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9 개정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

        김재혁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初等敎育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2014년 3, 4학년부터 실시될 예정인 2009 개정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과 교과서가 아직 출판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해서 이 연구는 현재 시행중인 2008 개정 교육과정의 정책 연구학교 운영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하였다. 이 정책 연구학교 운영은 2009-2010 기간에 수행되었는데, 본 연구자가 참여한 이 연구는 매우 방대한 자료를 담고 있어서 교실 수업 적용의 측면에서 일부 내용을 선정해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사실 2008,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은 기본 틀을 공유하고 있다. 이 두 교육과정은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시수, 평가 등에서 핵심 내용이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2008 개정 교육과정 운영으로부터 새로운 개정 교육과정 운영 방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도 유의미한 일이라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16개 초등학교에서 교사 307명, 학부모 1,916명, 학생 2,087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및 면담 분석으로부터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주제어: 영어과 교육과정, 초등영어

      • 초등국어교육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의 혁신 사례연구 ― 학생의 배움과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마중물 ―

        이지선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2 초등국어과교육 Vol.29 No.-

        다가올 미래는 4차 산업혁명의 시기이다. 기술로 인한 사회적 격차는 지금보다 더 심해질 것이다. 교육은 기술로 인해 벌어진 사회적 격차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일을 해야 한다. 하여 교육기관의 ‘변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직 교사의 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교사의 역할과 역량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독서토론논술교육’교육과정과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아동문학과 문해력전공’교육과정 사례를 통해 미래 사회 대비 교사재교육 교육과정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한국교육개발원 OECD Education2030 프로젝트 참여연구 결과 보고서와 2019년 광주교육대학교 정책연구 보고서에 기반하여 본고를 정리하였으며, 실제 대학원에 진학중인 동료교사의 생각을 조사했다.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초등국어교육” 전공은 “독서토론논술교육”으로 전공명을 변경하면서 교육과정의 재구성까지 함께 이루어냈다.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아동문학과 초기문해력” 전공은 대학원교육과정과 교사연수를 기획하는 교육기관과의 협력관계를 맺는 방법을 취함으로써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두 교사 재교육 기관의 변혁은 대학원이 당면한 과제 해결을 모색한 결과다. 본고에서 제시한 과제 해결의 과정을 공유하여 더 나은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어휘력 신장을 위한 국어사전 단원 재구성

        양유진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0 초등국어과교육 Vol.27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3, 4학년에서 국어사전과 관련된 단원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그 실태를 파악하여 국어사전 관련 단원을 재구성하는 활동을 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을 중점으로 구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결과 인터넷 사전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 학년 군 간 또는 학교 급 간 위계화를 통해 국어사전 활용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예시 단어들의 필요성과 어휘력과 관련된 학습 활동, 사전의 종류에 따른 특성과 상황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는 활동 등의 추가 그리고 타 교과와 국어사전의 연계 경험의 필요성 등의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국어사전을 활용한 현장의 실제적인 학습활동을 정리하였다. 국어사전 일러두기 학습, 국어사전 활용 학습장, 나만의 국어 사전 만들기, 국어사전 활용대회 운영, 국어사전 활용 감성 프로그램, 국어사전을 활용한 독서 낱말 카드 만들기, 국어사전 활용을 위한 학급 누리집 활동 등 연구자가 실제로 적용해 보았거나 구안한 활동 중심으로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소개하고 이를 국어 수업시간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3, 4학년 교과서 활동과 위에서 분석한 학습자의 요구와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3학년 1~10차시 내용과, 초등학교 4학년 1~9차시 내용에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내용을 실제적으로 추후 교실에서 적용하여 연구를 보충할 계획이다. 연구과정을 통해 초등학교 국어사전 관련이 어휘력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 신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신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국어사전활용 단원의 교수학습에 구체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2015 초등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 교육 실태 분석

        이진아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1 초등국어과교육 Vol.28 No.-

        2015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 교육의 실태 분석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시조의 특성을 먼저 간략하게 알아본 후 2015 교육과정에서의 시조 교육의 내용을 찾아보았다. 교육과정에서는 시조 교육에 대해 명시하고 있지 않아 문학 영역의 목표, 내용, 방법을 기준으로 시조 교육의 목표, 관련 핵심 역량, 학년별 내용체계 및 성취 기준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에서의 시조 수록 현황과 시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시조 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지 분석하였다. 교과서에 수록된 시조 9편을 시조의 내용적 측면, 형식적 측면, 학생 발달적 측면,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내용적 측면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편향적으로 시조 교육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년별 대표 시조 제재를 골라 시조 제재 및 교수·학습 활동의 적절성 등을 분석한 결과 시조 제재의 적절성은 부합하나, 교수·학습 활동의 적절성 측면에서 시조의 단순한 수용 활동만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내실 있는 시조 교육을 위해 이후 국어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형식의 시조 제재를 학년별로 고루 배치하고, 시조의 수용과 생산 활동을 함께 제시하기를 기대해본다.

      • 예비 교사교육에서 도서관 활용 수업의 실행 효과 분석 - 국어과를 중심으로

        황기웅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1 초등국어과교육 Vol.28 No.-

        본 연구는 도서관 활용 수업의 개념과 적용 방향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고등교육기관인 교육대학의 초등 예비교사 교육의 일환으로 국어과교육에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서관 활용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여 실행하며, 그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도서관 활용 수업을 초등 예비교사 교육 차원에서 전반적으로 확산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활용 수업의 개념을 협의의 차원에서 도서관 정보 활용 교육을 강조하여 ‘교과 교사와 사서 교사가 교수·학습활동의 설계부터 실천까지 동등한 관계에서 협력하여 교과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교도서관의 시설, 자료, 서비스 등의 자원을 활용하는 교수·학습활동’으로 정의한다. 광의의 차원에서 도서관 이용 교육, 도서관 독서 교육, 도서관 정보 활용 교육을 모두 포함하여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해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수·학습활동의 총칭’으로 정의한다. 이어 도서관 활용 수업의 유형, 효과, 활성화 방안을 이론적으로 모색하여 도서관 활용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실행 효과 분석 결과 도서관 활용 수업 콘텐츠 이해도와 도서관 활용 수업의 실천 의지 영역 모두 높게 나타났다. 특히 도서관 활용 수업의 실천 의지 중 도서관 이용 교육을 실시해야겠다는 응답이 91.2%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의 도서관 활용 수업을 국어과뿐만 아니라 교과교육 전반과 심화교육 전반으로 점진적으로 확산해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교사교육에 필요한 초등학생용 도서의 구입과 별치도서실 확보가 시급하다.

      • C.G.에디터 '그림판'을 활용한 초등 그래픽디자인 교육 연구 : 표현영역의 수업지도안과 현장 적용사례 제시 중심으로

        손연석,우선화,이명옥,신명순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1 初等敎育硏究 Vol.16 No.1

        The change of design situ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recent communication means requires a change of design education and using computer in design education is very natural phenomenon, and most of design works are performed on computer screen which is cyber space. Considering such a change and requirement of the times and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the introduction of computer in art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is compulsory and the application of computer should be started from the concept of 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That is, as 'crayon' and 'mud' are the object of art education, it is not to teach 'computer' but to us it as the means in expressing children's self and its technique and it is desirable that C.G. is applied to the various areas as the instrument to help the children's expression rather than its introduction as independent expression area at elementary art education, but this study limits the range of research to computer application to graphic design of design area (decorating and making) which is assumed to be effective in its uses based on the figurative features of C.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eaching guide and field application cases of expression areas as the learning method using 'picture board' of C.G. editor of Hangul window which children can access and use easily as an alternative for elementary graphic design education using computer media correspon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n it expect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the cases presented in this research and it plays the role of guide for teachers assisting textbook research.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use of computer induces children to participate and concentrate on class by enhancing their interest in class in the process of motivation and the class applying design process achieves the effective art class escaping from function centered teaching method of computer and children who don't like art class use the various functions easily and have joy and confidence by making a work in cooperative relations with classmates. Most of children learn the basic functions and elements, and basic knowledge of design through design process and makes the works of high perfection by using colors and shapes suitable to topic. In conclusion, children can approach the use of C.G. in graphic design education of elementary design area and in its learning effects, it has reverse func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media, but since it can interact with learners according to program contents and offer 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learner's development level and cognitive ability, it confirms the potential to achieve the learning effects by inducing children's interest and concern in learning.

      • 교육실습지도의 제 관점 및 재구성을 위한 과제

        오정란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初等敎育硏究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spectives on coaching student teaching and identify the tasks for its reconstruction. Positivisim, inquiry, and critical theory were reviewed in terms of shedding light on the problems as well as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current coaching student teaching. Although they gave us some specific strategies for the efficient coaching student teaching, they have not suggested alternatives which adequately apply to various kinds of teaching-learning situations faced by cooperating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Reflective perspective was introduced as bases for transformation of the current coaching student teaching. On the basis of reflective perspective, three strategies for reconstruction of the coaching student teaching were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reconstruction of the coaching student teaching should be based on supportive relationships with equal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ooperating teacher and student teacher; second, it should be built upon equal role and relationships between cooperating teacher and student teacher; lastly, it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dialogue and conscious reflection.

      • 제7차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효율적인 교실수업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 3·4학년을 중심으로

        김영현,조초희,김재혁,선규수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初等敎育硏究 Vol.17 No.-

        This study has dual aims: one is to explore some theories and their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nglish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for 3rd and 4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other is to develop efficient materials for teaching English to them depending on the 7th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EFL classroom. The former includes (1) the understanding of the 7th curriculum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children's language acquisition processes, (2) some problems of elementary English language teaching according to applying the 7th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to the classroom, and the teaching methods of the spoken language, (3) the models of teaching English to 3rd and 4th graders in the elementary classroom, and some strategies for planning English lessons and teaching based on them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to the classroom. The latter contains some effective materials, developed in this study, which can help the teacher to teach English to 3rd and 4th graders, especially, using the target language, so-called,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