing that Jesus becomes the Lord in everywhere. The fifth is obeying God``s way and participating in the glory of God by the ``prayer movement``. The sixth is the ``Holy Spirit movement`` that by understanding the sovereignty of the Holy Spirit and obeying Him in ministry. The seventh is the ``practical sharing movement`` by offering the good things of God to neighbors with love. The vitalizing strategies for the ``Reformed Life Theology`` are required some strategic points. The first is the institutions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make ministry community. The second is the understanding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as connecting both life and ministry that makes foundation of ministry. The third is each institution adjusts their ministry by the 7th practical movements in ``reformed life theology``. The fourth is the invit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at the ministry may expand. The fifth is realiz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7th practical movement``. The sixth is evaluat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analysis the ministry and coordinates the future. Finally, the seventh is coaching the local church for vitalizing ministry and pastors become the co-worker in local area. Thus, "A Study on Method for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can be biblical alternate method for reviving the Korean churches and ministry model in reformed churched all around the world. "Reformed Life Theology" is to make both Korean churches and all of the reformed churches responsible and duty as priming water that taking up the spiritual life of Jesus Christ.

      • KCI등재후보

        종교개혁의 참된 기초와 방식: 트렌트 회의의 개혁 법령에 대한 칼빈의 비판 연구

        김요섭 ( Yosep Kim )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59 No.-

        16세기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성격과 강조점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당시 전개된 로마 가톨릭의 개선 시도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1545년부터 1564년까지 계속된 트렌트 회의는 16세기 로마 가톨릭의 자체 개선 시도를 대표하는 사건 가운데 하나이었다. 칼빈은 1547년 발표한 “트렌트공의회 교령과 해독제”를 통해 트렌트 회의의 주요 교리 결정 사항을 반박하고 종교개혁의 바른 기초와 타당한 방식을 적극적으로 설명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트렌트 회의의 “개혁법령”들에 대한 칼빈의 비판을 검토함으로써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목적과 요점을 규명하려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16세기 로마 가톨릭의 변화 시도에 대한 해석상 논란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 후, 이 맥락 가운데 트렌트 회의의 배경과 진행과정, 그리고 주요 결정 사항들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어서 칼빈의 “해독제”와 “교회개혁의 필요성”에 나타난 칼빈의 비판을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비판 가운데 발견할 수 있는 종교개혁에 대한 그의 주장들을 정리한다. 칼빈을 포함한 종교개혁자들은 성경의 가르침에 충실한 합당한 예배를 회복하고 바른 공동체를 수립함으로써 교회를 세우신 그리스도의 주권을 재확립하는 신앙적 개혁을 주장했다. 그리고 트렌트 회의가 대표하는 로마 가톨릭의 개선 시도를 반박하면서 이에 맞서 성경 진리에 합치한 교리를 개혁의 기초로 확립할 것, 그리스도의 통치권 구현을 교회개혁의 유일한 목적으로 삼을 것, 오직 하나님의 영광만을 드러내기 위해 기득권과 세속적 욕망을 단호하게 포기할 것을 강조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reformation, we need to compare it with the renewal attempts of the Roman Catholic side in that period. The Council of Trent (1545-1564) was the most important official attempt of the Roman Catholic renewal. John Calvin published “Acts of the Council of Trent with the Antidote” in 1547 to refute the early decisions of this Council.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purpose and the focal points of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reformation by analyzing Calvin’s criticism of the Council of Trent. After briefly dealing with the controversy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Roman Catholic reactions to the protestant refor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historical background, process, and the reformation decrees of the Council. Like other protestant reformers, Calvin maintained that the true reformation of the Church was nothing but the pious commitment for the re-establishment of Christ’s sole headship in the Church. He refuted the decisions of the Council of Trent because they intended to confirm and strengthen the papal authority and the Roman Catholic hierarchical system. Against the Roman Catholic renewal, the protestant reformation emphasized three practical points: the truth of Scripture as the only ultimate standard, realization of Christ’s headship as the sole purpose of the church reformation, and resolute commitment in abandoning all the worldly interest for the glory of God.

      • 개혁주의생명신학으로 본 한국교회 청년대학생사역의 문제점과 그 대안: 제2의 종교개혁을 기대하면서

        안오순 ( Ahn Oh Soo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8 No.-

        한국교회는 민족의 아픈 현실 속에서 겨자씨 한 알처럼 시작하였지만 대한민국의 건국과 조국의 근대화와 산업화, 그리고 민주화에 큰 기여를 하면서 소금과 빛의 역할을 다하였다. 그러나 오늘의 한국교회는 사회로부터 사랑과 존경을 받지 못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일은 청년대학생이 교회를 떠난다는 사실이다. 이 겨레와 함께 하였던 한국교회가 그 겨레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교회가 영적인 생명력을 잃어버리고 세속의 가치를 따라가고 있기 때문이다. 교회 안팎에서 “제2의 종교개혁이 일어나야 한다.”는 말이 들리고 있다. 한국교회는 암담한 중세교회 현실에서 개혁의 횃불을 높이 들었던 개혁자들의 후예로서 개혁운동을 시작할 때이다. “교회는 `개혁된 교회`가 아니라 `항상 개혁하는 교회`이어야 한다.” 개혁은 한 시대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되어야 할 성경정신이다. 그 개혁운동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가? 개혁운동은 청년대학생사역에서부터 일어나야 한다. 그리고 그 개혁운동은 개혁주의생명신학에 뿌리를 둬야 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유일한 목표는 성령의 능력으로 우리 자신이 변화되어 주님의 몸 된 교회를 살리고, 세상에 그리스도의 생명의 복음을 전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교회 청년대학생사역을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렌즈로 진단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그 대안은 한국교회 지도자들이 청년대학부사역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1대1 성경공부와 소그룹 사역, 그리고 성경적 설교를 통하여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한 사람을 신행일치의 제자, 평신도 자비량 선교사로 양성하는 것이다. 그 모든 일의 뿌리에는 전도와 기도가 있어야 한다. 한국교회가 성경적 생명가치를 회복시키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붙들고 사역과 삶의 현장에서 실천한다면 위기를 극복하고 제2의 종교개혁운동이 일어날 것이다. 그리하여 한국교회는 다시 한번 겨레와 하는 함께 하는 생명력 있는 교회, 한반도를 넘어서 오대양 육대주에 수많은 선교사를 파송하고 세계역사에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는 제사장 나라로 쓰임 받을 것이다. The Korean church, which originated as a kernel of wheat during national crisis, has now spread its roots and grown as a tree in which birds can nes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is nation, its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the church took its role as the salt and light of society. However, in contemporary society, the church has found itself in disrepute. The most pressing issue lies in that youths do not wish to stay within the church, highlighting that is has become outdated and is increasingly shunned. The reason for this lies in that churches have lost their spiritual power and have conformed to the secularism of this world.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the second reformation of the church. Today`s believers are the descendants of reformers in the middle age who lifted their voices and effected change. Reformation entails continuity, it is not finished with the work of one generation but it is a continual and ongoing process of change. Churches must be reformed continually. This is biblical reformation. Where will this change begin? Campus youth ministry is the starting point of reformation. The foundation of this lies in Reformed Life theology. The ultimate purpose of Reformed Life theology is to let ourselves to be transformed by the power of the Spirit so that we may resuscitate the church and glorify God. In light of this, I would like to propose alternative ways to address the current spiritual situation of campus youth ministry in Korea. Alternatives such as encouraging a paradigm shift in Korean spiritual leaders regarding campus youth ministry, the recovery of the Christian community through one to one Bible study, small group ministry and Biblical preaching. Its fruit will be the genuine disciple who practice Biblical teachings in their actual lives and self-supporting lay missionaries who can spread the gospel of Jesus to the world. The root of all these works must be evangelization and prayer.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way to restore the Biblical values of life. We must pay heed to it and cling to it, practice it until the second reformation arises in our generation. With this, the Korean church will be regain its spiritual power and influence and Korea will become a conduit for sending missionaries the world over. And God will use Korea as a priestly nation for world mission again.

      • 장종현 박사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 주제설교 연구: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한국교회를 향한 함의(含意)

        성종현 ( Seong Chong Hyo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8 No.-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주창자이신 장종현 박사는 목회자를 양성하는 선지학교를 1976년 설립하였다. 하나님의 은혜와 그의 끊임없는 무릎 기도와 탁월한 리더십에 힘입어 장족의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는 신학교와 신학교수들이 많아질수록 교회의 현장은 메말라 가고 있음을 간파하고 그 원인이 신학교육의 문제에 있다고 보았다. 그는 2003년 10월 25일에`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를 외쳤고, 2008년 12월 1일에는 제1회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을 열었다. 본 논문은 종교개혁의 설교학적 의의에 기초하여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장종현 박사의 주제설교 연구를 통해 종교개혁 500 주년을 맞이하는 한국교회를 향한 함의(含意)를 찾고자 한다. 왜냐하면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에서 장종현 박사는 한국교회의 개혁을 염두에 두고서 일 년 동안 준비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제2의 종교개혁 의 역사에 쓰임을 받기를 소망하고 있다. 본 논문의 제1장은 개혁주의생명신학 생명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아홉 차례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와 더불어 주요 대지를 소개하고 있다. 제2장은 장종현 박사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 주제설교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한국교회를 향한 함의 (含意)를 살피고 있다. 첫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태동이다. 제1회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 주제설교가 한국교회에 끼친 공헌은 종교 개혁 500주년을 앞두고서`개혁주의생명신학`이라는 새로운 용어 가 공적으로 발표된 계기를 마련한 데 있다. 장종현 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주창하면서 죽어 있는 개혁신학을 살리고자 하는 뜨거운 열정으로`개혁주의생명신학`을 주창하였다. 둘째, 개혁주의 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성교는 신학의 본질을 반성하면서 신학의 본 질의 회복을 촉구하기 위해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전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장종현 박사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설교는 개혁주의생명신학에서 강조하는 7대 실천운동을 구슬같이 꿰뚫고 있다. 셋째, 그의 주제설교는 포럼이 진행된 공간에서만 머물지 않고 기독교 TV와 라디오 그리고 신문 등을 통 해 한국교회와 성도들에게 강하게 파고들었다. 그 결과, 한국교회 의 연합운동을 더욱 촉진하게 하는 도구로 쓰임을 받게 되었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장종현 박사는 다가오는 2017년 10월 31일 제 10회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에서`종교개혁 500주년과 개혁주의 생명신학`이라는 제하의 메시지를 준비하고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설교는 다가오는 종교개혁 1,000년을 향해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될 것이다. Dr. Jong Hyun Chang, an advocate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established a small seminary to raise up ministers. He succeeded in growing a great repeat of development through the grace of God and his kneeling prayer and leadership. In many countries, as theology has developed more and more into a mere scholarly discipline, the spiritual state of local churches has consequently declined even more. On the process of being too speculative, theology has lost the spiritual life found in Jesus Christ, its very substance and spiritual power. As we live up to the Gospel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we seek to promote spiritual revival in Korean churches by restoring the vitality of the Gospel, the essential substance of theology. To this end, Dr. Chang advocates `Reformed Life Theology`. Reformed Life Theology attempts to inherit and develop the reformed theology by emphasizing its five mottos: sola Scriptura, solus Christus, sola fide, sola gratia, and soli Deo gloria, and by setting the seven practical movement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such as a movement of faith, theological restoration, repentance-forgiveness, spiritual life, the Kingdom of God, sharing, and prayer-the Holy Spirit.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introduces the subject and main outlines of Dr. Chang`s sermons of nine forum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e second chapter studies the implications to the Korean churches welcoming the Reformation`s 500th anniversary.

      • KCI등재

        팔츠(Pfalz)의 개혁파 종교개혁의 발전(1558-1561) : 멜란히톤과 칼빈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안인섭 ( Ahn¸ Insub ) 한국개혁신학회 2021 한국개혁신학 Vol.71 No.-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독일에는 전통적인 봉건적 영주들과 선제후들 가운데 로마 가톨릭주의나 루터주의 지역과 맞닿아 있으면서 스위스에서 시작된 개혁주의를 시범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간이 생겼다. 팔츠의 종교개혁은 신성로마제국의 정치적이고 외교적인 구조 위에서 열린 공간 속에서 배양되어 선-종교개혁(Pre-Reformation)이라는 잠복기를 통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아우구스부르크 가신조(1548)와 아우구스부르크 종교화약(1555) 사이의 기간이 팔츠 종교개혁에서는 결정적인 시기였다. 오토 헨리 선제후(재위: 1556-1559)가 루터주의를 수용하게 되었는데 이때 순수 루터주의와 개혁주의가 어설프게 공존하게 되면서 분쟁의 씨앗이 잠재되어 있었다. 개혁신앙의 자양분을 가지고 있었던 프레드릭 3세가 즉위할 때(1559. 2.)부터 이미 하이델베르그 대학 내에는 헷수시우스의 순수-루터파와 클레비츠의 개혁파간의 갈등이 고조되어 있었다. 이 교회의 균열을 해결하기 위해서 프레드릭은 멜란히톤에게 조언을 청했다. 멜란히톤의 중재를 위한 "판단(Iudicium de Controversia Coenae Domini)"이 1559년 11월 1일에 작성되어 팔츠 선제후에게 보내져 해결의 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다(출판은 1560. 9). 멜란히톤은 “판단”에서 성찬에서 떡을 떼는 것을 고전 10:16을 인용하여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함이라고 해석하여 개혁파의 성찬론에 거의 근접했다. 그러나 5개월 후(1560.4.19.) 멜란히톤이 사망하게 되자, 팔츠는 신학적으로 지도력의 공백을 맞아 더욱 스위스를 바라보게 되었다. 제네바의 칼빈은 불링거(Heinrich Bullinger)로부터 자료를 넘겨받아 팔츠의 신학논쟁을 야기했던 순수-루터파 헷수시우스를 비판하는 논문을 출판(1561)하면서 팔츠의 개혁파 종교개혁에 직접적으로 신학적 개입을 했다. 1558년에서 1561년 사이에 위와 같은 역사적 격변이 일어나면서 팔츠는 개혁주의 종교개혁의 기반 위에 서게 되었다. 이런 개혁신학의 토대 위에서 팔츠 선제후에 의해 1562년에 시작해서 1563년에 하이델베르그 신앙고백서가 출판될 수 있었고, 그것이 각국으로 번역되고 확산됨으로 팔츠는 국제적 칼빈주의의 구심점이 되었다. 따라서 16세기 팔츠 지역의 개혁주의 종교개혁의 발전은 신성로마제국의 정치적인 맥락과 순수-루터파와 멜란히톤주의의 분열과 갈등, 그리고 칼빈과 불링거를 중심으로 하는 스위스 개혁주의의 연계라는 다차원적인 맥락에서 조명해야 할 것이다. During the Reformation of the sixteenth century, Germany had a space to apply the reformed thoughts that originated in Switzerland just like a pilot project among the traditional feudal lords and Electors, while meeting the borders of the Catholic or Lutheran regions. The Reformation of the Palatinate was cultivated in an open field on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structure of the Holy Roman Empire, and was gradually progressing through the incubation period of Pre-Reformation. The period between the Augsburg Interim (1548) and the Peace of Augsburg (1555) was decisive in the Palatinate Reformation. Otto Henry (reign as Elector: 1556-1559) accepted Lutheranism, when he poorly invited the Gnesio-Lutherans and reformed thinkers without consideration, leaving the seeds of conflict. From the period of Frederick III, new Elector of the Palatinate, who was nourished with the Reformed faith, came to the throne (1559 Feb.), there was already a conflict between Heidelberg's Gnesio-Lutherans and Reformed theologians as Klevitz in Heidelberg University. To resolve the theological conflicts, Frederick turned to Melanchthon for his advice. Melanchthon's "Judgment (Iudicium de Controversia Coenae Domini)" for arbitration was written on November 1, 1559 and sent to Elector the Palatinat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solution (published on 9 September 1560). Melanchthon's interpretation of breaking bread in the sacrament in “judgment” was quoted from 1 Corinthians 10:16 as a participation( koinonia) in the body of Christ, and came close to the sacramental theory of the Reformed theologians. However, after the death of Melanchthon (1560.4.19.), facing a doctrinal vacuum in its leadership, the Palatinate became to head to a theological view of Switzerland. Calvin of Geneva received a letter with the data from Heinrich Bullinger and made a direct theological intervention in the Reformation of the Reformed theology, publishing a writing (1561) criticizing the Gnesio-Lutheran Heshusius that caused the tough controversy in the Palatinate. Between 1558 and 1561 the above historical upheavals took place, putting the Palatinate on the basis of the Reformed theology. On this background, the Heidelberg Catechism, which began in 1562 by Elector of the Palatinate, was published in 1563. It was translated and spread throughout the whole Europe. The Palatinate became the pivotal place of the international Calvinism.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Reformed Reformation in the Palatinate in the sixteenth century should be recognized in the multilateral contexts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Holy Roman Empire, the divisions and conflicts between Gnesio-Luterians and the followers of Melanchthon,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Reformed camps, such as Bullinger and Calvin, in Switzerland.

      • KCI등재후보

        중세시대 개혁의 선구자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

        김요섭(Kim Yosep) 개혁신학회 2016 개혁논총 Vol.40 No.-

        중세 시대의 대표적인 교회 개혁 사상가 위클리프는 14세기 말 잉글랜드의 시대 상황 속에서 교회의 개혁을 위한 사상을 제시하고 그 실천을 시도한 인물이었다. 본 연구는 먼저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이 등장한 역사적, 사상적 배경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어서 하나님의 예정으로부터 참 교회 개념을 설명한 위클리프의 교회 이해를 평가하고 교회 개혁을 위해 그가 제시한 실천 방안을 다룬다. 위클리프의 개혁적 교회론의 가장 중요한 역사적 배경은 국내적으로는 잉글랜드에서 발생한 왕실과 교회 지도자들 사이의 정치적 갈등었으며 국외적으로는 교황청의 대분열이었다. 또 사상적 배경으로는 14세기 말 옥스포드에서 전개된 철학적 논의 가운데 위클리프가 취한 실재론과 신적 원리와 피조 세계의 원리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한 “지배권”개념이었다. 이와 같은 배경 위에서 위클리프는 “선택받은 사람들의 총합으로서의 참된 교회”라는 신학적 교회 이해를 제시했다. 그리고 이 이해 위에서 교황을 포함한 교회의 제도적 측면의 오류 가능성을 주장하고 부패의 실상을 지적했다. 성경을 바르게 가르치는 것과 사제들이 목회자로서의 본분을 회복하는 것, 그리고 세속 군주가 교회의 사적 재산을 몰수하는 것이 위클리프가 제시한 교회 개혁의 실천 방안들이었다. 위클리프의 교회 개념과 그 실천적 함의들이 이후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제시했던 교회론과 여러 점에서 서로 다른 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부분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성경의 진리를 절대화하면서 이에 대해 교회 제도를 상대화한 점, 교황을 비롯한 사제들의 권위를 그 직임이 아닌 충실한 직무 수행에서 찾으려 한 점, 하나님의 예정과 그리스도의 머리이심을 강조함으로써 지상 교회의 영속성과 개혁의 필연성을 주장한 점들이다. 이와 같은 개혁적 교회론으로 인해 위클리프는 16세기 종교개혁을 예비한 중세 후기 종교개혁의 선구자로 평가받기에 충분하다. John Wyclif, one of the representative reformers of the middle age, presented his reformation ecclesiology in the context of the fourteenth century England. There are two most noticeable historical backgrounds: Domestically, he developed his ecclesiology in the political conflicts between the monarchy and the ecclesiastical leadership in England. Internationally, “the great schism” effected his reformation ecclesiology. Concerning philosophical backgrounds, propositional realism, endorsed by Wyclif in the metaphysical controversy of the late fourteenth century Oxford, and his concept of “dominion,” elaborated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ne and the created order, offered him useful theoretical grounds. For Wyclif, the true Church is “the whole congregation of the elect.” This theological idea enabled him to criticize present corruptions of the institutional church. Sincere teaching of Scripture, recovery of the ministerial role of priests, and deprivation of temporal goods of the church by secular rulers were Wyclif’s proposals for reformation. In spite of some differences, Wyclif’s reformation ecclesiology shows some significant similarities with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reformers: the idea of the relative nature of the church compared to the absolute truth of Scripture, the definition of the priestly office not as authoritative position but as pastoral role, and the emphasis on the perpetuity and the continuous need for reforming the Church due to the fact that “Christ is the sole head of the Church.” Those similarities are sufficient reasons for calling Wyclif “a pioneer of reformation” who prepared the way to the protestant reformers.

      • KCI등재

        ‘2010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의미

        장훈태 ( Hun Tae Cha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1 생명과 말씀 Vol.4 No.-

        본 논문은 2010년 장종현 박사가 주창한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은 한국 교회의 신학적 반성에 대한 촉구를 골자로 하는 내용으로 장종현 박사의 신학적 정체성일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한국 교회와 함께 신학교라는 두 축을 움직이는 두 축이다. 이로 인해 백석학원은 학교의 높은 위상에 자부심을 갖게 됐다. 본 논문에서는 개혁주의생명신학에 대한 용어의 문제이기 보다는 태도와 마음가짐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한국 사회와 교회의 상황에서 필연적인 의미를 갖는 당위성을 견지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2010년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언동기와 선언문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선교적 함의를 고찰하고, 선교적 차원에서 실행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장종현 박사는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을 함과 동시에“개혁주의생명신학”만이 한국 교회의 회복, 신학을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아래 “절망적인 신학교와 교회에서 희망을 버리지 않고 끊임없이 꿈을 향해 정진”해 왔다. 장종현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통하여 한국 교회와 신학의 회복을 위한 희망을 찾으려 한다. 그는 항상 “작고 느리고 섬세하게” 희망을 찾는 바른 생활상(Right Livelihood Awards)을 외치고 있다. 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주창하게 된 동기 즉 “다른 신학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죽어 있는 개혁신학을 살려야 한다. 장종현 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실천적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기 위해 선언문에 일곱 가지 운동 즉 신앙운동, 신학회복운동, 영적생명운동, 하나님 나라운동, 기도운동, 성령운동, 그리고 나눔운동을 주장 한다. 결과적으로 개혁주의의 가장 근본적인 주장인 “성경대로 돌아가서 성경이 말씀하는 대로 믿고 성경이 말씀하는 대로 사는 것이 죽어버린 신학을 살리는 길”이다. 이것이 개혁주의생명신학 운동의 핵심 내용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기독교대학으로서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원동력이며, 학교가 지향해야 할 근본적인 목표이다. 즉 기독교대학의 근본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영원한 생명을 얻도록``하는 것이다. 이것은 모든 기독교대학이 영생의 신학 곧 생명신학의 토대위에 세워져야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을 발표하게 된 동기의 핵심은 교회의 발전을 통한 하나님 나라 확산과 선교적사명 완수이다. 한국 교회의 회복과 발전을 위해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주창한 7대 운동은 “신앙운동, 신학회복운동, 영적생명운동, 하나님 나라운동, 기도운동, 성령운동, 나눔운동”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교회의 올바른 회복과 발전의 동기는 이 선언문의 중심 내용 즉 “신학은 학문이 아니라 생명을 살리는 복음”이며, “교회와 세상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라는 근본취지에서도 드러난다. 2010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의미적 의미는 한국 교회위기의 돌파구의 핵심은 영이요, 첫째는, 하나님의 말씀 회복이다. 모든 주의 백성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주 안에서 누릴 때 교회의 위기 돌파구가 보이게 될 것이다. 둘째는, 영적 생명력 회복이다. 장종현박사의 “생명의 말씀”은 교회와 세상을 살리는 원동력이란 의미다. 이러한 주장은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 즉 대위임령(마 28:18-20)과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을 땅 끝까지(행 1:8)전하라는 명령과 일치한다. 셋째는, 선교 활성화 및 운동이다. 장종현 박사는 계속해서 “개혁주의신학의 핵심인 하나님이 주시는 영적 생명을 놓치고, 이론 중심의 신학연구에 머무르는 것을 보며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고 표현하며 개혁주의생명신학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기 위해 7대 운동을 펼치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본 논문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실천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역설하였다. 첫째는, 생명에 들어가기 위한 말씀(계명) 지키기이다. 둘째는, 영적인 사람, 생명의 사람으로 살기이다. 셋째는, 사역의 감각성을 지닌 지도자 양성이다. 넷째는, 순수한 복음을 성경말씀대로 선포하여 교회의 생명력 회복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7대 운동의 전반적인 내용은 복음전도의 목적이 담겨 있다. 7대 운동은 “이 땅에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 관한 지식을 계속 보존하는것, 그리고 그분의 재림을 위해 준비하는 것, 그분이 사람들의 마음 문앞에서 두드리고 그들 속으로 들어가려고 함”을 강조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ained that the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advocated by Dr. Jong Hyun Chang in 2010 has the contents with the essentials to demand theological introspection of Korean churches and it is not only the theological identity of Dr. Jong Hyun Chang but also one of the two axes which move theological schools through this together with Korean churches. This paper explored this researcher under the premise that appropriateness which has indispensable meaning in the situation of Korean society and churches of Reformed Life Theology should be strongly supported, contemplates the motives of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2010 and missionary implicatur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declaration and discuss the method of practice to implement it specifically in the level of mission. Dr. Jong Hyun Chang declared “Theology is not study.” and at the same time under the belief that only “reformed life theology” can restore Korean churches and restore theology, “he has devoted himself to the dream continuously without giving up hope in despairing theology school and churches.” He is to find the hope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through “Reformed Life Theology” He is always shouting “small and slowly and delicately” which is Right Livelihood Awards to find hope. The study emphasis that this is not to make new theology but by blowing life into reformism to activate reform theology” and “maintains in the declaration that in order to actively unfold practical movement of reformed life theology, seven kinds of movements namely, religious belief movement, theology restoration movement, spiritual life movement, Kingdom of God movement, prayer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driving force that makes the identity as Christianity university firm and fundamental purpose which the school should aim at. Namely, the fundamental of Christianity university is to ``obtain eternal life through Jesus Christ``. It can be seen to mean that all Christianity university should established on the foundation of the theology of eternal life namely life theology. The 7 great movement advocated by reformed life theology for the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hurches are religious belief movement, theology restoration movement, spiritual life movement, Kingdom of God movement, prayer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The article mentioned that Missionary Meaning of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2010.`` First, the core of breakthrough for the crisis of churches is the restoration of the words of God which is the Spirit and life, Second, restoration of Spiritual Vitality; third, vitalization and Movements of Missionary Work. Missionary meaning appeared in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was looked into. In order to give spiritual vitality to Korean churches, Asian churches and the actual spot of missionary work, we should practice the 7 great movements actively. 7 great movements in the declaration are very meaningful in Korean church history and missionary history therefore theology schools and churches should actively accept them and participate in them. This article argued that missionary method of practice of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mention as below; First, Observing the Words (Commandments) to Enter the Life; Second, Living as a Man of Spirit and a Man of Life; Third, Educating Leaders who have Sentience of Ministry; Fourth, Restoration of Vitality of Churches by Proclaiming Pure Gospel as the Saying of the Bible. The 7 great movements emphasize “preserving continuously the knowledge on the life of Jesus Christ on this earth, and preparing for the Second Advent of Him and He knocks on the door of mind of people and tries to enter them. The pulpits of churches proclaim as the Bible, the Kingdom of God will expand. This is the core of the 7 great movements of the declaration.

      • KCI등재

        재건설과 개혁: 『재세례파 논박』에 나타난 칼빈의 종교개혁 이해

        김요섭 한국개혁신학회 2017 한국개혁신학 Vol.56 No.-

        Calvin and other magistrate reformers pursued the religious reformation against errors and corruptions of Roman Catholicism. However, this reformation was different from the radical ideas. In spite of some similarities, Calvin strongly refuted those radical views because the reformation was not a restitution of reconstructing the whole Christian religion after demolishing the every existing doctrinal and ecclesiastical structure. For him, the proper reformation was the recovery of the substance and foundation of the true Christian religion according to the consistent and manifest truth in Scripture.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Calvin’s idea of the reformation by examining his criticism of the anabaptists’ radical ideas. Calvin’s “Treatise against the Anabaptists” published in 1544 and the other related works will be analyzed for this examination. After the review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alvin’s works against the anabaptists, three themes will be investigated to compared Calvin’s reformation to the radical restitution: Bible, Church, and secular government. This investigation tries to manifest Calvin’s consistent understanding of foundation, methods, and sphere of the reformation. This study hope to clarify Calvin’s idea of the religious reformation and find its significance for contemporary Christianity.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reformers’ arguments against the anabaptist radical ideas as well as the Roman Catholics in order to exactly commemorate and correctly apply the legacy of the sixteenth-century reformation. Against both the Roman Catholic idolatry and the radical delusion, Calvin and the reformers emphasized the clear and distinct truth of God’s sovereign grace of salvation in Scripture. The proper way of the reformation, according to Calvin, is the constant endeavor of reflection and restoration to recover the true religion of Christian Church and glorify God’s name alone. 칼빈을 포함한 주요 개혁자들은 당시 로마 가톨릭의 여러 가지 오류에 맞서 성경의 진리에 따라 기독교 종교의 회복하는 종교개혁을 추구했다. 그러나 이 종교개혁은 기존의 모든 교리와 체계를 거부한 급진적 입장과도 달랐다. 여러 유사점들에도 불구하고 칼빈이 급진주의를 더 강하게 비판한 것은 종교개혁은 기존의 모든 것을 부인한 뒤 이루는 “재건설”이 아니라 성경이 가르치는 명확한 진리를 재확인함으로써 추구하는 본질의 “회복”이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재세례파”로 통칭한 급진주의의 주장들에 대한 칼빈의 반박을 분석함으로써 그가 제시하려 했던 종교개혁의 개념이 무엇이었는지 재구성하려 한다. 이를 위해 칼빈의 여러 저술들 가운데 1544년 출판된 『재세례파 논박』을 중심으로 관련 저술들을 분석할 것이다. 본론에서는 이 저술의 등장하기까지 재세례파에 대한 칼빈의 이해와 상황적 배경을 다룬 후 이어서 성경, 교회, 그리고 세속사회에 대한 재세례파의 급진적 주장을 그가 어떻게 비판했는지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칼빈이 일관되게 제시한 “종교개혁”의 토대와 방법 그리고 범위를 드러낼 것이다. 결론에서는 본론의 분석을 통해 확인한 칼빈의 종교개혁 이해를 정리하고 그 의의를 제시할 것이다. 16세기 종교개혁을 정확하게 기념하여 오늘날 한국 교회에 바르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칼빈을 비롯한 종교개혁자들이 왜 로마 가톨릭의 적폐를 비판하면서 동시에 재세례파와 급진세력의 주장을 거부했는지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들은 로마 가톨릭과 급진 세력 양편을 모두 비판하면서 이에 맞서 성경이 가르치는 명확한 구원 진리를 개혁의 기초와 목적으로 강조했다. 종교개혁은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를 드러냄으로써 하나님께만 영광을 돌리려는 위한 반성과 회복의 노력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