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gital Media Technology’s Application in Digital Dance

        Zhu Wei(주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4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디지털 채집 기술, 3D프린팅 기술, 현실 기술 증강 및 체감 상호작용 기술 등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한층 더 진일보한 개발을 가져오고, 기술의 갱신이 디지털 댄스를 이끄는 표현이 나날이 다원화 되고 있습니다. 무용은 전통 예술 형식, 특히 전통적인 시청 표현 예술로 시각 충격과 무용에 담겨 있는 풍부한 내용에 대한 표현을 중시합니다. 시청감각 기관에 대한 충격은 심리와 생리적으로 감정있는 종합적 표현을 맞춰야 현대사람들의 심미감지에 부합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시각 전시 기술은 LED스크린, 3D입체 시각, 낙안3D스크린, 홀로그래피 현상기술 등이 있습니다.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안무와 무용 예술설계에 도전을 가져오는 동시에 새로운 발전공간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이 날로 풍부해진 디지털 가술들은 당대에 맞는 무용제작에 다양한 표현형식을 제공하고 시청자에게도 다양한 시청 언어를 보여주었습니다. 디지털화 댄스같은 새로운 댄스 표현 형식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현대 기술과 전통을 결합해서 더 아름답고 더 감동적인 우수한 예술작품을 만들어 나올 것입니다. 본문은 현재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특점과 분류를 약술하는 기초상에서 실제 사례를 결부시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디지털 댄스에서의 응용에 대해 탐구하였습니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digital media technologies such as digital collection technology, 3D printing technology,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somatosensory interaction technology have been further developed. The update of technology has led to an increasingly diversified expression of digital dance. As a traditional art form, dance is a traditional art of audiovisual performance. It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visual impact and the rich contents of the dance. However, to increase the impact on audio-visual senses, a combination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emotions is needed. In this way, it can meet the aesthetic perception of modern people. Modern visual display technologies come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LED screens, 3D stereoscopic vision, naked-eye 3D screens and even holographic display technology. The Rich digital media technology has brought challenges to choreography and dance art design and also provided new space for development. These increasingly rich digital technologies will provide a diverse array of expressions for producing contemporary dance performances. At the same time, it also provides viewers with a rich audio-visual language. Digital dance is a new form of dance and it will also progress with the times. It combines modern technology and traditions so that it can achieve more beautiful and moving works of art. This paper explores the application of digital media technology in digital dance by combining actual cas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current digital media technology.

      • KCI등재

        중국어 ‘新’의 한국어 대응 양상 연구

        朱偉(Zhu Wei),金鉉哲(Kim, Hyun-cheol) 중국어문학연구회 2018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112

        In this paper, we tried to find out the Korean expressions of Chinese ‘xīn’. Two Chinese dictionaries and three Korean-Chinese dictionaries were selected to consider the meaning of chinese ‘xīn’. And the meaning of Chinese ‘xīn’ is divided into seven meanings such as ‘new’. We have selected the Chinese novel “林海雪原” and Korean translation version “林海雪原” to understand the Korean Corresponding aspects of Chinese ‘xīn’. Chinese ‘xīn’ appeared 55 times in this novel. The 15 examples were omitted from the “林海雪原”. As a result of examining Chinese novel and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I could confirm various Korean correspondence expressions of ‘xīn’ appearing in novel text besides lexical meanings. If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ccepted positively in Chinese or Korean education, it will be useful for the learners of both countries.

      • 지시관형사에 대한 계량적 분석

        주위 ( Zhu Wei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관형사는 형태상 불변어이고 통사적 기능상 체언을 수식하는 수식언으로 한국어에만 있는 고유한 품사이다. 관형사 어휘 자체의 의미적 기능에 따라 지시관형사, 수관형사, 성상관형사 등으로 하위 유형을 구분한다. 본 논문은 지시관형사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관형사와 후행하는 체언과의 공기 관계에 착안하여 지시관형사의 특성을 고찰할 것이다. 말뭉치에서 지시관형사의 출현빈도와 결합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계량적인 연구 방법을 활용할 것이다. 말뭉치 용례를 활용하는 궁극적 목적은 직관에 의한 관형사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좀 더 실증적 언어 자료를 통하여 언어 현상을 기술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실증적인 언어 현상을 기술에 반영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spects of korean demonstrative prenouns based on korean corpus. it aims to investigate on usage of korean demonstrative prenouns and analyze the frequency in use of the demonstrative prenouns in the corpus and to find out the aspects of demonstrative prenouns with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According to combination constraints, demonstrative prenouns are categorized into sino-korean demonstrative prenouns and native demonstrative prenouns. Finding out the aspects of korean demonstrative prenouns is useful for korean studier and researcher.

      • KCI등재

        말뭉치 기반 한국어 지시관형사와 중국어 지시대사 대조 연구 -‘이, 그, 저'와 ‘저(這),나(那)'를 중심으로-

        주위 ( Zhu Wei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1

        한국어와 중국어는 비록 언어의 계통이 다르고 교착어와 고립어라는 언어 유형론적인 차이가 존재하지만 두 언어에는 서로 공통되는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한국어 지시관형사와 중국어 지시대사의 의미적 대응 양상에도 반영되어 있다. 관형사는 서구문법에 없는 한국어만의 특징을 갖고 있는 독립품사로 서구의 형용사의 개념과는 다른 독특한 품사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어 지시관형사는 의미적 측면에서 중국어의 지시대사와 대응한다. 본 논문은 한국어 지시관형사와 중국어 지시대사의 통사적·의미적 특징을 말뭉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실제적 사용을 기반으로 하여 그 실체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한국어의 지시관형사와 대응하는 중국어 지시대사의 통합적 특징도 함께 분석함으로써 두 나라 언어의 대조 연구에 명시적이고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학습자에게 모국어의 간섭을 받게 되는데 긍정적인 간섭은 살리고 부정적인 간섭을 최대한 많이 줄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들의 특성을 면밀하게 대조 분석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hinese counterpart aspects of korean demonstrative prenouns, based on korean corpus and chinese corpus. it aims to investigate on usage of korean demonstrative prenouns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analyze the frequency in the corpus and to find out the aspects of them with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According to combination constraints, demonstrative prenouns are divided in two constrain types as following: common noun and bound noun. to analyze the combination constraints of the prenouns and the nominals concretely, based on the language corpus. demonstrative prenouns such as '그, 이, 저', they are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in the corpus. Otherwise these demonstrative prenouns have different combination constrains with the nominals. the combination constrains of the demonstrative prenouns and demonstrative pronouns are analyzed concretely based on the language corpus.

      • KCI등재

        한국어 수관형사 ‘한’, ‘모든’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주위 ( Zhu Wei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hinese Counterpart Aspects of Korean Numeral Prenouns based on Korean Corpus. It aims to investigate on usage of Korean Numeral Prenouns and analyze the frequency in use of the Numeral Prenouns in the Corpus and to find out the aspects of Numeral Prenouns with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According to combination constraints, Prenouns are divided in two constrain types as following: common noun and bound noun. to analyze the combination constraints of the Prenouns and the nominals concretely based on the language corpus. Numeral prenouns such as ‘Han(한)’, ‘Modeun(모든)’ are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in the corpus. otherwise these Numeral Prenouns have different combination constrains with the nominals. and to figure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Numeral Prenouns and Chinese Counterpart Aspects in morphologic aspects and syntactic aspects.

      • KCI등재

        한국어 ‘모든’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주위 ( Zhu Wei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20 언어사실과 관점 Vol.51 No.-

        This study is aiming for finding out chinese counterpart aspects of korean ‘moden’, based on korean corpus and chinese-korean translation novel. it aims to analyze the usage of korean ‘Moden’ and the frequency of the ‘Modeun’ in the korean corpus and to find out the aspects of ‘Modeun’ with the method of quantitative analysis. We have chose the Parallel Corpus in Korean and Chinese to understand the Chinese Corresponding aspects of Korean ‘Modeun’. Korean ‘Moden’ appeared 1,320 times in this novel. The 190 examples were omitted from the Korean Corpus.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hinese novel and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I could confirm various Chinese correspondence expressions of ‘Modeun’ appearing in novel text contain lexical meaning and grammar meaning. I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ccepted positively in Chinese or Korea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